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727B1 -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 Google Patents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727B1
KR100717727B1 KR1020060011352A KR20060011352A KR100717727B1 KR 100717727 B1 KR100717727 B1 KR 100717727B1 KR 1020060011352 A KR1020060011352 A KR 1020060011352A KR 20060011352 A KR20060011352 A KR 20060011352A KR 100717727 B1 KR100717727 B1 KR 10071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inding
bobbin
pie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영
Original Assignee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의 외면(상면 또는 저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을 코어결속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코어결속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서 코어권선부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을 코일지지편과 중간분할편에 결합시켜주도록 하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으로서,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결속공간부에 결합 되는 철심적층코어를 흔들리지 않도록 결속 지지하여 주므로 효율이 떨어지거나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 절연분할판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철심적층코어를 결합시켜 줌으로서 코일부와 철심적층코어와의 절연효과를 향상키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조립 및 생산할 수 있으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철심적층코어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빈몸통. 코어결속지지편. 코어결속공간부. 분할절연판. 에어유통공.

Description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A BOBBIN FOR TRANSFORM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이용하여 트랜스포머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압트랜스포머 2: 코일부 3: 철심적층코어
4: 강판철심 10: 보빈 11: 보빈몸통
12: 중간분할편 13.14: 코일지지편 15-1.15-2: 코일권선부
16: 코어결속지지편 17: 코어결속공간부 18.19: 에어유통공
20: 코어받침편 21: 결속단턱부 22: 절연분할판
23: 결속편 24: 결속돌편 25: 결속홈
본 발명은 입력되는 상용전압을 소정의 고전압으로 변경시켜 출력시켜 주는 고압트랜스포머에서 코일을 감겨주고 적층된 철심코어를 결합시켜 주는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 코일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에 중간분할편이 형성되어 코일권선부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의 외면(상면 또는 저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을 코어결속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코어결속공간부를 형성하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서 코어권선부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을 코일지지편과 중간분할편에 결합시켜 코일부와 철심적층코어를 절연 차단하도록 하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 철심적층코어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랜스포머에서 종래의 보빈은, 보빈몸통의 상하 양단부에 코일지지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사이에 코일권선부가 단독으로 형성되도록 된 것으로, 이와 같이 코일지지편과 코일지지편과의 사이에 단독으로 형성된 코일권선부에 1차측코일과 2차특코일을 동시에 권선시키되 이들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과의 사이에 절연지를 끼워 이를 경계로 하여 겹치면서 권선하였다.
그러나 이는 코일지지편과 코일지지편과의 사이에 단독으로 형성된 코일권선 부에 권선되는 1차측코일과 2차측코일이 절연지에 의해 근접된 상태에서 이격 되어 있으므로, 고전압을 사용하게 되면 절연성이 떨어지고 감전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제20-1977-7469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제20-1978-1795호,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21072호,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3974호의 트랜스포머용 보빈 등이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제20-1977-7469호의 트랜스용 보빈은,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1차측보빈에 1차측코일을 감아주고, 1차측보빈의 외측에 분할된 2차측보빈을 결합하여 2차측코일을 감아주며, 2차측보빈의 외측에서 철심코어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보빈을 1차측보빈과 2차측보빈으로 분할 형성하되, 2차측보빈은 좌측편과 우측편으로 재차 분할하여 형성하여야 하므로 보빈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2차측보빈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철심코어를 지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심코어가 흔들리고 철심코어들이 밀접하게 접속되지 못하고 공극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세하게 떨리는 바이브레이션 현상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고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제20-1978-1795호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21072호의 트랜스용 보빈(트랜스 보빈)은, 상단과 하단에 익편(플랜지;단자핀부)이 형성된 보빈몸통의 중간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격벽을 형성하여, 그 양측으로 형성된 권선부에 1차코일과 2차코일을 각각 권선시키고, 보빈의 외측에서 철심코어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을 중간격벽에 의해 분할된 권선부에 각각 권선시키므로 이들 1차코일과 2차코일 간에는 다소의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1차코일 및 2차코일과 철심코어와의 사이를 단순히 절연지에 의해 절연시키므로 절연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철심코어를 지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심코어가 흔들리고 철심코어들이 밀접하게 접속되지 못하고 공극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세하게 떨리는 바이브레이션 현상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고 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3974호의 보빈몸체의 외면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 측면에는 터미널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보빈몸체의 외면 중간에 중간격벽을 형성하여, 그 중간벽벽에 의해 분할된 각 권선부에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을 각각 권선시키고, 상하측에 위치하는 터미널핀부에는 PCB판을 장착하며, 보빈의 외측에서 철심코어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분할된 권선부에 권선된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중간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므로 이들 1차코일과 2차코일 간에는 다소의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1차코일 및 2차코일과 철심코어와의 사이를 단순히 절연지에 의해 절연시키므로 절연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철심코어를 지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철심코어가 흔들리고 철심코어들이 밀접하게 접속되지 못하고 공극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세하게 떨리는 바이브레이션 현상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고 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 코일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에 중간분할편이 형성되어 코일권선부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의 외면(상면 또는 저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을 코어결속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코어결속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서 코어권선부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을 결합시켜주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에 의해 결합 되는 철심적층코어를 결속 및 지지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철심코어 간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바이브레이션 현상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거나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서 코어권선부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을 결합시키고 코일권선부에 권선된 코일부와 외측에서 철심적층코어를 결합시켜 줌으 로서 절연효과를 향상키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조립 및 생산할 수 있도록 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철심적층코어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11-1)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11)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 코일지지편(13)(14)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간에 중간분할편(12)이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복수 개의 코일권선부(15-1)(15-2)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보빈몸통(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코일지지편(13)(14)의 외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16)을 코어결속공(1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형성하여 보빈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코어결속공간부(17)가 형성되도록 한 것과;
코어권선부(15-1)(15-2)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22)을 코어결속지지편(16)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결속공간부(16)와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켜주도록 한 것과:
보빈몸통(11)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16)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19)(19-1)을 형성한 것과;
보빈몸통(11)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16)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19)(19-1)을 형성한 것;특징으로 하는 보빈(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을 이용하여 고압트랜스포머(1)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11-1)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11)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는 코일지지편(13)(14)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그 중간에 중간분할편(12)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 코일지지편(13)(14)과 중간분할편(12)과의 사이에 복수 개(2개)의 코일권선부(15-1)(15-2)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보빈몸통(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코일지지편(13)(14)의 외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16)을 나란하게 형성하되, 코어결속공(1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형성하여 보빈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코어결속공간부(17)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각 코어결속지지편(16)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돌편(18-1)(18-2)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코어결속지지편(16)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보빈몸통(11)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16)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19)(19-1)을 형성하여 철심적층코어(3)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코어권선부(15-1)(15-2)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22)을 코어결속지지편(16)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결속공간부(16)와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켜 주도록 하였다.
코어권선부(15-1)(15-2)의 외측에 절연분할판(22)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코어결속지지편(16)사이에서 코일지지편(13)(14)에 의해 형성되는 각 코어받침판(20)의 상면 단부에는 결속단턱부(21)를 형성하였고, 절연분할판(22)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결속편(2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결속단턱부(2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결속단턱부(21)에 결합되는 결속편(23)의 상면이 코어받침판(20)와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상하 결속편(23)의 중간에는 한 쌍의 결속돌편(24)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그 중간에 결속홈(25)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결속홈(25)에 중간분할편(1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10)의 각 코일권선부(15-1)(15-2)에는 코일을 감아주어서 통상의 코일부(2)를 형성한다,
보빈(10)의 각 코일권선부(15-1)(15-2)에 코일부(2)를 형성한 상태에서 코어결속공간부(17)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는 절연분할판(22)을 결합시켜 주는데, 절연분할판(22)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결속편(23)을 코어받침판(20)의 결속단턱부(21)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결속돌편(24)의 사이에 형성된 결속홈(25)에 중간분할편(12)의 외측 단부를 결합시켜 줌으로서 결합을 완료하게 되며, 결속편(23)은 절연분할판(22)은 수평(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어결속공간부(17)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양 측면에 절연분할판(22)을 결합시켜 준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코어결속공간부(17)에는 강판철십(4)이 적층시킨 철심적층코어(3)를 결합시켜 준다.
대체로 규소강판으로 성형 되는 강판철심(4)을 적층시킨 철심적층코어(3)는 일치되는 결속공(8)에 통상의 볼트봉(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끼우고 너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서 공극 없이 일체형으로 척층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층 결합된 철심적층코어(3)는, 중앙편(5)을 보빈몸통(11)의 코어결속공(11-1)에 삽입시키고, 중앙편(5)과 외측편(6)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7)에는 코어받침판(20)과 절연분할판(22)이 삽입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빈몸통(11)의 코일권선부(15-1)(15-2)에 코일부(2)를 형성하고, 분할절연판(22)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철심적층코어(3)를 코어결속공(11-1)과 코어결속공간부(17)에 철심척층코어(3)를 결합시키게 되면, 코일부(2)와 철심척층코어(3)의 적층된 외측편(6)은 절연분할판(22)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 형성된 고압트랜스포머(1)는, 코일부(2)와 철심척층코어(3)를 절연분할판(22)에 의해 차폐시키므로 절연효과를 향상시키고 감전 및 화재의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외기가 에어유통공(19)(19-1)을 통하여 코어결속공(11-1)과 철심척층코어(3)의 중앙편(5)과의 사이로 유통되면서 냉각시키므로 철심척층코어(3)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보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은,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 코일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간에 중간분할편이 형성되어 코일권선부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보빈몸통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의 외면(상면 또는 저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을 코어결속공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코어결속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서 코어권선부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을 코일지지편과 중간분할편에 결합시켜주도록 하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 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결속공간부에 결합 되는 철심적층코어를 흔들리지 않도록 결속 및 지지하여 주므로 효율이 떨어지거나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코어결속지지편 사이의 양측에 절연분할판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철심적층코어를 결합시켜 줌으로서 코일부와 철심적층코어와의 절연효과를 향상키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조립 및 생산할 수 있으며, 보빈몸통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철심적층코어의 공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의 공간부가 코어결속공(11-1)으로 사용되는 보빈몸통(11)의 외면 상단과 하단에 코일지지편(13)(14)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간에 중간분할편(12)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코일권선부(15-1)(15-2)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보빈몸통(1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각 코일지지편(13)(14)의 외면에는 한 쌍씩의 코어결속지지편(16)을 코어결속공(1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형성하여 보빈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코어결속공간부(17)가 형성되도록 한 것과;
    코어권선부(15-1)(15-2)의 외측에는 별도로 성형된 절연분할판(22)을 코어결속지지편(16)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결속공간부(16)와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켜주도록 한 것과:
    보빈몸통(11)의 일측 내면과 그 상하 측에 형성되는 코어결속지지편(16)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공(19)(19-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코어권선부(15-1)(15-2)의 외측에 절연분할판(22)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은;
    코어결속지지편(16)사이에서 코일지지편(13)(14)에 의해 형성되는 각 코어받침판(20)의 상면 단부에는 결속단턱부(21)를 형성한 것과;
    절연분할판(22)의 일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결속편(2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결속단턱부(2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하 결속편(23)의 중간에는 한 쌍의 결속돌편(24)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그 중간에 결속홈(25)이 형성되도록 하고, 결속홈(25)에 중간분할편(1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속단턱부(21)에 결합되는 결속편(23)은;
    결속편(23)의 상면이 코어받침판(20)와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20060011352A 2006-02-06 2006-02-06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KR10071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52A KR100717727B1 (ko) 2006-02-06 2006-02-06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52A KR100717727B1 (ko) 2006-02-06 2006-02-06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727B1 true KR100717727B1 (ko) 2007-05-11

Family

ID=3827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52A KR100717727B1 (ko) 2006-02-06 2006-02-06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7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03B1 (ko)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15B1 (ko) * 2010-12-20 2012-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8643459B2 (en) 2010-12-20 2014-02-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938729A (zh) * 2023-01-02 2023-04-07 江苏晨朗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抗电磁干扰用共模差模一体式扁平线圈滤波电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339A (ja) * 1993-09-22 1995-04-07 Murata Mfg Co Ltd 電源トランス
JPH07106148A (ja) * 1993-09-30 1995-04-21 Taiyo Yuden Co Ltd 面実装型コイル
JP2002134334A (ja) 2000-10-30 2002-05-10 Tamura Seisakusho Co Ltd 大型トランス用ボビ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339A (ja) * 1993-09-22 1995-04-07 Murata Mfg Co Ltd 電源トランス
JPH07106148A (ja) * 1993-09-30 1995-04-21 Taiyo Yuden Co Ltd 面実装型コイル
JP2002134334A (ja) 2000-10-30 2002-05-10 Tamura Seisakusho Co Ltd 大型トランス用ボビン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515B1 (ko) * 2010-12-20 2012-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8643459B2 (en) 2010-12-20 2014-02-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96863B2 (en) 2010-12-20 2016-07-19 Solum Co., Ltd. Transformer
KR101124003B1 (ko) 2011-12-19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15938729A (zh) * 2023-01-02 2023-04-07 江苏晨朗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抗电磁干扰用共模差模一体式扁平线圈滤波电感
CN115938729B (zh) * 2023-01-02 2023-10-13 江苏晨朗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抗电磁干扰用共模差模一体式扁平线圈滤波电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427B2 (en) Transformer
KR101853795B1 (ko) 저손실 경량화 변압기 및 이의 제조방법
TWI445024B (zh) 非對稱式扁平變壓器
TWI493579B (zh) 具多氣隙之磁性組件
JP6318874B2 (ja) リアクトル
KR100717727B1 (ko) 고압트랜스포머용 보빈
TWI581280B (zh) Improved Structure of Resonant High Current Density Transformer
JP2008021948A (ja) リアクトル用コア
TW200522095A (en) Transformer structure
JP5842282B2 (ja) コイル部品
US20160133380A1 (en) Compact Twin-Shaft Bobbin Structure
JPH07283037A (ja) トランス
CN106449046A (zh) 一种磁性元件
KR101853794B1 (ko) 고효율 콤팩트형 변압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024009A1 (fr) Structure de réacteur à doubles parties actives
CN113439315A (zh) 变压器
US8854172B2 (en) Inductor and transformer
CN105374521B (zh) 一种ei型变压器
Afsharian et al. A modular stacked transformer structure for LLC resonant converters and analysis of current sharing behavior in parallel PCB windings
KR20200049235A (ko) 다권선 고압 절연 변압기
CN217719247U (zh) 一种三相电感磁芯以及三相电感
KR101511681B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보빈 케이스
KR20200078727A (ko) 코어,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리액터 및 그 제조 방법
JP3070803B2 (ja) 分解輸送変圧器の組立て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27633B1 (ko) 전력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