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787B1 -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787B1
KR100714787B1 KR1020050087757A KR20050087757A KR100714787B1 KR 100714787 B1 KR100714787 B1 KR 100714787B1 KR 1020050087757 A KR1020050087757 A KR 1020050087757A KR 20050087757 A KR20050087757 A KR 20050087757A KR 100714787 B1 KR100714787 B1 KR 10071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pair
femal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517A (ko
Inventor
박세재
Original Assignee
아이엠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엠케이(주) filed Critical 아이엠케이(주)
Priority to KR102005008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7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수 형합적으로 접속.이탈되면서 전기적 접속을 단속케하는 접속단자에서 암형의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갖는 소켓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접속단자 및 소켓은 일측으로 선재의 단부가 압착식으로 결속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상기 연결부의 단로 부터 연이어져 숫형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수용부를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들을 내장한 소켓으로서,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앙에 두고 그 연결부의 길이방향에서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과, 이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숫형 접속단자를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 하는 한쌍의 수용요소들을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와,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는 관통공 및 암형의 접속단자들이 한쌍으로 병렬배치되어 인서트식으로 내장되며, 연장벽체들 사이, 즉 관통공을 통해 수용요소들을 제외한 상기 연장벽체들의 사이 전면적으로 충전되는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계열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전기접속을 위한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Contact terminal and Socket having Contact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접속단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소켓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재 12 :연결부
14 :수용부 15,16 :연결벽체
15a,16a :수용요소 18 :관통공
20 :하우징
본 발명은 암.수 형합적으로 접속.이탈되면서 전기적 접속을 단속케하는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갖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규격으로 제시되 는 숫형의 접속단자 모두를 공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인 선로들의 연결부 또는 부품들의 입.출력단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간단한 조작, 즉 암.수형의 형합구조로 결합.이탈하는 것으로 전기적 선로를 단속케하는 접속단자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암.수형의 접속단자는 통상 전도성이 우수한 동판재를 일련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먼저 숫형의 접속단자는 선재의 부분 탈피된 일단이 압착공정을 통해 일측으로 접속되는 연결부를, 타측은 이 연결부에 연이어 중공의 관형상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를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암형의 접속단자는 선재의 부분 탈피된 일단이 압착공정을 통해 일측으로 접속되는 연결부와, 타측은 이 연결부에 연이어 중공의 관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삽입부를 긴밀히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속을 수행케하는 수용부를 갖추어서, 암.수형의 형합구조에 의한 간단한 결합.이탈 조작으로 전기적인 선로의 단속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암.수형의 접속단자에서 암형 접속단자의 수용부는 적정한 자체탄성계수를 유지해 숫형 접속단자의 삽입부시 팽창되고 이탈시에는 본래의 모습으로 수축되게하여 소기의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에와 조명기구의 구조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즉 전기적인 접촉면적증대와 내구성등을 고려하여 형광등기구의 양단에 구비되는 핀형의 숫형 접속단자의 외경이 커지고 있는데, 여기서, 기존의 숫형 접속단자의 외경은 2.3미리이고 새로이 개발된 숫형 접속단자의 외경은 2.55미리로 현재 사용되는 내경이 2.29미리의 암형 접속단자로서는 2종류의 숫형 접속단자를 수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즉 기존 중공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를 가지는 암형 접속단자는 자체탄성계수가 연속적인 팽창.수축시 피로누적으로 복원작용이 저하되어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불안정하게된다.
그리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크기가 다른 이종의 숫형 접속단자들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암형 접속단자의 개발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을 이용해 숫형의 접속단자를 수용케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대.소 이종의 숫형 접속단자 모두를 원할하게 수용케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다 안정된 구조로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갖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수 형합적으로 접속.이탈되면서 전기적 접속을 단속케하는 접속단자에서 암형의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갖는 소켓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접속단자 및 소켓은 일측으로 선재의 단부가 압착식으로 결속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상기 연결부의 단로 부터 연이어져 숫형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수용부를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들을 내장한 소켓으로서,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앙에 두고 그 연결부의 길이방향에서 양측으 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과, 이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숫형 접속단자를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 하는 한쌍의 수용요소들을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와,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는 관통공 및 암형의 접속단자들이 한쌍으로 병렬 배치되어 인서트식으로 내장되며, 연장벽체들 사이, 즉 관통공을 통해 수용요소들을 제외한 상기 연장벽체들의 사이 전면적으로 충전되는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계열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전기접속을 위한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발명 은 전기공급을 위한 선재들의 단부 또는 부품들의 입.출력단에서 수용부를 가지는 암형 구조와, 이 암형의 수용부에 삽입.이탈식으로 접속.이탈하는 봉형상의 삽입부를 가지는 숫형의 형합구조로 결합.이탈하는 것으로 전기적인 선로를 단속케하는 암.수형 접속단자들 중 암형의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 암형의 접속단자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암형의 접속단자는 크게 나누어 선재(10)의 단부와 연결되는, 즉 선재(10) 단부의 피복층(절연층)을 부분적으로 탈피시키어 노출되는 심선(10a)과 압착공정을 통해 접속되게하는 몸체의 측단면이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와, 이 연결부(12)의 일단에 일체로 연이어 숫형의 접속단자(11)가 삽입.이탈식으로 전기적인 단속을 이루게하는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수용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암형의 접속단자는 동판재를 일련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조될 것이다.
또 연결부(12)는 통상에서와 같이 선재(10)의 피복층 외둘레에 압착되는 제1압착요소(12a)와 심선(10a)의 둘레에 압착되는 제2압착요소(12b)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이고 특징적인 기술은 크기가 다른 이종의 숫형 접속단자들(11) 모두를 안정되고 전기적인 접속을 양호히 수용할 수 있는 신축성이 우수한 접속구조를 갖는 암형의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용부(14)는 연결부(12)의 일단에 그 연결부(12)를 중앙에 두고 그 길이방향에서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해 병행하게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15,16)과, 이 한쌍의 연장벽체들(15,16) 각기에는 연결부(1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숫형 접속단자(11)를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 하는 반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수용요소들(15a,16a)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수용부(14)는 숫형의 접속단자(11)가 삽입되면 연결부(12)의 일단으로 연이어지는 연장벽체들(15,16) 그 길이에서 상기 숫형의 접속단자 수용을 위한 1차적인 팽창동작이 일어나고 2차적인 팽창이 필요시에는 "U"자형상의 몸체를 갖는 연결부(12)의 정점측에서 상기 연장벽체들(15,16)의 탄성작용과는 교차하는 방향에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즉 1.2차적인 탄성작용으로 크기가 다른 이종 숫형의 접속단자들(11) 모두에 대응하여 완충작용을 원할히 이루어 피로를 줄이고 복원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안정된 전기적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 소켓이 상세히 되어 있는데, 본 발명 소켓은 상기에서 설 명한 암형의 접속단자가 내장된, 즉 암형의 접속단자가 인서트방식의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 소켓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암형의 접속단자, 즉 선재(10) 단부의 피복층(절연층)을 부분적으로 탈피시키어 노출되는 심선(10a)과 압착공정을 통해 접속되게하는 연결부(12)와, 반원호형상의 수용요소들(5a,16a)을 각기 구비한 한쌍의 연결벽체들(15,16)로 이루어지는 수용부(14)로 구성되는 암형 접속단자, 그리고 상기 연결벽체들(15,16) 각기 적당한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공들(18)이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암형 접속단자를 한쌍으로 병렬 배치하고 이들 암형 접속단자들의 주위로 감싸는 복원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제들을 이용해 인서트방식으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6)은 내장된 암형 접속단자들 각기의 수용요소들(15a,16a)에는 숫형 접속단자들(11)의 삽입.이탈을 위한 통로(20a)를 갖춤과 동시에, 한쌍의 연결벽체들(15,16) 사이로 수지물이 관통공들(18)을 통해 충전되어 이 충전물에 의해 숫형 접속단자(11)의 삽입.이탈 후 복원작용을 원할히 이루어 상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연결부 일단에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연이어지는 한쌍의 연결벽체들과 연결부에서 1,2차적으로 탄성작용을 이루고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제의 하우징 에서 보안적으로 접속단자들의 복원작용을 이루게 함으로서, 다양한 규격으로 제시되는 크기가 다른 대.소 이종의 숫형 접속단자 모두를 원할하게 수용케하여 공용적이고 범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자체 탄성작용을 높이어 복원성은 물론이고 피로를 줄이어 보다 안정된 구조로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으로 선재의 단부가 압착식으로 결속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상기 연결부의 단로 부터 연이어져 숫형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수용부를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앙에 두고 그 연결부의 길이방향에서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과, 이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숫형 접속단자를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 하는 한쌍의 수용요소들을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2. 일측으로 선재의 단부가 압착식으로 결속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타측으로는 상기 연결부의 단로 부터 연이어져 숫형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수용부를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들을 내장한 소켓으로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앙에 두고 그 연결부의 길이방향에서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는 한쌍의 연장벽체들과, 이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에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숫형 접속단자를 받아드리어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게 하는 한쌍의 수용요소들을 갖춘 암형의 접속단자;
    상기 한쌍의 연장벽체들 각기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 통공들; 및
    상기 암형의 접속단자들이 한쌍으로 병렬배치되어 인서트식으로 내장되며, 상기 연장벽체들 사이, 즉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요소들을 제외한 상기 연장벽체들의 사이 전면적으로 충전되는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계열의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을 위한 소켓.
KR1020050087757A 2005-09-21 2005-09-21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KR10071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757A KR100714787B1 (ko) 2005-09-21 2005-09-21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757A KR100714787B1 (ko) 2005-09-21 2005-09-21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517A KR20070033517A (ko) 2007-03-27
KR100714787B1 true KR100714787B1 (ko) 2007-05-07

Family

ID=4156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757A KR100714787B1 (ko) 2005-09-21 2005-09-21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56B1 (ko) * 2010-11-17 2014-01-14 주식회사 후성테크 진동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 커넥터 결합체 및 커넥터 하우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813A (ja) * 1993-03-30 1994-11-25 General Motors Corp <Gm> 電気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813A (ja) * 1993-03-30 1994-11-25 General Motors Corp <Gm> 電気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517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600B2 (en) Hermaphroditic contact part
FI63643B (fi) Elektrisk koppling
CN108346869B (zh) 线缆连接器
DE50103574D1 (de)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WO2005083850A1 (ja) コネクタ組立品及びコネクタ組立品の製造方法
GB0516843D0 (en) Electrical connectors
JP200321771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714787B1 (ko)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JPH10125407A (ja) 一対の導電ピンと必要に応じて1つの接地ピンを有する電気器具プラグ用のプラグブリッジ
KR20120047040A (ko)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터미널
CN212209825U (zh) 一种便于组装的插头
DK1542319T3 (da) Elektrisk stikindretning respektive stikforbindelse
JP5357563B2 (ja) 高電圧対応多極プラグコネクター
CN201075427Y (zh) 电连接器
KR100714786B1 (ko)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US7112081B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upling assembly
KR20070012579A (ko) 전기접속을 위한 접속단자 및 그 접속단자를 구비한 소켓
CN209981654U (zh) 大电流高电压连接器
CN110176680A (zh) 一种接触件及使用该接触件的连接器
CN217062591U (zh) 电气连接装置及相应连接器套件
CN214124168U (zh) 连接器
JP2001068234A (ja) 同軸中継コネクタ
CN209150321U (zh) 一种结构改进型接线端子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