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014B1 -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014B1
KR100717014B1 KR1020050066964A KR20050066964A KR100717014B1 KR 100717014 B1 KR100717014 B1 KR 100717014B1 KR 1020050066964 A KR1020050066964 A KR 1020050066964A KR 20050066964 A KR20050066964 A KR 20050066964A KR 100717014 B1 KR100717014 B1 KR 10071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ink
ink composition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113A (ko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0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164Aluminum halide, e.g. aluminium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168Zinc halides

Abstract

본 발명은 시클로덱스트린, 금속염, 착색제, 수용성 용제 및 물을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잉크 조성물은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포함하여 잉크 내의 냄새를 제거하고, 용지와 시클로덱스트린과의 상호작용으로 용지 위에 인쇄된 화상의 정착성을 향상시켜 내문지름성 (rubfastness) 및 내번짐성 (bleeding resistance)을 향상시켜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화상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잉크 조성물, 시클로덱스트린, 금속염

Description

잉크 조성물 {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한 친환경적인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잉크에는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첨가제 중에는 방향족 성분, 에스테르 성분 뿐만 아니라, 아민, 아마이드, 황 (-S-, -C(=S)-) 성분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가 과량 사용되었을 때 잉크에서는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형 잉크젯 프린터 (wide format printer)의 경우에는 더욱 더 심해질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탈취제들은 크게 3가지로 나눠진다. 첫번째는 감각적인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터치 후레시, 팅커벨, 파르텔과 같은 방향제이다. 화장실이나 방안에 좋지 않은 냄새가 나면 이들보다 더 강한 향료를 사용를 사용해 사람이 나쁜 냄새를 맡지 못하도록 만드는 경우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냄새나는 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두번째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한 탈취제로 대표적인 것으로 숯이 있다. 숯 은 1g의 표면적이 약 300 m2나 되는 다공성 물질로 냄새나는 물질을 흡착한다. 냉동실에 사용되는 냄새 먹는 하마도 숯의 일종인 활성탄을 이용한 것이다. 활성탄의 구멍은 숯에 비해 훨씬 작은 약 20ㅕ 정도다. 냄새 분자가 활성탄의 구멍에 모두 흡착되면 더 이상 흡착을 못하므로 효과가 없다. 이는 냄새 탈취제로 쓰인 활성탄을 정기적으로 바꿔줘야 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숯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면 가끔 통풍이 잘되는 곳에 놓고 햇볕에 건조했다가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 온도가 올라가면 냄새 분자의 운동성이 증가한다. 그렇게되면 냄새 분자는 기공을 빠져나올 수 있다. 숯을 냉장고 탈취제로 쓸 수 있다는 말이다.
세번째는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냉장고 냄새 제거제인 냄새 먹는 하마류나 섬유 탈취제인 페브리즈류 등 대부분의 탈취제품이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어 냄새 먹는 하마에 들어있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강한 산화력으로 냄새나는 물질을 산화시킨다. 제품의 뚜껑을 열었을 때 금방 소독된 물에서 나는 것과 같은 냄새가 나는 것이 바로 염소 성분 때문이다. 해초성분인 겔에 담겨있는 안정화 이산화염소는 휘발하면서 냄새 분자를 분해시킨다. 이는 냉장고에서 김치냄새가 사라지는 이유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잉크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향기나는 성분을 첨가한 경우가 있는데, 우리 주위에서 향기나는 볼펜이나 수성펜 등을 들 수 있고, 잉크 젯 향기 첨가제 또한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180,692호, 제6,123,757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30005853호, 제20030076393호 및 제20030094117호). 그러나, 잉크젯 분야에서 향기나는 성분을 첨가하기 어려운 이유는 나쁜 냄새 성분을 좀 더 강한 향기 성분으로 대체할 경우, 사용자인 사람에 대한 유해성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보다 근본적으로, 향기 성분을 임의로 추가시 기존 잉크 성분과의 혼화성 문제로 인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프린터에서의 인쇄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스티렌 냄새 또는 다른 불쾌한 냄새와 관련된 문제를 가지며, 상기 냄새를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 (미국 특허 제5,126,224호, 제5,521,268호, 제6,157,07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20030022082호)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대부분 경우는 인쇄 또는 필기 장치 또는 상기 장치가 인쇄하는 물품에 주관적으로 "좋다"고 생각되는 냄새를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어 왔다. 향기를 거의 남기지 않거나 또는 전혀 남기지 않으면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냄새 중화 벡터 (odor neutralizing vectors) 또는 기술에 관하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의 물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잉크 내의 냄새를 제거하고, 또한 용지 위에 인쇄된 화상의 정착성을 향상시켜 내문지름성 및 내번짐성을 개선되어 선명한 화상을 구현할 수 있고 화상 내구성이 향상된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시클로덱스트린, 금속염, 착색제, 수용성 용제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잉크 제조시 첨가제로 사용하면, 잉크의 점도, 표면장력 등의 물성변화가 적으며, 용지와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인쇄된 화상의 정착성이 개선되고, 이러한 개선된 정착성으로 인하여 블리딩도 개선되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클로덱스트린은 전분으로부터 효소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시클릭 탄화수소이고,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안전하며, 비오염성이다. 일반적으로, 시클로덱스트린은 도넛형 고리에 배열된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한다. 글루코스 단위의 입체구조 및 특정한 커플링으로 인하여 시클로덱스트린은 특정 부위의 빈 내부가 있는 단단하고 원뿔형의 분자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시클로덱스트린은 시클로덱스트린이 물에 용해될 수 있게 하는 친수성 외부를 갖는 도넛형의 기하학적 구조를 제공한다. 내부 공극의 "정렬"은 수소 원자 및 글리코시드결합으로 가교된 산소 원자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 표면은 상당히 소수성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시클로덱스트린"은 6 내지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비치환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모든 공지의 시클로덱스트린, 특히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은 구조 내의 글루코스의 수가 서로 상이하다. 하기 화학식 1의 α-시클로덱스트린은 도넛형 고리 중에 배열된 6 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가지고, 하기 화학식 2의 β-시클로덱스트린은 도넛형 고리 중에 배열된 7 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3의 γ-시클로덱스트린은 도넛형 고리 중에 배열된 8 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가진다.
Figure 112005040110465-pat00001
Figure 112005040110465-pat00002
Figure 112005040110465-pat00003
개별 시클로덱스트린은 또한 예를 들면, 다관능성 물질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올리고머, 중합체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아마이조 및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것이 있다. 시클로덱스트린 고리는 또한 시클로덱스트린 고리를 적당한 다관능성 물질과 함께 연결하는 등의 공정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시클로덱스트린은 에피 클로로히드린 (β-시클로덱스트린/에피클로로히드린 공중합체)와 가교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덱스트린의 대부분 이상이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α- 및 β-시클로덱스트린이다. 일부 시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은 예를 들면 일본 요코하마 소재 엔수이코 슈가 리파이닝 컴퍼니 (Ensuiko Sugar Refining Company)에서 시판하고 있다.
조성물에서 사용된 시클로덱스트린의 용해도는 조성물 중의 특정 동족체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α, β 및 γ-시클로덱스트린 동족체는 25 ℃ 수중에서 각각 13 중량%, 1.9 중량% 및 30 중량%, 및 80 ℃ 수중에서 각각 109 중량%, 25 중량%, 198 중량%의 용해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시클로덱스트린의 용해도는 중합화에 의해 점차 감소하고, 10,000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는 수중에서 무시가능한 용해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가장 유용한 시클로덱스트린은 약 4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단량체, 이량체 또는 삼량체이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이용한 본 발명의 작용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잉크 내에 금속염을 첨가시 잉크 수용액 내에는 금속 이온이 생성되고, 금속 잉크 내에 존재하는 나쁜 냄새를 발산하는 화합물의 성분 (예를 들면, 에스테르 성분 뿐만 아니라, 아민, 아마이드, 황 (-S-, -C(=S)- 성분)과 금속 이온이 착화합물 을 만들면서 전하를 띄게되고, 수용액내에 존재하는 시클로덱스트린이 상기 착화합물을 둘러싸게 되어 냄새 분자가 공기 중으로 휘발되어 나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냄새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잉크젯용 잉크는 블랙 잉크를 마젠타 잉크, 시안 잉크, 옐로우 잉크, 레드 잉크, 그린 잉크 및 블루 잉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컬러 잉크와 같은 다른 컬러 잉크와 함께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할 때, 기록 매체 위의 블랙 화상 부분 또는 컬러 화상 부분 사이의 경계에서 잉크가 얼룩지고 잉크가 불균일하게 혼합되므로써 (이하, "블리딩"으로 언급됨),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잉크의 정착성이 개선되면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색 경계면의 번짐없이 선명한 화상을 재현성있게 구현가능해지며 블리딩이 개선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기본적으로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종이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역시 다당류로서 두 화합물은 6탄당과 -OH기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시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잉크와 용지관계의 상호작용도 강하여 인쇄된 화상의 정착성이 우수해지고, 또한 빠른 정착성으로 인하여 블리딩으로 인한 색간 번짐현상도 개선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클로덱스트린에는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로시프로필 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에틸 β-시클로덱스트린, 황산처리된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황산처리된 γ-시클로덱스트린, α-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γ-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은 착색제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한다. 만약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잉크의 성능개선이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염은 AlCl3, FeCl3, FeBr3 , SnCl4, SbCl5, ZnCl2, BF3 및 TiCl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의 함량은 착색제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6 중량부를 사용한다. 만약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성능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잉크의 장기 저장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포함한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의 물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25 ℃에서, 점도가 1 ~ 20 cP, 바람직하게는 1.5 ~ 4.0 cP, 표면장력은 20 ~ 70 dyne/cm, 바람직하게는 28 ~ 52 dyne/cm일 때 성능 발현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은 용매로서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의 함량은 착색제 1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5 미만 중량부를 포함한 경우,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토출 성능을 저하시키고, 100 초과 중량부를 포함한 경우, 잉크의 표면 장력을 조절하여, 보통 용지 또는 전문 용지 등의 기록 매체 상에서의 침투성, 도트 형성능 및 인쇄된 화 상의 건조 특성 등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용제의 함량은 착색제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9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1 미만 중량부를 포함한 경우, 잉크의 표면 장력을 조절하여, 보통 용지 또는 전문 용지 등의 기록 매체 상에서의 침투성, 도트 형성능 및 인쇄된 화상의 건조 특성 등의 효과를 얻기 어렵고, 90 초과 중량부를 포함한 경우,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토출 성능을 저하시킨다. 물과 수용성 용제의 중량비는 1 : 0.02 내지 1이다.
이러한 수용성 용제는 공용매(co-solvent)로서, 메틸알콜, 에틸 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또는 이소부틸알콜과 같은 알콜류 화합물;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콜 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또는 디아세톤알콜과 같은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락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의 C1-C10 저급알킬 에테르; 요소(urea), 2-피롤리돈, 2-피페리돈, N-메틸-피롤리돈, 카프로락탐, 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돈, 3- 메틸-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돈, 2-이미다졸리디논,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디에틸이미다졸리디논, 부틸 우레아, 1,3-디메틸 우레아, 에틸 우레아, 프로필 우레아, 이소프로필 우레아 또는 1,3-디에틸 우레아와 같은 아미드계 화합물;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렌술폰; 및 티오글리콜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착색제로는 자가분산형 염료, 자가분산형 안료 또는 분산제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안료 또는 염료가 사용된다. 착색제의 예로서, C.I. Basic Black 2, C.I. Direct Yellow 44, C.I. Basic Blue 26, C.I. Direct Red 227 또는 Projet Fast Cyan 2 (Zeneca 社), Projet Fast Magenta 2 (Zeneca 社), Projet Fast Yellow 2 (Zeneca 社), Projet Fast Black 2 (Zeneca 社) 등이 있으나 이러한 염료에 한정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방부제 또는 킬레이트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첨가제의 총함량은 착색제 1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2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은, 염료, 물 및 필요에 따라 수용성 용제 등을 통상의 기술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그 용도가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며, 잉크 조성물 외에도 토너 조성물, 각종 도료, 코팅액 등에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잉크는 어레이 헤드 (array head)를 채용한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어레이 헤드를 채용한 잉크젯 프린터는 1개의 칩을 이송하여 인쇄하는 셔틀형 잉크젯 프린터와는 달리 다수의 칩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인쇄하므로 프린터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본 블랙 (Raven 5250, Columbian Co.제조) 4.0 g, 화학식 1의 α-시클로덱스트린 (aldrich사 제조) 3.0 g, AlCl3 0.4 g, 물 68.6 g, 요소 8.0 g, 트리메틸올프로판 8.0 g, 글리세롤 8.0 g을 혼합하고, 이들을 교반기에서 3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그 후 결과물을 0.45 ㎛의 필터에 통과시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카본 블랙 (Raven 5250, Columbian Co.제조) 대신 카본 블랙 (Regal 330, Cabot Co.제조)을 사용하고, 화학식 1의 α-시클로덱스트린 대신 화학식 2의 β-시클로덱스트린 (aldrich사 제조)과 FeCl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염료 (C.I.Direct Black 154) 5.0 g, 화학식 3의 γ-시클로덱스트린 (aldrich사 제조) 4.0 g, SnCl4 0.3 g, 물 67.7 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200, kanto chemical사 제조) 9.0 g, 트리메틸올프로판 7.0 g, 요소 8.0 g을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3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그 후 결과물을 0.45 ㎛의 필터에 통과시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염료로서 C.I. 애시드 블랙 7 (Acid Black 7) 5.0 g, 화학식 1의 α-시클로덱스트린 (aldrich사 제조) 8.0 g, ZnCl2 0.8 g, 물 62.2 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200, kanto chemical사 제조) 9.0 g, 트리메틸올프로판 7.0 g, 요소 8.0g을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3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그 후 결과물을 0.45 ㎛의 필터에 통과시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카본블랙 (Cabot 200, Cabot Co.제조) 4.0 g, 화학식 2의 β-시클로덱스트린 (aldrich사 제조) 7.0 g, TiCl4 0.6g, 물 64.4 g,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400, kanto chemical사 제조) 7.0 g, 1,5-펜탄디올 9.0 g, 요소 8.0 g을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3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그 후 결과물을 0.45 ㎛의 필터에 통과시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1~5에서 시클로덱스트린과 금속염을 각각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 및 제조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 따라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 탈취성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40 ℃, 밀폐된 용기에서 1일 보관후 뚜껑을 열었을 때 발생하는 냄새의 차이를 3단계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O : 냄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음
△ : 보통 정도의 냄새가 발생함
X : 아주 심한 냄새가 발생함
실시예
구분 1 2 3 4 5
평가(상온) O O O O O
비교예
구분 1 2 3 4 5
평가(상온) X X X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5의 잉크 조성물은 탈취 작용으로 냄새가 거의 없었으나, 비교예 1-5의 경우는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 내마모성 테스트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잉크 카트리지 M-50 (삼성사 제조)에 리필 후, 프린터 (MJC-2400C, 삼성사 제조)에서 막대 그림(2*10cm)을 인쇄한 후 이를 24시간 동안 말린 후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5회 문질러 주었을때 막대그림에서 전이된 화상의 OD를 문지르기 전의 막대 그림의 화상 OD와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어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 (전이된 화상의 OD/原 막대 그림의 OD)ㅧ100(%)
O : A < 20
△ : 20 ≤ A < 30
X : A > 30
실시예
구분 1 2 3 4 5
평가 O O O O O
비교예
구분 1 2 3 4 5
평가 X X X
상기 표 3 및 표 4로부터, 실시예 1-5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비교예 1-5의 경우와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내번짐성 (Bleeding resistance)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잉크 카트리지 M-50 (삼성사 제조)에 리필후 C-60 (삼성사 제조) 칼라 잉크와 함께 프린터 (MJC-2400C, 삼성사 제조)에서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고, 30분 후, 인접한 두 칼라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할 때 칼라 믹싱 (color mixing)이 일어나는 도트 라인 위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평가 기준 : US 제5,854,307호 참조)
다음을 기준으로 하여 번짐성 정도를 평가한다.
5 : 경계선 전체에서 칼라 믹싱이 나타나지 않음.
4 : 1 dot 직경에 해당되는 만큼의 너비에서 칼라 믹싱이 나타남.
3 : 2 dot 직경에 해당되는 만큼의 너비에서 칼라 믹싱이 나타남.
2 : 3 dot 직경에 해당되는 만큼의 너비에서 칼라 믹싱이 나타남.
1 : 4 dot 또는 그 이상의 직경에 해당되는 만큼의 너비에서 칼라 믹싱이 나타남. (단, 600dpi 기준시 1 dot 직경 = 100 ㎛)
실시예
구분 1 2 3 4 5
평가 5 4 5 5 5
비교예
구분 1 2 3 4 5
평가 3 2 2 3 3
상기 표 5 및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5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비교예 1-5의 경우와 비교하여 내번짐성이 보다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 조성물은 잉크에서의 나쁜 냄새를 방지하고, 용지에 인쇄된 화상의 내문지름성, 내번짐성을 개선한다.

Claims (5)

  1. 시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 금속염, 착색제, 수용성 용제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 1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0.1 내지 10 중량부이고, 금속염의 함량이 0.01 내지 1 중량부이고, 용제의 함량이 0.1 내지 90 중량부이고, 물의 함량이 5 내지 100 중량부이고, 상기 시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이 6 내지 12개의 글루코스 단위를 포함하는 시클로덱스트린계 화합물이고, 상기 금속염이 AlCl3, FeCl3, FeBr3, SnCl4, SbCl5, ZnCl2, BF3 및 TiCl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로시프로필 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에틸 β-시클로덱스트린, 황산처리된 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황산처리된 γ-시클로덱스트린, α-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γ-시클로덱스트린 히드레이트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66964A 2005-07-22 2005-07-22 잉크 조성물 KR10071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964A KR100717014B1 (ko) 2005-07-22 2005-07-22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964A KR100717014B1 (ko) 2005-07-22 2005-07-22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113A KR20070012113A (ko) 2007-01-25
KR100717014B1 true KR100717014B1 (ko) 2007-05-10

Family

ID=3801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964A KR100717014B1 (ko) 2005-07-22 2005-07-22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6694A (ja) 1997-10-06 1999-04-20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
JP2000129189A (ja) 1998-10-21 2000-05-09 Sakura Color Prod Corp ボールペン用水性低粘度インキ組成物
US6168654B1 (en) 1996-03-29 2001-0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orant stabiliz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8654B1 (en) 1996-03-29 2001-0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orant stabilizers
JPH11106694A (ja) 1997-10-06 1999-04-20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
JP2000129189A (ja) 1998-10-21 2000-05-09 Sakura Color Prod Corp ボールペン用水性低粘度インキ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113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655B1 (en) Colorant stabilizers
EP0854896B1 (en) Light-stabilized dyestuff compositions
RU2420550C2 (ru) Неводные краски на пигментной основе для струйной печати
US5302195A (en) Ink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dextrins
US6054505A (en) Ink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elf stability
US20030021983A1 (en) Recording medium with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2007230782A1 (en) Inkjet ink composition
EP3053970A1 (en) Water-based ink composition for writing instrument
KR100452090B1 (ko) 수성소거성잉크조성물
KR101655978B1 (ko) 2액형 피부프린트용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7357832B2 (en) Water base pigment ink for ink-jet recording, ink cartridge accommodating the same, and ink-jet recording method
US6258873B1 (en) Ink compositions substantially free of organic liquids
KR100540660B1 (ko) 루이스 산을 이용한 자가분산형 착색제의 제조 방법 및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US5868823A (en) Water-based magenta ink composition and ink-jet recording process employing the same
KR100717014B1 (ko) 잉크 조성물
JP4841712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のための求核置換反応による巨大分子発色団へのポリマー類の共有結合形付着
JP4125432B2 (ja) インキ組成物
CN105658743B (zh) 包含具有有限溶解度的表面活性剂的油墨组合物
DE10126561A1 (de) Cyclodextrin-haltige Pigmentdruckfarbe mit Dufteffekten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150136014A (ko) 잉크 조성물
US9017466B2 (en) Erasable inkjet ink composition
JP393163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使用するための水性インク組成物
JPH06271803A (ja) 油性マーキングペンインキ組成物
KR20150136013A (ko) 잉크 조성물
JPH03178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