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816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816B1
KR100716816B1 KR1020040108855A KR20040108855A KR100716816B1 KR 100716816 B1 KR100716816 B1 KR 100716816B1 KR 1020040108855 A KR1020040108855 A KR 1020040108855A KR 20040108855 A KR20040108855 A KR 20040108855A KR 100716816 B1 KR100716816 B1 KR 10071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ns
photographing
pressed
camera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197A (ko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816B1/ko
Priority to US11/311,047 priority patent/US7574130B2/en
Publication of KR2006007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04N1/00389Programmable function keys, e.g. for one-touch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본체에 복수개의 버튼들을 분산 배치함과 아울러, <이 버튼들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촬영용 버튼 또는 지지용 버튼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때,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만약, 지지용 버튼이 함께 눌리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을 미리 차단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지지용 버튼이 눌리지 않았을 경우(즉,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등의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한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렌즈 파손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일부에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촬영용 버튼의 배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도,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인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모드를 불필요하게 실행시키지 않고서도, 촬영 이미지의 상/하 반전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이미지 저장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의 정보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의 이미지 조절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등의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한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렌즈 파손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모드를 불필요하게 실행시키지 않고서도, 촬영 이미지의 상/하 반전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절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무선통화 연결기능 및 카메라 기능을 함께 겸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빠른 보급속도를 보이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11)의 밑면을 손바닥(손가락)으로 지지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버튼(12)를 눌러, 자신이 원하는 대상물을 촬영하게 된다.
이 경우, 렌즈(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줌 모드(Zoom mode) 실시에 따라, 본체(11)의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 되거나, 본체(11)의 내부로 복귀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대상물을 자신이 원하는 포커스에 맞추어,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이용환경 하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버튼(12)을 누를 때, 본체(11)의 밑면을 자신의 손바닥(손가락)으로 지지하여, 본체(11)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갑자기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혼란스러워지는 상황이 불가피하게 야기되는 경우, 그 여파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동통신 단말기(10) 측으로는 예기치 못한 큰 충격이 가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루는 대부분의 부품들은 본체(11) 내에 안정적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정상적인 기능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렌즈(13)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줌 모드 실시에 따라, 본체(11)의 외부로 기 돌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의 부주의에 기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다른 부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이용환경에서, 사용자는 특정 대상물(예컨대, 본인 얼굴)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의 위치를 바꾸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바꾸거나 하는 등의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어쩔 수 없이 취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떨어뜨릴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찍은 촬영 이미지(I)의 상/하 위치(U/B)가 뒤바뀌어, 거꾸로 저장되는 문제 점 또한 추가로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 상황에서, 촬영 이미지(I)를 정상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촬영 결과물 미리 보기 모드> 등을 추가 실행하여, 촬영 이미지(I)의 상/하 위치(U/B)를 다시 조절하는 수동절차를 복잡하게 진행시킬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불편함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본체에 복수개의 버튼들을 분산 배치함과 아울러, <이 버튼들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촬영용 버튼 또는 지지용 버튼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때,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만약, 지지용 버튼이 함께 눌리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을 미리 차단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지지용 버튼이 눌리지 않았을 경우(즉,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등의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한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렌즈 파손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일부에 앞의 전산모듈들과 함께,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촬영용 버튼의 배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도,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인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모드 를 불필요하게 실행시키지 않고서도, 촬영 이미지의 상/하 반전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렌즈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 설치된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과; 촬영절차 이전의 사용자 사전 조작에 따라, 상기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등록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와; 상기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상기 렌즈를 돌출 또는 복귀시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기능모듈과;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면서,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경우, 상기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상기 렌즈의 돌출을 선택하는 렌즈돌출 컨트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지정된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등록 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와, 렌즈의 돌출/복귀, 그리고, 촬영 이미지의 생성을 관리하는 카메라 기능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지지용 버튼이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용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여, 상기 렌즈를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은 크게, 본체(21)와, 이 본체(21) 내에 내장된 단말 제어모듈(25)과, 이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에 의해 전산 관리되는 단말기능 보조모듈(28:예컨대, 컨텐츠 메모리, 프로그 램 메모리, 키패드 구동모듈 등), 통화관련 회로모듈(29:예컨대, 신호 송신기, 신호 수신기, 안테나, 듀플랙서, 베이스-밴드, 주파수 합성기, 변조기, 복조기 등), 표시 구동모듈(33), 카메라 기능모듈(35), 촬영 이미지 저장모듈(27)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표시 구동모듈(33)은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 하에, 각종 문자(숫자), 이미지, 영상 등을 표시창(34)을 통해 외부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카메라 기능모듈(35)은 본체(21)의 외부로 노출 설치된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의 눌림 상태에 따라, 렌즈(23)를 돌출 또는 복귀시켜, 포커스를 맞춘 후, 이 렌즈(23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전자)적으로 처리하여, 소정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촬영 이미지 저장모듈(27)은 카메라 기능모듈(35)의 기능 수행에 의해 소정의 촬영 이미지가 생성 완료되면,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 하에, 해당 촬영 이미지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버튼을 제 1 버튼(23) 및 제 2 버튼(24)으로 복수화 한 후, 이들을 본체(21)의 일부, 예컨대, 본체(21)의 상부면 및 밑면에 분산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한다(물론, 이러한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의 배치 위치, 배치 개수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동작 체크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 하에,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의 눌림 상태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단말 제어모듈(25)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한 일련의 촬영 이미지 생성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 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이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으로 분산 배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통상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 본체(21)의 밑면을 손바닥(손가락)으로 지지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제 1 버튼(22)를 눌러, 자신이 원하는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가 뒤집히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도, 본체(21)의 당초 윗면을 손바닥(손가락)으로 지지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본체의 당초 밑면에 위치해 있던 제 2 버튼(24)을 눌러, 자신이 원하는 대상물(예컨대, 본인의 얼굴 등)을 좀더 자연스럽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렌즈(23)는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속한 렌즈 구동부(35a)의 구동제어에 따라, 본체(21)의 외부로 일정 길이 돌출 되거나, 본체(21)의 내부로 복귀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대상물을 자신이 원하는 포커스에 맞추어,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촬영 시점에서, 갑자기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혼란스러워지는 상황이 불가피하게 야기되는 경우, 그 여파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할 수밖에 없게 되며, 이 상황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줌 모드 실시에 따라, 본체(21)의 외부로 기 돌출 되어 있던 렌즈(23)는 그 충격에 의해 큰 손상을 입을 수밖 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 체계 내에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 등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한다.
이 경우,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산 조작에 따라, 앞의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을 촬영용 또는 지지용으로 미리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앞의 버튼 설정내역 저장모듈(31)과의 연동 하에,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을 촬영용 또는 지지용으로 미리 분류 관리하면서, 제 1 및 제 2 버튼(22,24) 중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경우, 지지용으로 분류된 다른 버튼(즉,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렌즈(23)의 돌출이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제 1 버튼(22)이 촬영용으로 분류되어 있고, 제 2 버튼(24)이 지지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용 제 1 버튼(22)을 눌러, 자신이 원하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지지용 제 2 버튼(24)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렌즈(23)의 돌출이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촬영용 제 1 버튼(22)을 누르면서, 나머지 손가락(손바닥)으로 지지용 제 2 버튼(24)을 누르게 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과 교신하여, 렌즈(23)가 본체(21)의 외부로 정상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지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촬영용 제 1 버튼(22)을 누르면서도, 실수로(또는 불가피하게), 지지용 제 2 버튼(24)을 누르지 못하게 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가 불안정한 상태(예컨대, 떨어지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과 교신하여, 렌즈(23)가 본체(21)의 내부로 복귀하거나, 원래의 복귀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다른 예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제 2 버튼(24)이 촬영용으로 분류되어 있고, 제 1 버튼(22)이 지지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시점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촬영용 제 2 버튼(24)을 눌러, 자신이 원하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지지용 제 1 버튼(22)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렌즈(23)의 돌출이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촬영용 제 2 버튼(24)을 누르면서, 나머지 손가락(손바닥)으로 제 1 버튼(22)을 누르게 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과 교신하여, 렌즈(23)가 본체(21)의 외부로 정상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지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촬영용 제 2 버튼(24)을 누르면서도, 실수로(또는 불가피하게), 지지용 제 1 버튼(22)을 누르지 못하게 되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불안정한 상태(예컨대, 떨어지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과 교신하여, 렌즈(23)가 본체(21)의 내부로 복귀하거나, 원래의 복귀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앞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가 뒤집히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 별도의 조치 없이, 촬영이 강행되면,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해 생성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는 그 상/하 위치가 뒤바뀌어, 거꾸로 저장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 제어모듈(25)의 제어 체계 내에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한다.
이 경우,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은 카메라 기능모듈(35)의 역할 수행에 의해 소정의 촬영 이미지가 생성되고, 이 촬영 이미지가 단말 제어모듈(25)을 통해 확보되면, 그 즉시,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와의 연동 하에, 해당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촬영용 버튼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예컨대,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가 뒤집히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 촬영을 진행시켰다 하더라도, 만약, 제 2 버튼(24)이 촬영용 버튼으로 지정되어 있기만 하다면,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은 최종 완성되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제 2 버튼(24)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조절하는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를 뒤집어, 비정상적인 촬영절차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 패턴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을 손쉽게 향유할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의 구체적인 촬영절차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본격적인 촬영절차 이전에, 단말 제어모듈(25)을 활용한 일련의 메뉴 조작을 통해, 제 1 버튼(22) 및 제 2 버튼(24) 중, 어떤 버튼을 촬영용 또는 지지용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절차를 미리 진행한다.
이 경우,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는 단말 제어모듈(25)과의 교신 하에, 해당 결정 내역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 등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용 버튼으로 지정한 제 1 버튼(220 또는 제 2 버튼(24)를 눌러, 일련의 촬영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단말 제어모듈(25)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및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비교 체크함으로써, 촬영용 버튼으로 분류된 버튼이 눌렸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제 1 버튼(22)이 눌리고, 이 버튼이 촬영용 버튼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및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재차 비교 체크하여, 앞의 제 1 버튼(22)의 눌림과 동시에, 제 2 버튼(24:즉, 지지용 버튼)도 함께 눌렸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때, 제 2 버튼(24)도 함께 눌린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으로, <카메라의 기능을 스타트해도 좋다>, <렌즈(23)를 돌출 시켜도 좋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5,S6).
이러한 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면, 카메라 기능모듈(35)은 그 즉시, 렌즈(23)를 돌출 시켜, 포커스를 맞춘 후, 이 렌즈(23)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전자)적으로 처리하여, 소정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101).
다른 예로, 앞의 단계 S1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 2 버튼(24)이 눌리고, 이 버튼이 촬영용 버튼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및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재차 비교 체크하여, 앞의 제 2 버튼(24)의 눌림과 동시에, 제 1 버튼(22:즉, 지지용 버튼)도 함께 눌렸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때, 제 1 버튼(22)도 함께 눌린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으로, <카메라의 기능을 스타트해도 좋다>, <렌즈를 돌출 시켜 도 좋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5,S6).
이러한 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면, 카메라 기능모듈(35)은 그 즉시, 렌즈(23)를 돌출 시켜, 포커스를 맞춘 후, 이 렌즈(23)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전자)적으로 처리하여, 소정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101).
한편, 앞의 단계 S2에서, 예컨대, 제 1 버튼(22:즉, 촬영용 버튼)이 눌렸음에도 불구하고, 제 2 버튼(24:즉, 지지용 버튼)이 함께 눌리지 않은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본체(21)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으로, <카메라 기능을 멈추어라(카메라 기능 대기상태를 유지하라)>, <렌즈(23)를 복귀시켜라(렌즈의 삽입상태를 유지하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S4).
이러한 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면, 카메라 기능모듈(35)은 그 즉시, 카메라 기능을 멈추거나(대기시키거나), 돌출 되어 있던 렌즈(23)를 본체(21) 내부로 복귀시키는(렌즈의 본체 내 삽입상태를 유지시키는) 등의 동작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 시점에서, 갑자기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혼란스러워지고, 그 여파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더라도, 렌즈(23)는 본체(21) 내부로 복귀되어 있거나, 본체(21) 내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에 의한 손상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제 2 버튼(24:즉, 촬영용 버튼)이 눌렸음에도 불구하고, 제 1 버튼(22:즉, 지지용 버튼)이 함께 눌리지 않은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 본체(21)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고,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 카메라 기능모듈(35) 등으로, <카메라 기능을 멈추어라(카메라 기능 대기상태를 유지하라)>, <렌즈(23)를 복귀시켜라(렌즈의 삽입상태를 유지하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S4).
이러한 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면, 카메라 기능모듈(35)은 그 즉시, 카메라 기능을 멈추거나(대기시키거나), 돌출 되어 있던 렌즈(23)를 본체(21) 내부로 복귀시키는(렌즈의 본체 내 삽입상태를 유지시키는) 등의 동작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 시점에서도, 갑자기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가 수신되거나하여, 사용자의 주의가 혼란스러워지고, 그 여파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더라도, 렌즈(23)는 본체(21) 내부로 복귀되어 있거나, 본체(21) 내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 충격에 의한 손상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이미지 촬영 절차(단계 S101)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단말 제어모듈(21)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한 이미지 촬영 절차가 모두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한 이미지 촬영 절차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플로우를 앞의 단계 S2로 진행시켜, 지지용 버튼(제 1 버튼 또는 제 2 버튼)의 눌림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예측하지 못한 렌즈의 파손을 미리 차단한다.
그러나,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한 이미지 촬영 절차가 모두 마무리되어, 완성된 형태의 촬영 이미지가 생성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렌즈돌출 컨트롤 모듈(30)은 그 즉시, 단말 제어모듈(25)을 매개로 하여,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 측으로 <촬영 이미지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게 된다.
이러한 통지과정이 완료되면,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은 그 즉시, 일련의 이미지 조절 루틴을 가동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모듈(35)에 의해 생성된 촬영 이미지(I)의 상/하 위치를 촬영용 버튼(제 1 버튼 또는 제 2 버튼)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8).
물론, 이 상황에서, 사용자가 앞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를 뒤집어 촬영을 진행시켰다 하더라도, 만약, 제 2 버튼(24)이 촬영용 버튼으로 지정되어 있었다면,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은 최종 완성되는 촬영 이미지(I)의 상/하 위치(U/B)를 제 2 버튼(24)의 배치위치를 기준으로 조절하는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위치를 뒤집어, 비정상적인 촬영절차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I)의 상/하 위치(U/B) 패턴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을 손쉽게 향유할 있게 된다.
이후,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32)은 상/하 위치(U/B)의 조절이 완료된 촬영 이미지(I)를 단말 제어모듈(25)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시키게 되며(단계 S9), 결국, 촬영 이미지(I)는 촬영 이미지 저장모듈(27)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될 수 있게 된다(단계 S10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본체에 복수개의 버튼들을 분산 배치함과 아울러, <이 버튼들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촬영용 버튼 또는 지지용 버튼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때,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만약, 지지용 버튼이 함께 눌리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을 미리 차단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긴밀하게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지지용 버튼이 눌리지 않았을 경우(즉,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았을 경우), 렌즈의 돌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등의 실수를 불가피하게 범한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렌즈 파손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일부에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촬영용 버튼의 배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산모듈>을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바뀌는 등의 불가피한 악 조건 하에서도, 최종 저장되는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인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모드를 불필요하게 실행시키지 않고서도, 촬영 이미지의 상/하 반전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렌즈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종의 전자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 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렌즈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 설치된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과;
    촬영절차 이전의 사용자 사전 조작에 따라, 상기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등록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와;
    상기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에 따라, 상기 렌즈를 돌출 또는 복귀시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기능모듈과;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면서,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렸을 경우, 상기 지지용 버튼의 눌림 상태를 동시에 체크하여, 상기 렌즈의 돌출을 선택하는 렌즈돌출 컨트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며,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상기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에 등록된 상기 촬영용 버튼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조절하는 촬영 이미지 위치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사용자에 의해 사전 지정된 촬영용 버튼 및 지지용 버튼의 등록 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와, 렌즈의 돌출/복귀, 그리고, 촬영 이미지의 생성을 관리하는 카메라 기능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용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지지용 버튼이 눌렸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용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여, 상기 렌즈를 돌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과 교신하여, 상기 렌즈의 돌출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촬영 이미지의 상/하 위치를 상기 버튼 설정내역 저장버퍼에 등록된 상기 촬영용 버튼의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KR1020040108855A 2004-12-20 2004-12-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KR10071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55A KR100716816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US11/311,047 US7574130B2 (en) 2004-12-20 2005-12-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photographing proces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55A KR100716816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197A KR20060070197A (ko) 2006-06-23
KR100716816B1 true KR100716816B1 (ko) 2007-05-09

Family

ID=3659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855A KR100716816B1 (ko) 2004-12-20 2004-12-20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4130B2 (ko)
KR (1) KR1007168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23A (ko) * 2002-12-17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572B2 (ja) * 1990-01-16 2000-10-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装置
US6911969B1 (en) * 1998-05-01 2005-06-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andheld computer apparatus
JP3777928B2 (ja) * 1999-12-22 2006-05-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機能付き携帯機器
JP2001320610A (ja) * 2000-05-02 2001-11-16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US6654559B2 (en) * 2001-05-21 2003-11-2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US7010758B2 (en) * 2001-05-21 2006-03-07 Leap Wireless International, Inc. Dynamically defined context sensitive jump menu
JP2004005320A (ja) * 2002-04-23 2004-01-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子機器、カメラ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4354153B2 (ja) * 2002-06-1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831429B1 (ko) 2002-06-19 2008-05-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어셈블리의 보호 구조를 가지는 휴대형 통신기기및 줌 렌즈 어셈블리의 클로우즈 제어방법
JP4582993B2 (ja) 2002-09-27 2010-11-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動画像合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184817A (ja) 2002-12-05 2004-07-02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JP4119764B2 (ja) 2003-02-13 2008-07-16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123A (ko) * 2002-12-17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4-0054123호 (공개일 2004.6.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3797A1 (en) 2006-06-22
US7574130B2 (en) 2009-08-11
KR20060070197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4472B (zh) 图像拍照设备、控制图像拍照设备的方法
KR100722913B1 (ko) 휴대 단말 장치, 및 정보 판독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381714B2 (ja) 撮影機器、情報処理端末、携帯電話、プログラム、及び、発光制御方法
US9033241B2 (en) Barcode rea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0505795C (zh) 便携式终端及其通知方法
US8254775B2 (en) Autofocus control method
KR100832936B1 (ko) 휴대 단말기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040183934A1 (en) Digital camera and mobile equipment with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function
CN102598653B (zh) 移动通信设备和拍摄方法
KR1007168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촬영절차 제어방법
JP4113565B2 (ja) 携帯電話機
KR100624883B1 (ko) 휴대 전화 장치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4382831B2 (ja) 携帯電話機
JP2014150508A (ja) 撮像装置
JP4001568B2 (ja) 占い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占いゲーム画像生成方法
JP3717919B2 (ja) 携帯電話機
JP4054843B2 (ja) 携帯電話機
JP3665328B2 (ja) 携帯電話機
JP4271545B2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578522B1 (ko) 격자 발생을 위한 카메라 및 그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3717920B2 (ja) 携帯電話機
JP2021015183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