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60B1 -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60B1
KR100710060B1 KR1020050062455A KR20050062455A KR100710060B1 KR 100710060 B1 KR100710060 B1 KR 100710060B1 KR 1020050062455 A KR1020050062455 A KR 1020050062455A KR 20050062455 A KR20050062455 A KR 20050062455A KR 100710060 B1 KR100710060 B1 KR 10071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microphone
signal
comput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680A (ko
Inventor
김도휘
최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5006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060B1/ko
Priority to TW095122899A priority patent/TW200703074A/zh
Priority to US11/481,085 priority patent/US20070008284A1/en
Priority to CNA2006100903992A priority patent/CN1896938A/zh
Publication of KR2007000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장치인 유·무선형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마우스에 마이크로폰을 적용시 마우스의 외관에 대한 설계변경없이 그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가 마우스의 출력라인과 분리된 별도의 출력라인을 통해 바로 컴퓨터의 사운드카드로 출력되도록 하고, 그 음성신호의 출력시 마우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마우스를 통한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언제든지 마이크로폰을 통해 필요로 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컴퓨터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폰, 마우스, 핸즈프리, 컴퓨터, 음성신호

Description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Mouse of microphone internal organ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와 컴퓨터의 연결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신호에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컴퓨터와 마우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의 제 1 케이스에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의 제 2 케이스에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신호가 사운드카드모듈부에 직접 전송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사운드카드모듈부에 직접 전송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마우스에 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도 7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케이스 20; 제 2 케이스
30; 인쇄회로기판 40; 마이크로폰
51,71; 제 1,2 통신부 52,72; 제 1,2 데이터라인
61; ADC 62; 디지털신호처리부
63; DAC 80; 홀더
90; 핸즈프리 단자 100; 마우스
200; 컴퓨터 201;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
202; 사운드카드 모듈부 300; 통신단말기
301; 이어폰잭
본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장치인 유·무선형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전달시 그 전달이 마우스의 동작에 관계없이 별도의 출력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마우스의 동작시 발생되는 각종 노이즈를 제거하여 컴퓨터로 전달되는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에 대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컴퓨터의 주변장치 중 하나인 마우스는 유선형과 무선형으 로 구분되며, 상기와 같이 구분된 유·무선형의 마우스는 또한 볼 마우스와 광 마우스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마우스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면에 왼쪽기능버튼과 오른쪽 기능버튼 및 스크롤버튼이 공통적으로 구비되고, 하부면에는 컴퓨터 모니터의 커서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광마우스의 경우 빛을 조사하는 수단이 구비되며, 볼 마우스의 경우에는 볼을 구비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마우스에 음성인식용 마이크로폰을 내장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컴퓨터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마우스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하기 위한 마우스 케이스의 설계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아울러 마이크로폰을 통해 컴퓨터로 음성신호를 출력할 때 그 음성신호가 마우스의 출력라인을 공유하여 출력되는 관계로, 마우스의 동작시 발생하는 각종 소음 즉, 마우스의 왼쪽 기능버튼과 오른쪽 기능버튼을 누를때의 클릭소리, 마우스를 움직일 때 바닥면과의 마찰 소리, 스크롤 버튼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와 같은 노이즈가 음성신호에 포함되면서 음성신호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마우스 동작시에는 마이크로폰을 통한 음성신호의 출력을 제한(mute)하고, 마우스의 동작이 없을 경우에만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었지만, 이 경우는 컴퓨터의 동작을 대부분 마우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할 때 마우스를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컴퓨터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마우스는 마우스의 동작 수행시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오프시키고, 마우스의 동작이 없을 경우에만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우스에 마이크로폰을 적용시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가 마우스의 출력라인과 분리된 별도의 출력라인을 통해 바로 컴퓨터의 사운드카드로 출력되도록 구성함은 물론, 그 음성신호의 출력시 마우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우스를 통한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언제든지 마이크로폰을 통해 필요로 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컴퓨터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 케이스의 설계변경없이도 마이크로폰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내장하기 위해 마우스 케이스를 설계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면서, 그 설계변경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를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왼쪽 기능버튼과 오른쪽 기능버튼 및 스크롤버튼이 배열되는 제 1 케이스;
좌표 설정을 위한 광학구조물이 배열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2 케이스 사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2 케이스내에 내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제 1,2 케이스에 구비된 버튼과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마우스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은 버튼과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제 1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는 마우스신호를 전달하는 표준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마우스는,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만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음성전용의 전송라인;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은,
음성신호만을 전송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 는 제 2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데이터라인은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와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인식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컨버터(ADC) 및,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로 전송하는 제 2 컨버터(DA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스크롤버튼의 외부 돌출을 위해 마련된 제 1 구멍의 내측 공간부에 마이크로폰을 고정하는 홀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광학구조물의 외부 노출을 위해 마련된 제 2 구멍의 내측 공간부에 홀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홀더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과 마이크로폰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마우스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통화가 가능한 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 연결용 핸즈프리 단자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와 컴퓨터의 연결상태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신호에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컴퓨터와 마우스의 연결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 구조의 제 1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마우스 구조의 제 2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0)는 컴퓨터(200)와 연결되는 구조이며, 상기 마우스(100)는 제 1,2 케이스(10)(20), 인쇄회로기판(30), 마이크로폰(40)은 물론, 데이터 전송라인,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스(10)는 마우스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왼쪽기능버튼(11), 오른쪽 기능버튼(12), 스크롤버튼(13)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버튼(13)은 상기 제 1 케이스(10)의 일단에 마련된 제 1 구멍(14)에 위치하여 그 외부 돌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는 마우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좌표 설정을 위한 광학구조물(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이 배열되며, 상기 광학구조물은 상기 제 2 케이스(20)의 저면에 마련된 제 2 구멍(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제 1,2 케이스(10)(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로, 좌표계산부(31)는 물론, 상기 마이크로폰(40), 데이터 전송라인, 신호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폰(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음성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 1,2 케이스(10)(20)내에 위치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은 상기 제 1,2 케이스(10)(20)에 구비된 버튼과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으로, 제 1 통신부(51)와 제 1 데이터라인(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통신부(51)는 상기 왼쪽기능버튼(11), 오른쪽 기능버튼(12), 스크롤버튼(13)의 기능선택 마우스신호와, 좌표계산부(31)에 의해 계산되는 마우스(100)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상기의 제 1 데이터라인(52)을 통해 컴퓨터(200)로 전송함은 물론,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음성신호를 함께 상기의 제 1 데이터라인(52)을 통해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데이터라인(52)은 상기 제 1 통신부(51)에 의한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우스(100)와 컴퓨터(200) 즉, 상기 마우스(100)의 제 1 통신부(51)와 컴퓨터(200)의 메인보드에 탑재된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유선인 경우에는 전선을 채택하고, 무선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우스(100)에 무선송출부를 두고, 컴퓨터(200)에는 무선수신부를 설치한 RF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마이크로폰(4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 이는 마이크로폰(4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 후 이를 상기 마우스신호와 함께 컴퓨터(200)의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전송하며, 제 1 컨버터인 ADC(61)와 디지털신호처리부(62)를 포함한다.
상기 ADC(61)는 상기 마이크로폰(40)으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2)는 마이크로폰(40)에 음성신호의 노이즈 즉, 상기 ADC(61)로부터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이를 데이터 전송라인의 제 1 통신부(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는 상기 왼쪽기능버튼(11)과 오른쪽 기능버튼(12)을 누를때의 클릭소리, 마우스(100)를 움직일때 바닥면과의 마찰소리는 물론, 상기 스크롤 버튼(13)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를 말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2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데이터라인(52)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통신부(51)와 대응되는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0)에 마이크로폰(40)을 내장할 때 그 내장상태는 도 3,4와 같이 마우스(100)를 이루는 제 1,2 케이스(10)(20)의 외부면에 아무런 구멍을 가공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에 스크롤버튼(13)의 외부 돌출을 위해 마련된 제 1 구멍(14)의 내측 공간부에 마이크로폰(40)을 고정하는 홀더(80)를 구비한 후, 상기 홀더(80)에 마이크로폰(40)을 삽입 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스크롤버튼(13)과 제 1 구멍(14)의 틈새(d1)를 통해 내측 공간부의 마이크로폰(40)으로는 사용자의 음성이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8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30)과 마이크로폰(4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케이스(20)에 광학구조물의 외부 돌출을 위해 마련된 제 2 구멍의 내측 공간부에 접속부가 마련되면서 마이크로폰(40)을 고정하는 홀더(80)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더(80)에 마이크로폰(40)을 삽입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2 케이스(20)의 저면 모서리부위에는 소정높이의 돌기부(22)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돌기부(22)의 높이로 인해 생성된 틈새(d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40)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신호처리부에 제 2 컨버터인 DAC(63)를 더 포함한 것이다.
즉, 상기 DAC(63)는 디지털신호처리부(62)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한 후 이를 음성전용의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컴퓨터(200)에 탑재된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마우스(100)에서 발생하는 버튼 및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에서 발생하는 소리 노이즈를 더욱 감소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마이크로폰(40)의 음성신호만을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을 더 포함한 것으로, 상기 음성전 용의 전송라인은 제 2 통신부(71)와 제 2 데이터라인(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통신부(71)는 마이크로폰(40)에 입력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바로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컴퓨터(200)에 장착된 음성처리부인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 바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의 스피커 출력이 가능하도록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데이터라인(52)으로 음성신호의 출력을 위한 이벤트신호인 플래그신호를 컴퓨터(200)의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은 컴퓨터(200)에 탑재된 사운드카드모듈부(202)와 접속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컴퓨터(200)와의 통신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유선인 경우에는 전선을 채택하고, 무선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우스(100)에 무선송출부를 두고, 컴퓨터(200)에 무선수신부를 설치한 RF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은 유선일 경우 하나의 피복선을 통해 묶음되거나, 또는 별도의 USB포트를 통해 분리된 상태로 컴퓨터(2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컴퓨터(2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 2 통신부(71)와 대응되는 통신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것이다.
이때, 도 6과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마이크로폰(40)을 마우스(100)의 스크롤버튼(13)이나 광학구조물 근처에 배치할 때, 또는 광마우스에 적용할 때 그 효과가 창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마우스에 통신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기 마우스(100)의 외측면 일단에 통신단말기(예; 핸드폰)(300)의 음성통화용 이어폰잭(301)이 삽입되는 핸즈프리 단자(90)를 마련하고, 상기 핸즈프리 단자(90)는 마우스(100)내의 인쇄회로 기판(30)에 접속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스크롤버튼(13)이 마련된 제 1 케이스(10)의 공간부 내측에 홀더(80)를 구성한 후 그 홀더(80)에 마이크로폰(40)을 내장하면, 상기 마이크로폰(40)은 상기 홀더(80)내의 도시되지 않은 접속부를 통해 마우스(100)의 내측에 구성된 인쇄회로기판(30)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마우스(100)의 제 1,2 케이스(10)(20) 자체에 대한 설계변경은 없어도 된다.
다른 한편으로, 마우스(100)에 대한 제 1,2 케이스(10)(20)의 설계 변경이 없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광학구조물 장착 공간부의 도시되지 않은 제 2 구멍으로 접속부가 마련된 홀더(80)를 구성한 후, 상기 홀더(80)에 마이크로폰(40)을 내장한다.
이후, 상기 마우스(100)를 컴퓨터(200)와 연결하면, 상기 마우스(100)에 구성된 제 1,2 데이터라인(52)(72)에 있어, 상기 제 1 데이터라인(52)은 컴퓨터(200)의 메인보드에 탑재된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72)은 컴퓨터(200)에 장착되는 음성처리부인 사운드카드 모듈부(202)와 연결된다.
다음, 상기의 연결상태를 통해 마우스(1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마우스(100)에 마련된 좌표계산부(31)는 물론, 입력부로서 왼쪽기능버튼(11)와 오른쪽 기능버튼(12) 및 스크롤버튼(13)의 신호는 상기 마우스(100)에 구성되는 제 1 통신부(51)와 제 1 데이터라인(52)을 거쳐 컴퓨터(200)의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컴퓨터(200)는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른 좌표값과 입력부의 클릭신호로부터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우스(10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100)에 내장된 마이크로폰(40)으로 원하는 음성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폰(40)으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의 음성은 도 2,5,6과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200)에 전달된다.
즉, 도 2와 같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에 포함되는 제 1 컨버터인 ADC(61)를 통해 디지털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신호처리부(62)로 입력되는 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2)는 입력된 디지털의 음성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이를 데이터 전송라인에 포함된 제 1 통신부(51)로 출력한다.
즉,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2)는 음성에 포함된 노이즈, 즉 상기 마우스(100)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왼쪽기능버튼(11)과 오른쪽 기능버튼(12)을 누를때의 클릭소리, 마우스(100)를 움직일때 바닥면과의 마찰소리는 물론, 상기 스크롤 버튼(31)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를 제거한 후 이를 제 1 통신부(51)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 1 통신부(51)는 버튼 및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함께 제 1 데이터라인(52)을 통해 컴퓨터(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통신부(51)는 마우스신호를 전달하는 표준에 음성신호를 추가한 후 이를 제 1 데이터라인(52)을 통해 컴퓨터(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컴퓨터(200)는 상기 제 1 데이터라인(52)을 통해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사운드카드 모듈부(202)의 구동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컴퓨터(200)의 내장형 스피커를 통해 외부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은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에 포함되는 제 1 컨버터인 ADC(61)를 통해 디지털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털신호처리부(62)로 입력되는 바,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2)는 입력된 디지털의 음성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이를 제 2 컨버터인 DAC(63)로 출력한다.
즉,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62)는 음성에 포함된 노이즈, 즉 상기 마우스 (100)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왼쪽기능버튼(11)과 오른쪽 기능버튼(12)을 누를때의 클릭소리, 마우스(100)를 움직일때 바닥면과의 마찰소리는 물론, 상기 스크롤 버튼(31)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를 제거한 후 이를 제 1 통신부(51)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DAC(63)는 상기와 같이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킨 후 이를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직접 컴퓨터(200)의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컴퓨터(200)의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에는 제 1 통신부(51)를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에 대한 출력상태를 알리는 플래그신호가 출력되는 바,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을 거쳐 컴퓨터(200)의 음성처리부인 사운드카드 모듈부(202)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직접 전송될 때, 상기 컴퓨터(200)는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사운드카드모듈부(202)의 구동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컴퓨터(200)의 내장형 스피커를 통해 외부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같이 마이크로폰(40)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제 2 통신부(71)에 입력된 후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바로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출력상태는 제 1 통신부(51)를 통해 컴퓨터(200)의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통신부(71)를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제 2 데이터라 인(72)을 거쳐 컴퓨터(200)의 음성처리부인 사운드카드 모듈부(202)로 직접 전송될 때, 상기 컴퓨터(200)는 상기 제 2 데이터라인(72)을 통해 컴퓨터 표준 입출력포트(201)로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사운드카드 모듈부(202)의 구동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컴퓨터(200)의 내장형 스피커를 통해 외부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8은 상기 마우스(100)의 외측면 일단에 통신단말기(일명 핸드폰)를 연결할 수 있는 핸즈프리 단자(90)를 마련하고, 상기 핸즈프리 단자(90)를 인쇄회로기판(3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것이다.
즉, 도 7,8은 상기 마우스(100)의 외측면 일단에 마련된 핸즈프리 단자(90)와 통신단말기(300)의 통신단자(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음성통화용 이어폰잭(301)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통신단말기(300)가 음성통화를 위한 호 접속이 이루어져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통신단말기(300)로 수신될 때, 상기의 음성신호는 이어폰잭(301)을 통해 마우스(1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마우스(100)로 전달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신호처리부의 동작으로부터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인 제 2 통신부(71)와 제 2 데이터라인(72)을 거쳐 컴퓨터(200)의 음성처리부인 사운드카드모듈부(202)로 전송되는 바,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200)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을 수 있게 되는 등, 상기 마우스(100)와 컴퓨터(200)를 핸즈프리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바로 통신단말기(300)의 내장형 마이크로폰을 거쳐 안테나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에 마이크로폰을 적용시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가 마우스의 출력라인과 분리된 별도의 출력라인을 통해 바로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로 출력하고, 그 음성신호의 출력시 마우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부터 마우스를 통한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언제든지 마이크로폰을 통해 필요로 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컴퓨터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 케이스의 설계변경없이도 마이크로폰 내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내장하기 위해 마우스 케이스를 설계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면서, 설계변경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22)

  1. 왼쪽 기능버튼과 오른쪽 기능버튼 및 스크롤버튼이 배열되는 제 1 케이스, 좌표 설정을 위한 광학구조물이 배열되는 제 2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케이스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하는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에는 데이터 전송라인과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처리부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인식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컨버터(ADC)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은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신호를 마우스신호를 전달하는 표준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은 버튼과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제 1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는,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만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음성전용의 전송라인;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은,
    음성신호만을 전송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제 2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라인은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와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로 전송하는 제 2 컨버터(DA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9. 커서지정버튼과 기능버튼 및 스크롤버튼이 배열되는 제 1 케이스 및, 좌표설정을 위한 광학구조물이 배열되는 제 2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케이스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를 내장한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에는 마이크로폰이 고정되는 홀더를 구성하고,
    상기 홀더에는 인쇄회로기판과 마이크로폰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스크롤버튼의 외부 돌출을 위해 마련된 제 1 구멍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광학구조물의 외부 노출을 위해 마련된 제 2 구멍의 내측 공간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2. 삭제
  13. 왼쪽 기능버튼과 오른쪽 기능버튼 및 스크롤버튼이 배열되는 제 1 케이스 및, 좌표 설정을 위한 광학구조물이 배열되는 제 2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케이스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를 내장한 마우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에는 데이터 전송라인과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처리부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인식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컨버터(ADC)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은 마우스 신호를 전송하는 마우스전용의 전송라인 및,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음성신호만을 컴퓨터로 전송하는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마우스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와 마우스를 통해 통신단말기의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잭 연결용의 핸즈프리 단자;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자는 제 1 케이스에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자는 제 2 케이스에 구비되어 인쇄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전용의 데이터 전송라인은 버튼과 좌표설정의 마우스신호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제 1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17. 삭제
  18. 삭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의 전송라인은,
    음성신호만을 전송하는 제 2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제 2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라인은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와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21. 삭제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컴퓨터에 탑재된 사운드카드 모듈부로 전송하는 제 2 컨버터(DA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KR1020050062455A 2005-07-11 2005-07-11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KR10071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55A KR100710060B1 (ko) 2005-07-11 2005-07-11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TW095122899A TW200703074A (en) 2005-07-11 2006-06-26 Mouse with built-in microphone
US11/481,085 US20070008284A1 (en) 2005-07-11 2006-07-05 Mouse with built-in microphone
CNA2006100903992A CN1896938A (zh) 2005-07-11 2006-07-05 具有内建式麦克风的鼠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55A KR100710060B1 (ko) 2005-07-11 2005-07-11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680A KR20070007680A (ko) 2007-01-16
KR100710060B1 true KR100710060B1 (ko) 2007-04-20

Family

ID=3760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455A KR100710060B1 (ko) 2005-07-11 2005-07-11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08284A1 (ko)
KR (1) KR100710060B1 (ko)
CN (1) CN1896938A (ko)
TW (1) TW2007030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1159B (zh) * 2008-11-28 2012-07-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鼠标
TWI419016B (zh) * 2008-12-15 2013-12-11 Hon Hai Prec Ind Co Ltd 滑鼠
JP5589323B2 (ja) * 2009-08-27 2014-09-17 ヤマハ株式会社 音信号処理装置
US8419541B2 (en) * 2010-11-17 2013-04-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mart shell to a game controller
US10444849B2 (en) * 2014-09-01 2019-10-15 Yinbo Li Multi-surface controller
US10534447B2 (en) 2014-09-01 2020-01-14 Yinbo Li Multi-surface controller
CN106373573A (zh) * 2016-10-26 2017-02-01 安徽咪鼠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语音鼠标信道带宽矛盾的解决方法
USD828337S1 (en) 2017-06-20 2018-09-11 Yinbo Li Multi-surface controller
US11288038B2 (en) * 2018-07-30 2022-03-29 John Holst, III System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using a peripheral device
KR102359963B1 (ko) * 2020-08-21 2022-02-09 (주)아큐플라이에이아이 마이크가 구비된 마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803A (ja) * 1991-10-21 1994-07-22 Microsoft Corp コンピュータ用のマウスとマイクを組み合わせた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H07248878A (ja) * 1994-03-11 1995-09-26 Sanwa Supply Kk マイク付マウ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165A1 (en) * 2003-05-20 2004-11-25 Chung-Ping Chi Recordable wireless cursor-controlling device
US20040233166A1 (en) * 2003-05-23 2004-11-25 Chung-Ping Chi Wireless cursor-controlling device with microphone function
US20050181825A1 (en) * 2004-02-13 2005-08-18 Yaz-Tzung Wu Wireless peripheral voice input device
US20050190154A1 (en) * 2004-02-27 2005-09-01 Chin-Chang Kuo Mouse for portable device
US20060007151A1 (en) * 2004-06-08 2006-01-12 Pranil Ram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70035517A1 (en) * 2005-08-15 2007-02-15 Fortemedia, Inc. Computer mouse with microphone and loudspea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803A (ja) * 1991-10-21 1994-07-22 Microsoft Corp コンピュータ用のマウスとマイクを組み合わせた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H07248878A (ja) * 1994-03-11 1995-09-26 Sanwa Supply Kk マイク付マウ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08284A1 (en) 2007-01-11
CN1896938A (zh) 2007-01-17
KR20070007680A (ko) 2007-01-16
TW200703074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60B1 (ko) 마이크로폰 내장형의 마우스
US11251763B2 (en) Audio signal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08632431B (zh) 多麦克风的音频捕获
CN107105367B (zh) 一种音频信号处理方法及终端
US11425484B2 (en) Ear wearable device
CN107635173A (zh) 运动型高清通话触控蓝牙小耳机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US20050226455A1 (en) Display comprising and integrated loudspeaker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touching of the display
CN106791067B (zh) 一种通话音量调节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2131622A2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with a bone conduction transducer
US11159899B2 (en) Eartip including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99970A (ko)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996352B1 (en) Audio system and method using a loudspeaker output signal for wind noise reduction
KR102435697B1 (ko) 가스 센서가 장착된 구조물을 갖는 전자 장치
WO2017173663A1 (zh) 具有USB Type-C接口的电子设备
KR102643055B1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WO2018227434A1 (zh) 电子设备
EP1569425A1 (en) Handheld PDA wirelessly connected to mobile phone and capable of playing MP3 music. Music is interrupted if incoming call is received.
KR102396558B1 (ko) 이어폰 안테나를 위한 이어잭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35739B1 (ko) 스마트기기용 음성신호 추출 입력 장치
JP5026018B2 (ja) 操作ボタン、車載用装置
KR102641802B1 (ko)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CN211406189U (zh) 一种音箱电路及音箱
KR101145474B1 (ko) 오디오 입력 시스템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