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276B1 - 부동급수주 - Google Patents

부동급수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276B1
KR100716276B1 KR1020050105336A KR20050105336A KR100716276B1 KR 100716276 B1 KR100716276 B1 KR 100716276B1 KR 1020050105336 A KR1020050105336 A KR 1020050105336A KR 20050105336 A KR20050105336 A KR 20050105336A KR 100716276 B1 KR100716276 B1 KR 10071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valve
water
reservoir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351A (ko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27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Abstract

본 발명은 부동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수관(1)에서 유입된 상수를 급수주(2)로 배출시키는 부동급수주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1)에 연결되는 유입구(12)와 배출구(13)를 연결하는 유로(14)가 구비되어,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10); 상기 밸브부재(10)의 배출구(13)와 급수주(2)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주(2)에 잔류된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20); 상기 밸브부재(10)의 배출구(13)에 설치되어 밸브부재(10)의 개방에 의해 상수를 급수주(2)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2)과, 상기 분사노즐(32) 및 급수주(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32)의 분사로 형성된 부분진공에 의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잔류수가 급수주(2)로 배출되도록 저수통(20)에 연이어져 통하는 배출공(34a)이 구비된 호닝관(34)으로 이루어진 이젝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수주에 잔류되는 잔류수를 저수통으로 저장하여 동절기에 발생되는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동급수주, 밸브부재, 저수통, 이젝터.

Description

부동급수주{NONFREEZING WATER SUPPLY PIPE}
도 1a 내지 1c 는 종래의 부동급수주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a,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젝터를 부분절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수관 2 : 급수주
10 : 밸브부재 11 : 밸브하우징
12 : 유입구 13 : 배출구
14 : 유로 15 : 밸브캡
16 : 밸브 17 : 밸브로드
18 : 핸들휠 20 : 저수통
30 : 이젝터 32 : 분사노즐
34 : 호닝관 34a : 배출공
40 : 가드관
본 발명은 부동급수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주에 잔류되는 잔류수를 저수통으로 저장하여, 동절기에 발생되는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동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05년에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44993호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에 대한 실용화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동절기에 한파로 인한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동급수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부동급수주는 공원이나 버스정류장 따위의 공공시설물에 설치되어 동절기에 한파로 인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분동급수주로는 보온부재를 사용하는 부동급수주 및 내부구조를 개량한 부동급수주 등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내부구조를 개량한 부동급수주로 본 출원인이 2005년에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44993호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a 내지 도 1c에 따라 간략히 살펴보면, “상수관이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부(3a)를 일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유로개폐를 위한 개폐구(3b)가 내부에 설치되어진 부동밸브 하우징(3)과;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3)에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는 외부로의 상수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4a)가 연결 구성되는 급수주(4)와; 상기 급수주(4) 내에 잔류되는 잔류수의 저장을 위해 상기 부동밸브 하우징(3) 내에 구비되어진 저수실(5)과; 상기 개폐구(3b)의 개폐 조절을 위해 승강 구동이 이루어 지는 저수밸브체(6)와; 상기 저수밸브체(6)의 승강 구동을 위해 상부에 연결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밸브핸들(7)의 작동에 따라 저수밸브체(6)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폐구(3b)를 개폐하여 상수관에서 공급되는 상수가 급수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부동급수주는 저수밸브체(6)를 도 1a에서와 같이 작동시키면, 급수주(4)로 배출되는 상수가 저수실(5)로 모이게 되는데, 사용자가 저수밸브체(6)를 도 1b에서와 같이 완전히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게 되면, 급수주(4)에 잔류된 잔류수가 저수실(5)로 모이지 않고 지상으로 노출된 급수주(4)에 저장되며, 이에 따라 동절기에 동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급수주는 지상으로 노출되며, 이같이 노출된 부분에 잔류수가 남게되면 동절기에 한파로 인한 급수주의 동파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급수주에 잔류되는 잔류수를 저수통으로 저장하여 동절기에 발생되는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동급수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출원인이 2005년에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44993호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에 대한 실용화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동절기에 한파로 인한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동급수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수관에서 유입된 상수를 급수주로 배출시키는 부동급수주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되어,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 상기 밸브부재의 배출구와 급수주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주에 잔류된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 상기 밸브부재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밸브부재의 개방에 의해 상수를 급수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 및 급수주에 연결되어 분사노즐의 분사로 형성된 부분진공에 의해 저수통에 저장된 잔류수가 급수주로 배출되도록 저수통에 연이어져 통하는 배출공이 구비된 호닝관으로 이루어진 이젝터;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상수관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유로에 형성된 밸브자리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 상기 밸브에 밸브로드로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핸들휠, 상기 밸브로드와 나사결합되도록 밸브하우징에 장착되는 밸브캡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젝터를 부분절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부동급수주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1) 및 급 수주(2)로 이루어진 부동급수주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1)에 연결되어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부재(10)와, 상기 밸브부재(10)와 급수주(2)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주(2)의 잔류수를 저장하는 저수통(20)과, 상기 밸브부재(10)의 배출구(13)와 급수주(2) 사이에서 저수통(20)의 잔류수를 급수주(2)로 배출하는 이젝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부재(10)는 상수관(1)에서 유입되는 상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밸브부재(10)는 상수관(1)에 연결되는 유입구(12) 및 배출구(13)를 연결하도록 유로(14)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1)과,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유로(14)에 형성된 밸브자리(14a)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16)와, 상기 밸브(16)에 밸브로드(17)로 연결되어 밸브(16)를 작동시키는 핸들휠(18)과, 상기 핸들휠(18)의 작동에 따라 밸브로드(17)와 나사결합되도록 밸브하우징(11)에 장착되는 밸브캡(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유로(14)에는 밸브자리(14a)가 형성되어 밸브(16)의 개폐에 따라 유입구(12)에서 유입되는 상수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16)의 저면에는 밸브자리(14a)를 기밀히 밀폐하도록 패킹(16a)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캡(15)은 그 내주연으로 암나사(15a)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15a)에 나사결합되도록 밸브로드(17)에는 그 외주연으로 수나사(1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로드(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관(40)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핸들휠(18)의 정·역회전에 따라 밸브로드(17)의 수나사(17a)가 밸브캡(15)의 암나사(15a)와 나사결합하면서 밸브자리(14a)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저수통(20)은 밸브하우징(11)의 배출구(13)와 급수주(2)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주(2)에 잔류된 잔류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통(20)의 상부에는 밸브로드(17)가 관통되는 관통공(22) 및 후술하는 이젝터(30)의 호닝관(34)이 연결되는 연결공(23)이 천공되며, 저수통(20)의 하부에는 밸브부재(10)의 밸브캡(15)이 장착되도록 장착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저수통(20)의 관통공(22)은 밸브로드(17)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저수통(20)이 진공상태로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급수주(2)에 잔류된 잔류수가 이젝터(30)의 배출공(34a)을 통해 저수통(2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이젝터(30)는 밸브하우징(11)의 배출구(13)에 설치되는 분사노즐(32) 및 이 분사노즐(32)과 급수주(2)를 연결하는 호닝관(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32)은 밸브부재(10)의 개방에 따라 밸브하우징(11)의 유입구(12)로 유입된 상수를 높은 유속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분사노즐(32)은 베르누이의 정의에 따라 유로(14)를 지나는 상수의 유속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호닝관(34)에는 분사노즐(32)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출공(34a)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34a)으로 인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잔류수가 급수주(2)로 배출된다. 즉, 분사노즐(32)의 분사에 따라 그 주변에 형성되는 부분진공에 의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잔류수가 배출공(34a)을 통해 급수주(2)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닝관(34)의 내주연에는 호닝가공이 형성되어, 급수주(2)로 배출되는 상수의 흐름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밸브부재(10)를 이용하여 상수의 흐름을 개방하면 상수관(1)에서 유입된 상수가 밸브하우징(11)의 유입구(12), 유로(14), 배출구(13)를 지나 이젝터(30)의 분사노즐(32)을 통해 높은 유속으로 분사되는데, 이때 분사노즐(32)의 단부에 형성된 부분진공으로 인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잔류수가 배출공(34a)을 통해 호닝관(34)으로 배출되고, 이 호닝관(34)으로 배출된 잔류수와 분사노즐(32)을 통해 분사된 상수가 혼합되어 급수주(2)로 배출된다.
또한, 밸브부재(10)를 이용하여 상수의 흐름을 폐쇄하면 급수주(2)로 배출되던 상수 중 일부는 호닝관(34), 분사노즐(32)을 지나 유로(14)에 저장되며, 나머지는 호닝관(34)의 배출공(34a)을 통해 저수통(20)으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로 공원이나 버스정류장 따위의 공공시설물에 설치되어 시민이 이용하게 되는데, 그 작동은 핸들휠(18)의 작동에 따라 밸브(16)가 유로(1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즉, 유로(14)의 개방으로 상수가 분사노즐(32), 호닝관(34), 급수주(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저수통(20)에 잔류된 잔류수는 호닝관(34)의 배출공(34a)을 통해 급수주(2)로 배출된다.
또한, 유로(14)의 폐쇄로 인해 급수주(2)로 배출되는 상수 가운데 일부는 유로(14) 측으로, 나머지는 호닝관(34)의 배출공(34a)으로 유입되어 저수통(20)에 저장된다.
따라서, 유로(14)를 폐쇄해도 급수주(2)에 남은 잔류수가 지중에 매설된 유로(14)와 저수통(20)으로 저장되므로, 지상으로 노출된 급수주(2)의 동파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으로 노출되는 급수주에 잔류되는 잔류수를 저수통으로 저장하여 동절기에 한파로 인해 발생되는 급수주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동력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적용하는 이젝터를 이용하여 상수의 저장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2005년에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44993호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에 대한 실용화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동절기에 한파로 인한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수관(1)에서 유입된 상수를 급수주(2)로 배출시키는 부동급수주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1)에 연결되는 유입구(12)와 배출구(13)를 연결하는 유로(14)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1), 상기 밸브하우징(11)의 유로(14)에 형성된 밸브자리(14a)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16), 상기 밸브(16)의 상부에서 외부 가드관(40) 내에 보호되는 밸브로드(17)로 연결되어 밸브(16)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핸들휠(18), 상기 밸브로드(17)와 나사결합되도록 밸브하우징(11)에 장착되는 밸브캡(15)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10);
    상기 밸브부재(10)의 배출구(13)와 급수주(2)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주(2)에 잔류된 잔류수를 저장하며, 상부에는 밸브로드(17)가 관통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 저수통(20);
    상기 밸브부재(10)의 배출구(13)에 설치되어 밸브부재(10)의 개방에 의해 상수를 급수주(2)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2)과, 상기 분사노즐(32) 및 급수주(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32)의 분사로 형성된 부분진공에 의해 저수통(20)에 저장된 잔류수가 급수주(2)로 배출되도록 저수통(20)에 연이어져 통하는 배출공(34a)이 구비된 호닝관(34)으로 이루어진 이젝터(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30)는 저수통(2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급수주.
KR1020050105336A 2005-11-04 2005-11-04 부동급수주 KR10071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36A KR100716276B1 (ko) 2005-11-04 2005-11-04 부동급수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36A KR100716276B1 (ko) 2005-11-04 2005-11-04 부동급수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78U Division KR200406616Y1 (ko) 2005-11-04 2005-11-04 부동급수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51A KR20070048351A (ko) 2007-05-09
KR100716276B1 true KR100716276B1 (ko) 2007-05-10

Family

ID=3827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36A KR100716276B1 (ko) 2005-11-04 2005-11-04 부동급수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0040B (zh) 2016-04-05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喷嘴和刻蚀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22A (ja) * 1991-04-10 1993-03-12 Fujikura Ltd 耐雷電線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522A (ja) * 1991-04-10 1993-03-12 Fujikura Ltd 耐雷電線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 제56252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51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05759A (ja) 排水口が備えられたウォッシャーノズル
KR200406616Y1 (ko) 부동급수주
KR100716276B1 (ko) 부동급수주
KR20090109884A (ko) 광역 살포기의 약액 분사 노즐
KR101950712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200476028Y1 (ko) 동파방지용 수도밸브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CN207378488U (zh) 低温压力贮罐液体的输出结构
CN201300096Y (zh) 节水除垢花洒
KR20160001400U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372113B1 (ko) 연료 주입구 구조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CN204826060U (zh) 一种结构改良的消防栓
CN103362187A (zh) 便器冲洗装置
CA2887821C (en) Ice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for a gas well
CN201273385Y (zh) 防水池溢水的水龙头
CN208456559U (zh) 一种置换式管线加药装置
JP3514115B2 (ja) 流動弁付きタンク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0493195B1 (ko) 상수시스템
CN220749053U (zh) 一种消火栓防冻滴水阀
KR200233026Y1 (ko) 퇴수구를 가진 앵글밸브
KR200387053Y1 (ko) 보조 물통과 보충수통으로 구성된 온수 보일러의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