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28B1 -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28B1
KR100713428B1 KR1020030049849A KR20030049849A KR100713428B1 KR 100713428 B1 KR100713428 B1 KR 100713428B1 KR 1020030049849 A KR1020030049849 A KR 1020030049849A KR 20030049849 A KR20030049849 A KR 20030049849A KR 100713428 B1 KR100713428 B1 KR 10071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y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cal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609A (ko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4879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34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28B1/ko
Priority to US10/829,791 priority patent/US20050020306A1/en
Priority to CNB2004100457530A priority patent/CN1319403C/zh
Priority to EP04015495.7A priority patent/EP1501264B1/en
Priority to DE202004021896U priority patent/DE202004021896U1/de
Priority to EP13189115.2A priority patent/EP2688273B1/en
Publication of KR2005001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609A/ko
Publication of KR10071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4/248,993 priority patent/US9191491B2/en
Priority to US14/755,421 priority patent/US113367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통신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정보 및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메모리부와, 통신단말장치의 동작모드가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와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기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온 후 그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통화중기능을 자동으로 안내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통화중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통신단말, 휴대폰, 통화중기능,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PHONE AND METHOD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 DURING THE CALL}
도 1은 통상적인 휴대폰의 통화중 화면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표시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단말장치에서 통화중기능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의 통화중 화면에 대한 예시도.
본 발명은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 특히, 통화중에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중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단말장치(예컨대, 휴대폰, 유/무선 전화기 등)는 통화중에 수행 가능한 부가기능(이하, '통화중기능'이라 함)들을 제공한다. 통화중기능의 예로는 전화번호부, 송/수신 음량조절, 송화음 차단, 키소리 조절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통신단말장치들은 이러한 통화중기능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안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래의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던 사용자가 통화중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키 조작을 통해 통화중기능에 대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결과로 디스플레이된 메뉴들 중 원하는 통화중기능을 선택하여야 했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폰의 통화중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중인 휴대폰은 휴대폰의 수신강도를 나타내는 안테나-바, 통화상태, 휴대폰의 전원상태, 해당 통화의 통화시간 및 상대방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에는 휴대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통신단말장치들은 통상적으로 해당 디스플레이부에 상기와 같은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종래에는 통화중인 통신단말장치들이 해당 통화에 대한 통화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통화중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없었다. 심지어는 통화중기능 자체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들도 있었다. 따라서, 통신단말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이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사용자가 통신단말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사용자들이 통화중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통신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정보 및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동작모드가 통화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디스플레이방법은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기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오는 읽기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읽기 과정에서 읽어온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중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신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100)는 주처리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메모리(140), 스피커부(150), 통신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30) 및 스피커부(150)는 통신단말장치(100)와 사용자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로서, 마이크부(미도시)와 함께 일반적인 통신단말장치들(예컨대, 유/무선 전화기, 휴대폰 등)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장치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20)는 통신단말장치(100)의 동작상태 및 외부 입력사항을 디스플레이하고, 특히, 해당 통신단말장치(100)가 통화중일 경우 그 통화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통신인터페이스(160)는 외부 망 접속장치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외부 망 접속장치는 공중전화망의 교환국 및 이동전화망의 기지국 등과 같이 통신단말장치와 망간에 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외부 망 접속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이후의 설명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메모리(140)는 통신단말장치(100)의 기본동작정보, 부가기능정보 및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들을 저장/관리한다. 이 때, 기본동작정보는 통신단말장치(100) 고유의 기능인 호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들을 말하고, 부가기능정보는 상기 호 서비스 기능 이외에 통신단말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예컨대, 알람, 모닝콜, 전화번호부 등)을 말하고, 통화중기능리스트는 상기 부가기능들 중 해당 통신단말장치(100)가 통화중일 때 수행 가능한 기능들(일명, '통화중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들에 대한 목록을 말한다. 이 때, 통화중기능의 예로는 전화번호부, 송/수신 음량조절, 송화음 차단, 키소리 조절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40)는 상기 기본동작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기본동작정보저장부(142), 상기 부가기능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부가기능정보저장부(144) 및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통화중기능리스트 저장부(146)를 포함한다.
주처리부(110)는 통신단말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특히, 통신단말장치(100)가 통화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할 경우 통화중기능리스트 저장부(146)로부터 통화중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하, '통화중메뉴'라 함)를 읽어와서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주처리부(11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통화중기능리스트에 포함된 항목 중 사용자가 삭제하고자 하는 항목을 삭제하고,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항목을 기 설정된 통화중기능리스트에 추가한다. 특히, 통화중기능리스트 추가변경을 위해 주처리부(110)는 부가기능정보저장부(144)로부터 통화중기능리스트에 추가 가능한 항목을 읽어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 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단말장치(100)의 통화중기능표시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통신단말장치(100)와 망간에 호 서비스를 지원하는 망 접속장치를 기지국(또는 교환국)(이하, 기지국(200)이라 칭함)으로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200)으로부터 호 요청을 받은(S110) 통신단말장치(100)가 그에 요청에 대하여 응답을 하면(S120) 통신단말장치(100)와 기지국(200)간에는 통화를 위한 콜-셋업이 이루어진다(S130). 상기 과정들(S110 내지 S130)은 통상적인 콜-셋업 과정을 간략화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도 3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콜-셋업 과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통신단말장치(100)와 기지국(200)간에 콜-셋업이 이루어지면, 통신단말장치(100)는 통화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그 동작모드가 전환된다. 그러면 통신단말장치(100)는 메모리(도 2의 '140') 내의 통화중기능리스트 저장부(도 2의 '146')로부터 기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와서 표시부(도 2의 '120')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이 때, 그 통화중기능리스트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통화중기능리스트 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S150),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S160).
한편 통신단말장치(100)는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에 의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단말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통화모드로 전환된 직후에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되,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 동안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선택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화면에서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시간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그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0)는 통신단말장치(100)가 통화모드로 전환하더라도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단말장치에서 통화중기능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단말장치(100)가 외부 망접속장치(기지국 또는 교환국 등)로부터 호 요청메시지를 수신하고(S210) 그에 대한 응답을 함으로써(S220) 외부 망 접속장치와의 콜-셋업이 이루어지면(S230), 통신단말장치(100)는 그 동작모드를 통화모드로 전환한다(S240). 즉, 통신단말장치(100)의 동작모드를 '통화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내부 메모리로부터 기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읽어와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250).
그리고 사용자가 그 통화중기능리스트 중 수행하고자 하는 항목를 선택하면(S260),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S270).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 거하여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의 통화중기능 추가/삭제 명령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를 통화중기능리스트에 추가하거나 대응되는 메뉴를 통화중기능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의 통화중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5a 및 도 5b는 휴대폰의 통화중에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에게 통화중기능을 자동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통화중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단말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화중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 따른 통신단말장치 동작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정보 및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동작모드가 통화대기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자동으로 읽어와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텍스트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동안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사용자의 통화중기능 추가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가기능정보를 읽어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항목을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는
    사용자의 통화중기능 삭제 명령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항목을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는
    자기번호 송출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는
    디.티.엠.에프 보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는
    호 전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는
    호 보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는
    통화음 차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3.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가 통화모드로 전환하면 기 저장된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자동으로 읽어오는 읽기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읽기 과정에서 읽어온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텍스트 및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동안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시간간격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를 변경하는 변경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과정은
    사용자의 통화중기능 추가 명령에 응답하여 기 저장된 부가기능정보를 읽어와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항목을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과정은
    사용자의 통화중기능 삭제 명령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항목을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20.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통화중기능리스트 중 수행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통화중기능 표시방법.
KR1020030049849A 2003-07-21 2003-07-21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71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49A KR100713428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US10/829,791 US20050020306A1 (en) 2003-07-21 2004-04-22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CNB2004100457530A CN1319403C (zh) 2003-07-21 2004-05-21 显示通信中功能的方法和通信终端设备
DE202004021896U DE202004021896U1 (de) 2003-07-21 2004-07-01 Kommunikationsendgerätvorrichtung zur Anzeige von Funktionen während der Kommunikation
EP04015495.7A EP1501264B1 (en) 2003-07-21 2004-07-01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s during communication
EP13189115.2A EP2688273B1 (en) 2003-07-21 2004-07-01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US14/248,993 US9191491B2 (en) 2003-07-21 2014-04-09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US14/755,421 US11336764B2 (en) 2003-07-21 2015-06-30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49A KR100713428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609A KR20050010609A (ko) 2005-01-28
KR100713428B1 true KR100713428B1 (ko) 2007-05-04

Family

ID=3348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849A KR100713428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50020306A1 (ko)
EP (2) EP1501264B1 (ko)
KR (1) KR100713428B1 (ko)
CN (1) CN1319403C (ko)
DE (1) DE202004021896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3210A3 (en) * 2005-08-12 2008-09-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8195220B2 (en) * 2008-02-01 2012-06-05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7662501B2 (en) * 2008-06-30 2010-02-16 Intel Corporation Transpiration cooling and fuel cell for ultra mobile applications
KR101866272B1 (ko) * 2011-12-15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CN107094199A (zh) * 2016-02-17 2017-08-25 纬创资通(中山)有限公司 在通话中分享连串数字的方法与通信装置
ES2839885T3 (es) * 2016-10-05 2021-07-06 Loefholm Haakan Johan Ayuda al marcar para un usuario
US20220309424A1 (en) * 2021-03-23 2022-09-29 Citrix Systems, Inc. Display of resources based on contex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671A (ko) * 2000-06-12 2001-12-20 서평원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KR20020019132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항목 설정 및 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394A (en) * 1996-02-06 1998-04-07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JP3606498B2 (ja) * 1996-04-26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GB2314726B (en) * 1996-06-28 2000-07-12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US6317593B1 (en) * 1996-08-12 2001-11-13 Gateway, Inc.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US6396531B1 (en) * 1997-12-31 2002-05-28 At+T Corp. Set top integrated visionphone user interface having multiple menu hierarchies
US6157379A (en) * 1998-05-21 2000-12-05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of formatting a list for display on a touchscreen
GB2347315A (en) * 1999-02-22 2000-08-30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phone with multiple function key for accessing a menu
US6389277B1 (en) * 1999-02-25 2002-05-14 Denso Corporation Cellular call mode determining device
US6791586B2 (en) * 1999-10-20 2004-09-14 Avaya Technology Corp. Dynamically autoconfigured feature browser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7096010B2 (en) * 2000-11-30 2006-08-22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executing features in a personal wireless handset
GB2370454B (en) * 2000-12-20 2005-06-2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6907276B2 (en) * 2001-03-21 2005-06-14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KR100383610B1 (ko) * 2001-06-04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US7231208B2 (en) * 2001-10-17 2007-06-12 Palm, Inc. User interface-technique for managing an active call
US7092495B2 (en) * 2001-12-13 2006-08-15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JP3757169B2 (ja) 2002-01-17 2006-03-2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交換システム及び交換方法
US7787908B2 (en) * 2002-03-19 2010-08-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ll display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40198427A1 (en) * 2002-05-21 2004-10-07 Kimbell Benjamin D. System and method for incoming communication management for a cummunication device
US6879828B2 (en) * 2002-09-09 2005-04-12 Nokia Corporation Unbroken primary connection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s services
US6839417B2 (en) * 2002-09-10 2005-01-04 Myriad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onference call management
US7295852B1 (en) *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671A (ko) * 2000-06-12 2001-12-20 서평원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KR20020019132A (ko) * 2000-09-05 2002-03-12 홍경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항목 설정 및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1053A1 (en) 2014-08-07
US9191491B2 (en) 2015-11-17
CN1319403C (zh) 2007-05-30
KR20050010609A (ko) 2005-01-28
US11336764B2 (en) 2022-05-17
DE202004021896U1 (de) 2012-05-02
EP2688273B1 (en) 2016-09-14
US20050020306A1 (en) 2005-01-27
EP2688273A1 (en) 2014-01-22
EP1501264A3 (en) 2010-06-16
US20150304486A1 (en) 2015-10-22
EP1501264A2 (en) 2005-01-26
EP1501264B1 (en) 2014-01-15
CN1578514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75B1 (ko) 통신기기
JP4538000B2 (ja) 階層メニュー内のメニューアイテム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イベントリストメニュー
US1133676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2001005966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KR100793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정보 공유 방법
KR1011081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1004426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JPH08228236A (ja) 電話システム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100413625B1 (ko) 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제한방법과, 착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착신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663426B1 (ko)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KR100717120B1 (ko) 숫자이외의 데이터 입력을 통한 전화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7390B1 (ko)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수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10138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970614B1 (ko) 사용자 설정메뉴 디스플레이방법
KR1005823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착발신 이력 목록을 이용한메시지의 나열 방법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KR200400670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삭제 방법
KR20050072982A (ko) 수신자 상황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236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JP2001243146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ホームページ接続方法及び該接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20060055237A (ko) 최근 문자 메시지 정보가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17426A (ko) 통신내역 및 알림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518

Effective date: 200612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