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766B1 -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 Google Patents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766B1
KR100711766B1 KR1020050082703A KR20050082703A KR100711766B1 KR 100711766 B1 KR100711766 B1 KR 100711766B1 KR 1020050082703 A KR1020050082703 A KR 1020050082703A KR 20050082703 A KR20050082703 A KR 20050082703A KR 100711766 B1 KR100711766 B1 KR 10071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urner
heating
tire
roll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279A (ko
Inventor
조현진
주진수
고광수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8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7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91/00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D91/02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in particular heat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는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로부터 롤타이어를 취외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타이어를 둘러싸며 내부에 연소 매체가 흐르는 아치형 가열 파이프, 및 각 가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파이프와 연통 설치되고 연소 매체를 점화 및 분사하여 롤타이어를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 팁을 포함하는 버너 유닛을 다수 구비한다.
버너 유닛, 괴성체 제조 장치, 롤타이어

Description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BURNER FOR REMOVING A ROLL TYRE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ACTED IR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괴성체 제조 장치에 포함된 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를 압축하여 괴성체를 제조하는 괴성체 제조 장치에 포함된 롤타이어를 취외하기 위한 버너에 관한 것이다.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의 전체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핵심기간산업으로서, 인류의 발전과 함께하여 온 가장 역사가 오래된 산업중의 하나이다. 철강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제철소에서는 원료로서 철광 석 및 석탄을 이용하여 용융 상태의 선철인 용철을 제조한 다음, 이로부터 강을 제조하여 각 수요처에 공급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 철생산량의 60% 정도가 고로법을 이용하여 생산되고 있다. 고로법은 소결 과정을 거친 철광석과 유연탄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코크스 등을 고로에 함께 넣고 산소를 불어넣어 철광석을 철로 환원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고로법은 그 반응 특성상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보유하고 노내 통기성 확보를 보장할 수 있는 입도를 보유한 원료를 요구한다. 따라서 연료 및 환원제로 사용하는 탄소원으로는 특정 원료탄을 가공처리한 코크스를 사용하며, 철원으로는 괴성화 공정을 거친 소결광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고로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용융환원제철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용융환원제철법에서는 괴상의 석탄과 괴상의 철원을 이용하여 용철을 제조할 수 있다.
고로법이나 용융환원제철법에 사용하기 위해 철원을 괴성화하는 방법으로서, 분철을 브리켓화하여 HBI(hot briquette iron)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이나 분환원철을 괴성체로 제조하여 HCI(hot compacted iron)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원을 괴성화하기 위해서는 괴성체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한 쌍의 롤(roll)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그 사이에 철원을 장입하여 압축 성형함으로써 HBI 또는 HCI를 제조한다.
철원은 일정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고온인 경우가 많으므로 고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는 롤이 필요하다. 롤은 철원과 직접 접촉하므로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수명이 다한 롤을 교체하거나 롤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롤을 괴성체 제조 장치로부터 취외해야 한다.
도 4는 괴성체 제조 장치에 포함된 롤(400)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은 롤코어(roll core)(41)와 이를 둘러싸는 롤타이어(roll tyre)(43)를 포함한다. 롤타이어(43)는 롤코어(4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롤코어(41)로부터 롤타이어(43)를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분해하기 위해서는 롤타이어(43)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열팽창시킨 후 분해해야 한다. 가열을 위하여 절단 토치를 사용하거나 가스 가우징(gas gouging)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가열된 롤타이어(43)는 변형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롤(400)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롤(400)을 냉각해야 하므로, 롤코어(41)과 롤타이어(43) 사이에 형성된 냉각 유로(미도시)에 냉각수를 주입하여 롤(400)을 냉각한다. 따라서 롤코어(41)로부터 롤타이어(43)를 분해시 냉각 유로가 손상되어 버리면 롤(400)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롤타이어(43)를 교체시 공정시간 및 공정비용이 다량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괴성체 제조 장치에 포함된 롤타이어를 간단하게 취외할 수 있는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는,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로부터 롤타이어를 취외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타이어를 둘러싸며 내부에 연소 매체가 흐르는 아치형 가열 파이프, 및 각 가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파이프와 연통 설치되고 연소 매체를 점화 및 분사하여 롤타이어를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 팁(tip)을 포함하는 버너 유닛을 다수 구비한다.
다수의 버너 유닛은 롤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롤타이어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버너 유닛에서 가열 파이프는 롤의 축방향으로 다수 이격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는 버너 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상에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버너 유닛의 양측에 인접하고, 가이드 롤러에 의해 버너 유닛을 롤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 유닛은, 다수의 가열 파이프를 상기 롤의 축방향으로 이격 고정하는 지지대, 및 지지대가 설치된 버너 유닛 베이스판을 포함할 수 있다.
버너 유닛 베이스판에 롤의 중심을 향하는 홈이 형성되고, 버너 유닛 베이스판을 베이스판에 고정하는 스토퍼(stopper)를 홈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는 가열 파이프에 연통되어 가열 파이프에 연소 매체를 공급하는 연소 매체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파이프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가열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 한 가열 팁의 길이가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파이프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가열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보다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이 먼저 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팁으로 롤타이어를 가열시 가열 팁과 롤타이어는 40cm 내지 60c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버너 유닛의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버너 유닛의 수는 3개일 수 있다.
연소 매체는 액화천연가스 및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롤타이어(43)를 가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롤(4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롤타이어(43)를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괴성체 제조 장치로부터 롤(400)을 취외한 후, 롤(400)을 수직으로 세워서 베이스판(30)의 중심에 놓는다. 롤(400)의 일단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걸이 장치(200)를 롤(400)의 일단에 나사(205)로 결합한다. 따라서 줄걸이 장치(200)를 이용해 롤(400)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롤(400)을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줄걸이 장치(200)와 롤타이어(43) 사이에 유압잭(201)을 고정하여 롤타이어(43)의 가열을 완료한 후 유압잭(201)을 하부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롤타이어(43)를 하부 방향으로 쉽게 취외할 수 있다.
수직으로 세운 롤(400)의 주위를 따라 다수의 버너 유닛(10)을 구비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설치한다. 분할형으로 롤(400)의 주위를 둘러싸는 다수의 버너 유닛(10)을 이용하므로, 롤타이어(43)를 취외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이용한 롤타이어(43)의 가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즉, 각 버너 유닛(10)을 롤(400)측으로 전후진할 수 있으므로, 롤(400)을 수직으로 베이스판(30)상에 놓을 때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롤(400)로부터 후진시켜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오작동으로 인해 롤(400)이 떨어져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400)을 수직으로 세운 후, 각 버너 유닛(10)을 롤(400) 주위로 전진시켜 고정한 다음 롤타이어(43)를 가열할 수 있다.
롤(400)을 중심으로 다수의 버너 유닛(10)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롤타이어(43)를 둘러싼다. 따라서 연소 매체를 이용해 롤타이어(43)의 전면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버너 유닛(10)은 가열 파이프(101) 및 가열 팁(1091, 1093)(도 2에 도시)을 포함한다. 이외에 연소 매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볼 밸브(1051)(도 2에 도시) 등을 설치할 수 있고, 연소 매체를 저장하는 연소 매체 홀더(105)를 가열 파이프(101)와 연통시켜 가열 파이프(101)에 연소 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가열 파이프(101)는 롤타이어(4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된 다. 가열 파이프(10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를 따라 연소 매체가 흐른다. 가열 파이프(101)는 롤(400)의 축방향(수직 방향)으로 다수 이격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롤(400)의 축방향을 따라 롤타이어(43)의 전면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400)의 축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가열 파이프(101)를 한번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대(107)를 설치한다. 지지대(107)는 버너 유닛 베이스판(103)상에 설치된다.
베이스판(30)은 각 버너 유닛(10)을 지지하면서 버너 유닛(10)을 화살표 방향으로 원활하게 전후진시킨다. 즉, 버너 유닛(10)을 베이스판(30)상에서 이동시키면서 롤(40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버너 유닛(10)에 구비된 버너 유닛 베이스판(103)은 베이스판(30)상에 놓인다. 베이스판(30)상에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031)가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1031)는 그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1031)를 버너 유닛(10)의 하부 양측에 인접시켜 버너 유닛(10)을 롤(400)측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롤러(1031)를 사용하므로, 버너 유닛(10)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버너 유닛(10)의 이동이 완료되면, 버너 유닛(10)에 구비된 버너 유닛 베이스판(103)을 베이스판(30)상에 고정하여 버너 유닛(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버너 유닛 베이스판(103)에는 롤(400)의 중심을 향하는 홈(1035)이 형성되어 있는 데, 베이스판(30)에 고정된 스토퍼(301)는 홈(1035)을 따라 위치한다. 따라서 버너 유닛(10)이 롤타이어(43)의 가열에 필요한 위치에 오면, 스토퍼(301)에 구비된 너트(3011)를 조여서 버너 유닛(10)을 베이스판(30)상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이용하여 롤타이어(43)를 가열시, 그 화염 및 고온으로 인해 작업자가 접근시 위험하므로, 위험을 알리는 경고등(50)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의 측면을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편의상 도시를 위하여 도 2에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의 일측만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에 구비된 버너 유닛(10)에는 다수의 가열 팁(1091, 1093)이 구비된다. 가열 팁(1091, 1093)은 가열 파이프(101)와 연통 설치된다. 가열 팁(1091, 1093)은 연소 매체를 점화 및 분사하여 롤타이어(43)를 가열한다. 롤타이어(43)를 가열하여 열팽창시킴으로써 롤(400)로부터 롤타이어(43)를 쉽게 취외할 수 있다. 연소 매체 홀더(105)의 하부에는 에어 밸브(1053)가 설치되어 점화시 불꽃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가열 파이프(101)의 배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의 가열 팁(1091, 1093)이 배열된다. 가열 팁(1091, 1093)의 길이는 전부 동일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1091)의 길이가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1093)의 길이보다 길도록 설치할 수 있다. 설계상 롤타이어(43)의 형태를 중심부에 비해 주변부가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팁(1091)의 길이를 조정하여 롤타이어(43)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가열 팁(1091, 1093)으로 롤타이어(43)를 가열시, 가열 팁(1091, 1093)과 롤타이어(43)간의 이격 거리(d)는 40cm 내지 60cm가 바람직하다. 이격 거리(d)가 40cm 미만이면, 가열 팁(1091, 1093)과 롤타이어(43)가 너무 가까워서 연소 매체에 의해 가열 팁(1091, 1093)에 용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d)가 60cm를 넘으면, 가열 팁(1091, 1093)으로부터 배출되어 점화된 연소 매체가 롤타이어(43)에 닿지 않으므로, 롤타이어(43)를 취외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롤타이어(43)를 가열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된다.
실제 롤타이어(43)를 가열시, 가열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1091)보다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1093)을 먼저 점화한다. 그 후에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1091)을 점화한다. 롤타이어(43)의 중간부 표면이 담금질 처리되어 있어서 경도가 HRC 49 정도이므로, 그 내부까지 열이 전달되는 데 오래 걸린다. 따라서 상하부 및 중간부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가열하면 표면처리되지 않은 상하부에 열이 먼저 전달되어 롤코어(41)가 가열되므로 열팽창이 동시에 일어나 잘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팁(1091, 1093)의 점화 순서를 달리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편의상 도시를 위하여 롤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버너 유닛(10)이 모여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를 형성한다. 3개의 버너 유닛(10)은 그 크기가 모두 동일하므로, 전부 120°로 나누어져서 결합된다. 즉, 화살표 방향으로 버너 유닛 베이스판(103)을 이동시켜서 상호 이웃하는 버너 유닛(10)들의 측면이 모두 접하면 버너 유닛(10)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버너 유닛(10)은 크기가 적당하면서도 그 수를 최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열 팁(1091, 1093)은 가열 파이프(10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다수 설치되어 롤타이어(43)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너 유닛(10) 한 개당 총 34개의 가열 팁(1091, 1093)을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롤타이어(43)의 취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100)에 구비된 버너 유닛(10)이 상호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줄걸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롤(400)을 수직으로 세워서 베이스판(30)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지면 하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4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롤(4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롤(400)의 주위에 고정 블록(250)(도 2에 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롤타이어(43)를 가열한 후 취외하기 위하여 줄걸이 장치(200)와 롤(400) 사이에 유압잭(201)을 삽입 고정한다.
다음으로, 각 버너 유닛(10)을 이동시켜 롤(400)에 근접시킨다. 각 버너 유닛(10)이 상호 인접하여 이웃하게 되면, 스토퍼(301)의 너트(3011)를 조여서 각 버너 유닛(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볼 밸브(1051)를 열어서 연소 매체가 가열 팁(1091, 1093)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가열 팁(1091, 1093)의 단부에 토치(torch) 등으로 불을 붙여서 롤타 이어(43)를 가열하기 시작한다. 연소 매체로는 액화천연가스와 공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폭발 범위를 줄인 상태에서 가열 불꽃으로 롤타이어(43)를 안전하게 가열하여 취외할 수 있다. 점화시 에어 밸브(1053)로 불꽃 세기를 조절한다.
먼저 가열 팁(1093)으로 롤타이어(43)의 외면을 20~25분 동안 가열한 후, 가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팁(1091)을 점화시켜 5~10분 정도 더 가열한다. 약 30~35분 동안 롤타이어(43)를 가열한 후, 롤타이어(43)의 온도를 측정시 135~150℃정도가 되면 유압잭(201)을 작동시켜서 롤타이어(43)를 하부 방향으로 민다.
롤타이어(43)가 하부 방향으로 빠지면, 볼 밸브(1051)를 닫아서 점화된 불꽃을 끈다. 다음으로 스토퍼(301)의 너트(3011)를 풀러서 버너 유닛(10)을 롤(400)로부터 멀리 후진시킨다. 따라서 롤(400)을 취외하는 과정 중에 가열 팁(1091, 1093)이 손상될 위험이 없다. 줄걸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롤코어(41)를 들어 올림으로써, 롤타이어(43)를 롤(400)로부터 완전히 취외할 수 있다. 만약 롤타이어(43)가 잘 분리되지 않으면 가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타이어(43)를 분리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는 다수의 버너 유닛을 구비하므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롤타이어의 취외를 위하여 가열하는 데 편리하다.
가열 파이프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가 열 팁보다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이 먼저 점화되므로, 롤타이어를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좀더 쉽게 취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로부터 롤타이어(roll tyre)를 취외하기 위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로서,
    상기 롤타이어를 둘러싸며, 내부에 연소 매체가 흐르는 아치형 가열 파이프, 및
    상기 각 가열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열 파이프와 연통 설치되고, 상기 연소 매체를 점화 및 분사하여 상기 롤타이어를 가열하는 다수의 가열 팁(tip)
    을 포함하는 버너 유닛을 복수 구비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너 유닛은 상기 롤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타이어를 둘러싸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3. 제1항에서,
    상기 각 버너 유닛에서 상기 가열 파이프는 상기 롤의 축방향으로 다수 이격 배열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4. 제1항에서,
    상기 버너 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5. 제4항에서,
    상기 베이스판상에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버너 유닛의 양측에 인접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상기 버너 유닛을 상기 롤측으로 이동시키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6. 제5항에서,
    상기 버너 유닛은,
    상기 다수의 가열 파이프를 상기 롤의 축방향으로 이격 고정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설치된 버너 유닛 베이스판
    을 포함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7. 제6항에서,
    상기 버너 유닛 베이스판에 상기 롤의 중심을 향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너 유닛 베이스판을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하는 스토퍼(stopper)를 상기 홈에 설치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8. 제1항에서,
    상기 가열 파이프에 연통되어 상기 가열 파이프에 연소 매체를 공급하는 연 소 매체 홀더를 더 포함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9. 제1항에서,
    상기 가열 파이프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가열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의 길이가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의 길이보다 큰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10. 제1항에서,
    상기 가열 파이프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가열 팁 중에서 양단에 위치한 가열 팁보다 그 사이에 위치한 가열 팁이 먼저 점화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11. 제1항에서,
    상기 가열 팁으로 상기 롤타이어를 가열시 상기 가열 팁과 상기 롤타이어는 40cm 내지 60cm 이격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1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버너 유닛의 크기가 동일한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13. 제12항에서,
    상기 버너 유닛의 수는 3개인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14. 제1항에서,
    상기 연소 매체는 액화천연가스 및 공기를 포함하는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KR1020050082703A 2005-09-06 2005-09-06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KR10071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03A KR100711766B1 (ko) 2005-09-06 2005-09-06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03A KR100711766B1 (ko) 2005-09-06 2005-09-06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279A KR20070027279A (ko) 2007-03-09
KR100711766B1 true KR100711766B1 (ko) 2007-04-30

Family

ID=3810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703A KR100711766B1 (ko) 2005-09-06 2005-09-06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7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939A (ja) 1983-08-22 1985-03-14 Fujikura Ltd 光フアイバ用ガラスプリフオ−ムの製造方法
JPS61178437A (ja) 1985-02-01 1986-08-11 Hitachi Cable Ltd 光フアイバ母材の製造方法
KR200225683Y1 (ko) * 2000-12-29 2001-06-01 한전기공주식회사 미분기의 롤 타이어 교체를 위한 회전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939A (ja) 1983-08-22 1985-03-14 Fujikura Ltd 光フアイバ用ガラスプリフオ−ムの製造方法
JPS61178437A (ja) 1985-02-01 1986-08-11 Hitachi Cable Ltd 光フアイバ母材の製造方法
KR200225683Y1 (ko) * 2000-12-29 2001-06-01 한전기공주식회사 미분기의 롤 타이어 교체를 위한 회전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279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766B1 (ko) 괴성체 제조 장치의 롤타이어 취외용 버너
KR101175504B1 (ko) 코크스 제조용 시험 장치
US41336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preheating small metallic particles
CN205393736U (zh) 火焰切割机工作平台的插板式支撑钉装置
CN1024683C (zh) 一种炼钢电弧炉加速废钢熔化方法
CN201340191Y (zh) 一种用于废盐酸喷雾焙烧的焙烧炉
CN2479380Y (zh) 用于等离子点火装置的等离子体引导管
CN204880121U (zh) 气烧石灰竖窑点火装置
CN203330390U (zh) 钢包烘烤装置
EP3330387B1 (en) Apparatus for blowing dust coal of melting furnace
CN103924016B (zh) 一种更换高炉渣口大套的方法
AU2007226496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heating gas in connection with sintering
CN205473905U (zh) 一种推杆式连续燃气磨球加热炉
CN103562664A (zh) 燃烧器装置和燃烧器组件
CN212692466U (zh) 合金加热炉
CN213396535U (zh) 蓄热式加热炉
CN213020590U (zh) 一种用于钢包、铁包耳轴套快速更换的加热设备
KR101739861B1 (ko) 용융로의 미분탄 취입장치 및 그 취입방법
US4362293A (en) Cupola
CN107892465B (zh) 玻璃窑炉蓄热室格子体堵塞疏通方法
CN219121106U (zh) 一种燃天然气水套式熔融炉
KR101917596B1 (ko) 타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KR100423510B1 (ko) 용광로내 장입물 표면층에 발생되는 개스 제거용 점화장치
CN202066191U (zh) 一种热风炉炉型装置
CN211475930U (zh) 蓄热式天然气直焰烧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