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802B1 -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802B1
KR100714802B1 KR1020037002785A KR20037002785A KR100714802B1 KR 100714802 B1 KR100714802 B1 KR 100714802B1 KR 1020037002785 A KR1020037002785 A KR 1020037002785A KR 20037002785 A KR20037002785 A KR 20037002785A KR 100714802 B1 KR100714802 B1 KR 10071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molding
printer
chip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084A (ko
Inventor
키아 실버브룩
토빈 알렌 킹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AU2000/00109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22365A1/en
Publication of KR2003002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76Construction of rollers; B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7Manufacturing processes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362Assembling elements of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는 페이지폭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기다란 프린트 헤드칩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 몰딩을 포함한다. 상기 몰딩은 잉크를 상기 칩에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잉크 갤러리를 형성하며, 상기 칩을 지지하는 몰딩 부분은 끝에서 볼 때 아치형으로 수납역을 형성한다. 프린트 매체 공급기(Print Media Feeder)는 상기 몰딩과 이웃하여 배치되어 상기 공급기의 공급지점 내에 상기 프린트 헤드칩이 위치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 공급기의 일부가 상기 수납역에 안치된다.

Description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A Print Head Assembly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본 발명은 모듈러 프린터(Modular Printe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대체로 고속이면서 디지털이고 사진인쇄 품질이 양호한 상업 프린터용 모듈러 상업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Print Head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고속인쇄에서, 대형 인쇄기들은 소정의 페이지들을 함께 인쇄하기 위해 데이지-체인(Daisy-Chained) 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페이지들은 함께 제본되어 간행물을 형성한다. 그러한 인쇄기들은 아주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매우 고가이다.
본 출원인도 페이지폭 프린트 헤드(Pagewidth Print Head)를 구비한 바닥에 설치하는 프린터를 여러 대 사용한 상업 프린터를 제안하였다. 상기 상업 프린터는 초당 최대 180페이지 서류 5권까지 인쇄하는 아주 높은 생산속도를 위한 것이다.
그러한 높은 생산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프린터에 맞는 소모품을 대량으로 즉시 입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또 다시 그러한 상업 프린터는, 비록 그러한 프린터의 비용이 본 출원인의 Memjet(Memjet은 Silverbrook Research Pty사의 상표이 다) 기술을 이용하지 않은 동등한 최고의 상업 프린트보다 상당히 저렴하긴 하지만 극히 큰 부피를 차지하여야 한다.
본 출원인은 더 적은 부피를 차지하며 처리속도는 낮으나 본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Memjet 상업 프린터와 같은 품질을 갖는 상업 프린터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해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폭 인쇄(Pagewidth Print)를 실행하기 위한 기다란 프린트 헤드(Elongate Print Head)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 몰딩(Print Head Molding)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은 잉크를 상기 칩에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잉크 갤러리(Ink Gallery)를 형성하며, 상기 칩을 지지하는 몰딩 부분은 끝에서 볼 때 아치형으로 수납역(Receiving Zone)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과 이웃하여 공급수단(Feed Means)이 배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칩이 공급수단의 공급지점(Footprint)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일부가 상기 수납역에 안치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셈블리는 2개의 몰딩을 포함하고, 그 각각이 프린트 헤드칩을 지지하며, 각 몰딩은 끝에서 볼 때 동일한 아치형상을 갖고, 하나의 몰딩이 다른 몰딩 내에 안치되며, 적어도 상기 하나의 몰딩의 프린트 헤드칩이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지점 내에 존재한다.
또한, 각 몰딩은 여러 잉크를 그에 따른 프린트 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갤러리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잉크"란 용어는 여러 색깔의 가시 잉크(Visible Ink)를 포함하여, 가시역 스펙트럼에서는 볼 수 없으나 적외선 스펙트럼에서는 볼 수 있는 잉크, 상기 프린트 매체 위에 잉크를 정착하기 위한 정착액(Fixative)과 상기 프린트 매체 위에 인쇄된 물체를 코팅하기 위한 바니쉬를 포함한 폭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몰딩은 프린트 헤드칩 위에 부스러기나 외부 물체가 적층되지 않도록 여과공기를 상기 프린트 헤드칩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채널(Air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프린트 헤드칩이나 각 프린트 헤드칩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 위에 설치되며, 커넥터(Connector)를 통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칩과 접속되는 제어수단(Control Mea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의 둘레 일부를 감싼 유연성 PCB(Flex PCB)일 수 있다. 2개의 몰딩의 제공되는 경우, 각 몰딩은 그 둘레 일부를 감싼 유연성 PCB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성 PCB가 각 몰딩 둘레의 볼록한 부분을 감싸는 것이다.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수납역에 꼭 맞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 부분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롤러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급지점"이란 상기 롤러의 직경방향의 면에 대하여 법선인 롤러의 대향된 면 위에 그려진 2개의 접선 사이에 존재하는 롤러의 투영된 부분을 의미한다.
끝에서 볼 때, 각 몰딩은 실질적으로 큰 낫(scythe) 형상을 갖음으로써, 상 기 몰딩의 프린트 헤드칩은 상기 공급수단의 회전축에 근접하여 이동되며 그에 따라 프린트 매체가 프린트 헤드갭에 대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및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와 대향 배치된 상기한 제2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엔진(Print Engine)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2는, 상기 프린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3은, 상기 프린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4는, 상기 프린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스택(Printer Stack)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스택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7은, 유동 접속(Fluid Connection)을 포함한 프린터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8은, 상기 프린터에 대한 부분 3차원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9는, 상기 프린터의 3차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0은,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엔진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11은, 상기 프린트 엔진에 대한 정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2는, 상기 프린트 엔진에 대한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13은, 상기 프린트 엔진 중 한개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14는,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중 하나에 대한 3차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5는, 상기 프린터의 부하상태에서 상기 프린터의 프린트 매체 공급기구(Print Media Loading Mechanism)에 대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6은, 상기 프린터의 개방된 무부하상태에서 상기 공급기구에 대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7은, 무부하상태에서 상기 공급기구에 대한 3차원도를 도시한다.
도18은, 부하상태에서 상기 공급기구에 대한 3차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함에 있어 참조부호 10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를 명시한다. 프린터(1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고속이면서 디지털이고 사진인쇄 품질이 양호한 상업용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다른 동일한 프린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모듈러 프린터이다. 일련의 프린터(10)들은 대규모 인쇄시스템(Scalable Printing System)을 제공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프린터(10)들은 원한다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린터(10)는 하우징(Housing, 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 부커버(14), 하부커버(16, 도 9), 제1 측벽(18)과 대향하는 제2 측벽(20, 도9)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측벽(18, 20)은 단부캡(End Cap)이나 측면몰딩(Cheek Molding, 22)에서 종결된다. 각 측면몰딩(22)은 특정삽입구(Application-Specific Insert, 24)를 수납하는 슬롯(Slot)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2)은 프레임(Frame, 26)으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프린터(10)의 내부 구성품들은 상기 프레임(26)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2)의 각 끝단에서 대향된 측면몰딩(22)들은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28)를 지지하며, 측면몰딩 사이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측면몰딩(22)은 그와 관련된 롤러(28)의 축을 수납하는 아치형 슬롯(Arcuate Slot, 30)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업용 인쇄 적용을 위해 상기 복수의 프린터(10)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도5와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10)는 스택(Stack, 40)을 형성하도록 함께 적층된다. 도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택(40)은 지지테이블(Support Table, 42) 위에 배치된다. 상기 스택(40)에서 최하위의 프린터(10)는 상기 프린터(10)의 잠김피트(Feet, 44)를 잠금으로써 상기 테이블(42)에 고정된다. 상기 스택(44)에서 연속한 각 프린터(10)의 잠김 피트(44)는 하부의 프린터(10)의 위에 있는 관련된 구멍(46)에 수납된다. 상기 피트(44)가 하부 프린터나 테이블(42)의 구멍(46)들 중 하나에 삽입될 때, 경우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상기 피트(44)를 1/4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프린터(10)이나 테이블(42)에 대하여 상부 프린터(10)를 잠글 수 있도록 각각의 잠김 피트(44)는 총검 꽂이(Bayonet Fitting)와 같이 결합된다.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10)들은 수평으로 적층될 때, 상기 하나의 프린터(10)의 잠김 피트(44)를 하부 프린터의 적당한 구멍(46)에 잠금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치우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멍(46)들이 각 측면몰딩(22)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상기 구멍(46)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경사각(Requisite Degree of Offset)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린터(10)의 경사 적층(Offset Stacking)에 의해 용지(48)와 같은 프린트 매체는 일정한 각도로 언와이더(Unwinder, 미도시)로부터 상기 각 프린터(10)에 공급되어 적절한 공급각도로 상기 프린터(1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만일 용지(48)가 상기 프린터(10)의 입출측으로 수평 공급되려면, 상기 스택(40)의 프린터(10)들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6에 상기 스택(4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터(10)들은 수직으로 배열되며 서로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예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용지(48)는 상기 프린터의 상부 끝에서 각 프린터(10)에 공급되어 인쇄후, 상기 각 프린터(10)의 아래를 통하여 빠져 나온다. 상기 프린터가 상기 스택(40)의 한쪽 끝에서 그 잠김 피트(44)를 경유하여 프레임틀(Framework, 49)의 단부 플레이트(End Plate, 5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스택(40)은 상기 프레임틀(49) 위에 지지된다. 상기 스택(40)에서 이웃하는 프린터(10)들은 하나의 프린터(10)의 잠김 피트(44)를 상기 이웃한 프린터(10)의 적당한 구멍(46)에 삽입함으로써 함께 고정된다. 조작반(Control Console, 54)은 상기 프린터 스택(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각 프린터(10)는 그 제어기와, 이중 USB 포트장치(Double USB Port Arrangement, 52)에 수납된 USB2 연결선(50)을 통하여 상기 스택(40)에 있는 다른 프린터들과 연결된다. 상기 포트장치(52)는 상기 스택(40)의 프린터(10)를 하나로 이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입구포트(Inlet Port)와 출구포트(Outlet Port)를 구비한다.
각 프린터는, 양면인쇄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로 이루어진 프린트 엔진(56)을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10)의 프린트 엔진(56)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 도11)는 12색까지 인쇄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는, 원한다면, 상기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에 의해 겹쳐서 6가지 색깔이 인쇄될 수 있는 이중 프린트 헤드(Duplexed Print Head)이다. 잉크는 잉크 커플링박스(Ink Coupling Box, 58)를 경유해서 상기 프린트 엔진(56)으로 공급된다. 상기 연결박스(58)는 그 위에 12개의 잉크 커플링(Ink Coupling, 60)을 지지한다. 잉크호스(64)들이 상기 커플링(60)을 경유해서 상기 커플링박스(58)에 연결되며, 잉크 커넥터(62, 도 9)를 통하여 상기 프린트 엔진(56)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와 연결된다. 전원접속포트(Power Connection Port, 66)도 상기 잉크 커플링 위에 지지된다. 상기 포트(66)는 상기 측면몰딩(22) 중 하나의 삽입구(Insert, 24) 중 하나에 있는 개구부(Opening, 68)를 통하여 수납된다. 동일한 삽입구(24)가 공기커플링(Air Coupling, 70)을 지지한다. 공기호스(72, 도7)는 상기 프린트 엔진(56)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의 프린트 헤드 노즐(미도시)이 부스러기나 외부 물체가 없도록 유지한다.
롤러 어셈블리(74)는 상기 프린터(10)의 입구 끝단에 장착된다. 상기 롤러 어셈블리(74)는 구동롤러(76)와 종동롤러(78)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롤러(76)는 금속 브라켓(Metal Bracket, 82) 위에 지지된 구동모터(8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금속 브라켓(82)은 상기 롤러 어셈블리(74)의 대향 끝단에서 대응하는 다른 브라켓(84)과 대칭된다. 상기 브라켓(82, 84)들은 상기 프레임(26) 위에 지지된다.
또한, 유사한 출구 롤러 어셈블리(Exit Roller Assembly, 86)가 상기 프린터(10)의 출구 끝단에 제공된다. 또 다시 상기 롤러 어셈블리(86)는 구동모터(90)와 종동롤러(9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88)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 86과 92들은 상기 금속 브라켓 94와 96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 94와 96은 상기 프레임(26)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94)도 상기 모터(90)를 지지한다.
상기 구동롤러(76)는 헬리컬 기어(132) 세트를 거쳐 종동롤러(78)를 구동한다. 유사한 배열이 상기 롤러 어셈블리(86)의 롤러(88, 92)의 각각에 적용된다.
상기 측면몰딩(22)은, 상기 프린터(10)의 입구 끝에서 상기 공기 커플링(70)을 지지하는 몰딩(22)과 대향하며, 또한 USB 제어 PCB(98)를 지지한다.
상기 프린트 엔진(56)은 상기 롤러 어셈블리(74)의 아래쪽(용지의 공급방향)으로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금속 브라켓(100, 102)을 포함하는 새시(chassis)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린트 엔진(5)은 도 10 내지 도12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엔진(56)은 2개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는 양면인쇄를 실행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용지(48)는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 사이로 통과한다. 브라켓(100, 102)은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를 지지하며,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를 두루마리 종이(web of paper, 48)로부터 약 0.75mm 떨어지게 위치시킨다. 이 간격은 여러 종이 두께에 따라 일정 공간을 유지하도록 상기 브라켓(100, 102)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또한,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의 프린트 헤드는, 상기 롤러(76, 78)에 근접하여 프린트 헤드갭(Print Head Gap)에 대하여 매우 정밀하게 제어된 용지를 가져오도록 설계된다.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는 제1 프린트 헤드(104)와, 이웃한 제2 프린트 헤드(106)를 포함한다. 각 프린트 헤드(104, 106)는 또한 각각 2개의 모듈 (104.1, 104.2)과 (106.1, 10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모듈(104.1, 106.1)은 같이 접속되어 제1 인쇄회로기판(PCB, 108)에 의해 제어된다. 유사하게, 상기 모듈(104.2, 106.2)은 같이 접속되어 제2 인쇄회로기판(PCB, 110)에 의해 제어된다. PCB(108, 110)들은 유연성 PCB(114)를 통하여 프린트 헤드(104, 106)의 프린트 헤드칩(112)과 접속된다. 이들 유연성 PCB(114)들은 상기 프린트 헤드(104, 106)의 모듈(104.1, 104.2, 106.1, 106.2)의 몰딩(118) 위에 있는 터미널 패드(Terminal Pad, 116)에 접속된다. 상기 터미널 패드(116)들은 상기 PCB(108, 110)의 대응하는 패드(미도시)와 접속된다.
주목할 것은, 상기 몰딩(118)들은 서로 대칭 화상(Mirror Image)을 가지며, 각각 그 자유단(Free End)에서 잉크 입구(120)를 구비한다. 잉크는 상호 접속된 몰딩(118)의 한쪽 끝단에서만 공급되며 사용하지 않은 입구(120)는 적당한 플러그에 의해 막혀있다. 또한, PCB(108, 110)들은 서로 대칭 화상이다.
이것으로 인하여 상기 프린터(10)의 생산비용을 줄이며, 또한 상기 프린터(10)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 PCB(108, 110)는 시리얼 케이블(122)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상기 PCB(108, 110) 중 하나는 커넥터(124)를 통해 상기 USB 회로기판(98)에 접속된다.
각 PCB(108, 110)는 2개의 프린트 엔진 제어기(PEC, 126)와, 관련된 기억장치(128)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장치(128)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장치이다.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의 몰딩(118)은 단부 플레이트(130, 도13)를 통하여 프레임(100, 102) 위에 지지된다.
상기 프린트 엔진(118)은 도 11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 엔진(56)은 2개의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는 2개의 프린트 헤드(104, 106)를 포함한다. 각 프린트 헤드(104, 106)는 그와 관련된 프린트 헤드칩(112)을 구비한다. 상기 프린트 헤드(104, 106)의 프린트 헤드칩(112)들은 상기 몰딩(118)의 세로방향 끝단부를 따라 지지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칩(112)을 지지하는 각 몰딩(118)의 끝단부는 아치형이다. 각 몰딩(118)의 아치부는 롤러(76, 78)의 곡률 반경에 유사한 곡률 반경을 갖는다. 프린트 헤드(104, 106)의 이러한 설계는 프린트 헤드칩(112)들을 상기 롤러(76, 78)들에 근접하도록 허용하여 용지를 프린트 헤드갭에 가깝게 제어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팽팽한 용지의 일부에 프린트 헤드칩(112)이 인쇄되어, 용지(48) 위에 잉크 방울의 더욱 정확한 침적을 초래한다.
도12에 더욱 명확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공기채널(138)은 공기호스(72)로부터 상기 프린트 헤드칩(11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각 프린트 헤드칩(112)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의 이러한 배치 상태로, 6가지 색이나 12색이 인쇄될 수 있다. 6가지 색이 인쇄될 때, 상기 몰딩(118)의 관련된 갤러리(gallery, 136)에서 (편의상 "색깔"로 인용되는) 연관된 색의 잉크나 관련된 물체를 구비함으로써, 각 어셈블리(54)의 프린트 헤드(104, 106)에서 이들 색깔은 겹치게 된다. 대신, 각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54)는 프린트 헤드(104, 106)의 갤러리(136)에 충전된 관련 "색깔"을 갖춘 12 "색깔"을 인쇄할 수 있다. 6가지 "색깔"이 인쇄될 때, 보통 이들은 남색(Cyan), 빨강(Magenta), 노랑과 검정색이다. 나머지 갤러리(136)들은 잉크 정착액과 바니쉬를 갖는다. 12 "색깔"이 인쇄될 때, "색깔"은 남색, 빨강, 파랑, 검정, 적색, 녹색, 파랑, 3가지 또는 2가지 스폿칼라(Spot Color)와 적외선 잉크, 정착액과 바니쉬들이다.
6가지 "색깔"이 인쇄될 경우, 상기 프린터는 1.6m/s의 용지속도에서 분당 1,360페이지까지의 인쇄속도로 인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12 "색깔"이 인쇄될 경 우, 상기 프린터(10)는 0.8m/s의 용지속도에서 분당 680페이지까지의 인쇄속도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칩의 노즐을 초당 50,000 방울의 속도로 작동함으로써 고속을 얻을 수 있다.
각 프린트 헤드 모듈(104.1, 104.2, 106.1, 106.2)은 프린트 헤드칩(112)당 6열의 노즐을 구비하며 각 프린트 헤드칩(112)은 프린터당 737,280개의 노즐을 제공하기 위하여 92,160개의 노즐을 포함한다. 이러한 노즐수로 인하여, 18.625인치의 두루마리폭(Web Width) 위에 충분한 1600dpi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의 두루마리폭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서류 페이지가 나란히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될 물체는 국부적으로 버퍼링(Buffering)되며, 그 결과로서 복잡한 서류들은 상기 국부적인 버퍼링된 데이타로부터 전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각 기판(108, 110) 위에 설치된 메모리(128)의 양은 적용 여부에 따라 변할 것이다. 상기 프린터(10)가 교환하지 않는 페이지(Unchanging Page), 예컨대 오프셋기 대체(Offset Press Replacement)용으로 사용되면, 메모리 모듈당 16메가바이트이면 충분하다. 또한, 각 페이지에 변화량(Amount of Variability)을 문자나 좁은 범위의 가변 이미지(Variable image)로 제한한다면, 16메가바이트도 적당하다. 그러나, 연속적인 페이지가 완전히 다른 경우에 적용할 때에는, 상기 프린트 엔진(56)용으로 전체 4기가바이트를 주려면 각 기판(108, 110) 위에 1기가바이트까지 설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으로 완전히 다른 약 2,000페이지 정도가 프 린트 엔진(56)에서 디지털로 저장될 수 있다. 그 데이타의 국부적인 버퍼링으로 상기 프린터(10)에 의한 고속인쇄를 조장한다.
프린트 엔진(56)과 출구 롤러 어셈블리(86) 사이의 거리는 약 1미터인데, 이 거리는 초당 약 0.8미터의 용지(48) 두루마리 속도에서 1초 예열준비(a One Second Warm-Set) 잉크 건조시간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용지(48) 위에 인쇄된 화상을 빨리 건조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갤러리(136) 중 하나에 정착액이 사용된다. 또한, 공기호스(142)를 통하여 공기입구(140, 도1)에 연결된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프린터(10) 내부에 따뜻한 공기를 불어넣는다. 상기 공기입구는 상기 프린트 엔진(56)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48) 위에 따뜻한 공기를 불어넣는 금속공기덕트(144, 도9)와 연결된다. 따뜻한 공기는 프린터(10)의 하우징(12) 측벽(20)에 있는 벤트(Vent, 146)에 의해 상기 프린터의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프린터(10)는 프린터(10)의 내부로 용지(48)를 공급하기 위한 프린트 매체 공급기구(1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구(150)는, (도 15 내지 도18에 더욱 명확히 도시된) 대향하는 한 쌍의 무한벨트(Endless Belt, 152)를 포함한다. 비록 그러한 도시는 없으나, 이들 벨트(152)들은 작은 구멍들을 갖고 있어 사용 중 인쇄후에, 상기 덕트(144)를 통해 들어오는 따뜻한 공기를 상기 벨트(152)를 통해 용지(48)의 양쪽 표면에 걸쳐 불어넣을 수 있다.
각 벨트(152)는 공간을 두고 있는 한 쌍의 롤러(154) 주위를 지나간다. 상기 롤러(154)들은 슬라이드(Slide, 156)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상기 슬라이드(156)는 상기 프린터(10)의 프레임(26) 위에 설치된다.
각 롤러(154)는 아암(Arm, 158)의 한쪽 끝에 설치된다. 각 아암(158)의 대향하는 끝단은 통상의 선회축점(Pivot Point, 160)에서 선회블럭(Traverse Block, 162)에 연결되어 상기 아암(158)들이 이들과 연관된 선회블럭(162)에 가위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선회블럭(162)은 차례로, 리드(Lead)나 웜스크류(Worm Screw, 164) 위에 설치된다. 상기 웜스크류(164)는 브라켓(168) 위에 지지된 모터(166)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된다.
상기 롤러(154)들은 모터(170, 도18)에 의해 구동된다.
용지(48)가 프린터(10)에 공급되도록 할 때, 기구(150)는 용지공급버튼(172, 도 1과 도 8)에 의해 작동된다. 이 때문에 상기 모터(166)는 물론 상기 롤러 모터 170)도 작동되게 된다. 상기 모터(166)의 회전으로 상기 선회블럭(162)은 상기 벨트(152)들이 서로 접근하도록 화살표 방향(174)으로 움직인다. 용지(48)의 선단이 벨트(152) 사이에 공급되고, 상기 벨트(152)에 의해 잡혀 상기 출구 롤러 어셈블리(8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프린터(10)를 통해 공급된다. 일단 용지(48)가 공급되면,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선회블럭들이 이동하여 도 16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기 벨트(152)가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166)의 방향은 역전된다. 따라서, 인쇄하는 동안, 상기 벨트(152)들은 상기 용지(48)의 표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고 닿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러 프린터는 상업적인 인쇄 속도로 인쇄할 수 있는 서류 인쇄를 위해 제공된다. 잡지와 같은 다양한 용지 중량을 가진 간행물 서류를 위해 몇개의 모듈들이 삽입기계(Inserting Machine)와 조합시켜 배열될 수 도 있다. 또한, 여분의 프린트 모듈은 휴지시간없이 정지된 두루마리 위에서 용지잇기를 가능하게 해주는데, 이는 상기 스택(40) 상의 다른 프린터 모듈들이 상기 프린터(1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정상적으로 인쇄되어야 할 페이지의 인쇄를 떠맡기 때문이다.
각 프린터(10)는, 상기 조작반(54)과 같은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으로부터 상기 USB2 접속 네트워크(또는 선택 Ethernet)에 대한 서류 인쇄조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린터(10)의 메모리 용량 때문에, 수만 화상과 문자 블럭들이 페이지 단위로 어느 한 페이지에서 완전 임의 선택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각 독자의 주문에 매우 만족하는 카탈로그와 잡지와 같은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광범위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특정한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수많은 변형 및/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8)

  1. 페이지폭(Pagewidth)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기다란 프린트 헤드칩(Print Head Chip)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 몰딩(Print Head Molding)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은 잉크를 상기 칩에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잉크 갤러리(Ink Gallery)를 형성하며, 상기 칩을 지지하는 몰딩 부분은 끝에서 볼 때 아치형으로 수납역(Receiving Zone)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과 이웃하여 공급수단(Feed Means)이 배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칩이 공급수단의 공급지점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수단(Feed Means)의 일부가 상기 수납역에 안치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Print Head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몰딩을 포함하고, 그 각각이 프린트 헤드칩을 지지하며, 각 몰딩은 끝에서 볼 때 동일한 아치형상을 갖고, 하나의 몰딩이 다른 몰딩 내에 안치되며, 적어도 상기 하나의 몰딩의 프린트 헤드칩이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지점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각 몰딩은 여러 잉크를 그에 따른 프린트 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갤 러리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각 몰딩은 프린트 헤드칩 위에 부스러기나 외부 물체가 적층되지 않도록 여과공기를 상기 프린트 헤드칩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칩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 위에 설치되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프린트 헤드칩과 접속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의 둘레 일부를 감싼 유연성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수납역에 꼭 맞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몰딩 부분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8. 제1항의 제1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와 대향 배치된 제1항의 제2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린터용 프린트 엔진.
KR1020037002785A 2000-09-13 2000-09-13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KR100714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2000/001091 WO2002022365A1 (en) 2000-09-13 2000-09-13 A print head assembly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084A KR20030027084A (ko) 2003-04-03
KR100714802B1 true KR100714802B1 (ko) 2007-05-07

Family

ID=370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85A KR100714802B1 (ko) 2000-09-13 2000-09-13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317339B1 (ko)
JP (1) JP4426759B2 (ko)
KR (1) KR100714802B1 (ko)
CN (1) CN1214923C (ko)
AT (1) ATE365637T1 (ko)
AU (2) AU2000273952B2 (ko)
DE (1) DE60035371D1 (ko)
IL (1) IL154337A0 (ko)
ZA (1) ZA200301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7724B (zh) * 2012-07-09 2013-09-04 凡府地 溶解血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755A (ja) * 1993-04-12 1994-11-22 Hewlett Packard Co <Hp>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H08332752A (ja) * 1995-06-07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3816A1 (de) * 1989-10-25 1991-05-02 Messmann Josef Fa Markierungskopf zum markieren von gegenstaenden mit gekruemmter aussenflaeche sowie verfahren dafu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755A (ja) * 1993-04-12 1994-11-22 Hewlett Packard Co <Hp>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H08332752A (ja) * 1995-06-07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평06-320755호
일본공개특허 평08-33275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371D1 (de) 2007-08-09
JP4426759B2 (ja) 2010-03-03
AU2000273952B2 (en) 2005-05-26
ZA200301059B (en) 2003-10-29
CN1505565A (zh) 2004-06-16
EP1317339A4 (en) 2005-01-12
ATE365637T1 (de) 2007-07-15
JP2004517761A (ja) 2004-06-17
EP1317339B1 (en) 2007-06-27
KR20030027084A (ko) 2003-04-03
IL154337A0 (en) 2003-09-17
AU2005203475A1 (en) 2005-08-25
AU2005203475B2 (en) 2006-09-28
CN1214923C (zh) 2005-08-17
EP1317339A1 (en)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240B1 (en) Drying of an image on print media in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WO2002022369A1 (en) Modular commercial printer
US6398344B1 (en) Print head assembly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KR100714802B1 (ko)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EP1317344B1 (en) Drying of an image on print media in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KR100782642B1 (ko) 모듈러 상업 프린터
US6971811B2 (en) Print engine having a pair of feed rollers and a print zone proximal thereto
AU2005203477B2 (en) Modular printer with ink drying means for print media
KR20030026355A (ko) 모듈러 상업 프린터용 공급기구
AU2000273951A1 (en) Drying of an image on print media in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AU2000273952A1 (en) A print head assembly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WO2002022365A1 (en) A print head assembly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AU2005203474B1 (en) Printer stack arrangement
AU2000273954A1 (en) Modular commercial printer
AU2000273953A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modular commercial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