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513B1 -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513B1
KR100716513B1 KR1020050067715A KR20050067715A KR100716513B1 KR 100716513 B1 KR100716513 B1 KR 100716513B1 KR 1020050067715 A KR1020050067715 A KR 1020050067715A KR 20050067715 A KR20050067715 A KR 20050067715A KR 100716513 B1 KR100716513 B1 KR 10071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air dam
vehicle
ba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421A (ko
Inventor
김용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5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2019/486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air passages, e.g. f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범퍼 에어댐(스커트)의 높낮이를 차종 및 지형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범퍼(10)와; 상기 범퍼(10)의 하측에 지지부(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는 에어댐(20)과; 상기 범퍼(10)의 하단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니언(71)이 설치되는 모터(70)와; 일측 단부에 상기 모터(70)의 피니언(71)에 치합되는 섹터기어(3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에어댐(20)에 설치되는 하측 가이드레일(40)에 결합되는 제1바(32)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범퍼(10)의 하단 내측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측 가이드레일(5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40)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바(32)와 함께 X자형바를 이루게 되는 제2바(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범퍼 에어댐을 사용자가 차종 및 지형 등의 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에어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최적의 연비 및 주행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범퍼, 에어댐, 크로스링크, X자형바, 섹터기어.

Description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Structure for air dam of bumper for vehicle}
도 1은 트럭에 설치되는 범퍼 에어댐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범퍼 20 : 에어댐
30 : 크로스링크 구조 40 : 하측 가이드레일
50 : 상측 가이드레일 60 : 지지부
70 : 모터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범퍼 에어댐(스 커트)의 높낮이를 차종 및 지형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에어댐(air dam)은 스커트 또는 노즈 스포일러(nose spoiler)라고도 하며, 자동차의 선단 범퍼 하측에 설치되는 스포일러로서, 기류에 의해 앞바퀴의 하중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바디의 밑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부착된다.
프런트 엔진 자동차에서는 엔진 밑의 기압이 저하하므로 라디에이터, 엔진, 자동차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엔진의 냉각 효율이 좋아진다.
도 1은 트럭에 설치되는 범퍼 에어댐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시 프레임(2)에 설치되는 메인범퍼(1)의 하단에 다수의 연결브라켓(3)에 의하여 범퍼 에어댐(4: 스커트)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범퍼 에어댐은 통상 차종별로 한가지 크기로만 제작되는데, 이 경우 차량 사양별로 차량 높이가 다르고, 하중 등에 의하여 차량 높이가 다양하게 변하므로, 차종별로 연비효과가 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범퍼 에어댐을 사용자가 차종 및 지형 등의 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에어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최적의 연비 및 주행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와; 상기 범퍼의 하측에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는 에어댐과; 상기 범퍼의 하단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니언이 설치되는 모터와; 일측 단부에 상기 모터의 피니언에 치합되는 섹터기어가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에어댐에 설치되는 하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1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범퍼의 하단 내측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바와 함께 X자형바를 이루게 되는 제2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에어댐의 지지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댐의 양측단부는 상기 범퍼와 중첩 구조로 설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댐의 양측단부가 에어댐 전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범퍼의 내측에 겹쳐지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범퍼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는 범퍼(10)와, 이 범퍼(10)의 하단에 지지부(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는 에어댐(20) 및 상기 범퍼(10)와 에어댐(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링크 구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로스링크 구조(30)는, 일측 단부에 섹터기어(3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에어댐(20)에 설치되는 하측 가이드레일(40)에 결합되는 제1바(32)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범퍼(10)의 하단 내측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측 가이드레일(5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40)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바(32)와 함께 X자형바를 이루게 되는 제2바(3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40) 및 상측 가이드레일(50)과 상기 제1바(32) 및 제2바(33)의 단부의 결합은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50) 및 하측 가이드레일(40)에서 횡방향으로 자유로이 이송되는 롤러(34)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3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70)에 설치된 피니언(71)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7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섹터기어(31)가 회전하면서 제1바(32)가 이송되게 되고, 이 제1바(32)와 결합된 제2바(33)가 함께 이송되어, 상기 에어댐(20)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어에댐(2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연장부(21)는, 이 양측단부의 공기 흐름을 고려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범퍼(10)와 중첩되어 형성되어, 에어댐(20)의 위치가 하측으로 이송되어도 범퍼(10)와 에어댐(20)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에어댐을 사용자가 차종 및 지형 등의 조건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에어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최적의 연비 및 주행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범퍼와;
    상기 범퍼의 하측에 지지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되는 에어댐과;
    상기 범퍼의 하단 내측의 일측에 설치되며 피니언이 설치되는 모터와;
    일측 단부에 상기 모터의 피니언에 치합되는 섹터기어가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에어댐에 설치되는 하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1바와;
    일측 단부는 상기 범퍼의 하단 내측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바와 함께 X자형바를 이루게 되는 제2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댐의 지지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댐의 양측단부는 상기 범퍼와 중첩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댐의 중첩 구조는, 상기 에어댐의 양측단부가 에어댐 전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범퍼의 내측에 겹쳐지도록 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범퍼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KR1020050067715A 2005-07-26 2005-07-26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KR10071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715A KR100716513B1 (ko) 2005-07-26 2005-07-26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715A KR100716513B1 (ko) 2005-07-26 2005-07-26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421A KR20070013421A (ko) 2007-01-31
KR100716513B1 true KR100716513B1 (ko) 2007-05-09

Family

ID=3801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15A KR100716513B1 (ko) 2005-07-26 2005-07-26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735B1 (ko) * 2013-12-1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스포일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563B1 (ko) * 2015-07-08 2016-12-20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에어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595A (ja) * 2000-11-24 2002-06-04 Kinya Fujita 可動型バンパースポイ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595A (ja) * 2000-11-24 2002-06-04 Kinya Fujita 可動型バンパースポイラー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16059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735B1 (ko) * 2013-12-1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스포일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421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0082B (zh) 汽车的车架结构、后车架结构和车身
JP5495122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US8622464B2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JP5569254B2 (ja)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ーの構造
JP4178479B2 (ja)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US8091941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art
JP2014511295A (ja) 自動車エンジンのラジエータ用のエアガイドを有する冷却装置
JP2014172524A (ja) 車両のラジエータ支持装置
JP2014198509A (ja) 車両のグリルシャッタ構造
JP5430459B2 (ja) 自動車用ウォッシャタンク及び車両の前部構造
WO2020196409A1 (ja) クロスメンバ及び車体フレーム
KR100716513B1 (ko) 차량의 범퍼 에어댐 구조
US7389844B2 (en) Heavy vehicle chassis having lowered rear portion
CN104290816A (zh) 一种前轴焊合件结构
JP4911424B2 (ja) 車両の空気抵抗低減構造
JP2008081041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946483B1 (ko) 프런트 엔드 모듈의 범퍼백빔 장착구조
JPWO2006040814A1 (ja) トラック
CN212195653U (zh) 汽车前围上部总成、车身框架及汽车
KR100579875B1 (ko) 범퍼 스테이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
JP4801754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15024772A (ja) 自動車のフェンダ支持構造
KR101655481B1 (ko) 후륜 구동 차량용 리어 크로스멤버
CN216833942U (zh) 一种汽车前围上部总成
KR100887570B1 (ko) 트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