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519B1 -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519B1
KR101532519B1 KR1020140152093A KR20140152093A KR101532519B1 KR 101532519 B1 KR101532519 B1 KR 101532519B1 KR 1020140152093 A KR1020140152093 A KR 1020140152093A KR 20140152093 A KR20140152093 A KR 20140152093A KR 101532519 B1 KR101532519 B1 KR 10153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book
electronic book
book content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탁
이인숙
김병기
강준호
김은정
김효정
이승택
Original Assignee
(주)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넷 filed Critical (주)휴넷
Priority to KR102014015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격증 시험을 위한 수험서에 적용되어 법령 개정 등과 같은 이유로 변경되는 부분만을 기존의 전자책 콘텐츠에서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수험서를 재구매하지 않도록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을 결합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과정;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책 구매신호에 따라 ID를 부여하고, 로그인을 요구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과정에서 저장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3 과정;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과정의 전자책 콘텐츠에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 및 사용자 단말기의 로그인에 따라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ELECTRONIC BOOK CONTENTS PROVIDING METHOD HAVING FUNCTION OF UPDATE}
본 발명은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격증 시험을 위한 수험서에 적용되어 법령 개정 등과 같은 이유로 변경되는 부분만을 기존의 전자책 콘텐츠에서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수험서를 재구매하지 않도록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자격증 시험을 위한 수험서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공무원 시험을 위한 수험서, 각종 기업에서의 교육을 위한 교과서, 국어, 영어, 사회, 과학, 수학, 국사 등과 같은 학생들의 교과서, 문제집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전자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책(e-Book; electronic Book)은 텍스트, 사운드,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하나의 서적의 형식으로 결합하여, 종이에 인쇄된 형태의 책이 아닌 디지털 도서의 형태로 가공되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Book 전용단말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적 기기를 통해서 재생 및 열람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책은,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기존에 종이에 인쇄되어 배포되는 인쇄 매체보다 제작, 유통, 재고 관리의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유통의 신속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서적의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해진다는 신속성 및 편의성의 장점이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인터넷 보급 확산 및 스마트폰, PMP, PDA 등 개인용 휴대기기 보급의 활성화에 따라 전자책 제공업자들은 기존의 오프라인(Offline)상의 서점에서 판매하는 책들을 전자책으로 변환하고 온라인(Online)상의 인터넷망 및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구독자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전자책은 온라인상의 잡지, 만화, 소설, 전공문서, 신문, 일간지, 주간지, 월간지, 자격증 및 운전면허 시험을 위한 문제지 등의 분야로 이용 환경이 빠르게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수험 교육은 1세대 교재중심 독학에서 2세대 오프라인 학원교육으로, 3세대 온라인 강의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현재 1,2,3세대의 교육이 공존하고 있는 시장의 형태이다.
현재, 공무원 시험 및 자격증 시험의 응시자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그를 위한 수험서는 아직 종이에 인쇄된 책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격증 시험은 1차와 2차로 구분되며, 1차 합격자가 2차 시험에서 불합격하는 경우에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1차 시험에 응시하여야 한다.
그런데, 자격증 시험의 특성상 법률적인 내용이 포함되는데, 잦은 법령의 개정 등으로 인해 해마다 수험서의 내용이 일부 변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수험생들은 불합격으로 인해 재응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험서를 재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험서를 전자책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전자책이 미들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로딩되어 재생되는 콘텐츠 파일의 형태가 아닌, 실행 파일 형태로 제작 및 배포되어 왔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2-3121호(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2002년 1월 10일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책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미지를 불러들인 후 콘텐츠 제작 서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자책 형태를 설정하고 전자책에 삽입될 이미지를 회원이 가지고 있는 자료실의 이미지로 설정한 후 텍스트문구를 합쳐 실행 파일을 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동적 전자책을 제작, 배포 및 실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행 파일을 생성하여 전자책을 제작하는 방법은, 제작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매 건마다 새로 신규의 전자책을 제작해야 하여, 전자책의 용이 제작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었고, 제작 기간이 3개월 내지 6개월로 장기간이 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연유로 전자책의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험생의 입장에서도 해마다 수험서를 재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2-003121호(2002년 1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을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 교체 결합하여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전자책을 재구매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각 문장, 문단, 단원별 다수의 콘텐츠 파일이 하나의 전자책 콘텐츠로 결합됨으로써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변경부분 콘텐츠 파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 용이하게 교체 결합되도록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변경된 부분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가 포함되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기능이 요청되면 변경 전후의 콘텐츠 파일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등을 저장하는 메모기능과, 저장된 내용을 삭제하는 지우개기능을 구비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을 결합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과정;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책 구매신호에 따라 ID를 부여하고, 로그인을 요구하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과정에서 저장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3 과정;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과정의 전자책 콘텐츠에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 및
사용자 단말기의 로그인에 따라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과정에서 결합되는 콘텐츠 파일은 각 문장, 문단, 단원별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하나의 전자책 콘텐츠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4 과정에서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변경부분 콘텐츠 파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 교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5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변경된 부분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5 과정에서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비교기능이 요청되면 변경 전후의 콘텐츠 파일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5 과정에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메모기능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추후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때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5 과정에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지우개기능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동일한 전자책을 재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에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을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 용이하게 교체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책 제작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 신규로 전자책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전자책의 제작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자책의 제작비용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경부분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고, 비교기능, 메모기능, 지우개기능이 포함되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10), 운영서버(20), 사용자 단말기(30)가 유무선 통신망(40)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영서버(20)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0)가 연결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50)는 콘텐츠 저장부(52)와 사용자메모 저장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관리자 단말기(10)는 전자책을 구성하는 다양한 콘텐츠 파일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콘텐츠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이루어지거나,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자책을 포함한 서적은 다수의 단원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원은 다수의 문단으로 이루어지며, 각 문단은 다시 다수의 문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콘텐츠 파일에는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파일에 포함되는 위치정보를 "2-3-4"로 기록한다면 2번째 단원의 3번째 문단에 4번째 문장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영서버(2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콘텐츠 파일을 하나의 전자책 콘텐츠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0)에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52)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메모 저장부(54)는 사용자가 전자책을 보면서 입력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등을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멀티미디어 또는 워드 파일의 재생 기능을 갖으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PDA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서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고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에서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을 통신망(40)을 통해 입력하면, 상기 운영서버(20)에서는 상기 입력된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을 결합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0)의 콘텐츠 저장부(52)에 저장한다.(S10 단계 참조) 이때, 각 콘텐츠 파일에는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그후, 상기 운영서버(20)에 통신망(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가 접속하여 전자책의 구매를 진행하면, 상기 운영서버(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에 ID를 부여한다.(S15 단계 참조) 이때, ID를 사용자 단말기(30)에 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동일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락하지 않을 수 있으며, ID를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동일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로그인을 허락할 수 도 있다.
또한, 동일한 ID로 동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차단할 것인지는 단순한 선택에 불과하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그 모두를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후, 사용자의 로그인이 이루어지면(S20 단계 참조), 상기 운영서버(2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5 단계 참조)
이때, 본원 발명에서 상기 S20의 로그인 과정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전자책에 따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오픈시킨 경우에는 로그인 과정이 필요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여 상기 운영서버(20)와의 연결없이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단순히 재생기능만 갖도록 하여 반드시 상기 운영서버(20)와 연결된 경우에만 전자책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기(10)에서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이 입력되면(S30 단계 참조), 상기 운영서버(2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0)의 콘텐츠 저장부(52)에 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서 변경부분의 콘텐츠 파일을 교체 결합하여 저장한다.(S35 단계 참조)
상기 입력되는 변경부분 콘텐츠 파일은 단원, 문단, 문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서 해당 부분의 콘텐츠 파일과 용이하게 교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변경전 콘텐츠 파일을 삭제하거나, 지속적으로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하는 경우에 추후 비교기능을 통해 변경 전후의 콘텐츠 파일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의 로그인이 이루어지면(S40 단계 참조), 상기 운영서버(2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로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5 단계 참조)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변경된 부분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부분 표시는 글자체를 달리하거나, 색상을 달리하거나, 크기를 달리하거나, 변경아이콘을 부착하거나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45 단계에서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비교기능이 요청되면 변경 전후의 콘텐츠 파일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50 단계 참조)
또한, 상기 S45 단계에서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메모기능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등이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50)의 사용자메모 저장부(54)에 저장되어(S55 단계 참조), 추후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때 그 내용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전자책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지우개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메모기능에 의해 저장된 메모, 낙서, 줄긋기, 중요도표시 등을 삭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관리자 단말기 20 : 운영서버
30 : 사용자 단말기 40 : 통신망
50 : 데이터베이스 52 : 콘텐츠 저장부
54 : 사용자메모 저장부

Claims (6)

  1. 문장, 문단, 단원별 콘텐츠 파일을 결합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사용자 단말기의 전자책 구매신호에 따라 ID를 부여하고, 로그인을 요구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과정에서 저장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3 과정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변경부분에 대한 콘텐츠 파일이 입력되면, 그 변경된 콘텐츠 파일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1 과정에 의해 기저장된 전자책 콘텐츠에 교체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4 과정과;
    사용자 단말기의 로그인에 따라 변경된 전자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책 콘텐츠를, 변경 전후의 콘텐츠 파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5 과정을 더 행하게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52093A 2014-11-04 2014-11-04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KR10153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93A KR101532519B1 (ko) 2014-11-04 2014-11-04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93A KR101532519B1 (ko) 2014-11-04 2014-11-04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519B1 true KR101532519B1 (ko) 2015-06-30

Family

ID=535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093A KR101532519B1 (ko) 2014-11-04 2014-11-04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90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팬소프트 전자책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책 단말 장치의 콘텐츠 부분 갱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36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KR20060103746A (ko) * 2005-03-28 2006-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의 노트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8394A (ko)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책 단말기,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2503A (ko) * 2012-10-24 2014-05-07 씨에스 주식회사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36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발신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이용한 착신 알림 방법
KR20060103746A (ko) * 2005-03-28 2006-10-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의 노트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8394A (ko)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책 단말기,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2503A (ko) * 2012-10-24 2014-05-07 씨에스 주식회사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90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팬소프트 전자책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책 단말 장치의 콘텐츠 부분 갱신 방법
KR101968970B1 (ko) 2016-04-26 2019-04-15 주식회사 팬소프트 전자책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책 단말 장치의 콘텐츠 부분 갱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øle et al. Assessing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on paper and screen: A mode-effect study
Reyna et al. A framework for digital media literac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Zhang Teaching with Google Classroom
Lee et al. Can an Electronic Textbooks Be Part of K-12 Education?: Challenges, Technological Solutions and Open Issues.
Baldwin et al. Guidelines for designing online courses for mobile devices
Nash et al.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US20140162243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Content
Correos Teachers’ ICT literacy and utiliz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Newhouse et al. Bring your own digital device in teacher education
Payne et al. Using the iBook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ettings-the iBook as a reusable learning object; a report of the author's experience using iBooks Author software
Gonzales et al. Revising a content-management course for a content strategy world
KR20180094637A (ko) 필기노트 및 음성노트 기능을 통한 복습 시스템 및 방법
Nash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Design and Develop Outstanding Moodle Learning Experiences
WO2012078383A2 (en) Evaluation assistant for online discussion
Moro et al. The Triple-S framework: ensuring scalable, sustainable, and serviceable practices in educational technology
Gao et al. Online features of qzone weblog for critical peer feedback to facilitate business english writing
Huthwaite et al. Ebook readers: separating the hype from the reality
Vaughan Practice submissions–are doctoral regulations and policies responding to the needs of creative practice?
Kafura et al. A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accessible to non-stem majors
Hynes et al. Bring your own device?
KR101532519B1 (ko) 업데이트 기능을 갖는 전자책 콘텐츠 제공방법
JP2016126067A (ja) 教習情報管理サーバ、及び教習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4730237A (zh) 一种在高级数字教科书/讲义中连接多层文本和视听参考资料的系统和方法
US20150288771A1 (en) Content delivery systems
Kenna A Practice-led Study of Design Principles for Screen Typography—with reference to the teachings of Emil Ru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