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723B1 - 핀 조립체 - Google Patents

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723B1
KR100716723B1 KR1020050063291A KR20050063291A KR100716723B1 KR 100716723 B1 KR100716723 B1 KR 100716723B1 KR 1020050063291 A KR1020050063291 A KR 1020050063291A KR 20050063291 A KR20050063291 A KR 20050063291A KR 100716723 B1 KR100716723 B1 KR 10071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crew portion
housing
pi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229A (ko
Inventor
박용정
임종혁
이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05006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7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4Details of locking-pins or split-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핀 조립체에 있어서, 제1나사부와, 이 제1나사부와 동일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배치된 제2나사부를 구비한 하우징유닛; 상기 제1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체; 및 상기 제2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2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핀 조립체{Pin assembly}
도 1은 종래의 핀 조립체의 주요부위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핀 조립체의 주요부위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2의 "B"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핀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핀 조립체가 신장된 상태의 주요부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핀 조립체 30...하우징유닛
31...하우징 32...슬리브
40...제1이동체 50...제2이동체
41...제1스크류 51...제1핀
43...스톱링 44...스프링핀
45...제2스크류 55...제2핀
60...그리이스 니플 P1...제1공기통로
P2...제2공기통로 P3...제3공기통로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부품을 연결하는 결합용 기계요소중 핀 조립체는 부품간 접촉면의 미끄럼 방지, 나사의 풀림 방지, 위치의 고정 등에 주로 쓰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핀 조립체(1)를 이용하여 2개의 부품(a1,a2)을 조립하는 경우에 각 부품들(a1,a2)에 마련된 관통공들을 동축상에 놓고 핀(2)을 망치등의 공구로 타격하여 끼운 상태에서 상기 핀(2)의 일단부에 스냅링(3)을 강제로 삽입시켜서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부품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상기 핀 조립체(1)에서 상기 스냅링(3)을 분리해 낸 후 상기 핀(2)의 일단부를 망치등의 공구로 타격하여 상기 핀(2)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 상기 부품들(a1,a2)을 분해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종래의 핀 조립체(1)는, 부품들(a1,a2)의 분해시에 그 부품들(a1,a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핀 조립체(1)는 그 핀 조립체(1)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핀(2)을 망치등의 공구로 타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며 타격시에 핀 조립체(1)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핀 조립체(1)를 분리하여 부품 들을 분해하였다가 다시 그 핀 조립체(1)를 이용하여 부품들(a1,a2)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들(a1,a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던 핀 조립체(1)가 이물질에 오염되어 기계의 고장이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크기가 큰 중량물 핀 조립체일 경우에는 핀 조립체(1)를 들고 운반하거나 들고 내리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연결하고자 하는 부품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다른 부품을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핀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핀 조립체는, 복수의 부품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핀 조립체에 있어서, 제1나사부와, 이 제1나사부와 동일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배치된 제2나사부를 구비한 하우징유닛;
상기 제1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체; 및 상기 제2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2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체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핀 조립체의 주요부위 정면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핀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핀 조립체가 신장된 상태의 주요부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핀 조립체(20)는 하우징유닛(30)과 제1이동체(40)와 제2이동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유닛(30)은 하우징(31)과 슬리브(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조립체(20)가 설치되는 부품(a1)의 내부에 그 부품(a1)에 대해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1)은 그 내부에 암나사부로 된 제1나사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31)은 제1걸림턱(3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걸림턱(312)의 내경은 상기 제1나사부(311)의 내경 보다 더 작다. 상기 하우징(31)에는 제1나사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31) 외부를 관통하는 윤활제 유동통로(3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 유동통로(313)는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윤활제 유동통로(313)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 유동통로(313)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311)에 윤활제를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슬리브(32)는 상기 하우징(31)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31)에 대해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부재이다. 상기 슬리브(32)는 그 내부에 암나사부로 된 제2나사부(3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나사부(321)는 상기 제1나사부(311)와 동일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나사부(321)는 상기 제1나사부(311)와 서로 상반된 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나사부 (311)가 오른나사이면 상기 제2나사부는 왼나사이고 상기 제1나사부(311)가 왼나사이면 상기 제2나사부(321)는 오른나사가 된다. 상기 슬리브(32)는 제2걸림턱(32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걸림턱(322)의 내경은 상기 제2나사부(321)의 내경보다 더 작다.
상기 제1이동체(40)는 제1스크류(41)와 제1핀(5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스크류(41)는, 상기 하우징(31)의 제1나사부(311)에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41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수나사부(411)를 통해 상기 하우징(31)의 제1나사부(311)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스크류(41)의 일단부에는 그 스크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스크류 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인 돌출부(4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스크류(41)의 타단부에는 그 스크류(41)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스크류(41)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인 제1헤드(4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헤드(413)는, 예컨대 사각렌치와 같이, 그 제1헤드(413)의 형상에 맞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스크류(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1스크류(41)는 상기 제1수나사부(411)와 상기 제1헤드(413)사이에 제1원통부(416)와 제1몸체부(4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원통부(416)의 외경은 상기 제1수나사부(411)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제1몸체부(415)의 외경보다 더 크다. 상기 제1원통부(416)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1스크류(41)중 상기 제1원통부(416)는, 그 외경이 상기 제1걸림턱(312)의 외경보다 더 작아서, 제1걸림턱(31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스크류(41) 에 마련된 제1수나사부(411)는 그 외경이 상기 제1걸림턱(312)의 내경보다 더 커서, 상기 하우징(31)에 마련된 제1걸림턱(312)을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41)는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1걸림턱(312)의 내주면과 상기 제1원통부(416)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환형틈새(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핀(51)은 상기 제1스크류(41)에 결합되어 그 제1스크류(41)가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스크류(41)와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핀(51)은 상기 제1스크류(41)의 제1헤드(413) 및 제1몸체부(415)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31)의 외주를 따라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형의 스톱링(43)이 상기 제1스크류(41)의 제1몸체부(415)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핀(51)을 스프링핀(44)등으로 상기 제1스크류(41)에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핀(51)은 상기 스톱링(43)과 제1원통부(416)사이에 끼인 상태로 상기 제1스크류(41)에 결합된다. 상기 제1몸체부(415)의 외경과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제1핀(51)의 제1결합부(511)의 내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1스크류(41)는 상기 제1핀(5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41)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는 상태인 상기 제1핀(51)에는 상기 제1스크류(41)의 제1원통부(416) 및 상기 스톱링(43)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회전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 회전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 예컨대 동판 등으로 된, 베어링부재(52)를 상기 제1원통부(416)와 상기 제1결합부(511) 사이 및 상기 스톱링(43)과 상기 제1결합부(511)사이에 각각 삽입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핀(51)에는 상기 하우징(31)과 접촉하는 부위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제1공기구멍(5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공기구멍(512)과 상기 제1환형틈새(47)는 상기 하우징(31)의 제1나사부(311)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공기통로(P1)를 이룬다. 상기 제1공기통로(P1)는 상기 핀 조립체(20)의 외부와 상기 제1나사부(311)의 내부공간과의 공기 유동을 자유롭게 하여 공간사이의 압력차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1핀(51)의 제1스크류(41)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이동체(50)는 제2스크류(45)와 제2핀(5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스크류(45)는 상기 슬리브(32)의 제2나사부(321)에 체결되는 제2수나사부(45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32)의 제2나사부(321)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스크류(45)에는 상기 돌출부(412)를 수용하며 그 돌출부(412)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수용홈(45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12)와 수용홈(45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가 서로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스크류(45)는 상기 슬리브(32)의 제2나사부(321)의 내부공간과 상기 수용홈(452)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공기통로(P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공기통로(P3)는 상기 수용홈(452)에 수용된 상기 돌출부(412)가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스크류(45)의 일단부에는 그 스크류(45)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스크류(45)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인 제2헤드(4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헤드(453)는, 예컨대 사각렌치 등, 그 제2헤드(453)의 형상에 맞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2스크류(4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스크류(45)에는 상기 제2수나사부(451)와 상기 제2헤드(453)사이에 제2원통부(456)와 제2몸체부(45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원통부(456)의 외경은 상기 제2수나사부(451)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제2몸체부(455)의 외경보다 더 크다. 상기 제2원통부(456)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2스크류(45)중 상기 제2원통부(456)는, 그 외경이 상기 제2걸림턱(322)의 외경보다 더 작아서, 제2걸림턱(32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스크류(45)에 마련된 제2수나사부(451)는 그 외경이 상기 제2걸림턱(322)의 내경보다 더 커서, 상기 슬리브(32)에 마련된 제2걸림턱(322)을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스크류(45)는 상기 슬리브(3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2걸림턱(322)의 내주면과 상기 제2원통부(456)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2환형틈새(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핀(55)은 상기 제2스크류(45)에 결합되어 그 제2스크류(45)가 상기 제2나사부(32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스크류(45)와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핀(55)은 상기 제2스크류(45)의 제2헤드(453) 및 제2몸체부를 통과하여 상기 슬리브(32)의 외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부(321)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형의 스톱링(43)이 상기 제2스크류(45)의 제2몸체부(455)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핀(55)을 스프링핀(44)등으로 상기 제2스크류(45)에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핀(55)은 상기 스톱링(43)과 상기 제2원통부(456)사이에 끼인 상태로 상기 제2스크류(45)에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부(455)의 외경과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핀(55)의 제2결합부(551)의 내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2스크류(45)는 상기 제2핀(5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스크류(45)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는 상기 제2핀(55)에는 상기 제2스크류(45)의 제2원통부(456) 및 상기 스톱링(43)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회전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 회전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 예컨대 동판 등으로 된 베어링부재(52)를 상기 제2원통부(456)와 상기 제2결합부(551) 사이 및 상기 스톱링(43)과 상기 제2결합부(551)사이에 각각 삽입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핀(55)은 상기 슬리브(32)와 접촉하는 부위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관통하는 제2공기구멍(55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공기구멍(552)은 상기 제2환형틈새(48)와 함께 상기 슬리브(32)의 제2나사부(321)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공기통로(P2)를 이룬다. 상기 제2공기통로(P2)는 상기 핀 조립체(20)의 외부와 상기 제2나사부(321)의 내부공간과의 공기 유동을 자유롭게 하여 공간사이의 압력차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2핀(55)의 제2스크류(45)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31)에 마련된 윤활제 유동통로(313)에는 그리이스 니플(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의 외주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에 마련된 수나사부가 상기 윤활제 유동통로(313)에 마련된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윤활제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은 윤활제의 상기 하우징(31) 내부로의 유동은 허용하고 상기 하우징(31) 내부에서 외부로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31)과 제1스크류(41) 사이 및 상기 슬리브(32)와 제2스크류(45) 사이의 윤활을 위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311) 및 상기 제2나사부(321)에 윤활제를 공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에 그리이스건(grease gun,미도시)등을 대고 윤활제를 주입시켜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리이스 니플(60)의 일방향 통과성으로 인하여 상기 핀 조립체(20)에 주입된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압 이상의 주입압력이 필요하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핀 조립체(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핀 조립체(2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핀 조립체(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부품을 결합하는 과정 및 분해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서술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조립체(20)가 어느 한 부품(a1)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제1이동체(40) 및 상기 제2이동체(50)가 서로 마주하여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한다.
서로 다른 두 부품(a1,a2)을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핀 조립체(20) 가 조립되어 있는 어느 한 부품(a1)의 관통공과 조립하고자 하는 다른 부품(a2)의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그 스크류들(41,45)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헤드(413)와 제2헤드(453)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1헤드(413)를 사각렌치 등 적당한 공구로 상기 제1헤드(413)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헤드(413)가 회전함에 따라 그 제1헤드(413)에 일체로 된 제1스크류(41)가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돌출부(412)와 수용홈(452)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는 서로 상반된 나선방향을 갖는 나사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스크류(41)가 상기 핀 조립체(2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동시에 제2스크류(45)도 상기 핀 조립체(2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핀(51)은 상기 하우징(3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핀은 상기 슬리브(32)를 따라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들(41,45)은 상기 수나사부(411,451)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312,322)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제1스크류(41)가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또는 상기 제2스크류(45)가 상기 슬리브(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핀(51) 및 제2핀(55)의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핀 조립체(20)가 신장된 상태가 되어 다른 부품의 관통공에 상기 핀 조립체(20)가 결합된 상태로 부품간의 연결과정이 완료된다.
서로 다른 두 부품을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립하는 과정을 역순 으로 진행하면 그 목적이 달성 될 것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핀 조립체(20)는 상기 핀조립체(20)가 연결하고자 하는 부품들(a1,a2)중 어느 하나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 핀 조립체(1)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 즉, 핀 조립체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의 지연, 핀 조립체 타격시에 발생하는 손상문제, 핀 조립체의 이물질 오염문제 및 중량물 핀 조립체의 안전사고의 발생문제점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30)은 상기 하우징(31)과 슬리브(32)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스크류(41) 및 상기 제2스크류(45)가 조립될 수 있고 그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라면 하우징(31)과 슬리브(32)가 일체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321)는 암나사부인 것으로 예시 하였으나, 반대로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를 수나사부로 하고 상기 제1스크류(41) 및 제2스크류(45)를 암나사부로 구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에 마련된 제1걸림턱(312)과 상기 슬리브(32)에 마련된 제2걸림턱(322)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걸림턱들(312,322)이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의 나사부들(311,321)은 1줄나사로 할 수도 있고, 단위 회전수당 이동거리가 크게 하기 위하여 2줄나사 이상의 나사부들(311,321)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는 서로 상 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 중 하나는 왼나사이며 다른 하나는 오른나사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에는, 그 스크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스크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사각형인 돌출부(412)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에는, 상기 돌출부(412)를 수용하며 그 돌출부(412)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수용홈(452)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412)와 수용홈(45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가 서로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기 제1나사부(311)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가능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돌출부(412) 및 수용홈(452)의 단면형상이 비원형인 경우라면 사각형상이 아니라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12)와 수용홈(452)이 없는 경우라면, 제1스크류(41)와 제2스크류(45)의 나사부의 나선방향이 같아도 되며, 상기 제1스크류(41) 및 상기 제2스크류(45)가 상호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통로(P1), 제2공기통로(P2), 제3공기통로(P3)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이러한 공기통로들중 일부만 마련되어 있거나 전부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41)와 상기 제1핀(51) 사이의 상대회전으로 인한 마찰 및 상기 제2스크류(45)와 상기 제2핀(55) 사이의 상대회전으 로 인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부재(52)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베어링부재(52)들이 없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413) 및 제2헤드(453)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헤드들(413,453)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헤드들(413,453)이 그 스크류 축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함몰된 것이어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는 영향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과 제1스크류(41) 사이 및 상기 슬리브(32)와 제2스크류(45) 사이의 윤활을 위해 상기 하우징(31)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윤활제 유동통로(313)와 상기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윤활제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유동은 허용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는 그리이스 니플(60)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윤활제 유동통로(313) 및 그리이스 니플(60)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 목적의 달성에는 영향이 없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 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핀 조립체에 비하여 부품에서 분리하여야 있다. 또한 크기가 큰 중량물 핀 조립체인 경우에 핀을 운반하거나 들고 내리는 하는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부품간의 연결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핀 조립체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분해 또는 조립시 핀 조립체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제1나사부와, 이 제1나사부와 동일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배치된 제2나사부를 구비한 하우징유닛;
    상기 제1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체; 및
    상기 제2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시에 상기 제2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제1나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2나사부를 가지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부 및 제2나사부는 각각 암나사부이며;
    상기 제1이동체는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제1스크류가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스크류와 함께 이동되는 제1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2이동체는 상기 슬리브의 제2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에 결합되어 그 제2스크류가 상기 제2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스크류와 함께 이동되는 제2핀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상기 제2스크류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에 그 제1스크류가 걸려서, 상기 제1스크류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에 마련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상기 제1스크류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에 그 제2스크류가 걸려서, 상기 제2스크류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는 서로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 중 하나는 왼나사이며 다른 하나는 오른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에는, 그 스크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스크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비원형인 돌출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며 그 돌출부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수용홈이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와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가 서로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기 제1나사부의 중심축선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나사부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공기통로와,
    상기 슬리브의 제2나사부의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공기통로와,
    상기 슬리브의 제2나사부의 내부공간과 상기 수용홈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공기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 각각의 단위 회전수당 이동거리가 크도록, 상기 제1스크류의 수나사와 제2스크류의 수나사는 2줄 이상의 나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크류와 상기 제1핀 사이의 상대회전으로 인한 마찰 및 상기 제2스크류와 상기 제2핀 사이의 상대회전으로 인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제1스크류 사이 및 상기 슬리브와 제2스크류 사이의 윤활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윤활제 유동통로와 상기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윤활제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유동은 허용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 로의 유동은 허용하지 않는 그리이스 니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조립체.
KR1020050063291A 2005-07-13 2005-07-13 핀 조립체 KR100716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91A KR100716723B1 (ko) 2005-07-13 2005-07-13 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91A KR100716723B1 (ko) 2005-07-13 2005-07-13 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29A KR20070008229A (ko) 2007-01-17
KR100716723B1 true KR100716723B1 (ko) 2007-05-14

Family

ID=3801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291A KR100716723B1 (ko) 2005-07-13 2005-07-13 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7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636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록킹 리테이너 핀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636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록킹 리테이너 핀 장착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5636(공개번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29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925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
JP2009533234A5 (ko)
USRE48981E1 (en) Thrust nut
US20210323126A1 (en) Torque socket
CN109812509B (zh) 联轴器与其固定方法
JP5934593B2 (ja) ねじ緩み止め構造
TWI643709B (zh) 套筒
JP2009115166A (ja) 締結装置
TWI595978B (zh) Nut locking system
CN112049996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的组装方法
KR100716723B1 (ko) 핀 조립체
JP2008036780A (ja) チェーン用工具ポット
US20190366447A1 (en) Tool holder with coiled springs
KR200471406Y1 (ko) 축 서포트
JP4413660B2 (ja) 給油プラグ及び給油プラグ付きスタッド形トラックローラ
CN212717616U (zh) 一种转向球头装置
US20110110710A1 (en) Ball joint
JP4406906B2 (ja) プランジャ式接合ピン
US20060040750A1 (en) Shaft coupling assembly
JP2008202754A (ja) 軸受用の保持器
JP6680483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
KR20160055854A (ko) 비트 연결구 및 나사 조임장치
CN215841375U (zh) 一种跳绳快速连接头
TWI781892B (zh) 工具接頭
TWI503498B (zh) Ball screw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