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038B1 -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038B1
KR100712038B1 KR1020030049847A KR20030049847A KR100712038B1 KR 100712038 B1 KR100712038 B1 KR 100712038B1 KR 1020030049847 A KR1020030049847 A KR 1020030049847A KR 20030049847 A KR20030049847 A KR 20030049847A KR 100712038 B1 KR100712038 B1 KR 10071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haracter body
character
region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292A (ko
Inventor
펑 메이
Original Assignee
펑 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펑 메이 filed Critical 펑 메이
Publication of KR2004001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자획 영역들을 갖는 비-철자 언어 폰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 및/또는 윤곽선들을 각각의 자획 영역들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각 자획 영역내의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벡터 도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다음 자획 영역들 또는 부수 부분 및 비 부수 부분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 및/또는 윤곽선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는 상기 자획 순서 및 모방 방향 및/또는 상기 부수 부분, 및/또는 주로 모양에 근거하고 상기 문자의 음에 근거하지 않는 컴퓨터 한자 입력 방법들의 한자 요소 코드-획득 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단일 블록 내부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computer fonts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도 1은 본 발명의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다음 자획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자획 영역의 그레이스케일들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획 순서를 설정하고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부수를 설정하고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 및 부수 모두가 표시되는 본 발명의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문자 코드 부분들 및 비-문자 코드 부분이 표시되는 본 발명의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복잡한 자획 순서 편집 방법 및 본 발명의 자획 순서 및 컴퓨터 문자 패턴의 실제 예들간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코드의 설명>
10...문자 또는 문자 본체, 11, 21...자획 영역,
12, 22...윤곽선, 13, 23...머리단,
14, 24...꼬리단, 15, 25...벡터 도트,
100...부수 부분, 100'...비-부수 부분.
본 발명은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다음 자획 영역들 또는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또는 비록 색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따라서 프린팅 장치 또는 기계에 의해서 실제로 제어되지만 상기 폰트 자체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지라도 어떤 색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들 및/또는 윤곽선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는 상기 자획 순서 및 모방 방향 및/또는 상기 부수 부분, 및/또는 주로 모양에 근거하고 상기 문자의 음에 근거하지 않는 컴퓨터 한자 입력 방법들의 한자 요소 코드-획득 원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단일 블록 내부에 배열된다.
중국어 문자들, 즉 한자 쓰기를 배울 때,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 및 부수를 아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 및 부수를 이해하는 것은 한자를 배우는데 기본적이고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손으로 쓰는데 있어서, 상기 자획 순서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빠르고 소홀하게 쓴 후에 다른 사람들이 상기 한자를 식별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상기 부수의 중요성은 상기 부수가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구조를 배우는데 있어서 학습자를 도와준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수는 상기 학습자가 사전에서 단어를 찾는 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종래의 자획 순서 교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들의 수에 따라, 몇몇 블록들 및 상기 블록들 내부의 몇몇 분할된 문자들이 상기 자획 순서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가 총 15개의 자획을 갖는 경우, 15개의 블록들내의 15개의 분할된 문자 본체들이 각각 평면도상에서 사용된다. 다음 블록내의 상기 분할된 문자의 자획들은 최종 앞 블록의 자획들보다 하나 더 많다. 이것은 한자의 자획 순서를 보여줄 수 있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가 30개의 자획을 갖는 경우,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나타내기 위하여 30개의 블록들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0개의 블록들은 상기 평면도 또는 매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할 것이다. 더욱이, 학습자는 상기 30개의 분할된 문자 본체들을 읽는 것을 끝낸 후에만 하나의 한자의 자획 순서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매우 참을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모방하는 것은 불편하다. 교사에 관하여,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1. 교사가 상당한 양의 도면들 또는 평면 매체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평면 매체를 발행하고, 편집하며 배치하는 것은 매우 성가신 일이다.
2. 학습자가 자획 순서를 알기 위해 모든 문자들을 설명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다. 또한, 학습자가 정확한 자획 순서로 한자를 쓴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하나의 단일 한자가 너무 많은 블록들을 차지할 너무 많은 자획들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학습자(특히, 어린이)는 단지 상기 문자들을 손으로 쓰는 것을 완료하려고 단순히 시도할 할 것이고 상기 한자의 자획 순서를 부주의하고 고의적으로 무시할 것이다.
다른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한자의 자획 순서는 숫자 또는 아라비아 숫자들을 가지고 각 자획들을 표시함으로써 표시된다. 또한, 다수의 선들 및 화살표들이 상기 자획들의 방향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들 및 화살표들은 아마도 서로 무작위적으로 교차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숫자들은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복잡하게 할 것이고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가 작은 경우 식별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한자를 보고 배우기는 것은 어렵다.
한자들의 부수들을 판단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교사는 종종 우선 부수를 예시한 후 학습자가 암기하고 암송하도록 동일한 부수를 갖는 몇몇 한자들을 열거한다. 대안적으로, 교사는 학습자가 암기하도록 한자의 부수를 하나씩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학습 효과는 낮고 학습자는 암기한 후 상기 부수를 잊어버리기 쉽다.
전통적인 한자는 한자의 최소 구조 단위들인 요소들로 구성된 결합 문자이다. 예를 들어,
Figure 112006014986389-pat00037
Figure 112006014986389-pat00038
,
Figure 112006014986389-pat00039
,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0
,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1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2
의 5개의 요소들로 구성된 결합 문자이다. 다양한 복잡한 상태가 존재할지라도, 이들 요소들은 그 숫자가 일반적으로 약 30개인 서양 철자 단어들의 알파벳들과 여전히 유사하다. 일본어에 있어서, 약 백개의 비-한자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존재한다. 한자들은 약 8백개의 요소들을 갖는다. 그러므로, 한자들의 구조들은 매우 복잡하다고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부수들 및 상기 요소들간의 관계는 논의될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한자들의 8백개 요소들중에서, 약 250개의 요소들 또는 그것들의 조합은 실질적으로 한자들을 분류하기 위한 부수들 역할을 한다. 상기 분류는 주로 사전 또는 분류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판단하거나 암기하기 어려운 매우 복잡한 부수들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은 모든 한자의 부수들을 거의 완전하게 이해하거나 암기할 수 없다. 이것은 사전에서 단어를 찾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자의 자획 순서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자의 부수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한자 입력 방법의 코드-획득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자의 자획 순서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상이한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 및/또는 윤곽선들을 상기 각 자획 영역들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배치에 따라 각 자획 영역내의 소정 위치에 벡터 도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배치에 따라,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음 자획 영역이 이전의 자획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다음 자획 영역들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는 상기 자획 순서 및 모방 방향 양자를 보여주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단일 블록내에 배열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자의 부수를 보여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모든 상이한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두개의 상이한 스케일의 윤곽선, 및/또는 심지어 두개의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사용하여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은 구별되는, 상이한 윤곽선들 및/또는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로 모양에 기반하지만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3
또는 五碼 입력 방법등과 같이 상기 문자의 음에 기반하지 않는 컴퓨터 한자 입력 방법들의 한자 요소 코드-획득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는 상기 한자 코드 요소 부분 및 상기 비-코드 요소 부분으로 정의된다. 상기 한자 코드 요소 부분 및 상기 비-코드 요소 부분의 자획 영역들은 두개의 상이한 윤곽선들, 및/또는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갖는다. 더욱이, 몇몇 코드 요소들을 지닌 상기 코드 요소 부분의 윤곽선들, 및/또는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은 상기 코드 요소들 및 그것의 획득 순서에 따라 상이한 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갖는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해, 학습자는 상이한 컴퓨터 한자 입력 방법에 의해 정의된 상기 한자코드 요소를 배우고 암기할 수 있으며 모든 한자의 컴퓨터 입력시 상기 코드 요소의 순서를 획득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다음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을 통해 최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문자 자획 순서/부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4
(10)가 예시된다)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11) 및 상기 자획 영역(11)을 정의하는 윤곽선(12)을 포함한다. 각 자획 영역(11)은 머리단(13) 및 꼬리단(14)을 갖는다. 더욱이, 각 자획 영역(11)은 상기 머리단(13)의 소정의 위치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벡터 도트(vector dot)(15)를 구비하여 상기 자획 영역(11)의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머리단(13) 및 상기 꼬리단(14) 사이의 상대적인 자획 이동 방향이 생성되어, 하나의 단일 자획의 모방 방향을 용이하게 나타낸다.
더욱이, 단일 한자의 상이한 요소들간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의 상이한 요소들에 상이한 크기의 벡터 도트들(15)이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요소들 간의 왼 (위, 바깥) 쪽에서 오른 (아래, 안) 쪽으로의 전통적인 자획 순서 원리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0.6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몇몇 자획 영역들(11)의 몇몇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2 요소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1.0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몇몇 자획 영역들(11)의 몇몇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3 요소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1.5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몇몇 자획 영역들(11)의 몇몇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4 요소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시 0.6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몇몇 자획 영역들(11)의 몇몇 등급의 색과 협력한다. 상기 과정이 반복해서 순환되고, 그것에 의해 많아야 30 몇 자획들을 갖는 모든 한자들이 충분히 표시될 수 있다.
이제,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5
이 예시된다. 제1 요소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6
의 3개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0.6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3개의 자획 영역들(11)의 3개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2 요소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7
의 7개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1.0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7개의 자획 영역들(11)의 7개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3 요소 ,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8
의 6개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1.5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6개의 자획 영역들(11)의 6개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그 다음, 제4 요소
Figure 112006014986389-pat00049
의 6개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시 0.6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6개의 자획 영역들(11)의 6개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마지막으로, 제5 요소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0
의 3개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1.0 포인트의 벡터 도트(15)가 3개의 자획 영역들(11)의 3개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과 협력한다. 따라서,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1
의 5개의 요소들의 25개의 자획 순서가 완전히 표시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방법은 상이한 상황들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문자의 왼 (위, 바깥) 쪽에서 오른 (아래, 안) 쪽으로 요소들의 자획 순서들이 명백하고 그만큼 많은 자획들이 없는 경우, 0.6 포인트 벡터 도트(15)가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될 수 있다. 한자가 적은 자획들을 갖는 경우, 0%, 20%, 50% 및 100%의 단지 4 그레이스케일들이 등급들 간의 차이를 확대하고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아야 10 등급의 자획 영역(11) 및 많아야 3 크기의 벡터 도트(15) 간의 협력에 의하여, 모든 한자들의 자획 순서들 및 요소 순서들이 충분히 명백하게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자획 영역(21)은 제1 자획 영역(11)과 중첩되거나 제1 자획 영역(11)을 덮지 않으면서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다음 자획 영역(21)을 나타낸다. 제1 자획 영역(11)과 유사하게, 다음 자획 영역(21)은 상기 다음 자획 영역(21)을 정의하는 윤곽선(22)을 갖는다. 각 다음 자획 영역(21)은 머리단(23) 및 꼬리단(24) 및 벡터 도트(25)를 갖는다. 도 1과 비교하여, 도 2에서는 다음 자획 영역(21)이 제1 자획 영역(11)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X)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자획 영역(21)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X)이 제1 자획 영역(11)의 그레이스케일보다 더 진하거나 더 엷어야 하거나, 다음 자획 영역(21)의 색이 제1 자획 영역(11)의 색과 상이해야 하도록 조정된다.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11, 21)의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스케일(X)이 상기 그레이스케일의 해상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도트의 밀도 및 크기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이한 해상도를 갖는 상이한 출력 장치들은 상이한 식별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보통 사용되는 600 내지 1200 DPI 레이저 프린터 또는 잉크젯 로우-엔드 출력 프린팅 장치가 상기 그레이스케일(X)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0%, 3%, 8%, 20%, 35%, 50%, 75% 및 100%의 그레이스케일들의 적어도 8 등급의 색이 분명하게 표시될 수 있거나, 0%, 3%, 8%, 20%, 30%, 40%, 50%, 65%, 80% 및 100%의 그레이스케일의 10 등급의 색이 분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1200 내지 3600 DPI 또는 심지어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세터, 플레이트세터 또는 디지털 프레스 등의 하이-엔드 이미지 출력 장치가 상기 그레이스케일(X)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0%, 5%, 15%, 20%, 30%, 40%, 50%, 60%, 70% 및 80%의 그레이스케일의 적어도 10 이상 등급의 색이 분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벡터 도트들(15, 25)은 0.6 포인트, 1.0 포인트 및 1.5 포인트 점들 또는 다른 유사한 표시들 및 그것의 반전 색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상기 벡터 도트의 반전 색은 배경 그레이스케일이 50%를 넘는 경우 사용된다.) 문자(10)의 각각의 자획 영역들(11, 21)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에 의해 표시된다. 원칙적으로, 자획 순서는 왼 (위, 바깥) 쪽에서 오른 (아래, 안) 쪽으로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의 벡터 도트(15, 25)가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상이한 요소들에 사용된다. 자획 영역들(11, 21)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자획 순서 및 요소 순서가 완전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흐름도이고,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자획 영역들(11, 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er), 인디자인(Indesign), 프리핸드(Freehand), 코렐 드로우(Corel Draw) 등과 같은 컴퓨터 레이아웃 및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대략 0 포인트의 윤곽선을 갖는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b)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다수의 자획 영역들(11, 21)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대략 0 포인트의 윤곽선(12, 22)이 자획 영역들(11, 21)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c) 요소들의 배치에 따라 또는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왼 (위, 바깥) 쪽에서 오른 (아래, 안) 쪽으로의 자획 순서 원리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11, 21)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자획 영역들(11, 21)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의 배열을 가지고 형성되는 단계; 및
(d) 각 자획 영역(11, 21)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고 꼬리단(14, 24)으로의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며 상이한 크기의 벡터 도트들(15, 25)에 의하여 상이한 요소들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배치에 따라 자획 영역들(11, 21)의 머리단(13, 23)에 벡터 도트들(15, 25)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문자의 상이한 요소들의 자획 순서는 벡터 도트들로서 사용가능한 0.6 포인트, 1.0 포인트 및 1.5 포인트 벡터 도트들 또는 다른 유사한 표시들 또는 그것의 반전 색으로 표시되고,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배치에 따라, 자획 영역들(11, 21)은 결합되거나, 중첩되거나 연결되어 그림 파일에 저장되는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형성하는 단계.
문자를 설정하고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는 블록에 배열되는 윤곽선(12, 22) 및 상이한 크기의 벡터 도트들(15, 25)을 포함한다. 자획 영역들(11, 21)은 자획 순서를 완전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그레이스케일들(X) 또는 색들을 갖는다. 이 방법은 학습자가 한자의 자획 순서를 빠르고 편리하게 배울 수 있게 하고 다음의 장점들을 갖는다.
1.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가 아무리 많은 자획들을 갖는다 하더라도,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는 자획 순서를 완전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를 갖는 동일한 블록에 표시될 수 있다. 종래 방법에 대비하여, 레이아웃 면의 상당한 양의 공간이 절약되고 학습자는 여전히 자획 순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2. 교사가 상당한 양의 도안, 테이블 또는 다른 유사한 평면 매체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사의 부담이 줄어든다.
3. 종래 방법에서의 성가신 편집 및 레이아웃 동작이 간단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최소화된다.
4.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한자는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몇 몇 분할된 문자들로 분할된다. 대안으로, 한자의 자획 순서는 각 자획들을 숫자들 또는 아라비아 숫자들을 가지고 표기함으로써 표시된다. 또한, 다수의 선들 및 화살표들이 자획들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종래 방법들에 존재하는 문제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5. 보다 중요하게는, 자획 순서 및 부수가 단지 하나의 단일 한자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므로, 한자 자획 순서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폰트들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편집, 레이아웃, 미디어 및 따라서 인쇄 비용을 크게 낮춘다. 더욱이, 미래에, 상기 방법은 사전, 교과서, 숙제용 책, 참고서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본 발명의 자획 순서 문자를 채용하는 실시예가 종래의 자획 순서 교습 방법과 비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자의 부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2
(10)가 예시된다)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11) 및 상기 자획 영역(11)을 정의하는 윤곽선(12)을 포함한다. 각 자획 영역(11)은 머리단(13) 및 꼬리단(14)을 갖는다.
다음 자획 영역(21)은 제1 자획 영역(11)을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중첩하지 않는다. 도 7은 다음 자획 영역(21)을 나타낸다. 제1 자획 영역(11)과 유사하게, 다음 자획 영역(21)은 상기 다음 자획 영역(21)을 정의하는 윤곽선(22)을 갖는다. 각 다음 자획 영역(21)은 머리단(23) 및 꼬리단(24)을 갖는다. 상기 제1 자획 영역(11) 및 상기 다음 자획 영역(21)은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3
의 부수(100)를 정의하기 위한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X)을 갖는다는 것을 도 7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부수(100)의 그레이스케일들(X)은 비-부수 부분(100')의 자획 영역들(11', 21')의 그레이스케일들(X)보다 더 진하거나 더 엷어야 한다. 대안으로, 부수(100)의 자획 영역들(11, 21)은 비-부수 부분(100')의 자획 영역들(11', 21')의 색과 상이한 색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윤곽선, 및/또는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에 따라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을 정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4
(10)의 비-부수 부분(100')은 상기 부수 부분(100)에 대한 상이한 윤곽선과 구별될 수 있다. 상기 부수 부분(100)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X)은 해상도 및 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도트의 밀도 및 크기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한자(10)의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은, 등급 0% 또는 10%를 가진 100 하지만 등급 100% 또는 50%를 가진 100'와 같이,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동일한 윤곽선 하지만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 및/또는 윤곽선에 의하여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5
(10)의 부수 부분(100)을 기억할 수 있다. 이것은 학습하는데 많은 시간을 절약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6
(10)의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의 윤곽선들(12, 22)은 대략 0.5 포인트 및 0 포인트인 상이한 스케일들을 갖는다. 이것도 또한 학습자가 한자(10)의 부수 부분(100)을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사전에서 단어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자 교습 문자를 설정하고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자획 영역들(11, 2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er), 인디자인(Indesign), 프리핸드(Freehand), 코렐 드로우(Corel Draw) 등과 같은 컴퓨터 레이아웃 및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대략 0 포인트의 윤곽선을 갖는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b)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의 자획 영역들(11, 21)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대략 0 포인트의 윤곽선(12, 22)이 자획 영역들(11, 21)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c)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11, 21)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들(X)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비-부수 부분(100')의 대략 0 포인트의 윤곽선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부수 분(100)에 대략 0.5 포인트의 윤곽선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레이아웃에 따라, 자획 영역들(11, 21)은 결합되거나 중첩되거나 연결되어 그림 파일에 저장되는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형성하는 단계.
도 11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자획 영역(11, 21)의 시작 위치, 꼬리단(14, 24)으로의 상대적인 방향 및 상이한 요소들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자획 영역(11, 21)의 머리단(13, 23)에 벡터 도트(15, 25)가 배치될 수 있다. 0.6 포인트, 1.0 포인트 및 1.5 포인트 도트들 또는 다른 유사한 표시들 및 그것의 반전 색이 상기 벡터 도트들(15, 2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벡터 도트의 반전 색은 배경 그레이스케일이 50%가 넘는 경우 사용된다.) 상기 문자(10)의 각각의 자획 영역들(11, 21)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X)에 의해 표시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요소들의 자획 순서는 왼 (위, 바깥) 쪽에서 오른 (아래, 안) 쪽으로이다. 적어도 2개의 크기의 벡터 도트(15, 25)가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상이한 요소들의 자획 순서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자획 영역들(11, 21)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중첩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자획 순서 및 요소 순서가 완전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시스템에 의하여, 학습자가 문자들을 배울 때, 상기 학습자는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자획 순서를 동시에 배울 수 있다.
자획 영역들을 표시하기 위한 그레이스케일 및 색들에 추가하여, 등급화된 자획 영역들이 서로 중첩하는지 여부가 또한 자획 순서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중첩된 자획 영역은 이전 자획 순서를 가지며, 반면 중첩하는 자획 영역은 나중 자획 순서를 갖는다. 상기 벡터 도트의 크기는 0.6 포인트, 1.0 포인트 또는 1.5 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그레이스케일은 0%, 3%, 8%, 20%, 35%, 50%, 75% 및 100%의 8개의 등급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윤곽선의 스케일은 0 포인트 또는 0.5 포인트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문자를 설정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는 블록에 배열되는 윤곽선(12, 22)을 포함한다.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은 부수 부분(100) 및 비-부수 부분(100')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X) 또는 색들을 갖는다. 이 방법은 학습자가 한자들의 부수들을 빠르고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게 하고 다음의 장점들을 갖는다.
1. 각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부수 부분(100)은 대략 0.5 포인트 윤곽선에 의해 강조된다. 대안으로, 부수 부분(100)은 상기 비-부수 부분(100')과 구별하기 위하여 그것의 자획 영역들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을 배치함으로써 강조된다.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를 배울 때, 학습자는 상기 부수 부분(100)을 동시에 기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 시간 및 힘과 자원이 크게 절약된다.
2. 완전한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표시된 부수 부분(100)은 학습자가 더 빨리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유도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한자 컴퓨터 입력 체계의 한자 요소 코드-획득 원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7
(10)가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8
의 요소 코드-획득 원리에 따라 예시되는데, 한자
Figure 112006014986389-pat00059
는 다른 상이한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 및/또는 윤곽선에 의해,
Figure 112006014986389-pat00060
의 비-코드 요소 부분(100")과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 한 그룹의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 X1, X2, X3)을 지닌 4개의 요소 코드 부분들(A, B, C 및 D)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2는 100"이 0%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흰색 그리고 0 포인트 윤곽선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10)의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A, B, C 및 D)은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X, X1, X2, X3)을 가지며,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 및/또는 윤곽선들에 의해 상기 비-코드 요소 부분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엷은 것에서부터 진한 그레이스케일로 또는 일련의 규정된 상이한 색들로 등급화될 수 있어서, 학습자가 한자 요소 코드들을 학습하고 기억하게 하고 모든 한자의 각 상이한 컴퓨터 입력 방법에서 그들의 순서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데 사용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의 많은 변경들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한자의 자획 순서 및 부수가 하나의 단일 한자에 의해 표시되어, 학습자가 문자 또는 문자 본체를 배울 때, 상기 문자 또는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 및 부수를 동시에 기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자의 자획 순서 및 부수를 빠르고 편리하게 배울 수 있다.

Claims (7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45.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순서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각 자획 영역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벡터 도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각 자획 영역은 머리단(head end) 및 꼬리단(tail end)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 도트(vector dot)는 상기 머리단 또는 꼬리단 근처에서 상기 자획 영역내의 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본체의 상이한 요소들 간의 자획 순서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상이한 요소들의 자획 영역들에 있는 벡터 도트들은 각각 상이한 크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도트는 선택된 크기를 갖는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도트는 벡터 도트의 반전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1.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자획 영역은 상기 자획 영역을 정의하는 윤곽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2.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본체를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c)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3.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d)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4.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본체를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c)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5.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6.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문자 본체를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d)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7.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c) 부수 부분 및 비-부수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8.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은 서로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상이한 색들 또는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59.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 부분 및 상기 비-부수 부분의 자획 영역들은 서로에 대해 반대되는 색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0.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획 영역은 상기 자획 영역을 정의하는 윤곽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1.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본체를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c)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2.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d)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3.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본체를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c)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4.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5.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문자 본체를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d)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6. 문자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획 영역(stroke region)을 포함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본체의 자획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완전한 문자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문자 본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자획 영역들을 중첩하거나 연결하는 단계;
    (c)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비-코드 부분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각의 자획 영역상에 상이한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문자 본체를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 및 상기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7.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의 자획 영역들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은 상기 비-코드 부분의 자획 영역들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8.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의 일련의 규정된 상이한 색들은 상기 비-코드 부분의 일련의 규정된 상이한 색들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69.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의 자획 영역들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은 한자 요소 코드 획득 순서에 따라 등급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70.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한자 요소 코드 부분들의 자획 영역들의 그레이스케일들 또는 색들은 한자 요소 코드 획득 순서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71.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획 영역은 상기 자획 영역을 정의하는 윤곽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KR1020030049847A 2002-07-22 2003-07-21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KR10071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2126819.3 2002-07-22
CN02126819 2002-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92A KR20040010292A (ko) 2004-01-31
KR100712038B1 true KR100712038B1 (ko) 2007-04-27

Family

ID=3223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847A KR100712038B1 (ko) 2002-07-22 2003-07-21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133404A (ko)
KR (1) KR100712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3958A1 (en) * 2004-05-21 2008-07-29 Feng Mei Computer character pattern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computer character pattern
JP5176390B2 (ja) * 2007-05-22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10004846A1 (ja) * 2008-07-11 2011-12-22 学校法人早稲田大学 知育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14652A (ja) * 2014-12-11 2016-06-23 株式会社文溪堂 文字学習用教材
CN104992579A (zh) * 2015-07-31 2015-10-21 康泰 基于互联网的汉字教学系统
KR20170057578A (ko) * 2015-11-17 2017-05-25 박준범 한자 학습용 교재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CN110009065A (zh) * 2019-01-14 2019-07-12 岭南师范学院 一种基于图像二值化的书法比对方法
CN111078025A (zh) * 2019-07-29 2020-04-2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输入汉字正确与否的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115A (ja) * 1994-12-31 1996-07-16 Shuzo Machi 漢字練習帳
JPH09222846A (ja) * 1996-02-15 1997-08-26 Casio Comput Co Ltd 学習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115A (ja) * 1994-12-31 1996-07-16 Shuzo Machi 漢字練習帳
JPH09222846A (ja) * 1996-02-15 1997-08-26 Casio Comput Co Ltd 学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33404A (ja) 2004-04-30
KR20040010292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4657A (en) Font and method for printing cursive script
EP0299383B1 (en) Method of reading identification code sheets
US6298154B1 (en) Method for rendering improved personal handwriting
US5295238A (en) System, method, and font for printing cursive character strings
Hartley Designing electronic text: The role of print-based research
US6704116B1 (en) Method and font for representing Arabic characters, and articles utilizing them
Karow et al. Font technology
US7864986B2 (en) Optical mark reading that uses a disregard state as part of an unambiguous symbology of marks to fill into response bubbles
US3200373A (en) Handwritten character reader
KR100712038B1 (ko) 한자 교습용 컴퓨터 폰트 형성 방법
JPWO2008015825A1 (ja) 書字フォントデータ及び文字出力システム
JP3993311B2 (ja) 習字練習用紙
US6227576B1 (en) Column writing for fast and super fast reading
JP4238711B2 (ja) マークシート方式
Flynn Usability and digital typography
Colesnicov et al. Digitization of romanian printed texts of the 17th century
JP3117131U (ja) 習字教材
EP1546997A1 (en) Presenting recognised handwritten symbols
Bigelow Oh, oh, zero
TWI251180B (en) Computer text font and formation method for Chinese character teaching
Hockey OCR: the Kurzweil data entry machine
Hopkins Leiden Conventions for Greek Numismatic Epigraphy
Amert Stanley Morison's Aldine hypothesis revisited
US20170186333A1 (en) Template and method for forming letters according to muscle movement
Karow Two decades of typographic research at URW: A retro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