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117B1 - 고전압 케이블 - Google Patents

고전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117B1
KR100716117B1 KR1020050135054A KR20050135054A KR100716117B1 KR 100716117 B1 KR100716117 B1 KR 100716117B1 KR 1020050135054 A KR1020050135054 A KR 1020050135054A KR 20050135054 A KR20050135054 A KR 20050135054A KR 100716117 B1 KR100716117 B1 KR 10071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und
voltage cable
ring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수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6Reduction of losses in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삽입되는 링관의 일단을 절개하여 압착편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링관의 이탈 및 접지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링관의 타단을 일부 찢음으로써 접지관 내부에 삽입되면서 링관의 타단으로 외피를 눌러 죄도록 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케이블, 노이즈, 실드선, 접지관

Description

고전압 케이블{a high-voltage cable}
도 1은 종래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에 삽입되는 링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를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고전압 케이블 22: 실드선
50,150: 접지관 152: 걸림턱
160: 링관 162: 압착편
164: 절개홈 165: 절개편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케이블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삽입되는 링관의 일단을 절개하여 압착편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링관의 이탈 및 접지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링관의 타단을 일부 찢음으로써 접지관 내부에 삽입되면서 링관의 타단으로 외피를 눌러 죄도록 하기 위한 고전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카는 대략 20,000V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바, 고전압 케이블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전압 케이블(1)은 도전체인 심선(10)과, 이 심선(10)에 피복되는 절연체(20)와, 절연체(20) 외부에 피복되는 외피(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심선(10)은 탄소섬유,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로 이루어진 내부도체(12)와, 이 내부도체(12) 외주면에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를 압출 성형한 외부도체(14)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고주파 노이즈를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외부도체(14) 표면에 흑연을 코팅하여 도전성 피막층(1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연체(20)와 외피(30) 사이에는 실드선(22)이 개재된다.
특히, 상기 고전압 케이블(1)은 실드선(22)을 접지(ground)시키기 위해 도체인 접지관(50)을 실드선(22)의 끝단부와 접촉시키도록 삽입한다.
즉, 상기 고전압 케이블(1)은 끝단부에서 내부도체(12), 피막층(16), 절연체(20), 실드선(22) 및 외피(30)를 계단 형상으로 피복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관(50)은 실드선(22)의 둘레와 접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접지관(50)의 끝단부와 외피(30) 사이에는 원형이며 부도체인 링관(60)이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접지관(50)과 링관(60) 및 외피(30)를 압착함으로써 밀봉하고 접지관(5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고전압 케이블은 링관과 접지관을 삽입 후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압착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고전압 케이블을 접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접지관과 링관에서 상기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삽입되는 링관에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착편을 형성함에 따라 접지관의 내측면을 눌러 링관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지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링관의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부 찢어 접지관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삽입되면서 외피를 눌러 죌 수 있도록 한 고전압 케이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실드선에 접지관을 접촉하여 접지하고,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링관을 개재하는 고전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링관에 압착편을 형성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한 고전압 케이블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에 삽입되는 링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를 위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100)은 심선(10), 절연체(20), 외피(30)로 구성되며, 상기 심선(10)은 내부도체(12) 및 상기 내부도체(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부도체(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부도체(12)는 고주파 노이즈가 적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체(14)의 표면에는 흑연을 코팅한 도전성의 피막층(16)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20)는 심선(1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체(20)의 표면에는 실드선(22)과 외피(30)가 순서대로 층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드선(22)은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관(150)을 접촉하여 접지(ground)한다.
즉, 상기 심선(10), 절연체(20), 실드선(22) 및 외피(30)는 계단 형상으로 피복되고, 접지관(150)은 심선(10)이 노출된 끝단에서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접지관(150)은 내측면을 실드선(22)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지관(150)은 실드선(22)과 접촉한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접지관(150)이 고전압 케이블(100)에 삽입되기 전에 원형관 형상이며 부도체인 링관(160)이 먼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관(150)이 실드선(22)과 접촉한 후, 접지관(150)과 외피(30) 사이에는 링관(160)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링관(160)은 접지관(150)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지관(15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관(15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끝단인 일단에 압착편(162)을 다수 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압착편(162)은 링관(160)의 일단 가장자리에 나란하도록 두 곳을 절개한 후 절개된 부위를 링관(160)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접음에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압착편(162)은 탄성력을 갖는다.
즉, 상기 링관(160)이 접지관(150) 내부로 삽입시, 압착편(162) 각각은 접지관(150) 내측면으로 서서히 삽입하면서 링관(160)의 중심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편(162) 각각의 끝단은 접지관(150) 내측면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링관(160)은 접지관(15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접지관(150)은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관(150)은 링관(160)의 일정 이상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내 측면 둘레에 걸림턱(152)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링관(160)은 일단에 반대측인 타단을 걸림턱(152)에 닿을 때까지 접지관(15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링관(160)은 타단 가장자리에 'V'자 형상의 절개홈(164)을 다수 개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링관(160)은 절개홈(164) 사이에 자유단을 이루는 절개편(165)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링관(160)이 접지관(150) 내부로 삽입되면서 접지관(150)의 걸림턱(152)에 걸리면, 절개편(165)은 걸림턱(152)에 의해 외피(30) 방향으로 휘면서 외피(30) 둘레를 가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관(160)의 절개편(165)이 외피(30)를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에 의하면, 실드선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삽입되는 링관의 일단 둘레에 압착편을 절개하여 돌출 형성함으로써 접지관의 내측면을 눌러 접지관의 흔들림 방지 및 링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링관은 타단에 절개홈을 절개함으로써 절개편을 다수 개 형성하여 접지관 내부에서 외피 방향으로 휘도록 함에 따라 외피를 가압하여 압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실드선에 접지관을 접촉하여 접지하고, 외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지관과 외피 사이에 링관을 개재하는 고전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링관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지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끝단 가장자리를 부분 절개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탄성을 갖는 압착편을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관은 상기 링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내측면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링관은 상기 걸림턱에 걸릴 경우 상기 외피 방향으로 휘며 죌 수 있도록 상기 압착편을 형성한 끝단의 반대측을 'V'자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KR1020050135054A 2005-12-30 2005-12-30 고전압 케이블 KR10071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54A KR100716117B1 (ko) 2005-12-30 2005-12-30 고전압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054A KR100716117B1 (ko) 2005-12-30 2005-12-30 고전압 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143U Division KR200411830Y1 (ko) 2005-12-30 2005-12-30 고전압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117B1 true KR100716117B1 (ko) 2007-05-10

Family

ID=3827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054A KR100716117B1 (ko) 2005-12-30 2005-12-30 고전압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1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5266U (ko) 1975-11-10 1977-05-14
JPS54144091U (ko) 1978-03-29 1979-10-05
JPH04282579A (ja) * 1991-03-08 1992-10-07 Yokokawa Koku Denki Kk グランディングコネクタ構造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5266U (ko) 1975-11-10 1977-05-14
JPS54144091U (ko) 1978-03-29 1979-10-05
JPH04282579A (ja) * 1991-03-08 1992-10-07 Yokokawa Koku Denki Kk グランディングコネクタ構造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8298B2 (en) Shielded cable-grounding structure
US7491071B2 (en) Shield end processing structure
EP0083464B1 (en) Coaxial cable with a connector
US20150140851A1 (en) Shield connector structure
US6811441B2 (en) Electrical cable strain relief and electrical closure
JP3421555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US9368259B2 (en) Terminal treatment method for a coaxial cable
US20090035991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and Coaxial Cable Connection Unit
US9793656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3403970A (zh) 同轴电缆的端子处理结构和端子处理方法
US640255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main body tightly fastened to protective coating
US9219318B2 (en) Jointing assemblies for electrical cables
JP505948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11830Y1 (ko) 고전압 케이블
KR100716117B1 (ko) 고전압 케이블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200415180Y1 (ko) 고전압 케이블
KR200417308Y1 (ko) 고전압 케이블 체결구조
KR200418702Y1 (ko) 고전압 케이블
JP2008123914A (ja) 端末が処理されたシールド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09010B1 (ko) 고전압 케이블
KR200430657Y1 (ko) 고전압 케이블
JP4032368B2 (ja) 電力ケーブル端末部のゴムモールド部品
KR200434553Y1 (ko) 고전압 케이블의 접지브라켓
KR20200034128A (ko)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