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402B1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5402B1 KR100715402B1 KR1020050077891A KR20050077891A KR100715402B1 KR 100715402 B1 KR100715402 B1 KR 100715402B1 KR 1020050077891 A KR1020050077891 A KR 1020050077891A KR 20050077891 A KR20050077891 A KR 20050077891A KR 100715402 B1 KR100715402 B1 KR 1007154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line pressure
- shift
- aps
- equ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5—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fluid 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2—Range selector apparatus with different modes
- F16H2059/085—Powe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 차량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자동으로 변속할 때 변속시간을 단축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주행모드가 스포츠모드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스포트 모드가 아니면 APS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값이 일정값 이상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상이 아니면 Up Shift 패턴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Up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전이 아니면 Down Shift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Down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후가 아니면 차속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속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APS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가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자동 변속, 패턴, APS, 차속
Description
도1은 일반적인 자동 변속 차량의 라인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2는 종래의 변속 제어시 라인압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시 라인압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시 라인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 차량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자동으로 변속할 때 변속시간을 단축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수동 변속장치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속되는 자동 변속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자동 변속장치는 그 내부에 충입된 유압유에 의해서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으로서, 유압유를 제어하는 LOCK UP CLUTCH 제어압과 유압유가 이동하는 라인 내부의 압력이 변동할 때 운전자가 느끼는 변속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LOCK UP CLUTCH 제어압과 라인압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변속차량에서 변속이 발생할 경우 안정적인 변속감을 확보하기 위해 변속중에는 최대 라인압을 사용한다. 즉, 변속이 없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낮은 라인압을 유지하다가 변속이 발생하기 직전에 SD POINT에서 라인압을 최대로 상승시킨 후 SS POINT에서 변속을 시작하고 변속완료 후에는 다시 낮은 라인압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제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속을 위해 라인압을 순간적으로 최대로 올리는 제어는 변속제어에는 유리하나 LOCK UP CLUTCH 제어에는 매우 불리하다. 왜냐하면 LOCK UP CLUTCH 제어에 사용되는 압력이 라인압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상대적인 관계를 수치로 나타내면 표1과 같다.
[표1]
라인압 | LOCK UP CLUTCH 제어 DUTY | LOCK UP CLUTCH 제어압 |
100 | 100 | 100 |
100 | 50 | 50 |
50 | 100 | 50 |
50 | 50 | 25 |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OCK UP CLUTCH 제어 DUTY가 동일하더라도 라 인압 상태에 따라서 LOCK UP CLUTCH 제어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LOCK UP CLUTCH 제어중 라인압의 급격한 변동은 제어에 악 영향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SD POINT란 도1에 나타낸 가상선 화살표와 같이 일정한 APS로 점차 가속을 할 때 SHIFT PATTERN 상에 UP SHIFT LINE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 APS 차속 조건이 SHIFT PATTERN상에 변속 LINE을 통과하는 시점을 SD POINT로 판정한다.
보통은 SD(SHIFT DECISION) POINT와 SS(SHIFT SIGNAL : 변속 명령) POINT가 일치해 SD POINT 통과 시 바로 변속을 시작하지만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라인압 가변제어의 경우 변속 중 안정된 변속감 확보를 위해 SD에서 SS까지 지연시간을 가지며 이사이에 라인압을 최대로 올려 변속을 준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변속제어 방법은 UP SHIFT중 LOCK UP CLUTCH 제어시 변속감을 위한 라인압 상승직전(SD POINT)에 LOCK UP CLUTCH가 완전 직결(SLIP=0)일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압 상승 직전에 SLIP이 존재할 경우는 문제가 발생한다.
라인압 상승 직전,후의 LOCK UP CLUTCH 제어 DUTY를 보면 큰 변동이 없으나 라인압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서 LOCK UP CLUTCH 제어압이 급격히 상승되며 이와 같은 경우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런 결합이 생기고 따라서 SHOCK 및 울렁거림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gear 상태에서 엔진출력(토크)에 적절한 라인압을 제어하여 기존 최대 라인압 제어보다 적은 부하를 엔진에게 줌으로서 연비향상의 효과를 얻고 있으나, 변속 제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벼녹전에 최대 라인압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최대 라인압 상태에서 변속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최대 라인압 제어시보다 라인압 상승을 위한 제어시간이 추가되므로 변속 응답성이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정적인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주행모드, APS값, 변속 패턴 및 차속변화율에 의해서 최대 라인압제어 또는 가변 라인압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변속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은 주행모드가 스포츠모드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스포트 모드가 아니면 APS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값이 일정값 이상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상이 아니면 Up Shift 패턴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Up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전이 아니면 Down Shift 패턴을 확인하는 단 계와, 상기 Down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후가 아니면 차속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속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APS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가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시 라인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시 라인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의한 제어사양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변속명령은 변속패턴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변속패턴(패턴에 가깝거나 차속 및 쓰로틀 변화율이 매우 커서 Up 또는 Down이 예상될 때)이 변화하는 것을 예상하여 미리 라인압이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로직을 적용하였다.
둘째로 스포츠 모드 선택시는 운전자작 스포티한 운전을 하겠다는 의지이므로 변속응답성이 우선이라는 판단으로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한다.
셋째로 일정 APS 이상 주행시는 가속 주행으로서 엔진 출력이 상승되므로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판단하는 일정량과 일정값은 교정작업 수행시 자동변속기의 성능에 따라서 수정되어 지는 변화량 및 변화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APS와 비교하면 폐달의 위치이고 dAPS와 비교하면 폐달의 변화량, 차속(No)과 비교하면 차속이 되고, 각각의 명시되어 있는 위치에 비교대상이 있으면 그 비교대상이 변경할 수 있는 물리량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판단하는 일정량과 일정값은 교정작업 수행시 자동변속기의 성능에 따라서 수정되어 지는 변화량 및 변화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APS와 비교하면 폐달의 위치이고 dAPS와 비교하면 폐달의 변화량, 차속(No)과 비교하면 차속이 되고, 각각의 명시되어 있는 위치에 비교대상이 있으면 그 비교대상이 변경할 수 있는 물리량이 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어사양에 의해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포츠 모드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스포트 모드가 아니면 APS값을 확인한다.
상기 APS값이 일정값 이상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상이 아니면 Up Shift 패턴값을 확인한다.
상기 Up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전이 아니면 Down Shift 패턴을 확인한다.
상기 Down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후가 아니면 차속변화율을 확인한다.
상기 차속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APS변화율을 확인한다.
상기 APS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가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변속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되는 주행모드, APS값, 변속 패턴 및 차속변화율에 의해서 최대 라인압제어 또는 가변 라인압제어를 수행하여 차량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변속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되므로, 안정적인 변속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 주행모드가 스포츠모드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스포트 모드가 아니면 APS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값이 교정작업 수행시 자동변속기의 성능에 따라서 수정되어 지는 일정값(변화값) 이상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상이 아니면 Up Shift 패턴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Up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전이 아니면 Down Shift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Down Shift 패턴값이 일정값 이후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값 이후가 아니면 차속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속변화율이 교정작업 수행시 자동변속기의 성능에 따라서 수정되어 지는 일정량(변화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APS변화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APS변화율이 일정량 이상이거나 일정량 이하이면 최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고 일정량 이상이 아니거나 일정량 이하가 아니면 가변 라인압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891A KR100715402B1 (ko) | 2005-08-24 | 2005-08-24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891A KR100715402B1 (ko) | 2005-08-24 | 2005-08-24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3370A KR20070023370A (ko) | 2007-02-28 |
KR100715402B1 true KR100715402B1 (ko) | 2007-05-09 |
Family
ID=4163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7891A KR100715402B1 (ko) | 2005-08-24 | 2005-08-24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540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120A (ko) * | 1996-08-30 | 1998-06-05 | 박병재 | 자동 변속기의 업 쉬프트 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
KR19990059786A (ko) * | 1997-12-31 | 1999-07-26 | 정몽규 | 컷백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KR20040005127A (ko) * | 2002-07-08 | 2004-0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및 방법 |
KR20040043521A (ko) * | 2002-11-19 | 2004-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
-
2005
- 2005-08-24 KR KR1020050077891A patent/KR1007154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120A (ko) * | 1996-08-30 | 1998-06-05 | 박병재 | 자동 변속기의 업 쉬프트 시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
KR19990059786A (ko) * | 1997-12-31 | 1999-07-26 | 정몽규 | 컷백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KR20040005127A (ko) * | 2002-07-08 | 2004-0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및 방법 |
KR20040043521A (ko) * | 2002-11-19 | 2004-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3370A (ko) | 2007-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6515B2 (en) | Engine torque control device | |
US7282010B2 (en) | Engine torque control device | |
KR100849568B1 (ko) | 엔진의 과회전 방지 장치 및 엔진의 과회전 방지 방법 | |
US7347805B2 (en) | Engine torque control device | |
US20010016538A1 (en) | Constant-speed running controller for vehicle | |
US11034355B2 (en) | Powertrain control method for vehicle | |
JP2005220788A (ja) | エンジンの制御装置 | |
KR100715402B1 (ko)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시간 단축방법 | |
KR100354004B1 (ko) |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 |
US5014576A (en) | Line pressure control during downshift | |
US6689018B2 (en) |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US20030013570A1 (en) | Method of controlling shift action in up-shift mode operat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 |
JP3157485B2 (ja) | 無段変速機搭載車の変速制御装置 | |
KR100551303B1 (ko) |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0401833B1 (ko) |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 |
KR101916549B1 (ko) | 이원화 방식 킥 다운 변속 제어 방법 및 차량 | |
US6186924B1 (en) |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ler | |
KR100384178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2 →3 업 시프트시 변속 제어방법 | |
KR100380097B1 (ko) |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 |
KR100387874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정지전 4 →3 가변 변속제어 방법 | |
KR100345127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 |
KR100534774B1 (ko)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 |
JP4293720B2 (ja) |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 |
KR100644376B1 (ko) | 자동 변속 차량용 변속제어방법 | |
KR100428326B1 (ko) | 수동변속기 차량의 변속중 알피엠 플레어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