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072U - 다용도 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072U
KR20120002072U KR2020100009576U KR20100009576U KR20120002072U KR 20120002072 U KR20120002072 U KR 20120002072U KR 2020100009576 U KR2020100009576 U KR 2020100009576U KR 20100009576 U KR20100009576 U KR 20100009576U KR 20120002072 U KR20120002072 U KR 20120002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body frame
main body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석
Original Assignee
유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석 filed Critical 유재석
Priority to KR2020100009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07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의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이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보호대와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일측과 양측이 맞닿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등 받침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등 받침대와 상기 등 받침대의 하부에는 위생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고 변기가 저면에 고정형성되는 위생부와 상기 위생부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 받침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리 받침대와 상기 다리 받침대의 하부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끝단에 맞춰지는 발 받침대와 다용도 침대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작하도록 이격, 형성된 리모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편한 작동으로 인하여 침대를 변기 등의 다른 수단으로 변환을 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생활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침대 {Multi-function Bed}
본 고안은 침대를 의자와 변기로 변경이 가능하고 취향에 따라 안마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침대에 관한 것으로, 침대와 의자 또는 변기로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리모콘 등의 조작으로 의자로 용이하게 변환되고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이용하기 편리한 다용도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령화로 인한 전체적인 노년층의 증가로 거동이 어려운 노인전문병원 등의 고령의 노인환자들이나 치명적인 사고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있어서 침대나 의자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등 받침대의 회동 등으로 인하여 의자로 변환되고 고정된 위치의 변기를 가지게 함으로서 그 사용에 있어 불편한 점이 있고, 의자로의 변환으로 된 후에는 팔걸이가 없는 구조로 인하여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 왔었다.
이에 관한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4-0027668호에서는 침대의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의자로 변환시키고 권취 구조로 인하여 변기가 승강하는 구조를 갖지는 '의자와 변기로 변환이 가능한 침대'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전체적으로 상부 변환체와 하부 변환체를 이용한 링크구조로서 설치와 작동에 있어서 복잡성이 있고, 임의로 경사가 지도록 하는 구조로서 사용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불편할 수도 있는 단점이 상존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같은 발명이 가지는 단점을 해소하고, 리모콘 등의 외부 수단으로 인한 간편한 조작으로 일반적인 침대에서 자동으로 의자, 변기 등으로 변환 가능한 다용도 침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의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이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보호대와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일측과 양측이 맞닿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등 받침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등 받침대와 상기 등 받침대의 하부에는 위생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고 변기가 저면에 고정형성되는 위생부와 상기 위생부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 받침대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리 받침대와 상기 다리 받침대의 하부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끝단에 맞춰지는 발 받침대와 다용도 침대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작하도록 이격, 형성된 리모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 받침대 프레임의 저면에는 절첩되어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작동간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 받침대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등 받침대의 저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작동간과 연통하여 절첩되어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작동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 받침대는 일정한 부위에서 상향 절곡되어 둔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생부에는 용변을 보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작동간과 제2 작동간에 의해 등 받침대가 세워지고 다리받침대가 하향 절곡되어 일정한 자세를 갖추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위생부의 개구부가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리모콘 등의 수단으로 인한 간편한 작동으로 자연스러운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 등이 가능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침대와 의자 또는 변기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침대로의 사용에 의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침대로 사용될 경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기사용에 의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미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의 자세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침대로의 사용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침대로 사용될 경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변기사용에 의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사각의 본체 프레임(2);
상기 본체 프레임(2)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3)이 마련된 수직부(4);
상기 본체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된 보호대(8);
상기 본체 프레임(2) 내에 일측과 양측이 맞닿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등 받침대 프레임(5)에 의하여 지지되는 등 받침대(10);
상기 등 받침대(10)의 하부에는 위생부 프레임(6)에 의하여 지지되고 변기(25)가 저면에 고정형성되는 위생부(20);
상기 위생부(20)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 받침대 프레임(7)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리 받침대(30);
상기 다리 받침대(30)의 하부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2)의 끝단에 맞춰지는 발 받침대(40);
다용도 침대(1)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작하도록 하는 이격, 형성된 리모콘(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 받침대 프레임(5)의 저면에는 절첩되어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작동간(60)이 상기 수직부(4)와 연결, 형성된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리모콘(50)의 구동으로 상기 제1 작동간(60)의 신장(伸張)이나 수축(收縮)으로 인한 작용으로 상기 등 받침대(10)가 올라가거나 원상태로 복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리 받침대 프레임(7)의 저면에는 상기 등 받침대 프레임(5)의 저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작동간(60)과 연통하여 절첩되어 또한, 신장이나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작동간(70)이 형성된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평소에는 수축이 되어 있어서 상기 다리 받침대(30)를 가로로 하게 되나 의자로의 변환을 시키도록 하는 리모콘(50)의 작동으로 상기 다리 받침대(3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 받침대(10)는 일정한 부위에서 상향 절곡되어 둔각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락한 상태를 갖게 하는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생부(20)에는 용변을 보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22)는 침대로 사용할 동안에는 닫혀있게 된다.
또한, 제1 작동간(60)과 제2 작동간(70)에 의해 등 받침대(10)가 세워지고 다리 받침대(30)가 하향 절곡되어 일정한 자세를 갖추도록 하여 편안한 의자 구실을 하도록 하고, 용변을 보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등 받침대(10)와 다리 받침대(30)가 작동하고 위생부(20)의 개구부(22)가 열리게 되어 용변을 볼 준비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는 다용도 침대(1)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등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침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침대로의 사용을 들 수가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등 받침대(10)와 위생부(20), 다리받침대(30), 발 받침대(40)가 모두 일자(一字)로 이어져서 평소에는 일반 사용자가 침대(1)에서 누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침대와 동일한 것인데, 이것은 제1 작동간(60)과 제2 작동간(70)은 등 받침대(10)와 다리 받침대(30)의 저면에 형성된 채, 그대로 있는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침대(1)를 의자나 변기로 변환하도록 하고 싶으면 리모콘(50)의 조작으로 변환을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가 되었듯이, 리모콘(50)을 조작시키면 상기 등 받침대(10)를 지지하는 등 받침대 프레임(5)을 지지하는 제1 작동간(60)이 신장하여 사용자의 등을 세워 일으키게 된다.
또한, 다리 받침대(30)를 지지하는 다리 받침대 프레임(7)을 지지하는 제2 작동간(70)의 수축으로 상기 다리 받침대(30)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이용자의 다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앉은 자세가 나오도록 자연스레 일으켜 세워지는 것이다.
상기 리모콘(50)을 조작시켜서 상기 제1 작동간(60)과 제2 작동간(70)을 작동시키는 기술에 대하여는 이미 공지가 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손쉽게 의자로서의 변환도 가능한 것이므로 환자에게 누군가가 찾아왔다든지 할 경우에 편안한 자세에서의 대화도 가능하게 하고, 식사 등의 일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환자가 용변을 경우에 있어서는 역시 리모콘(50)의 작동으로 위생부(20)에 형성된 개구부(22)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22)는 변기(25)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변기(25)는 통상의 수세식 변기로서 도면에는 도시가 되지 않았지만 외부로 이어져 있게 되어 용변을 처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변기(25)를 사용할 때 이용자들의 편익을 위하여 비데 장치 등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용변을 다 보고나면 역시 리모콘(50)의 작동으로 개구부(22)를 닫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가 침대로의 복귀를 하고 싶으면 리모콘(50)의 조작으로 상기 등 받침대 프레임(5)에 형성된 제1 작동간(60)의 수축으로 인하여 다시 원위치로 되어 사용자가 눕혀지게 되고, 다리 받침대 프레임(7)에 형성된 제2 작동간(70)의 동작으로 상기 다리 받침대(30)는 원위치로 복귀가 되어 다시 일자(一字)로 구성이 되어, 도 3과 도 5에서처럼 원래 형태의 침대로의 복귀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리모콘(5)의 작동으로 인한 제1 작동간(60)과 제2 작동간(70)의 신장과 수축에 대한 기능의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등 받침대(10)의 저면 부위에 안마시설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 동시에 안마도 할 수도 있게 하는 기능도 추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가 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설명이 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다.
1 : 다용도 침대 2 : 본체 프레임
3 : 이동수단 4 : 수직부
5 : 등 받침대 프레임 6 : 위생부 프레임
7 : 다리 받침대 프레임 8 : 보호대
10 : 등 받침대 20 : 위생부
22: 개구부 25 : 변기
30 : 다리 받침대 40 : 발 받침대
50 : 리모콘 60 : 제1 작동간
70 : 제2 작동간

Claims (6)

  1. 사각의 본체 프레임(2);
    상기 본체 프레임(2)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이동수단(3)이 마련된 수직부(4);
    상기 본체 프레임(2)의 양측에 형성된 보호대(8);
    상기 본체 프레임(2) 내에 일측과 양측이 맞닿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등 받침대 프레임(5)에 의하여 지지되는 등 받침대(10);
    상기 등 받침대(10)의 하부에는 위생부 프레임(6)에 의하여 지지되고 변기(25)가 저면에 고정형성되는 위생부(20);
    상기 위생부(20)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 받침대 프레임(7)에 의하여 지지되는 다리 받침대(30);
    상기 다리 받침대(30)의 하부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2)의 끝단에 맞춰지는 발 받침대(40);
    다용도 침대(1)의 전체적인 작동을 조작하도록 이격, 형성된 리모콘(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대 프레임(5)의 저면에는 절첩되어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작동간(60)이 상기 수직부(4)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받침대 프레임(7)의 저면에는 상기 등 받침대(1)의 저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작동간(60)과 연통하여 절첩되어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작동간(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대(10)는 일정한 부위에서 상향 절곡되어 둔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부(20)에는 용변을 보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작동간(60)과 제2 작동간(70)에 의해 등 받침대(10)가 세워지고 다리받침대(30)가 하향 절곡되어 일정한 자세를 갖추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상기 위생부(20)의 개구부(22)가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KR2020100009576U 2010-09-11 2010-09-11 다용도 침대 KR201200020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576U KR20120002072U (ko) 2010-09-11 2010-09-11 다용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576U KR20120002072U (ko) 2010-09-11 2010-09-11 다용도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72U true KR20120002072U (ko) 2012-03-21

Family

ID=4617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576U KR20120002072U (ko) 2010-09-11 2010-09-11 다용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0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924A (zh) * 2016-10-27 2017-01-04 张红英 一种多功能医用护理辅助装置
CN106264925A (zh) * 2016-10-29 2017-01-04 孙丽君 一种护理病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924A (zh) * 2016-10-27 2017-01-04 张红英 一种多功能医用护理辅助装置
CN106264925A (zh) * 2016-10-29 2017-01-04 孙丽君 一种护理病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7713A (ja) 動作不自由者用の風呂椅子
US20120146371A1 (en) Aesthetic Toilet Chair Commode Covering
US20060048296A1 (en) Lifting toilet seat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KR20120002072U (ko) 다용도 침대
JP2004105629A (ja) ポ−タブルトイレ用フレ−ム
KR101776139B1 (ko) 원터치 스프링탄성판 접이 목욕의자
CN202341423U (zh) 便携式多用椅
CN204863721U (zh) 多功能躺椅
JP2002227434A (ja) 介護用住宅
CN203107475U (zh) 一种多功能护理椅
CN205107533U (zh) 一种坐便椅
JP3887797B2 (ja) 多機能付き移動式簡易風呂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JP7012894B1 (ja) 多機能ベッド
CN201268874Y (zh) 家用座便器
JP3136438U (ja) 歩行困難者用の多用途移動台
CN210471603U (zh) 一种老人用沙发
JP3125229U (ja) 身体障害者トイレ用椅子
CN207822052U (zh) 可清洗屁股的携带式便盆
CN108567534A (zh) 可清洗屁股的携带式便盆
KR200210831Y1 (ko) 목욕용 의자
KR100274846B1 (ko) 팔걸이가 구비된 등받이형 좌변기
CN103070751A (zh) 一种多功能护理椅
JP3092206U (ja) 収納腰掛兼踏台付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