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526B1 -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 Google Patents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526B1
KR100710526B1 KR1020050000972A KR20050000972A KR100710526B1 KR 100710526 B1 KR100710526 B1 KR 100710526B1 KR 1020050000972 A KR1020050000972 A KR 1020050000972A KR 20050000972 A KR20050000972 A KR 20050000972A KR 100710526 B1 KR100710526 B1 KR 10071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panel
elevating
beach
mesh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0488A (en
Inventor
황한식
페리리폰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5000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526B1/en
Publication of KR2006008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5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장이 형성된 해안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포스트와, 다공성의 격자구조를 이루는 장방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과, 상기 한 쌍의 포스트를 각각 관통시켜 각 포스트 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쉬패널이 긴장될 수 있도록 메쉬패널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와, 상기 메쉬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패널과 승강슬리브로 진동을 전가시켜주는 진동발생장치부와, 상기 각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슬리브를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파제에 의하면, 파도의 출몰에 의한 해안의 침식진행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토사의 퇴적 유도에 의한 해안 사장의 복원이 가능하고, 구조물 설치 후 시일이 경과되어 토사에 매몰된 경우에도 진동 및 승강구동장치부의 결합 후 각부 작동에 의한 리프팅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재차 사용 또는 제거 등과 같은 보수 유지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forming a porous lattice structure with at least one pair or more posts, which are pl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ross the beach from the coast where the beach is formed to the sea At least one mesh panel and at least one mesh panel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mesh panel to penetrate the pair of posts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post and to tension the mesh panel. A pair of elevating sleeve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nit coupled to the mesh panel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mesh panel and the lifting sleeve,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each post to elevate the elevating sleeve. A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Pajede, it is possible to delay coastal erosion progress due to the appearance of waves and to restore the shore beach by inducing sedimentation of sediment, and even if it is buried in the soil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the vibration and lifting drive unit After the combination of lifting by the operation of each part is possible to effect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nvenience, such as use or removal of the structure again.

해안, 해안선, (백)사장, 해안침식(Erosion), 방파제, 그물(Snare, Mesh)Coast, Coastline, (White) Sand, Coastal Erosion, Breakwater, Net (Snare, Mesh)

Description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 방파제를 해안 사장에 설치한 상태를 입체화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a three-dimensional state the net breakwater installed in the coastal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 방파제를 해안 사장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et break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hore.

도 3은 사장에 매몰된 메쉬패널을 들어올려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그물 방파제에 적용된 진동발생장치부 및 승강구동장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ortion and the lifting drive unit applied to the net break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xed by lifting the mesh panel buried in the presid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 해안 2 ; 해수바닥면One ; Shore 2; Sea floor

3 ; 해수면 4 ; 조수선(Low Tide Line)3; Sea level 4; Low Tide Line

5 ; 퇴적대 10 ; 포스트5; Sedimentary zone 10; Post

11, 13 ; 잭브래킷 12 ; 포스트 접속구11, 13; Jack bracket 12; Post connection

20 ; 메쉬패널 21 ; 보강대20; Mesh panel 21; Reinforcement

22 ; 수평지지대 30 ; 승강슬리브22; Horizontal support 30; Lifting sleeve

31 ; 패널 고정대 32 ; 플랜지31; Panel holder 32; flange

33 ; 후크 40 ; 진동발생장치부33; Hook 40; Vibration generator part

41 ; 바이브레이터 42 ; 견인부41; Vibrator 42; Towing

43 ; 그립죠오(Grip Jaw) 50 ; 승강구동장치부43; Grip Jaw 50; Lift Drive Unit

51 ; 잭 52 ; 램51; Jack 52; lamb

53 ; 승강연결대53; Lifting connecting rod

본 발명은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도의 출몰 및 해수의 간만작용 등으로 인한 해안의 침식진행을 지연시켜줌과 아울러 침식해안 쪽으로의 토사의 퇴적 유도에 의한 해안복원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물 설치 후 시일이 경과되어 그 구조물이 매몰된 경우에 이를 간단히 상승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수 유지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해안 사장의 확장시 그 연속증설공정을 신속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in particular, delays the coastal erosion due to the appearance of waves and tidal action of the sea water, and smoothly the coastal restoration process by inducing sediment deposition toward the eroded coast While it can be carried out, when the structure is buri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the structure can be easily raised by fixing it, so that it can be recycled to prolong its service life and provide convenience for mainten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coastal shores, which allows the continuous expansion process to be quickly and easily handled when the shoreline is expanded.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항만의 외곽 구조물로서 외해의 파랑으로부터 내항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전통적으로는 석재를 이용한 '사석 방파제'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5m 이상의 파고에서 석재가 흩어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보수 유지의 부담이 있었으며, 이후 시멘트 콘크리트 기술이 발달되면서 사석의 상 부에 콘크리트 블럭층을 쌓거나 콘크리트 케이슨 벽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사석의 상면을 해수면 아래로 침수시켜서 구성한 '혼성 방파제' 기술이 사용된 바 있다. In general, the breakwater is an outer structure of the harbor, which is installed to protect the inner harbor from the waves of the open sea. Traditionally, the 'stone breakwater' using stone was used a lot, but there was a burden of continuous maintenance due to the shortcomings of stone scattering in the digging more than 5m. In addition, the 'mixed breakwater' technology has been used by installing concrete caisson walls and submerging the top of the sandstone below the sea level.

그밖에도, 1940년대 이후에는 콘크리트 블럭의 이형성(異形性) 구조에 의해 상호 맞물려져 적정 공극률을 유지케 한 '이형소파(異形消波) 블럭'을 이용한 방파제가 개발되었고, 현재는 부체(浮體)를 해수면 근방에서 이용하는 '부양소파제(浮揚消波堤)', 소음효과가 있는 흡음판 기능을 응용한 '다공 또는 슬릿 벽 케이슨 방파제' 또는 '강관 널 말뚝식 방파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fter the 1940's, breakwaters using 'release sofa blocks', which we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heterogeneous structure of concrete blocks and maintained the proper porosity, were developed. `` Floating sofa '' that uses) near sea level, `` porous or slit wall caisson breakwater '' with sound absorbing plate function with noise effect, or `` steel tube board pile breakwater. ''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방파제 이외에도, 메쉬 형태의 패널을 사용하여 이를 해변(해안선)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파도나 해수의 간만작용 등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침식된 해안을 복원 또는 개축할 수 있게 한 신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the various types of breakwater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panel in the form of a mesh to install it continuously across the beach (coastline) to prevent the coast from being eroded by the tidal action of the waves or sea water. In addition, new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hat allow the restoration of eroded shores or reconstruction.

상기의 메쉬패널을 이용한 그물식 방파제는, 사장이 형성된 해안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을 가로질러 복수의 포스트를 각각 소정 간격으로 입설하고, 그 각 포스트 간에 상기 메쉬패널을 설치함으로써, 파도 등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mesh type breakwater using said mesh panel installs a plurality of pos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ross the beach from the shore where the beach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stalls the mesh panels between the posts, whereby the shore is eroded by waves or the like. It is to prevent it from happen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물식 방파제는, 설치 후 장기간의 시일 경과시 포스트와 함께 메쉬패널이 퇴적 토사층 속으로 매몰됨으로써 그 수명을 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크레인, 불도저, 덤프트럭, 모래펌핑장치, 암석선별기 등과 같은 각종 준설장비(Dredging Equipment)들을 동원하여 수명이 다한 상기 방파제를 제거한 후 정지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이 장기화되며, 공정 중에 심한 소음공해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net breakwater not only extends its life by buried mesh panels into the sedimentary soil layer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installation, but also cranes, bulldozers, dump trucks, sand pumping devices, and rocks. Since the dredging equipments such as sorting machines should be mobilized to remove the breakwaters that have reached the end of their lifespan, the process is very cumbersome, the construction period required for recovery is prolonged, and severe noise pollution occurs during the process. There were various problems such as being don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도의 출몰 및 해수의 간만작용 등으로 인한 해안의 침식진행을 지연시켜줌과 아울러 침식해안 쪽으로의 토사의 퇴적 유도에 의한 해안복원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물 설치 후 시일이 경과되어 그 구조물이 매몰된 경우에 이를 간단히 상승시켜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수 유지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해안 사장의 확장시 그 연속증설공정을 신속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delay the erosion of the coast due to the appearance of waves and tidal action of the sea water, and to induce sediment deposition toward the eroded coast Although the coastal resto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smoothly, when the seal is passed after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s buried, it can be easily raised and fixed to be recycled to extend the service life as well as to maintain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and to provide an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of the coastal beach where the continuous expansion process can be quickly and easily handled when the coastal beach is expand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는, 사장이 형성된 해안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포스트; 다공성의 격자구조를 이루는 장방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를 각각 관통시켜 각 포스트 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쉬패널이 긴장될 수 있도록 메쉬패널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 상기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쉬패널과 상기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로 진동을 전가시켜주는 진동발생장치부; 및 상기 각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를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of the coastal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or more pairs of posts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beach toward the sea from the shore is formed beach; Rectangle at least one mesh panel forming a porous grid structure; At least one pair of elevating sleeves respectively penetrated through the pair of posts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post, and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esh panel so as to tension the mesh panel; A vibration generator unit coupl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mesh panels, for transferring vibration to the mesh panel and the pair of elevating sleeves;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each post to elevate the pair of elevating sleeves.

여기서,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 중 상기 메쉬패널을 복수 개 연속증설하기 위한 중간 위치의 포스트는, 2개의 포스트를 평행하게 인접시켜 입설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한 포스트의 상부에는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인접한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를 안착시켜주기 위한 포스트 접속구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ost of an intermediate position for continuously expanding a plurality of mesh panels among the one or more posts is formed by placing two posts in parallel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xing them integral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post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t connection po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acent post and to seat the lift drive unit.

또한,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 또는 상기 포스트 접속구는 각각 그 상부에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잭브래킷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posts or the post connection por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jack bracket that can be seated on the lifting drive unit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메쉬패널의 중앙부에는 상기 메쉬패널에 작용하는 힘의 분산유도에 의한 강도 보완 및 진동의 원활한 전달을 위한 분산을 위한 보강대가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메쉬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발생장치부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수평지지대가 상기 메쉬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of the mesh panel is secure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inforcing rod for the dispersion of the strength for the smooth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and the strength supplemented by the dispersion indu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mesh panel, the vibration occur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panel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support for stable support of the device unit is fixed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h panel.

또한, 상기 메쉬패널로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적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sh panel is preferably a geogrid (Geogrid) is applied.

또한, 상기 승강슬리브는 그 상부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구동장치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승강슬리브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강구동장치부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fting sleeve has a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is formed with a hook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lifting drive unit portion so that the lifting sleeve can slid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 unit. desirable.

또한, 상기 진동발생장치부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크레인 등의 준설장비에 연결시켜주는 견인부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그 간극이 신축 조작되면서 상기 메쉬패널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립죠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 직하다.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ortion is formed on the vibrator, the upper part of the vibrator to connect the vibrator to dredg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via a wire, an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or, the gap is stretched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rip jaw that can grip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panel.

또한,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는, 상기 각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과, 상기 잭의 승강작동부인 램이 상하로 구동될 때 상기 램과 함께 승강구동할 수 있도록 램과 승강슬리브 간을 물리적 변형 없이 상호 연결시켜주는 승강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rive unit, the j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post, and when the ram operat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jack is driven up and down without the physical deformation between the ram and the lifting sleeve so as to drive up and down with the ram.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lifting connecting rod that interconnec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 사장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 방파제를 해안 사장에 설치한 상태를 입체화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사장에 매몰된 메쉬패널(20)을 들어올려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그물 방파제에 적용된 진동발생장치부(40) 및 승강구동장치부(50)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3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net breakwater for coastal erosion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 and 2 are three-dimensional to the state installed the net breakwa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beach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chematic side view, Figure 3 is a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and the elevating drive unit 50 applied to the net break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xed by lifting the mesh panel 20 buried in the president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그물 방파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나 해수의 간만작용 등에 의해 침식된 해안(1)의 사장을 복원하기 위하여 그 침식 진행된 해안(1)의 해안선을 가로질러 필요한 만큼 연속적으로 설치해나가거나, 또는 추후에 침식이 예상되는 해안(1)의 사장을 파도 등으로부터 보호 및 그 침식진행의 지연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침식제어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해수바닥면, 3은 해수면, 4는 해수의 썰물 작용시 나타나는 조수선(Low Tide Line), 5는 본 발명의 그물 방파제에 의해 성장 및 형성된 토사의 퇴적대이다.Net break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s necessary across the shoreline of the eroded coast 1 to restore the beach of the erosion eroded by the tidal action, such as waves or sea water It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or used as an erosio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the beach of the coast 1, where erosion is expected in the future, from protecting waves and delaying the erosion process.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bottom of the sea, 3 a sea level, 4 is a tide line appearing during the ebb of the seawater (Low Tide Line), 5 is a sedimentary zone grown and formed by the net break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포스트(10)와, 상기 각 한 쌍의 포스트(10)간에 설치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20)과, 상기 메쉬패널(20)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이와 함께 상기 포스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30)와, 매몰된 상기 메쉬패널(20)의 리프팅 조작시 이에 결합되는 진동발생장치부(40)와, 상기 승강슬리브(30)를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장치부(5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schematically, the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s to be installed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posts 10, and each of the pair of posts 10 At least one or more mesh panels 20 and at least one pair of lifting sleeves 30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mesh panel 20 and slid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10;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uried mesh panel 20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cluding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coupled to it, and the lifting driving device unit 50 for lifting the lifting sleeve 30.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해보면, 먼저, 상기 포스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장이 형성된 해안(1)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해안선)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슬리브(30)에 대한 안내기능을 갖는 기둥체로서, 주로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에도 (강화)수지관, H-빔(I-빔) 또는 C-채널 등을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component in detail, first,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ost 10, the beach (1) is formed from the shore (1) beach to the sea ( It is preferable to use a steel pipe as a column body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coastline and has a guide function for the lifting sleeve 30, but in addition to this, the (reinforced) resin pipe and the H-beam (I) -Beam) or C-channel or the like.

하나의 메쉬패널(20)을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포스트(10)는, 그 상부에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잭브래킷(11)이 결합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20)을 복수 개 연속증설하기 위한 중간 위치의 포스트(10)는, 그 하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포스트(10)를 평행하게 인접시켜 입설하여서 이루어지되, 상기 인접한 포스트(10)의 상부에는 이들을 상호 일체로 고정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를 안착시켜주기 위한 포스트 접속구(12)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잭브래킷(13)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In the case where one mesh panel 20 is provided, the pair of posts 10 are coupled to a jack bracket 11 capable of mounting the elevating drive unit 50 thereon. In addition, the post 10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for continuously expanding a plurality of one or more mesh panels 20 is made by placing the two posts 1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lower part thereof by welding or the like.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post 10 is fixed to each other integrally, as well as the post connection port 12 for seating the elevating drive unit 50 is coupled, the jack bracket 13 is formed on the structure Achieve.

상기 메쉬패널(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구조 등을 이루는 장방형의 다공성 판으로서, 파도가 몰고 온 조류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저항체의 기능을 수행하여 해수의 힘을 적절히 감쇠시킴과 아울러 그 수력에 의해 이동되는 모래나 이물질 등을 투과시켜 퇴적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해안(1)에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메쉬패널(20)은 퇴적대(5)의 적층 토사에 의해 점차 매몰된다. 상기 메쉬패널(20)은 아래에 상술하게 될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 등에 의해 주기적으로 소정높이만큼씩 상승(리프팅)되어 최적의 조건으로 재정비됨으로써 그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2 and 3, the mesh panel 20 is a rectangular porous plate having a lattice structure or the like, and performs a function of a resistor that slows down the speed of the algae brought by waves, thereby increasing the force of seawater. It is a structure for attenuating properly and permeating sand or foreign matter that is moved by hydraulic power, and depositing it. As the time passes after installation on the shore 1, the mesh panel 20 stacks the stack 5. It is gradually buried by earth and sand. The mesh panel 20 is periodically raised (lif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lifting driving unit unit 5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can be re-arranged to an optimum condition to maximize its performance as well as service life.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그리고, 상기 메쉬패널(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메쉬패널(20)에 작용하는 힘의 분산유도에 의한 강도 보완 및 진동의 원활한 분산을 위한 보강대(21)가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메쉬패널(20)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발생장치부(4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수평지지대(22)가 상기 메쉬패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a reinforcing rod 21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sh panel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lement the strength by the dispersion indu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mesh panel 20 and to smoothly distribute the vib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20 forms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22 for stably suppor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40 is fixed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h panel 20.

또한, 상기 메쉬패널(20)은, 미국 조오지아주 애틀랜타시의 텐사(Tensar)사가 제작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수지의 일종인 '지오그리드(Geogrid)'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적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금속봉 또는 수지봉 등을 격자형태로 배치한 후 그 교차점을 각각 용접 또는 접착하여서 된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파력에 견 딜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구현할 수 있다면, 연질, 반 경질 또는 경질 등의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esh panel 20, 'Geogrid' is a kind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resin, manufactured by Tensar, Inc., Atlanta, Georgia, is preferably applie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tal rods or resin rods, etc., cut into appropriate length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nd then welded or bonded to the intersection points may be applied. In addition, if a predetermined strength capable of withstanding wave force can be realized, various materials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materials such as soft, semi-hard, or hard.

상기 한 쌍의 승강슬리브(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포스트(10)를 각각 관통시켜 각 포스트(10) 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쉬패널(20)이 긴장 유지될 수 있도록 메쉬패널(20)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부재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air of lifting sleeves 30 respectively penetrate through the pair of posts 10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post 10. In addition, the mesh panel 20 is a member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mesh panel 20 so that the mesh panel 20 can be tensioned.

그리고, 상기 승강슬리브(30)는 그 상부 외측 일부에 플랜지(3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2)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승강슬리브(30)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강구동장치부(50)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33)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플랜지(32)가 형성된 반대쪽의 외측에는 상기 승강슬리브(30)의 길이 전체에 걸쳐 패널 고정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쉬패널(20)의 단부 양면에 밀접하여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the lifting sleeve 30 has a flange 32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outer side, and the lifting sleeve 30 moves upward and downward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ing unit 5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32. Hook 33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levating drive unit 50 to be slidable, while the out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flange 32 is formed, the panel suppor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elevating sleeve 30) 31 is formed integrally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end of the mesh panel (20).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슬리브(30)는 여러 가지 실시예들 중의 하나일 뿐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즉, 상기 승강슬리브(30)는 그 일측에 메쉬패널(20)의 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패널 고정대(31)가 일체로 형성되고, 보울트나 나사 등의 체결구로 체결하여서 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승강슬리브(30)를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관체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일측에 별도로 배치되어 메쉬패널(20)의 단부 양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앵글바아와, 상기 슬리브와 앵글바아를 일체로 결속시켜주기 위한 복수의 결속밴드 및 체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He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lifting slee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That is, the elevating sleeve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anel holder 31 for fixing the side end of the mesh panel 20 on one side thereof, and suggests a structure by fastening with a fastener such as a bolt or a screw. As another embodiment to replace the elevating sleeve 30, a tubular sleeve and a pair disposed separately on one side of the slee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and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mesh panel 20. An angle bar of, and may comprise a plurality of coupling bands and fasteners for integrally binding the sleeve and the angle bar.

상기 진동발생장치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패널(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패널(20)과 승강슬리브(30)로 진동을 전가시켜주기 위한 부재로서, 고주파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41)와, 상기 바이브레이터(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바이브레이터(41)를 크레인 등의 준설장비에 연결시켜주는 견인부(42)와, 상기 바이브레이터(41)의 하부에 형성되어 그 간극이 신축 조작되면서 상기 메쉬패널(20)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립죠오(Grip Jaw)(43)를 포함하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40, as shown in Figure 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panel 20 as a member for transferring the vibration to the mesh panel 20 and the lifting sleeve 30 , A vibrator 41 generating high frequency vibration, and a traction unit 42 formed on the vibrator 41 to connect the vibrator 41 to dredg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through a wire (not shown). And a grip jaw 43 formed below the vibrator 41 to grip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panel 20 while the gap is stretched and operated.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견인부(42)의 후크에 와이어를 걸어 크레인 등의 장비에 연결한 후 크레인을 가동하여 상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메쉬패널(20)을 들어올릴 수 있다.In some cases, by hooking a wire to the hook of the towing unit 42 and connecting it to equipment such as a crane, the crane is driven and pulled upwards, the mesh panel 20 independently of the elevating drive unit 50 You can lift it.

참고적으로, 상기 진동발생장치부(40)의 바이브레이터(41)로부터 발생한 고주파 진동은, 상기 승강슬리브(30)와 메쉬패널(20) 등 부재의 외부면과 이를 매몰시킨 토사(퇴적물) 간을 분리시켜 미세한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진행될 상기 메쉬패널(20) 등의 상승 조작시 그 상승저항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For reference,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4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40 is, between the lifting surface 30 and the external surface of the member such as the mesh panel 20 and the soil (sediment) buried it. By separating to form a fine space,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rising resistan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esh panel 20 and the like to be subsequently performed.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포스트(10)의 상단부인 잭브래킷(11)(13)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슬리브(30)를 승강시켜주는 부재로서, 상기 각 포스트(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51)과, 상기 잭(51)의 승강작동부인 램(52)이 상하로 구동될 때 상기 램(52)과 함께 승강 구동할 수 있도록 램(52)과 승강슬리브(30) 간을 물리적 변형 없이 상호 연결시켜주는 승강연결대(53) 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As shown in FIG. 3, the elevating driving unit 50 is coupled to jack brackets 11 and 13, which ar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posts 10, to elevate the elevating sleeve 30. When the jack 5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each post 10 and the ram 52 which is the lifting operation part of the jack 51 are driven up and down, the ram 51 ma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ram 52. 52) and the elevating sleeve 30 forms a structure including an elevating connecting rod 53 for interconnecting without physical deformation.

상기 승강구동장치부(50)는, 외형이 단순하고 대체적으로 소형이어서 잭브래킷(11) 상으로의 설치 및 이로부터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압 잭(Hydraulic Jack)을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그 외에도 스크루 잭(Screw Jack)이나 랙구동 잭 등과 같은 기계식 잭도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그 적용장치에 적합하도록 주변장치부의 구조적 변경이 필요하다.The elevating drive unit 50 is ideal, but it is ideal to apply a hydraulic jack (Hydraulic Jack)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nd separated from the jack bracket 11 because the appearance is simple and generally small.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o this, and in addition, a mechanical jack such as a screw jack or a rack driving jack is also applicable, and in this case, a structural change of the peripheral part is required to b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유압식 잭(51)으로는 유압포트의 개수에 따라 구분되는 단동식 또는 복동식의 구조를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 도면에서는 승강 작동용의 램(52)이 구비된 단동식 구조를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유압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의 경량화를 위하여 램 또는 유압실린더 및 밸브 등의 잭 장치부만을 잭브래킷(11) 상에 설치하고 그 작동유체관을 매개로 분리된 형태의 펌프와 모우터 및 오일탱크 등을 별도의 유압장치부로서 배치한 분리형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크레인 장비 등에 구비된 유압장치부와 함께, 상기 잭브래킷(11) 상에 설치되는 잭 장치부를 작동유체관으로써 연결하여서 된 유압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ydraulic jack 51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structure of the single-acting or double-acting ty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hydraulic port, in the example figure is a single-acting structure provided with a ram 52 for lifting operation.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In constructing such a hydraulic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evice, only a jack device part such as a ram or a hydraulic cylinder and a valve is installed on the jack bracket 11 and the pump having a form separated from the working fluid pip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eparate structure in which a motor and an oil tank are arranged as a separate hydraulic device, or the jack device provided on the jack bracket 11 together with the hydraulic device provided in the crane equipment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hydraulic system which is connected by a tu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 방파제의 설치공정 및 작용을 상기 개시 도면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process and action of the net break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isclosure.

우선, 침식이 심화되어 해안 사장의 복구가 필요한 해안(1)의 특정 지점을 선정하고, 메쉬패널(20)의 설치 개수와 각 메쉬패널(20)의 폭을 감안하여 적정 개수만큼의 포스트(10)를 해수바닥면(2)에 등간격으로 타격하여 입설한다. 이때, 상 기 포스트(10)의 배치방향은 파도(파랑)의 유출입방향을 감안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도가 해안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출입 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상기 포스트(10)의 배치방향을 파도의 진행방향과 일치시켜 해안선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First, the erosion is intensified, and a specific point of the shore 1, which requires the restoration of the shore beach, is selected,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posts 10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mesh panels 20 installed and the width of each mesh panel 20. ) Is placed on the sea bottom (2) at equal intervals.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ost 1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ve (blu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ave flow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oreline the post 10 ) Can be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horeline by matching the direction of the wave.

그 다음, 상기 메쉬패널(20) 양단의 승강슬리브(30)를 해당 포스트(10)에 각각 대응되도록 관통시켜 상기 메쉬패널(20)을 설치한다.Next, the mesh panel 20 is installed by penetrating the lifting sleeves 30 at both ends of the mesh panel 20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posts 10.

마지막으로, 잭브래킷(11) 또는 잭브래킷(13)이 형성된 포스트 접속구(12)를 상기 각 포스트(10)의 상부에 각각 결합한다.Finally, the post connector 12 having the jack bracket 11 or the jack bracket 1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posts 10.

이러한 단순화된 상기의 각 공정을 진행하여 본 발명의 그물 방파제를 간단히 설치 완료할 수 있으며, 각 부재별 해체공정은 상기 설명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방파제는 파도가 들고날 때 상기 메쉬패널(20)의 저항작용에 의해 파도의 힘과 속도를 감쇠시키면서 그 수력에 의해 이동되는 모래나 이물질 등을 투과시켜 퇴적되도록 함으로써 침식된 사장의 복구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Each of the above simple steps can be easily completed by installing the net break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mantling process for each membe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description. The breakwater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recovers the eroded sandy beach by allowing the sand and foreign substances, which are moved by the hydraulic force, to be deposited while attenuating the force and speed of the wave by the resistance action of the mesh panel 20 when the wave is lifted. And control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방파제를 설치한 후 소정 시일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메쉬패널(20)은 퇴적 토사에 의해 상당 부분 매몰될 것이므로, 상기 메쉬패널(20)이 완전히 매몰되기 전에 주기적으로 상기 메쉬패널(20)을 일정 높이만큼씩 상승시켜 재정비하는 보수유지 공정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breakwater is installed, the mesh panel 20 will be buried a substantial part by the sedimentary soil, so that the mesh panel (period) is periodically buried before the mesh panel (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d repair 20) by a certain height.

즉, 상기 메쉬패널(20)의 수평지지대(22) 상에는 바이브레이터(41)를, 그리고 상기 포스트(10)의 잭브래킷(11)(13) 상에는 보울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잭 (51)을 각각 고정하고, 그 승강연결대(53)와 승강슬리브(30)의 후크(33)를 연결해두는 설치 공정이 선행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41)를 작동시켜 그 고주파 진동의 각 부 전가에 의한 상승 가능한 환경을 조성한 후, 상기 잭(51)을 작동시켜 승강슬리브(30) 및 메쉬패널(20)을 원하는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처리하면 된다.That is, the jack 51 is used on the horizontal support 22 of the mesh panel 20 by using a vibrator 41 and a fastener such as a bolt on the jack brackets 11 and 13 of the post 10. The fixing step is followed by an installation process in which the elevating connecting rod 53 and the hook 33 of the elevating sleeve 30 are connected. Then, the vibrator 41 is operat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is possible to rise, and then the jack 51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sleeve 30 and the mesh panel 20 to a desired height. This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아울러, 해안 사장을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안 쪽의 메쉬패널(20)과 포스트(10)를 순차적으로 제거한 후, 그 부재를 바다쪽 선단부의 포스트(10)로부터 상기한 바와 동일한 설치방식으로 연장하여 증설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coastal beach is to be further expanded, the coastal side mesh panel 20 and the post 10 are sequentially removed, and then the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rom the post 10 of the sea side end portion. Of course, it can be extended by extens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에 의하면, 파도의 출몰 및 해수의 간만작용 등으로 인한 해안의 침식진행을 현격히 지연시킬 수 있음은 물론, 메쉬패널의 적정한 설치 또는 증설에 따른 침식해안 쪽으로의 토사의 퇴적 유도에 의한 해안복원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실된 사장의 복원이 가능하고, 본 구조물에 의해 해수바닥면이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생태계 보존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연속확장이 용이하여 제작 및 설치공정상의 경제성이 높고,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이 만 하루 정도로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폭풍우, 태풍, 회오리 또는 해일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유지나 건물 등의 재산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delay the erosion of the coast due to the appearance of waves and tidal action of sea water, as well as the proper installation or expansion of the mesh panel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lost sandy beach by inducing sedimentation of sediment on the eroded coastal surface, and conserve the ecosystem by maintaining the bottom of the seawater by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continuously expand, so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process is high, and the construction period required for restoration is shortened to about one day,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Much can be mitigated to minimize the loss of property such as private land or building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을 설치 후 장기간 시일이 경과되어 메쉬패널이 상부 까지 매몰된 상태라 하더라도 진동발생 및 승강구동장치부의 결합 후 각부 작동에 의해 본 구조물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정 높이만큼 상승시켜 재차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완전 제거하는 공정 등을 크레인 정도의 장비만으로 매우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어 수명 연장의 이점은 물론이고 보수 유지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해안 사장의 확장성에 있어서도 그 증설공정을 신속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panel is buried to the upper par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lifted by the operation of each part after the vibration generated and the combination of the elevating drive unit, so that it rises by an appropriate height. It is possible to handle the process to use it again or to remove it completely with only the equipment of a crane, so it is possible to not only extend the service life but also maintain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to expand the shoreline. The unique effect of being able to process the product quickly and simply is exhibi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may be regarded as exemplary,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concei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사장이 형성된 해안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을 가로질러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포스트;At least one pair of posts sett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ross the beach from the shore where the beach is formed; 다공성의 격자구조를 이루는 장방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Rectangle at least one mesh panel forming a porous grid structure;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를 각각 관통시켜 각 포스트 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쉬패널이 긴장될 수 있도록 메쉬패널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At least one pair of elevating sleeves respectively penetrated through the pair of posts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post, and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esh panel so as to tension the mesh panel; 상기 하나 이상의 메쉬패널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쉬패널과 상기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로 진동을 전가시켜주는 진동발생장치부; 및A vibration generator unit coupl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mesh panels, for transferring vibration to the mesh panel and the pair of elevating sleeves; And 상기 각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 이상의 승강슬리브를 승강시켜주는 승강구동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Elevation drive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lifting elevating device unit for elevating the at least one pair of elevating sleev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 중 상기 메쉬패널을 복수 개 연속증설하기 위한 중간 위치의 포스트는, 2개의 포스트를 평행하게 인접시켜 입설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한 포스트의 상부에는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인접한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를 안착시켜주기 위한 포스트 접속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An intermediate position post for continuously expanding a plurality of mesh panels among the one or more posts is formed by placing two posts in parallel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xing them integral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posts and adjoining the adjacent posts.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pier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ost connection port for seating the elevating drive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한 쌍 이상의 포스트 또는 상기 포스트 접속구는 각각 그 상부에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잭브래킷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The one or more posts or the post connection port is a jack breaker for erosion control of the coastal beach, characterized in that the jack bracket that can be seated on the lifting drive unit por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쉬패널의 중앙부에는 상기 메쉬패널에 작용하는 힘의 분산유도에 의한 강도 보완 및 진동의 원활한 분산을 위한 보강대가 상하방향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메쉬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진동발생장치부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수평지지대가 상기 메쉬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sh panel, a reinforcing bar for fixing strength and smooth dispersion of vibration by the dispersion indu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mesh panel is fixedly coupled up and down, and the upper part of the mesh panel provides stable support of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for coastal beach,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support for the fixed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h panel.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메쉬패널로는 지오그리드(Geogrid)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The mesh panel is a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of the coastal beach, characterized in that the geogrid (Geogrid) is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슬리브는 그 상부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구동장치부의 작동과 함께 상기 승강슬리브가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강구동장치부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The lifting sleeve has a flang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hook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can be coupled with the lifting and driving device portion so that the lifting sleeve can slid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driving device portion. A net breakwater for erosion control of a coastal beac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동발생장치부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크레인 등의 준설장비에 연결시켜주는 견인부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그 간극이 신축 조작되면서 상기 메쉬패널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립죠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formed on the vibrator, the upper part of the vibrator to connect the vibrator to dredg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via a wire, an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or while the gap is stretched and operated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of the coastal beach comprising a grip jaw that can hold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구동장치부는, 상기 각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잭과, 상기 잭의 승강작동부인 램이 상하로 구동될 때 상기 램과 함께 승강구동할 수 있도록 램과 승강슬리브 간을 물리적 변형 없이 상호 연결시켜주는 승강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용 그물 방파제.The elevating drive unit, the jack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post, and the ram between the ram and elevating sleeve without the physical deformation so that the elevating drive with the ram when the ram operation of the jack is driven up and down Erosion control net breakwater of the coastal bea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vating connecting rod.
KR1020050000972A 2005-01-05 2005-01-05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KR1007105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972A KR100710526B1 (en) 2005-01-05 2005-01-05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972A KR100710526B1 (en) 2005-01-05 2005-01-05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488A KR20060080488A (en) 2006-07-10
KR100710526B1 true KR100710526B1 (en) 2007-04-24

Family

ID=3717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972A KR100710526B1 (en) 2005-01-05 2005-01-05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5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43B1 (en) 2013-03-06 2013-05-03 (주)씨테크알엔디 Device for reducing coastal cliffs and reduc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06B1 (en) * 2005-05-31 2007-06-19 주식회사 이비알시스템즈 Improved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and deposition of beach sands
CN113263009B (en) * 2021-05-19 2023-06-23 南京政通建设工程有限公司 Shaking lifting type flower bed false flower picking and cleaning device
CN114481942A (en) * 2022-01-21 2022-05-13 江苏科技大学 Landscape construction device for protecting beach erosio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4622526B (en) * 2022-03-28 2023-09-22 华北水利水电大学 Flexible sand blocking dik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573A (en) 1996-01-03 1998-02-24 Beach Reclamation, Inc. Adjustable porous groynes and method for shoreline reclamation
JPH10306420A (en) 1997-05-07 1998-11-17 Penta Ocean Constr Co Ltd Sedimentation preventing method
US6491474B1 (en) 2001-09-20 2002-12-10 Beach Reclamation, Llc Walking sand snare and method for beach renourishment
KR200346698Y1 (en) 2003-12-19 2004-04-08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Disposal facilities Structure in the stre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573A (en) 1996-01-03 1998-02-24 Beach Reclamation, Inc. Adjustable porous groynes and method for shoreline reclamation
JPH10306420A (en) 1997-05-07 1998-11-17 Penta Ocean Constr Co Ltd Sedimentation preventing method
US6491474B1 (en) 2001-09-20 2002-12-10 Beach Reclamation, Llc Walking sand snare and method for beach renourishment
KR200346698Y1 (en) 2003-12-19 2004-04-08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Disposal facilities Structure in the stre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43B1 (en) 2013-03-06 2013-05-03 (주)씨테크알엔디 Device for reducing coastal cliffs and reduc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488A (en)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075B2 (en)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US6659686B2 (en) Precast modular intermodal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JP5052872B2 (e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0902327B1 (en) Bank construction and reclamation method using the geotextile tube
US20150050086A1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US6481926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US6722817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WO2014145819A1 (en)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U2002256111A1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CN108999142A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dome rectangular light-duty caisson and pile foundation combined type deep water breakwater
KR100710526B1 (en) Mesh groin for controlling erosion of beach sands
US6932539B2 (en)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KR200387407Y1 (en) Marine civil granular structure reinforced with floating geo-mat contained granulars on bottom and slopes of structure and floating geo-mat
KR20110046209A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Scour Prevension And Reinforcement Of Bridge Pier, And Structure Of The Same
GB2469646A (en) A geotechnical structure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and vertical panels
JP2001032231A (en) Lattice type installation material, wave absorbing structure using it, hume pipe used for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ve absorbing structure
CN208965494U (en) The rectangular light-duty caisson of dome and pile foundation combined type breakwater
AU2015258319B2 (en) Erosion prevention arrangement
JP2732098B2 (en) Erosion prevention and sediment promotion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9024470A (en) The rectangular light-duty caisson of dome and pile foundation combined type breakwater
JP2015218552A (en) Sand pack, underwat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water structure
US11661716B1 (en) Erosion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shoreline erosion
JP3585037B2 (en) Stationary double curtain wall type breakwat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4925092B2 (en) Temporary scaffolding for coastal construction
Heibaum Cost effective construction methods using geosynthetic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