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681B1 -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681B1
KR100710681B1 KR1020060051516A KR20060051516A KR100710681B1 KR 100710681 B1 KR100710681 B1 KR 100710681B1 KR 1020060051516 A KR1020060051516 A KR 1020060051516A KR 20060051516 A KR20060051516 A KR 20060051516A KR 100710681 B1 KR100710681 B1 KR 10071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welding
crater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우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성엠에스
Priority to KR102006005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스위치부(12)가 구비되어 용접전류를 발생시키는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며, 한 쌍의 마이컴(20,30)이 상호 통신하여 상기 용접기본체(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이컴(20,30)은 상기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는 제1 마이컴(20)과, 이 제1 마이컴(2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용접전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마이컴(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기본체(10) 및 상기 제1 마이컴(20) 사이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50)와,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간접 제어하는 원격스위치부(4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 마이컴(30)이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마이컴(20)은 이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50)에 송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이 변환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가 제공된다.
용접기본체, 메인스위치부, 제1 마이컴, 제2 마이컴, 원격스위치부,

Description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Multi Remot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eld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접기본체 12. 메인스위치부
20. 제1 마이컴 30. 제2 마이컴
40. 원격스위치부 50.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용접기능을 원격지에서 신호의 왜곡 및 노이즈의 발생 없이 제어할 수 있는 마이컴리모트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O2용접기, SUB용접기, TIG용접기, 프라즈마 절단기 등의 용접기는 용접전류를 발생시키는 용접기본체에 구비되어 용접기능을 조정하는 용접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용접기본체와 긴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용접스위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트장치, 상기 용접기본체로부터 용접전류를 인가받아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기본체의 용접기능은 용접기의 종류에 따라 용접주전류전압조정, 크레이터전류전압조정, 용접봉선택, 가스체크 등의 기능이 포함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모트장치는 상기 케이블에 실려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왜곡되거나 이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함으로 상기 용접기능 중 용접주전류전압조정기능이나, 아주 제한된 기능만을 원격조정 할 수 있었다. 그에 더해, 이와 같이 조정할 수 있는 기능마저 그 제어의 정확성이 떨어짐으로 용접품질이 저하되었다.
그러므로, 용접작업의 변수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상기 용접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용접부에서 멀리 떨어진 용접기본체까지 직접 오가야 하는 불 편함이 생기게 되었다. 그에 더해, CO2용접기의 경우 상기 용접부에 용접을 위해 공급되는 용접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송급장치가 더 구비되는데, 이 때 상기 와이어송급장치는 상기 용접기본체와 용접기능에 따른 제어신호외에 와이어송급장치자체의 제어를 위해 별도로 제어신호를 주고받아야 함으로 상기 케이블을 이루는 전선수가 8에서 9개정도로 늘어나 그 두께가 매우 두꺼워져 관리가 어려워지며,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위한 것으로, 마이컴 대 마이컴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리모트장치와 용접기본체간에 디지털화된 정확한 제어신호가 송수신되게 하며, 상기 케이블을 단순화시켜 케이블관리가 수월한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메인스위치부(12)가 구비되어 용접전류를 발생시키는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며, 한 쌍의 마이컴(20,30)이 상호 통신하여 상기 용접기본체(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이컴(20,30)은 상기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는 제1 마이컴(20)과, 이 제1 마이컴(2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용접전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마이컴(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기본 체(10) 및 상기 제1 마이컴(20) 사이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50)와,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간접 제어하는 원격스위치부(4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 마이컴(30)이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마이컴(20)은 이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50)에 송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이 변환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격스위치부(40)는 용접전압 및 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와, 크레이터용접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스위치(46)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용접전압전류를 조정하는 전자볼륨기(52)와, 상기 크레이터스위치(46)의 동작에 따른 크레이터용접조건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선택기(54)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수치 및 크레이터선택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와,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용접기본체(10)와 연결되어 크레이터전압전류를 검출한 후 이를 상기 제1 마이컴(20)에 송신하는 크레이터검출부(70)와,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이터검출부(70)의 검출신호가 상기 제2 마이컴(30)으로 송신되는 송신선(7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제2 마이컴(30)은 양측에 공통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38)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마이컴(30)에 구비되는 신호송신단자(31)와, 상기 제1 마이컴(20)에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연결된 신호수신단자(28)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컴은 상기 제어신호를 일련의 부호화된 구형파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신호송신단자(31)를 통해 상기 신호수신단자(28)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마이컴(30)은 이를 수신하여 복호화시켜 상기 인터페이스부(5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제2 마이컴(30)사이에는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상기 전원라인(38)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출력된 구형파에 따라 구동전원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발생부(32)와, 상기 전원라인(38) 및 상기 신호수신단자(28)에 연결되며 구동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미리 결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제1 마이컴(20)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구형파복원부(2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리모트통신장치의 회로도이다. 용접전류를 발생 시키는 용접기본체(10)에는 용접에 필요한 용접조건을 조작하는 메인스위치부(12)가 구비된다. 이 메인스위치부(12)의 기능은 메인용접전압전류조절, 크레이터전압전류조절, 크레이터선택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용접기의 종류에 따라서 구비되는 다른 기능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접기본체(10)는 상기 메인스위치부(12)의 조작에 따른 용접전류를 용접이 수행되는 용접부(60)로 인가시키며, 상기 용접부(60)는 용접봉 또는 용접와이어로 모재에 용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용접기본체(10)와 연결되어 용접기본체(10)를 조작하는 한 쌍의 마이컴(20,30)이 구비되는데, 이 한 쌍의 마이컴(20,30)은 상기 용접기본체(10)와 가까운 곳에 연결되는 제1 마이컴(20)과, 이 제1 마이컴(20)과는 일정거리 떨어진 원격지에 연결되어 용접전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마이컴(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접기본체(10) 및 상기 제1 마이컴(20)사이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50)와,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간접 제어하는 원격스위치부(4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 마이컴(30)이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마이컴(20)은 이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50)에 송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이 변환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은 +12V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두 가닥의 전원선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마이컴(30)에 는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조작에 따라 발진되는 구형파를 송출하는 신호송신단자(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마이컴(30)에는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연결 된 신호수신단자(28)가 구비되어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출력된 구형파를 그대로 인가받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 마이컴(30)은 이 구형파를 복호화시켜 상기 인터페이스부(50)로 송신함으로 제2 마이컴(30)에서 제1 마이컴(20)으로의 신호송신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가운데 상기 원격스위치부(40)는 용접전압 및 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와, 크레이터용접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스위치(46)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의 용접기능들을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용접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예비스위치부(48)가 더 구비되어 용접자는 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용접기의 용접기능을 조작한다. 이 예비스위치(48)는 일례로 CO2용접기일 경우 용접와이어를 송급하는 인칭스위치, CO2가스와 용접와이어를 동시에 인출하여 용접을 이행하는 토치스위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는 상기 크레이터스위치(46)의 선택여부에 따라서 메인용접전압 및 전류를 가감시킬 수 도 있으며, 크레이터용접전압 및 전류를 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용접전압전류를 조정하는 전자볼륨기(52)와, 상기 크레이터스위치(46)의 조작에 따른 크레이터용접조건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선택기(54)가 포함되며, 그 외에 상기 예비스위치(48)의 구성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부(12)에 포함된 용접기능을 제어하는 예비선택부(5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볼륨기(52)는 노이즈의 발생 없이 정확한 신호 전달이 가능한 가변저항소자이다. 또한, 상기 크레이터선택 기(54) 또는 예비선택부(56)는 접점이 있는 전자식릴레이로 구성된다. 상기 예비선택부(56)는 상기 예비스위치(48)의 동작이 그대로 반영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이터선택기(54) 또는 예비선택부(56)는 접점이 있는 전자식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노이즈를 완벽히 차단한 포토커플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마이컴(30)에는 작업자가 가시적으로 원격 조정되는 사항을 파악하도록 디스플레이부(41)가 더 연결된다. 이 디스플레이부(41)는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수치 및 크레이터선택유무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가 1부터 99단계로 설정 가능할 경우 디스플레이부(41)에서는 두 개의 7세그먼트를 구비하여 이 수치를 표시하며, 그에 더해, 전압모드인지 전류모드인지를 구분하는 LED와 크레이터선택유무를 나타내는 LED가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추가되는 용접기능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용접기본체(10)사이에는 크레이터전압전류를 검출하는 크레이터검출부(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마이컴(20)은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결된 송신선(72)을 통해 상기 크레이터검출부(70)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를 상기 제2 마이컴(30)에 전송하여 제2 마이컴(30)에서 크레이터용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용접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용접기본체(10)의 용접기능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때 따르는 전선의 수를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 결되는 전원라인과(38)과 상기 신호송신단자(31) 및 신호수신단자(28)사이에 연결되는 전선, 송신선(72)의 4개 라인으로 줄여서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케이블구성을 줄여 케이블을 매우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와 동시에 케이블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디지털화된 구형파신호가 송수신되게 하고 상기 용접기본체(10)와 상기 제1 마이컴(20)사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로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왜곡이나 노이즈가 없는 깨끗한 신호가 송수신되게 하여 용접기본체(10)를 매우 정확하게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상기 크레이터검출부(70)와, 송신선(72)을 구비함으로 크레이터전류전압 역시 원격지에서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 에 도시된 구성 중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결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마이컴(20)과 상기 제2 마이컴(30)사이에는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상기 전원라인(38)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출력된 구형파에 따라 구동전원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발생부(32)와, 상기 전원라인(38) 및 상기 신호수신단자(28)에 연결되며 구동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미리 결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제1 마이컴(20)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구형파복원부(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위차발생부(32)는 바람직하게 NPN형 트랜지스터(36)가 사용되는데, 이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단자(33)는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연결되며, 그 컬렉터단자(34)는 저항을 경유하여 상기 전원라인(38)의 양극라인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자(35)는 어스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송신되는 구형파신호가 베이스단자(33)에 인가되면, 그 인가되는 주기에 따라 상기 전원라인(38)에서 이미터단자(35)로 흐르는 전류가 단속적으로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라인(38)의 구동전원이 예를들어, +12V로 인가되지만, 이러한 전압이 계속 유지되지 못하고, +12V와 +11V범위에서 계속 변화함으로 전위차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구형파복원부(27)는 바람직하게 플러스단(22) 및 마이너스단(23)로 이루어진 비교입력단(24)과, 디지털펄스신호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전압공급단(21)이 구비된 비교기(25)가 포함되며, 이 비교기(25)에 전압 비교시 기준전압 즉 예를들면, +12V를 공급하는 가변저항부(2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비교입력단(24)의 플러스단(22)은 상기 전원라인(38)의 양극라인에 연결되고, 그 마이너스단(23)은 상기 가변저항부(26)의 전압공급단(21)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25)는 상기 전위차발생부(32)에서 변화된 전압변화분을 상기 가변저항부(26)에서 공급되는 전압분인 +12V와 항상 비교하며, 그 값이 크거나 낮을 경우 상기 전압공급단(21)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단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출력되는 구형파가 그대로 복원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다른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원격으로 연결되는 선의 수를 4선에서 3선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케이블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위차발생부(32)와 상기 구형파복원부(27)의 경우 트랜지스터(33)와 비교기(25)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두 실시예의 경우 크레이터전류전압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크레이터검출부(70)와 송신선(72)을 구성하였으나, 이 기능을 제외함으로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원격으로 연결되는 선의 수를 2선 또는 3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는 전술한 CO2용접기외에 SUB용접기와, TIG용접기, 프라즈마컷팅기 등의 용접기에 그 적용이 모두 가능하며, 각 용접기의 기능에 따른 상기 원격스위치부(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50)의 구성 중 일부를 가감하는 것은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통해 조작 가능한 다수의 용접기능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때 필요로 하는 전선의 수를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결되는 전원라인(38)과 상기 신호송신단자(31) 및 신호수신단자(28)사이에 연결되는 전선, 송신선(72)의 라인으로 줄여서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케이블구성을 줄여 케이블을 매우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와 동시에, 상기 제1 마이컴(20)과 제2 마이컴(30)사이에 디지털화된 구형파신호가 송수신되게 하고 상기 용접기본체(10)와 상기 제1 마이컴(20)사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50)로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왜곡이나 노이즈가 없는 깨끗한 신호가 송수신되게 하여 용접기본체(10)를 매우 정확하게 원격제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상기 크레이터검출부(70)와, 송신선(72)을 구비함으로 크레이터전류전압 역시 원격지에서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인스위치부(12)가 구비되어 용접전류를 발생시키는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며, 한 쌍의 마이컴(20,30)이 상호 통신하여 상기 용접기본체(1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마이컴리모트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이컴(20,30)은 상기 용접기본체(10)에 연결되는 제1 마이컴(20)과, 이 제1 마이컴(2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용접전류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1 마이컴(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 마이컴(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기본체(10) 및 상기 제1 마이컴(20) 사이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부(50)와,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간접 제어하는 원격스위치부(4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 마이컴(30)이 상기 원격스위치부(4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마이컴(20)은 이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50)에 송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이 변환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부(12)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스위치부(40)는 용접전압 및 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와, 크레이터용접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스위치(46)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50)는 상기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용접전압전류를 조정하는 전자볼륨기(52)와, 상기 크레이터스위치(46) 의 동작에 따른 크레이터용접조건을 선택하는 크레이터선택기(54)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 마이컴(30)에 연결되어 전압전류조정스위치(42,44)의 조작에 따른 수치 및 크레이터선택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와,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용접기본체(10)와 연결되어 크레이터전압전류를 검출한 후 이를 상기 제1 마이컴(20)에 송신하는 크레이터검출부(70)와,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제2 마이컴(30)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이터검출부(70)의 검출신호가 상기 제2 마이컴(30)으로 송신되는 송신선(7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제2 마이컴(30)은 양측에 공통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38)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2 마이컴(30)에 구비되는 신호송신단자(31)와, 상기 제1 마이컴(20)에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연결된 신호수신단자(28)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마이컴(20)은 상기 제어신호를 일련의 부호화된 구형파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신호송신단자(31)를 통해 상기 신호수신단자(28)로 출력시키고, 상기 제2 마이컴(30)은 이를 수신하여 복호화시켜 상기 인터페이스부(5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컴(20) 및 상기 제2 마이컴(30)사이에는 상기 신호송신단자(31)와 상기 전원라인(38)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송신단자(31)에서 출력된 구형파에 따라 구동전원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발생부(32)와, 상기 전원라인(38) 및 상기 신호수신단자(28)에 연결되며 구동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여 이를 미리 결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상기 제1 마이컴(20)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구형파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구형파복원부(2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KR1020060051516A 2006-06-08 2006-06-08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KR10071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16A KR100710681B1 (ko) 2006-06-08 2006-06-08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16A KR100710681B1 (ko) 2006-06-08 2006-06-08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681B1 true KR100710681B1 (ko) 2007-04-24

Family

ID=3818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516A KR100710681B1 (ko) 2006-06-08 2006-06-08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36B1 (ko) * 2010-11-17 2013-03-11 주식회사 디와이전기 헤드셋을 구비한 용접기
KR101363486B1 (ko) * 2012-05-11 2014-02-18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이터 전류/전압 조정용 와이어 피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36B1 (ko) * 2010-11-17 2013-03-11 주식회사 디와이전기 헤드셋을 구비한 용접기
KR101363486B1 (ko) * 2012-05-11 2014-02-18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이터 전류/전압 조정용 와이어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4963B2 (en) Remote polarity detection and control for welding process
US6570132B1 (en) Remote regulation unit for a welding apparatus or a power source
US6103994A (en) Welding device with remote device detection
CN101516561B (zh) 用于焊接机的无线远程控制通信的方法和装置
US20190344371A1 (en) Wireless and powerline communications in a welding-type system
US8309886B2 (en) Welding device and setter of the same
CN108326478B (zh) 用于在焊接式焊炬中指示排程的方法和系统
US200801161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of a welder
CN104619449A (zh) 用于远程控制焊接电源的设置的焊接装置
KR101073745B1 (ko) 용접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985210A (zh) 焊道特征通信系统和设备
WO2009037541A1 (en) User interface for welding power supply
CN108311820B (zh) 用于选择焊接式焊炬中的焊接排程的方法和系统
KR100710681B1 (ko) 용접기용 멀티 리모트통신장치
JP6192694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361406Y1 (ko) 원격제어 용접기
JP2011049925A (ja) 電源タップ、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00052154A (ko)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JP2015199100A (ja) 遠隔操作装置、および、溶接システム
KR100748407B1 (ko) 용접기 원격제어장치
KR200412159Y1 (ko) 용접기 원격제어장치
KR20100010666A (ko) 디지털 저항을 이용한 아크 용접기용 유니버셜무선원격조정장치, 아크 용접기 및 용접기제어방법
JP2015071182A (ja) アーク溶接機
JP2016196036A (ja) アーク溶接装置
KR19980043422U (ko) 용접조건기억형 이산화탄소(co₂/mag) 아크용접기의 원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