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671A -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671A
KR20010111671A KR1020000032240A KR20000032240A KR20010111671A KR 20010111671 A KR20010111671 A KR 20010111671A KR 1020000032240 A KR1020000032240 A KR 1020000032240A KR 20000032240 A KR20000032240 A KR 20000032240A KR 20010111671 A KR20010111671 A KR 2001011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nu
memory
phone numb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131B1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3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131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통화접속을 종료하지 않고도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재차 특정 버튼이 눌리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하여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재차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특정 버튼이 세 번째 눌리면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대측으로 송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버튼 이외의 버튼입력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메뉴선택이 '2'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번지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선택이 '3'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이름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메뉴선택이 기타의 번호일 때에는 추가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여, 통화중에도 호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메모리내 각종 정보를 검색/송출할 수 있어 운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재통화에 의한 통화료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Method for data searching without calling off in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휴대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검색할 수 있는 전화번호는 자신의 전화번호만으로 한정되어 있어 타인의 전화번호 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는 통화접속을 끊고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재통화를 시도하여야만 했던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통화중에도 저장된 전화번호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운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에 적당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운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는 운용자에 의한 정보의 저장 검색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운용과 관련된 각종 기능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통화접속시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통화시간 그리고 송수신되는 음성 및 문자메시지의 저장 등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이동성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되므로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운용되는 유선전화기에 비해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의 기능은 더욱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메모리를 구비하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정보의 저장 및 검색기능의 효율성 및 편리성은 중요하게 된다.
이하, 일반적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의 저장 및 검색기능에 관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먼저, 도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검색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b는 종래기술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통화대기중 검색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화중 검색방법은,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출력되는단계(ST11~ST13)와; 상기 단계(ST11~ST13)를 수행하여 자신의 전화번호가 출력되면, '검색'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자신의 전화번호를 송출하게 되는 단계(ST14~ST15)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화대기중 검색방법은,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대기 상태에서 '검색' 버튼을 누르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ST21~ST23)와; 상기 단계(ST21~ST23)를 수행하여 메뉴가 표시되면, 사용자의 메뉴선택이 '2'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번지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선택이 '3'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이름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메뉴선택이 기타의 번호일 때에는 추가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ST24~ST27)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구성에서 통화중에 검색하는 방법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인 환경에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상대방에게 송출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경우에 이용된다. 즉, 통화중에(ST11) 단말기의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ST12) 액정표시장치에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ST13),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차 '검색' 버튼을 누름으로써(ST14) 자신의 전화번호를 상대측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ST15).
즉, 통화중에 상대측으로 송출할 수 있는 전화번호는 자신의 단말기에 부여된 전화번호이며, 또한 통화중에 검색할 수 있는 정보도 자신의 전화번호에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정보의 검색기능이 제한되는 통화중 상태에 비해 통화대기 상태에서는 보다 다양한 검색기능이 제공된다. 이때 통화대기 상태에서 정보의 저장 및 수정의 기능이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대기 상태에서(ST21)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ST22),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ST23). 단말기의 운용자가 상기 표시된 메뉴중에서 하나의 메뉴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항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보검색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메뉴항목의 선택은 버튼의 입력에 의해 수행된다(ST24~ST25).
상기에서 메뉴항목의 선택을 위한 버튼입력이 '2'인 경우에는(ST24)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번지(Address)에 따라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ST25), 상기 버튼입력이 '3'인 경우에는(ST26) 메모리를 '이름목록'으로 검색하여 특정의 이름이 선택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ST27), 상기 버튼입력이 '2'나 '3' 이외의 번호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색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ST28).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방법은, 통화대기 상태에서 검색가능한 정보는 다양하지만 통화중인 상태에서 검색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는 자신의 전화번호만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메모리로부터 제3자의 전화번호나 기념일 등의 정보를 검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전화번호 이외의 정보를 검색할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통화접속을 끊어 통화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목적한 정보를 검색하여 인지한 후 재차 상대측과 통화접속하여 상기 검색한 정보를 통지하여야만 하므로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통화접속이 유발되어 통화료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통화접속을 종료하지 않고도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운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재차 특정 버튼이 눌리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하여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재차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특정 버튼이 세 번째 눌리면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대측으로 송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버튼 이외의 버튼입력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메뉴선택이 '2'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번지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선택이 '3'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이름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메뉴선택이기타의 번호일 때에는 추가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a는 종래기술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검색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b는 종래기술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통화대기중 검색방법의 흐름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절한 일실시예는,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재차 '검색' 버튼이 눌리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ST30~ST33)와; 상기 제1 단계(ST30~ST33)를 수행하여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재차 '검색'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세 번째의 '검색'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가 상대측으로 송출되는 제2 단계(ST34~ST36)와; 상기 제1 단계(ST30~ST33)에서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검색' 버튼 이외의 버튼입력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메뉴선택이 '2'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번지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선택이 '3'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이름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메뉴선택이 기타의 번호일 때에는 추가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단계(ST37~ST41)와; 상기 제3 단계(ST37~ST41)를 수행하여 일정한 전화번호가 표시되면 단말기의 '검색'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가 상대측으로 송출되는 제4 단계(ST42~ST43)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구성은 통화중에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통화대기 상태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통화대기 상태에서의 정보검색기능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지만, 이러한 설명의 생략으로 본 발명이 통화대기 상태에서의 검색기능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인 환경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제3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대방에게 송출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경우에 이용된다(ST30). 즉, 통화중인 상태에서 단말기의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ST31) 메모리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메뉴가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다(ST32).
그러면 단말기의 운용자는 상기 표시된 메뉴항목의 하나를 선택하거나 '검색'버튼을 재차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T33).
상기에서 재차 '검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ST33), 종래기술의 통화중 검색기능과 유사하게 동작하게 된다(ST34~ST36). 즉, 상기의 '검색'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ST33)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ST34), '검색' 버튼을 세 번째 누르게 되면(ST35) 상기 표시된 자신의 전화번호가 상대측으로 전송되는 것이다(ST36).
그리고 상기 제1 단계(ST30~ST33)에서 메뉴가 표시되었을 때 '검색' 버튼이눌리지 않고 상기 표시된 메뉴항목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입력이 있게 되면(ST33), 종래의 통화대기중 검색기능을 일부를 수행하게 된다(ST37~ST41). 즉, 제1 단계(ST30~ST33)에서의 메뉴항목의 선택을 위한 버튼입력이 '2'인 경우에는(ST37)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번지에 따라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ST38), 상기 버튼입력이 '3'인 경우에는(ST39) 메모리를 '이름목록'으로 검색하여 특정의 이름이 선택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ST40), 상기 버튼입력이 '2'나 '3' 이외의 번호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색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ST41).
상기와 같이 메뉴항목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메모리의 해당 전화번호가 표시되면(ST37~ST41), 단말기의 '검색'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ST42)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가 상대측으로 송출된다(ST43).
이처럼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검색'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활성화하고, 상기 메뉴 표시후 수행되는 버튼입력에 따라 자신의 전화번호 표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검색 및 표시 기능을 각각 제공하며, '검색' 버튼을 재차 누르는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상대측으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통화중에 자신의 전화번호 이외의 정보를 상대측으로 송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대방과의 호접속을 종료하고 통화대기상태로 전환한 후 검색하여 재차 통화접속하여 상기 검색된 정보를 송출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통화중에도 호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하여 상대측으로 송출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운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재통화에 의한 통화료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의 운용자가 통화중에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고 재차 특정 버튼이 눌리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하여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운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지 않고 재차 특정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특정 버튼이 세 번째 눌리면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대측으로 송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버튼 이외의 버튼입력이 수행되면, 사용자의 메뉴선택이 '2'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번지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선택이 '3'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이름목록'에 의한 전화번호 검색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메뉴선택이 기타의 번호일 때에는 추가기능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여 일정한 정보가 표시되면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를 상대측으로 송출하는 제4 단계를 더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은,
    단말기에 구비된 '검색' 버튼만으로 한정하여 운용자의 버튼입력을 간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KR1020000032240A 2000-06-12 2000-06-12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KR10032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40A KR100325131B1 (ko) 2000-06-12 2000-06-12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40A KR100325131B1 (ko) 2000-06-12 2000-06-12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71A true KR20010111671A (ko) 2001-12-20
KR100325131B1 KR100325131B1 (ko) 2002-02-25

Family

ID=4593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240A KR100325131B1 (ko) 2000-06-12 2000-06-12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43B1 (ko) 2005-04-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폰 번호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KR100713428B1 (ko) * 2003-07-2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866043B1 (ko) * 2002-09-26 200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통화중 전화번호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610B1 (ko) * 2001-06-04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43B1 (ko) * 2002-09-26 2008-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통화중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713428B1 (ko) * 2003-07-2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중 기능을 표시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US9191491B2 (en) 2003-07-21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US11336764B2 (en) 2003-07-2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100703343B1 (ko) 2005-04-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폰 번호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5131B1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722B2 (en) Integrated handheld computing and telephony device
US858885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JP200124324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表示方法及び該表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06861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7171236B2 (en) Call service method for a cellular phone
US20150304486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100325131B1 (ko)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에 정보를 검색하는방법
KR20000056151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3006802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004592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US20040066415A1 (en) Method of implementing a soft input panel interface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0400730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JP3686864B2 (ja) 移動無線端末
KR20030009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200784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수신시 단문 메시지 저장 방법
KR200200546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KR20000059719A (ko)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통신용 단말기 시스템
KR100621997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300126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연결방법
KR100269136B1 (ko) 자동응답기능을갖는전화기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JP2001243146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ホームページ接続方法及び該接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20050119580A (ko) 문자 메시지의 회신번호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