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363B1 -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363B1
KR100717363B1 KR1020060081104A KR20060081104A KR100717363B1 KR 100717363 B1 KR100717363 B1 KR 100717363B1 KR 1020060081104 A KR1020060081104 A KR 1020060081104A KR 20060081104 A KR20060081104 A KR 20060081104A KR 100717363 B1 KR100717363 B1 KR 10071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eans
weight sensing
toilet
loa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용변구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좌대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전방 바닥에 매설되며 하중을 감지하는 제1중량감지수단; 상기 좌변기 및 제1중량감지수단과 일렬로 매설되며, 상기 좌변기로부터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과의 거리보다 멀게 배치되는 제2중량감지수단;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 또는 제2중량감지수단에 편중되어도 남은 다른 제2중량감지수단 또는 제1감지중량수단에 그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을 일체로 덮는 덮개판;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의 좌대 및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제3중량감지수단;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 및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에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의 하중감지여부로 좌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대의 위치가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과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대소를 비교하여 이에 따라 지정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타이머가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면서 상기 지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에 변화가 생기면 그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변화없이 상기 지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알림수단을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지정시간은 상기 알림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이 상기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보다 클 경우 상기 지정시간은 상대적 으로 길게 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Night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좌변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작동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좌변기 11 ; 좌대
13 ; 제어수단 14 ; 제1중량감지수단
15 ; 제2중량감지수단 16 ; 제3중량감지수단
17 ; 타이머 18 ; 알람수단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사람의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기구로, 근래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기는 용도와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이루는데, 이들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좌변기이다.
이러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안락한 착 석감을 제공하기 위해 좌대가 설치된다. 상기 좌대는 용변구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필요에 따라 내리거나 올릴 수 있다.
한편, 용변을 보는 자세에서 남성과 여성에 차이가 있다. 좀 더 상세히 하면, 남성과 여성은 소변을 보는 자세에서 차이가 지는데, 일반적으로 남성은 좌변기 앞에 선 자세로, 여성은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본다.
따라서, 상기 좌대는 앉아서 용변을 보는 여성과 접촉하므로 청결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몇몇 남성들의 경우, 상기 좌대가 용변구의 둘레에 걸쳐진 상태로 내려가 있어도 이를 올리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용변을 보는 사례가 잦고, 그 결과 소변이 좌대에 튀어 묻으면서 그대로 건조되는 경우가 많아 동일한 좌변기를 사용하는 여성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위생에도 좋지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남성이 좌대가 내려가 있을 경우 이를 올려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경고함으로서 좌대의 청결하고 깔끔한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변구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좌대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전방 바닥에 매설되며 하중을 감지하는 제1중량감지수단;
상기 좌변기 및 제1중량감지수단과 일렬로 매설되며, 상기 좌변기로부터 상 기 제1중량감지수단과의 거리보다 멀게 배치되는 제2중량감지수단;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 또는 제2중량감지수단에 편중되어도 남은 다른 제2중량감지수단 또는 제1감지중량수단에 그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을 일체로 덮는 덮개판;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의 좌대 및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제3중량감지수단;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 및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에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의 하중감지여부로 좌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대의 위치가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과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대소를 비교하여 이에 따라 지정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타이머가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면서 상기 지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에 변화가 생기면 그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변화없이 상기 지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알림수단을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지정시간은 상기 알림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이 상기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보다 클 경우 상기 지정시간은 상대적으로 길게 되는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좌변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는 기본적인 구성과 형상에 있어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변기(10)의 용변구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좌대(11)를 포함한다. 사용자(20)는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10) 앞에 서는데, 사용자(20)가 위치하는 바닥에는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매설되어서, 사용자(20)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은 각각 좌변기(10)의 전방에서 전후로 배치된다. 이는 사용자(20)가 서 있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다음과 같은 원리가 본 발명에 적용된다.
우선, 사용자(20)인 사람은 발바닥을 바닥에 밀착시킴으로서, 발과 다리로 몸을 지탱한다. 그런데, 다리와 발을 연결하는 발목은 발의 뒤쪽으로 편중되어 체중의 대부분이 발바닥의 뒤쪽에 집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에서 두 개의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사용자(20)의 발바닥 전후면과 각각 밀착되어 개별적으로 그 하중을 감지하고,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20)가 현재 서 있는 상태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작동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는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과, 좌대(11)가 받는 하중을 감지하는 제3중량감지수단(16)과,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 및 제3중량감지수단(16)이 받는 하중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7)와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 제3중량감지수단(16) 및 타이머(17)를 총괄 제어하는 제어수단(13)과, 상기 제어수단(13)의 제어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변기(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의 작동과정과 더불어 기술한다.
S10 ; 제1,2중량감지수단의 하중감지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은 좌변기(10)의 전방에 매설되어 좌변기(10) 앞에 서는 사용자(20)의 하중을 감지한다. 이때,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받는 하중의 차를 확인하는데, 좌변기(10)와 인접한 제1중량감지수단(14)이 감지한 하중보다 좌변기(10)로부터 먼 제2중량감지수단(14)이 감지한 하중이 클 경우, 상기 제어수단(13)은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향해 선 것으로 판단하고, 그 반대로 상기 제2중량감지수단(15)보다 제1중량감지수단(14)이 감지한 하중이 클 경우, 상기 제어수단(13)은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등지고 선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은 좌변기(10)의 전방 일지점에 부동하게 고정되므로, 사용자(20)가 제1,2중량감지수단(14, 15) 상에 정확히 위치하면 서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을 밟지 않는다면 제1중량감지수단(14) 또는 제2중량감지수단(15) 하나만 밟아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는 사용자(20)가 서있는 방향을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통해 이를 보완한다.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 상에 이를 덮는 하나의 덮개판(19)을 배치하되, 상기 덮개판(19)은 별도의 고정없이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에 얹혀져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20)가 상기 덮개판(19) 상에 한쪽으로 편중되게 서더라도, 덮개판(19)이 가하는 압력이 덮개판(19)의 다른 한쪽으로 전달되면서 제1,2중량감지수단(14, 15) 모두가 압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결국, 사용자(20)가 제1,2중량감지수단(14, 15)과 접하는 덮개판(19)의 모든 부분을 밟으면, 상기 덮개판(19)이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에 모두 압력을 가하되 상기 덮개판(19)이 사용자(20)의 체중이 집중되는 발바닥의 뒤쪽과 접하는 쪽으로 더욱 기울어지면서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받는 압력의 크기를 달리하게 되고, 사용자(20)가 제1중량감지수단(14) 또는 제2중량감지수단(15) 중 한 곳 부분의 덮개판(19) 상면을 밟더라도, 사용자(20)의 체중이 일체로 된 덮개판(19)을 통해 전달되어 다른 한 곳 부분도 직접 힘을 받지 않는 남은 제2중량감지수단(15) 또는 제1중량감지수단(14)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3)은 사용자(20)의 위치에 큰 의존없이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측정한 하중의 차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11 ; 하중의 크기감지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13)은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측정한 각각의 하중을 확인한다.
여기서, 좌변기(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제2중량감지수단(15)의 측정 하중이 더 클 경우, 상기 제어수단(13)은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향해 서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중량감지수단(14)의 측정 하중이 더 클 경우, 상기 제어수단(13)은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등지고 서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중량감지수단(15)이 받는 하중이 더 클 경우, S12단계로 과정이 진행되고, 제1중량감지수단(14)이 받는 하중이 더 클 경우, S21단계로 과정이 진행된다.
S12, S21 ; 좌대의 위치확인단계
상기 하중의 크기감지단계(S11)를 통해 제어수단(13)이 사용자(20)가 서 있는 방향을 확인하여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향해 서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3중량감지수단(16)을 통해 좌대(11)의 위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좌대(11)가 용변구 상에 안착되어 누운 상태라면, 상기 용변구에 위치한 제3중량감지수단(16)이 하중을 받게 되고, 상기 제어수단(13)은 제3중량감지수단(1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현재 좌대(11)가 용변구 상에 안착되어 누운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
반면, 상기 좌대(11)가 상술한 바와 같이 누운 상태가 아니고 올려진 상태라 면 제3중량감지수단(16)은 좌대(11)의 하중을 감지할 수 없고, 결국 제어수단(13) 또한 제3중량감지수단(16)으로부터 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어, 좌대(11)가 올려진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좌대(11)가 올려진 상태로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10)의 구동이유가 소멸한 것이므로, 대기 단계(S16)의 절차를 진행한다.
S13, S22 ; 타이머 작동단계
상기 좌대의 위치확인단계(S12)를 통해 좌대(11)가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로 확인되면 타이머(17)가 작동하여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에 가해지는 하중의 지속 시간을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남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10) 앞에 서면 용변을 보기 위한 얼마간의 준비작업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일정시간 동안 하중을 받으면 상기 제어수단(13)은 남자가 소변을 보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를 위해 그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17)가 작동한다.
그런데, 타이머(17)의 측정시간과 비교되는 기준값은 S13과 S22가 서로 다르다.
이는, S13은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향해 서 있는 상태이고, S22는 사용자(20)가 좌변기(10)를 등지고 서 있는 상태로, 전자는 소변을, 후자는 대변을 보기 위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20)인 남성이 좌변기(10)를 이용할 때는 소변 아니면 대변을 보기 위한 것으로, 소변일 경우 간 단한 작업만으로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타이머(17)의 측정시간과 비교되는 기준값은 상대적으로 짧아야 하고, 대변일 경우 소변을 볼 때보다는 보다 긴 시간이 요구되므로 타이머(17)의 측정시간이 비교되는 기준값은 상대적으로 길어야 하는 것이다.
S14, S23 ; 지정시간 내 제3중량감지수단의 하중감지단계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타이머(17)의 측정시간을 기준값인 지정시간과 비교하면서 상기 지정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제3중량감지수단(16)이 감지하는 하중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16)이 감지하는 하중이 작아지거나 커질 경우, 전자의 경우는 좌대(11)가 올라간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대변을 보거나 여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좌대(11)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3)은 더 이상의 진행을 중지하고 대기단계(S16)가 된다.
S15, S24 ; 안내멘트 출력단계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14, 15)이 받는 하중이 상기 지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어수단(13)은 알람수단(18)을 작동시켜 경고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경고음은 일반적인 단음 또는 설명을 하는 멘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좌변기의 좌대를 사용함에 있어 남성의 부주의로 좌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좌대를 항시 청결하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용변구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좌대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전방 바닥에 매설되며 하중을 감지하는 제1중량감지수단;
    상기 좌변기 및 제1중량감지수단과 일렬로 매설되며, 상기 좌변기로부터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과의 거리보다 멀게 배치되는 제2중량감지수단;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 또는 제2중량감지수단에 편중되어도 남은 다른 제2중량감지수단 또는 제1감지중량수단에 그 하중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을 일체로 덮는 덮개판;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의 좌대 및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감지하는 제3중량감지수단;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수단; 및
    상기 제1,2중량감지수단에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의 하중감지여부로 좌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대의 위치가 상기 용변구 상에 누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과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대소를 비교하여 이에 따라 지정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타이머가 상기 지속시간을 측정하면서 상기 지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에 변화가 생기면 그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3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의 변화없이 상기 지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알림수단을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지 정시간은 상기 알림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상기 제1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이 상기 제2중량감지수단이 받는 하중보다 클 경우 상기 지정시간은 상대적으로 길게 되는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KR1020060081104A 2006-08-25 2006-08-25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KR10071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04A KR100717363B1 (ko) 2006-08-25 2006-08-25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04A KR100717363B1 (ko) 2006-08-25 2006-08-25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363B1 true KR100717363B1 (ko) 2007-05-11

Family

ID=3827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04A KR100717363B1 (ko) 2006-08-25 2006-08-25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1773A (zh) * 2014-09-01 2016-03-02 屯留县五里庄绿源方舟蔬菜种植专业合作社 一种厕所盖板
EP3238587A1 (en) * 2016-04-29 2017-11-01 Xiamen Moext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toilet capable of automatically rising cover and seat by recognizing human body feature
KR20240056406A (ko) 2022-10-21 2024-04-30 박규호 좌변기의 사용시간 경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412A (ja) * 1989-10-20 1991-06-06 Fujita Corp 洋式便器の便蓋及び便座の開閉装置
KR200253796Y1 (ko) 2001-08-10 2001-11-22 유영식 변좌 자동올림장치
JP2003265365A (ja) 2002-03-14 2003-09-24 Toto Ltd 暖房便座装置
JP2006115985A (ja)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412A (ja) * 1989-10-20 1991-06-06 Fujita Corp 洋式便器の便蓋及び便座の開閉装置
KR200253796Y1 (ko) 2001-08-10 2001-11-22 유영식 변좌 자동올림장치
JP2003265365A (ja) 2002-03-14 2003-09-24 Toto Ltd 暖房便座装置
JP2006115985A (ja)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1773A (zh) * 2014-09-01 2016-03-02 屯留县五里庄绿源方舟蔬菜种植专业合作社 一种厕所盖板
EP3238587A1 (en) * 2016-04-29 2017-11-01 Xiamen Moext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toilet capable of automatically rising cover and seat by recognizing human body feature
KR20240056406A (ko) 2022-10-21 2024-04-30 박규호 좌변기의 사용시간 경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984B2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vable foot support
EP1898763B1 (en)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torized foot support
CN203924288U (zh) 一种蹲坐两用马桶
US20110047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Toilet Seat
US20100064443A1 (en) Structure of automatic pressure adjustable air bed
KR100717363B1 (ko) 건축물의 화장실용 좌변기
TWI294475B (ko)
KR101906904B1 (ko) 적응형 자동식 변기
KR102339376B1 (ko) 소변기용 자동 위생 발판
KR101545861B1 (ko) 양변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
TWI434679B (zh) 依據使用者相對位置回復乘坐狀態之輔助起身裝置及方法
JP2765106B2 (ja) 便器ユニット
KR20120007632A (ko) 압력센서 좌변기
JP3148582U (ja) 小便器
JP3105954U (ja) 大小兼用尿飛散防止腰掛式便器
KR20110109332A (ko)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커버 안전장치가 구비된 비데
GB2348214A (en) Lifting/lowering device for a toilet seat
JP3123972U (ja)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JP2007330533A (ja) 便器用腰掛台及び部屋
KR20120002072U (ko) 다용도 침대
KR20110111152A (ko) 여성과 장애인을 위한 변기용 커버 안전 장치
JPH11206622A (ja) 便座および便座装置
CN207244764U (zh) 一种蹲坐两用水冲便器
KR101208824B1 (ko) 소변기
JPH08280582A (ja) 体重測定装置付き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