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426B1 -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426B1
KR100663426B1 KR1020000081388A KR20000081388A KR100663426B1 KR 100663426 B1 KR100663426 B1 KR 100663426B1 KR 1020000081388 A KR1020000081388 A KR 1020000081388A KR 20000081388 A KR20000081388 A KR 20000081388A KR 100663426 B1 KR100663426 B1 KR 10066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ms
user
area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113A (ko
Inventor
허윤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4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SMS 메시지 작성 중에 상기 SMS 메시지 작성을 중단해야 할 인터럽트의 발생으로 인해 작성 완료되지 않은 SMS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보류함 영역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까지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럽트, SMS

Description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수행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MPROVED SMS FUNCTION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럽트 발생시에도 작성중 SMS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SMS 기능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고 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SMS 메시지의 저장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 기술의 급진적인 발달과 이동통신 가입자의 증가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더 많은 가입자 를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가 있다. SMS는 미리 설정된 용량의 문장을 통신 단말기간에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SMS는 양방향 무선 호출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간단한 문자 수신, 음성 사서함 알림, 문자 전송 등이 가능하여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구현된 SMS 기능의 이용을 통해 필요한 메시지를 원하는 상대측으로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SMS 기능은 상기 단말기가 가입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의 지원이 있어야 하며 동시에 단말기 자체에 있어서도 필요한 메시지의 입력 및 편집, 그리고 발신할 수 있는 기능의 구현이 이루어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SMS 기능에 있어서 메시지 저장을 위한 폴더가 수신 메시지 및 발신 메시지에 대해 2개만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SMS 메시지 작성 도중에 다른 인터럽트, 예컨대 통화 착신, 메시지 수신 등을 할 경우에는 작성중인 SMS 메시지가 임시 저장되지 않았다. 특히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작성 중 알람 시간이 되어 알람이 울리거나 전화가 걸려온 경우 작성중인 SMS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인터럽트가 걸리기 전까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작성해 놓은 SMS 메시지가 유실되어 버렸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한 후 원하는 착신 전 화번호로 전송할 때 외부 환경 요인으로 전송 실패하였을 경우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기함 폴더가 구현되어 있지 않아 발신함 폴더에 이 작성된 메시지가 임시 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그에 따라 전송 실패 후 발신함 폴더에 저장하기 전에 전술한 인터럽트가 걸리게 되면 작성해 놓은 메시지 전문을 유실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을 완료한 후 전송 실패하여 메시지가 발신함에 저장된 경우에도 발신함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중 전송 실패한 메시지를 검색하여 불러내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이동 통신 단말기의 SMS 기능은 수신함 및 발신함 폴더에서 메시지가 삭제된 경우 한번 삭제된 메시지는 사용자가 복구하고자 해도 복원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하거나 수신된 SMS 메시지중 개별적으로 따로 관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어도 다른 일반적인 메시지와 함께 수신함 및 발신함 폴더에 저장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의 작성중 소정의 인터럽트가 발생하더라도 작성중인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SMS 기능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MS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 기에 있어서, SMS 메시지 작성 중에 상기 SMS 메시지 작성을 중단해야 할 인터럽트의 발생으로 인해 작성 완료되지 않은 SMS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보류함 영역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까지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모리(120)는 수신함 영역(121), 발신함 영역(122), 대기함 영역(123), 보류함 영역(124), 휴지통 영역(125) 및 사용자 정의 영역(126)으로 이루어진다. 수신함 영역(121)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SMS 메시지를 저장한다. 발신함 영역(122)은 이동 통신 사용자가 차후 송신하고자 작성하여 둔 SMS 메시지나 이미 기지국으로 발신된 SMS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수신함 기능 및 발신함 폴더는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SMS 기능의 폴더로서 수신함 및 발신함 폴더에 추가하여 대기함 폴더, 보류함 폴더, 휴지통 폴더 및 사용자 정의 폴더를 포함한다. 이들 본 발명에 따른 각 폴더는 메모리(120)에 해당 영역을 갖는 다.
대기함 영역(123)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한 후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외부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해 전송 실패한 경우 임시로 저장한다. 이때 대기함 영역(123)에 저장되는 SMS 메시지는 그 전송하고자 하는 착신측 전화 번호도 함께 저장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기함 영역에 저장된 메시지의 전송을 재시도하거나 차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대기함 영역(123)에 SMS 메시지가 하나 이상일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SMS 메시지를 한번에 착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류함 영역(124)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도중 소정의 인터럽트 예컨대, 통화 호출 또는 SMS 메시지 수신 등이 발생하면 작성중인 SMS 메시지가 저장된다. 또한, 보류함 영역(124)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한 후 발신함 영역에 저장하기 전에 전술한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 SMS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 후 인터럽트가 종료하면, 제어부(100)는 보류함 영역(124)에 저장하여 둔 작성중 SMS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계속해서 SMS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계속해서 SMS 메시지를 작성하지 않으면 차후 보류함 영역(124)으로부터 이 작성중 SMS 메시지를 불러낼 수 있으며, 만약 SMS 메시지를 작성 완료하였으면 통상의 SMS 메시지 전송 절차에 따라 착신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지통 영역(125)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 또는 발신한 메시지 를 삭제한 경우, 삭제된 SMS 메시지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실수로 삭제하였거나 또는 삭제한 메시지를 복구하고자 하는 경우 이 휴지통 영역(125)에 저장된 메시지를 불러내어 재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휴지통 폴더는 저장된 메시지를 모두 삭제하는 소위 "휴지통 비우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휴지통 폴더는 저장한 메시지를 일정 시간 지난 후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영역(126)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하거나 수신한 단문 SMS 메시지중 개별적으로 따로 관리하고 싶은 메시지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개인적이거나 개별 관리하길 원하는 메시지를, 발신함에 저장되어 있는 일반적인 메시지와 구별하여 이 사용자 정의 영역(126)에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검색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 즉 키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 및 그 선택을 위한 것이다. 표시부(13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단축메시지 편집 과정을 표시한다.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응답하여 후술하는 도 3과 같이 수신함, 발신함, 대기함, 보류함, 휴지통 사용자 정의 폴더가 표시부(130)에 표시되게 하고, 이 표시된 폴더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감지하면 메모리(120)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고,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 삭제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럽트 발생시에도 작성중 SMS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모드 입력에 따라 메시지 전송 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는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편집하여 착신측에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계 220에서 키입력부(110) 또는 적절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의 작성이 개시된다.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에 통화 호출 또는 알람 등의 인터럽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럽트는 SMS 메시지 작성 작업보다 높은 우선권을 가지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는 SMS 기능 모드에 설정되어 있더라도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SMS 메시지 작성 모드의 설정이 해제되고 통화 호출 수신 모드 또는 알람 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는 통화 호출을 수신하거나 알람을 들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단계 230에서 인터럽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으면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작성중인 SMS 메시지를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124)에 저장한다. 이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단계 250에서 인터럽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인터럽트가 종료하였으면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에 저장된 작성중 SMS 메시지를 표시부(130)로 불러온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작성중이던 SMS 메시지를 계속하여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0)는 단계 270에서 인터럽트 발생 전에 작성중이던 미완성 SMS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계속 작성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작성중 SMS 메시지를 계속 작성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제 어부(100)는 단계 280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된 SMS 메시지를 착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상의 처리를 행한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SMS 기능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SMS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30)에 수신함 폴더, 발신함 폴더, 대기함 폴더, 보류함 폴더, 휴지통 폴더, 사용자 정의 폴더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폴더중 원하는 폴더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SMS 메시지 작성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SMS 메시지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작성중 SMS 메시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20)의 보류함 영역(124)에 저장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발생한 인터럽트가 종료하면 자동으로 보류함 영역(124)에 저장되어 있는 미완성 SMS 메시지를 표시부(130)로 불러온다. 이 때 사용자가 미완성 SMS 메시지를 작성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 이 미완성 SMS 메시지는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124)에 계속 저장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류함 폴더를 선택하게 되면, 이전에 인터럽트 발생에 의해 작성 완료되지 않은 메시지를 불러 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여도 작성중인 미완성 메시지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인터럽트 발생 직전까지 작성한 SMS 메시지를 유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비해 메시지의 특성에 따라 저장 영역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더 편리하게 작성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도중 인터럽트가 발생하더라도 작성중이던 SMS 메시지를 유실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SMS 기능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SMS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SMS 메시지 작성 중에 상기 SMS 메시지 작성을 중단해야 할 인터럽트의 발생으로 인해 작성 완료되지 않은 SMS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보류함 영역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까지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의 보류함 영역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는 통화 호출, 알람 및 메시지 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수신함 영역, 발신함 영역, 전송 실패한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대기함 영역, 삭제된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휴지통 영역, 및 사용자에 의해 별도로 관리되는 SMS 메시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의 영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SMS 기능 표시 요구 및 그 선택에 응답하여 SMS 기능의 수신함 폴더, 발신함 폴더, 대기함 폴더, 보류함 폴더, 휴지통 폴더 및 사용자 정의 폴더가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고, 상기 표시된 폴더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을 감지하면 상기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SMS 메시지를 각각 표시하고 저장하는 표시부 및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SMS 메시지 작성 중에 상기 SMS 메시지 작성을 중단해야 할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까지 작성된 SMS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럽트가 종료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SMS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럽트 발생시 SMS 메시지 저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는 통화 호출, 알람 및 메시지 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럽트 발생시 SMS 메시지 저장 방법.
KR1020000081388A 2000-12-23 2000-12-23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KR10066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88A KR100663426B1 (ko) 2000-12-23 2000-12-23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388A KR100663426B1 (ko) 2000-12-23 2000-12-23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113A KR20020052113A (ko) 2002-07-02
KR100663426B1 true KR100663426B1 (ko) 2007-01-02

Family

ID=2768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388A KR100663426B1 (ko) 2000-12-23 2000-12-23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97B1 (ko) * 2001-10-29 2004-03-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작업 중이던 사용자 작업 데이터자동 저장 및 로딩 방법
KR100700586B1 (ko) 2005-07-2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188B1 (ko) * 2005-08-23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113A (ko)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JP3288050B2 (ja) 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着信通知方法
KR10079243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이력을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100247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메일 메시지를 검색하는 장치및 방법
US1133676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US200600145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unifying multiple messages and method thereof
KR100663426B1 (ko) 개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수행 방법
KR100541495B1 (ko)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5944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운용 방법
KR20010058752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US20010011020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nd reflecting message by us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in a portable digital phone
JP2001177624A (ja) 携帯電話の電話帳情報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方式
KR20100133804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2192295B1 (ko) 통화 처리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05838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1715064B1 (ko)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를 위한 모바일단말 및 그의 동작방법, 모바일단말의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를 도와주는 메시지 서버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JP2004147070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電子メール検索方法
JP2003219469A (ja) 携帯型通信端末及び着信転送方法
JP2004086329A (ja) 同報メール送信失敗時再編集方式および方法
KR100706124B1 (ko)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464800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다중 선택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