KR100717918B1 -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918B1
KR100717918B1 KR20040071992A KR20040071992A KR100717918B1 KR 100717918 B1 KR100717918 B1 KR 100717918B1 KR 20040071992 A KR20040071992 A KR 20040071992A KR 20040071992 A KR20040071992 A KR 20040071992A KR 100717918 B1 KR100717918 B1 KR 10071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caller
receiver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236A (ko
Inventor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04007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9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9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이 있으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서버로 발신자의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서버에서는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는 호설정요청과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자의 단말기에서는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한편, 컨텐츠를 직접 전송하는 대신에 컨텐츠 ID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수신한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전송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요청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통하여 수신자가 발신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발신자는 자신만의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단말기, 컨텐츠, 발신자, 컨텐츠 ID, 착신, 알림

Description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Method for alerting incoming call using caller selected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의 착신 알람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는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발신자 단말기에서 발신시에 컨텐츠를 함께 전송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함께 컨텐츠를 전송하면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착신 알람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컨텐츠 ID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발신자가 발신하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설정 되어 있는 컨텐츠 ID를 컨테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ID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에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이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발신자 단말기에서 발신시에 컨텐츠를 함께 전송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에 컨텐츠 ID를 부여하고 이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발신자의 단말기, 20 이동통신교환시스템,
30 컨텐츠 제공서버, 40 수신자의 단말기.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전송하거나 또는 선택해둔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에 제공하여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이를 재생함으로써 착신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화가 걸려올 때 다양한 벨소리를 울리거나 화면에 전화가 걸려왔음을 나타내는 동영상이 표시된다거나 하는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전화가 걸려올 때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벨소리나 동영상 등은 모두 수신자가 선택하여 자신의 단말기에 설정해 둔 것으로서, 발신자가 이를 변경하거나 제공하는 방법은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발신자가 선택한 텍스트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른바 레터링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발신자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자신이 선택한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자신을 독특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기능은 단순히 문자를 전송하는 것에만 한정이 되므로 좀더 특이하고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에는 미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신자가 컨텐츠를 선택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면,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통하여 수신자가 발신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발신자는 자신만의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지원을 위한 서비스나 컨텐츠 전송을 통한 패킷요금 등으로 컨텐츠 사업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이 있으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서버로 발신자의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된 상기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착신 명령과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할 때,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에게 제시하고, 발신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것은,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컨텐츠 제공서버가 이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할 때에 발신자 단말기에서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를 전송하고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하 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상기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발신요청을 하면 발신자 단말기에서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착신 명령과 상기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에서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 ID를 전송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착신 명령과 상기 컨텐츠 ID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해당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요청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면,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서 발신자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 단말기에게 제시하고, 발신자 단말기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발신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 ID를 저장한다.
또한, 발신자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서버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컨텐츠 제공서버가 해당 컨텐츠에 ID를 부여하면서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 ID를 발신자 단말 기로 전송한여, 발신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 ID를 저장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때, 먼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때에는 먼저,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해당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ID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화 발신 요청이 있으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서버로 발신자의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 ID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된 상기 컨텐츠의 ID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착신 명령과 상기 컨텐츠 ID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해당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요청한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동통 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면,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할 때에 먼저,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에게 제시하고, 발신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 ID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또한,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할 때에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컨텐츠 제공서버가 해당 컨텐츠에 ID를 부여하면서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 ID를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또한,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할 때에 먼저, 발신자 단말기에서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를 전송하고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에 ID를 부여하면서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 ID를 상기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상기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때에는 먼저,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해당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ID와 관련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벨소리 음원, 동영상, 또는 이미지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발신자의 단말기(10)가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전화를 걸면 수신자의 단말기(40)에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재생된다. 이 컨텐츠는 발신자의 단말기(10)에서 직접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발신자가 미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선택하거나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업로드하여 둘 수 있다.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은 발신요청이 있으면 해당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가져오거나 그 ID를 가져와서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첫번째는 발신자가 먼저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자신의 단말기로 다운받은 후에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발신자의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첫번째의 방법에서는, 발신자의 단말기(10)가 먼저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다운받고, 사용자는 다운 받은 목록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선택된 컨텐츠를 연계시켜 저장한다. 이러한 절차가 도 3a에 도 시되어 있다. 도 3a는 발신자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자의 단말기(10)는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한다(단계 301a). 그러면,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에게 제시한다(단계 303). 발신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단계 305),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해당 발신자 정보에 대해서 선택된 컨텐츠를 연계하여 저장한다(단계 307).
두번째의 방법에서는, 미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업로드 하여 두거나, 또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자신이 설정해 놓은 컨텐츠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컨텐츠 제공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컨텐츠 제공서버에 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발신자 단말기에서 발신시에 컨텐츠를 전송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발신자의 단말기(10)는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을 하여(단계 301b),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컨텐츠 제공서버(30)가 이를 발신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단계 301b).
도 3c의 실시예에서는, 발신자가 발신요청을 하면(단계 300), 발신자의 단말기(10)는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301c).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한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하게 되고(단계 303c),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수신한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단계 307).
이렇게 선택된 컨텐츠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자의 단말기(4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의 착신 알람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발신자가 발신 요청을 하면(단계 200), 발신자의 단말기(10)는 전화 발신요청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201).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발신자의 정보를 보내면서 발신자가 미리 저장하여둔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203).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 해당 발신자와 관련된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하면(단계 205),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의 단말기(40)로 호설정요청을 보내면서 해당 컨텐츠도 함께 전송한다(단계 207). 그러면, 수신자의 단말기(40)에서는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209).
도 4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함께 컨텐츠를 전송하면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전송하여 착신 알람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발신자가 발신 요청을 하면(단계 400), 발신자 단말기(10)에서는 전화발신 요청과 함께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401).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의 단말기(40)로 호설정요청과 함께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전송한다(단계 403). 그러면, 수신자의 단말기(40)에서는 착 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405).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직접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였으나, 컨텐츠를 직접 보내는 대신에 컨텐츠 ID를 전송하고, 수신자의 단말기에 해당 컨텐츠 ID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만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경우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컨텐츠 ID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발신자가 발신 요청을 하면(단계 500) 발신자의 단말기(10)는 호 설정 요청과 함께 컨텐츠 아이디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501). 그러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의 단말기로 호설정요청과 상기 컨텐츠 ID를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전송한다(단계 503).
수신자의 단말기(40)에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40)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단계 505), 존재한다면(단계 505의 예) 수신자의 단말기(40)에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515). 반대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4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 505의 아니오),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507).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509).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해당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단계 511),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은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513).
그러면, 수신자의 단말기(40)는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515). 이때, 수신자의 단말기(40)는 해당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ID와 관련하여 단말기 내에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발신자가 발신하면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 ID를 컨테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아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발신자가 발신요청을 하면(단계 600) 발신자 단말기(10)는 호 설정 요청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고(단계 601),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발신자의 정보를 전송하면서 컨텐츠 ID를 요청한다(단계 603).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 해당 발신자와 관련하여 저장된 컨텐츠 ID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하면(단계 605),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의 단말기(40)로 착신명령과 함께 컨텐츠 ID를 전송한다(단계 609).
수신자의 단말기(40)에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40)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단계 611), 존재한다면(단계 611의 예) 수신자의 단말기(40)에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621). 반대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4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 611의 아니오),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613).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615).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해당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단계 617),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은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619).
그러면, 수신자의 단말기(40)는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621). 이때, 수신자의 단말기(40)는 해당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ID와 관련하여 단말기 내에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첫번째는 발신자가 먼저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 접속하여 컨텐츠 목록을 자신의 단말기로 다운받은 후에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발신자의 단말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첫번째의 방법에서는, 발신자의 단말기(10)가 먼저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다운받고, 사용자는 다운 받은 목록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해당 발신자에 대해서 선택된 컨텐츠 ID를 연계시켜 저장한다. 이러한 절차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발신자의 단말기(10)는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한다(단계 701a). 그러면,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에게 제시한다(단계 703). 발신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단계 705a),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해당 발신자 정보에 대해서 선택된 컨텐츠 ID를 연계하여 저장한다(단계 707a).
두번째의 방법에서는, 미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업로드 하여 두거나, 또는 발신자가 발신시에 자신이 설정해 놓은 컨텐츠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7b는 컨텐츠 제공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컨텐츠 제공서버에 이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c는 발신자 단말기에서 발신시에 컨텐츠를 전송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의 실시예에서, 발신자의 단말기(10)가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을 하여(단계 705b),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컨텐츠 제공서버(30)가 컨텐츠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에 대해서 ID를 부여하고 이를 발신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단계 707b).
도 7c의 실시예에서는, 발신자가 발신요청을 하면(단계 700), 발신자의 단말기(10)는 호설정요청과 함께 미리 발신자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701c). 이동통신교환시스템(20)에서는 수신한 컨텐츠를 발신자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하게 되고(단계 705c), 컨텐츠 제공서버(30)에서는 컨텐츠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에 대해서 ID를 부여하고 이를 발신자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단계 707c).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컨텐츠를 선택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면,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통하여 수신자가 발신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발신자는 자신만의 컨텐츠를 수신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컨텐츠 지원을 위한 서비스나 컨텐츠 전송을 통한 패킷요금 등으로 컨텐츠 사업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신자 단말기에서 전화발신요청과 함께 컨텐츠 ID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단말기로 착신 명령과 상기 컨텐츠 ID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는 제5단계로 가고 해당 컨텐츠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요청하는 제3단계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발신자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발신자 단말기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발신자 단말기가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 ID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발신자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서버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와,
    컨텐츠 제공서버가 해당 컨텐츠에 ID를 부여하면서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 ID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신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컨텐츠 ID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컨텐츠 ID를 컨텐츠 제공서버에 전송하면서 컨텐츠를 요청하는 제4-1단계와,
    컨텐츠 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동통신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4-2단계와,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5단계는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착신이 왔음을 알리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5-1단계와,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해당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ID와 관련하여 저장하는 제5-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20040071992A 2004-09-09 2004-09-09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KR10071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1992A KR100717918B1 (ko) 2004-09-09 2004-09-09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1992A KR100717918B1 (ko) 2004-09-09 2004-09-09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236A KR20060023236A (ko) 2006-03-14
KR100717918B1 true KR100717918B1 (ko) 2007-05-11

Family

ID=3712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1992A KR100717918B1 (ko) 2004-09-09 2004-09-09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22B1 (ko) * 2005-02-24 2007-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532519B1 (ko) * 2014-11-04 2015-06-30 (주)휴넷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169A (ko) * 2002-05-27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KR20040050284A (ko) * 2002-12-10 2004-06-16 (주)엠맥 전화망에서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8177A (ko) * 2004-08-23 2006-02-28 구교창 발신자 선택에 의한 착신자 벨소리 재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169A (ko) * 2002-05-27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변경방법
KR20040050284A (ko) * 2002-12-10 2004-06-16 (주)엠맥 전화망에서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8177A (ko) * 2004-08-23 2006-02-28 구교창 발신자 선택에 의한 착신자 벨소리 재생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92169 *
1020040050284 *
10200600181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236A (ko)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648B2 (en) Routing of data including multimedia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0415761B1 (ko)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US7889853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ring backs
US8972559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products for providing alerts for communications
KR10087123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얼라팅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0003352A1 (zh) 一种彩铃选择方法、系统及相关装置
JP3877137B2 (ja) 携帯端末装置の着信通知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装置
KR100977812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17918B1 (ko)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JP2008125114A (ja) 移動端末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EP2035914A2 (en) User-chosen media content
JP4593079B2 (ja) 移動端末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固定端末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JP5352621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1398943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6129379A (ja) 携帯電話端末の録画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
KR1008630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KR20050050182A (ko) 광대역코드분할 다중접근방식 화상 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링백톤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4050A (ko) 아이피 화상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을 위한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38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1064A (ko) 발신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91166B1 (ko) 휴대 전화용 데이터 오브젝트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1194828B1 (ko) VoIP 단말의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86642A (ko) 발신자에 의한 발신 정보의 지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4935218B2 (ja) 呼出手段指定機能を有する呼制御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