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052B1 -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052B1
KR100710052B1 KR1020060011269A KR20060011269A KR100710052B1 KR 100710052 B1 KR100710052 B1 KR 100710052B1 KR 1020060011269 A KR1020060011269 A KR 1020060011269A KR 20060011269 A KR20060011269 A KR 20060011269A KR 100710052 B1 KR100710052 B1 KR 10071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ravel
base laye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6001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이 증대되고 각 재료들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돌출된 부위가 마련되어 지압 기능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지압블록은 크게 베이스층과 그 베이스층의 표면에 일체화되는 표면층으로 대별되며, 그 베이스층은 서로 입도가 다른 자갈들과, 시멘트, 모래등의 공지된 재료들이 배합되고 10~60중량부인 유체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고, 그 표면층은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자갈들과, 시멘트, 모래등의 재료들이 배합되고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서로 입도가 다른 자갈들을 이용하여 각 재료들간의 틈새 공간을 형성하고 유약을 이용하여 각 재료들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재료들의 유해성분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표면에 큰 입도를 갖는 자갈들의 일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람들이 걸을 때 자극을 받을 수 있게되어 지압 및 마사지기능을 갖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embossing-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압블록의 표면층 재료들중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압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지압블록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지압블록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표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 지압블록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표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록 100 : 표면층
110 : (입도 19~45mm크기의)자갈
120 : (입도 5~13mm크기의)자갈
200 : 베이스층
210 : (입도 13~20mm크기의)자갈
220 : (입도 8~13mm크기의)자갈
230 : 석분 250 : 합성섬유 보강재
310 : 시멘트 320 : 모래
400 : 유약
B : 바이브레이터 M : 금형
M1 : (금형의)가압판 F : 송풍기
R : 브러쉬 로울러
본 발명은 지압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수성이 증대되고 각 재료들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돌출된 부위가 마련되어 지압 기능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의 성형공정은 시멘트, 몰타르를 금형에 넣고 그 위에 안료, 색소층을 만들고 가압기 저면에 부착된 무늬 성형판을 탈형유로 닦을 시에도 별도의 도구(브러쉬, 롤러)를 이용해야 하며, 무거운 몰타르가 내장된 금형판을 들어서 가압기에 넣어 압력을 가하여 보도블럭을 찍어내는 공정을 갖는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찍어낸 보도블럭을 일정 장소로 옮겨서 건조시켜 사용하는 양생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 보도블럭의 제조방식에서 물이 함유되는 양에 따라 건식과 습식방식으로 구분되며, 그중 습식방식은 주로 거푸집 방식으로 제작되며 물을 대량으로 넣어 반죽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반죽시 물기가 많고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완료된 후에 불량품일 경우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건식방식은 주로 진동 고압방식의 몰드를 이용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소량의 물을 넣어 반죽하므로 물기가 거의 없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되더라도 파쇄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의 보도블럭들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대한 내마모성 및 내구성에 대한 조건들을 기본적으로 만족함과 아울러, 빗물이 고여서 지하로 침투되지 못하게 됨에 따른 지하수의 고갈을 막기 위해 지하로 물이 스며들도록 배수를 위한 투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의 보도블럭들은 입자가 굵은 골재를 채용할 경우 재료들간의 공극이 커져 투수성이 향상되지만, 이와 반대로 양생과정에서 결합력이 떨어져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보도블럭과는 다른 소재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와 자갈을 섞어서 포장된 구조물일 경우에는, 물의 투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물이 고이게 되어 지하수가 고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될 경우 그 손상된 부위만을 보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수성을 충족시키면서 결속력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보행시 발바닥 부위에 자극을 주도록 돌출된 부위를 마련하여 지압 및 마사지 기능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층과 그 베이스층의 상측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표면층을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층은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8~13mm 크기의 자갈 70~95중량부, 시멘트 40~60중량부, 모래 15~30중량부, 석분 5~1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체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고,
상기 표면층에는 입도 19~45mm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크기의 자갈 40~70중량부, 시멘트 60~90중량부, 모래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어, 상기 베이스층과 표면층의 재료들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는 유약과 시멘트 혼화제가 혼합된 것이며, 상기 유약과 시멘트 혼화제의 비율은 1 : 0.005~0.05 인 것이다.
상기 유체는 물과 시멘트 혼화제가 혼합된 것이며, 상기 물과 시멘트 혼화제의 비율은 1 : 0.005~0.05인 것이다.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섬유 보강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합성섬유 보강재는 상기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0.2~5.0 중량부인 것이다.
프레스 금형 내에 베이스층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과, 시멘트, 석분, 모래가 배합되고 유체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층 재료들이 투입된 금형에 좌,우 진동을 가하면서 상측에서 가압판을 이용하여 50~90kgf의 힘으로 눌러서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금형내에 투입된 베이스층 재료들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표면층을 구성하는 시멘트, 모래,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이 포함된 재료들이 배합되어 유약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상기 가압판을 다시 상승시킨 후에 금형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내에 투입된 표면층 재료들이 상기 베이스층과 일체화되도록 진동을 가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50~90kgf의 유압력을 가해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켜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지압블록의 다른 제조방법은 프레스 금형 내에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과, 시멘트, 석분, 모래가 배합되고 그 배합된 재료들을 유약으로 반죽한 재료들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에 진동을 가하면서 상기 재료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판을 이용하여 50~90kgf의 유압력을 가해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켜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생과정후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외측면에 물을 분사시킨 후에 브러쉬 로울러로 폴리싱 가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이다.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각 재료들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혼합된 지압블록에 있어서,
상기 재료들은 입도 19~45mm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크기의 자갈 40~70중량부, 시멘트 60~90중량부, 모래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아래에서는 지압블록, 블록, 제품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동일 부호를 기재하며, 혼용하여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블록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지압블록(10)은 크게 베이스층(200)과 그 베이스층(200)의 표면에 일체화되는 표면층(100)으로 대별되며, 그 베이스층(200)은 서로 입도가 다른 자갈(210)(220)들과, 시멘트(310), 모래(320)등의 공지된 재료들이 배합되고 10~60중량부인 유체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고, 그 표면층(100)은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자갈(110)(120)들과, 시멘트(310), 모래(320)등의 재료들이 배합되고 유약(400)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베이스층(200)은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210)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8~13mm크기의 자갈(220) 70~95중량부, 시멘트(310) 40~60중량부, 모래(320) 15~30중량부, 석분(230) 5~15중량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 다.
이는, 서로 다른 입도의 자갈들이 배합됨에 따라 틈새 공간이 형성되어 투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며, 시멘트(310), 모래(320), 석분(230)의 입도 크기는 기존 공지된 것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다.
또한, 그 표면층(100)에는 입도 19~45mm 크기인 자갈(110)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 크기의 자갈(120) 40~70중량부, 시멘트(310) 60~90중량부, 모래(320)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배합되어 유약(400)에 의해 반죽된 것이다.
그 베이스층(200)의 유체는 시멘트 혼화제(미도시)와 유약(400)이 혼합된 것을 채용하거나, 시멘트 혼화제와 물이 혼합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그 시멘트 혼화제와 물, 또는 시멘트 혼화제와 유약(400)의 혼합비율은 공통으로 1 : 0.005~0.05인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비율은 권장사항일 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그 시멘트 혼화제는 소량으로 물 또는 유약(400)에 혼합된 상태로 각각의 재료들이 골고루 배합된 후에 반죽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재료들의 반죽에 사용되는 유약(400)은 경우에 따라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유약(400)과 물의 비율은 1 : 0.5~5.0의 비율을 채택할 수 있으나, 굳이 그 비율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유약(400)과 물의 비율에서 유약(400)이 물에 비해 너무 적은 양일 경우에는 점성이 약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각각의 재료들 외주면이 유약(400) 또는 유약(400)이 희석된 물에 의해 표면 이 코팅되어 재질의 특성상 독성을 갖는 시멘트 소재의 유해성을 차단하게 된다.
즉, 베이스층(200)과 표면층(100)의 재료들은 각각의 재료들이 골고루 배합된 상태에서 유약(400)이 반죽되면서 각각의 재료 알갱이들의 외주면에 층을 이루도록 코팅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베이스층(200)에는 그 보강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합성섬유 보강재(2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210) 100중량부에 대해서, 0.2~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 지압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블록(10)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표면층과 베이스층인 복층으로 구분되는 아니라, 단일 표면층(100)인 단층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의 재료들을 혼합하여 각 재료들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입도 19~45mm크기의 자갈(110)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크기의 자갈(120) 40~70중량부, 시멘트(310) 60~90중량부, 모래(320)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된 것이다.
즉, 본 발명 지압블록의 다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달리 앞서 설명한 표면층에 해당되는 재료의 구성이 단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지압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와 플로우 챠트로서, 그 제조방법은 프레스 금형(MOLD;M) 내에 베이스층(200)을 구성하는 시멘트, 모래, 석분,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의 자갈등이 골고루 배합된 후에 유체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투입하고(S1), 그 베이스층(200) 재료들이 투입된 금형(M)에 바이브레이터(B)를 이용하여 좌,우 진동을 가함과 아울러 가압판(M1)을 금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서 베이스층(200)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며(S2), 성형된 베이스층(200)의 상측에 표면층(100)을 구성하는 시멘트, 모래 및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의 자갈들이 골고루 배합된 후에 유약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투입하고(S3), 그 금형(M)내에 투입된 표면층(100) 재료들을 베이스층(200)과 일체화되도록 진동을 가하면서 가압판(M1)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 50~90kgf의 유압력을 가해 지압블록의 형태로 성형하며(S4), 그 금형(M)내의 블록이 성형된 후에 금형(M)을 제거하고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S5)로 이루어진다.
이후에, 양생 건조된 블록(10)의 표면층(100)을 브러쉬 로울러(R)와 송풍기(F)를 이용한 폴리싱 가공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S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 폴리싱 가공에 의한 표면처리공정은 브러쉬 로울러(R) 또는 연마 로울러(미도시)를 회전시켜 컨베이어(C)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블록(10)의 표면층(100)을 브러싱한 후에 송풍기(F)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면층(100)의 폴리싱 가공전에 양생된 표면층(100)의 상측에서 물 분사기구(W: 일 예로 물분사노즐과 물 공급파이프)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양생 건조된 블록(10)의 온도를 냉각함과 아울러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양생 건조단계에서 성형된 제품인 블록(10)을 양생실(미도시)로 옮겨 제품의 빠른 건조를 위해 대략 60~150℃의 온도에서 양생할 수 있으나, 이는 유약의 성형과는 무관한 것으로, 양생실에서 별도로 양생하지 않고도 상온에서 자연 양생을 하여도 무방하며, 그 자연 양생시에는 양생실을 이용한 인공 양생과정보다 오히려 건조비용 및 효율적인 면에서 더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약을 건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온 건조 방식이 아니라, 자연 양생 또는 60~150℃의 온도를 갖는 양생실에서 1~2시간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한편, 그 바이브레이터(B)는 32마력의 모터가 금형(M)의 좌,우측에 각각 근접되게 설치되어 리히터 진도 2.0정도의 진동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금형(M)은 상부가 개구된 하측 금형과 그 하측 금형의 상측에서 자중과 유압력에 의해 하강되는 가압판(M1)으로 구성되며, 그 가압판(M1)의 유압력은 50~90kgf 고압의 힘으로 금형(M)내의 재료들에 압력을 가해 블록의 형태로 성형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그 가압판(M1)의 하측면은 블록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지압블록(10)은 상부의 표면층과 하부의 베이스층으로 구분된 블록 제품으로 성형된 후에 도로 또는 녹지등에 표면에 포장된 후에, 비가 오더라도 각 재료들간의 틈새공간으로 물이 투수되어 물이 고이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재료들 각각이 유약에 의해 코팅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 성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 제조방법의 다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방법에서 베이스층이 생략되어 표면층인 단층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그 방식은 프레스 금형 내에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과, 시멘트, 석분, 모래가 배합되고 그 배합된 재료들을 유약으로 반죽한 재료들을 투입하고(S1-1), 그 재료들이 투입된 금형에 진동을 가하면서 재료들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판을 이용하여 50~90kgf의 유압력을 가해 성형한 후에(S2-1), 성형된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켜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S3-1)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 경우에도 양생과정후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외측면에 물을 분사시킨 후에 브러쉬 로울러로 폴리싱 가공하는 단계(S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투수성이 증대되고 각 재료들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돌출된 부위가 마련되어 지압 기능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입도가 다른 자갈들을 이용하여 각 재료들간의 틈새 공간을 형성하고 유약을 이용하여 각 재료들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재료들의 유해성분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표면에 큰 입도를 갖는 자갈들의 일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람들이 걸을 때 자극을 받을 수 있게되어 지압 및 마사지기능을 갖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베이스층과 그 베이스층의 상측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표면층을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층은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8~13mm 크기의 자갈 70~95중량부, 시멘트 40~60중량부, 모래 15~30중량부, 석분 5~1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체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고,
    상기 표면층에는 입도 19~45mm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크기의 자갈 40~70중량부, 시멘트 60~90중량부, 모래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어, 상기 베이스층과 표면층의 재료들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유체는 유약과 시멘트 혼화제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유약과 시멘트 혼화제의 비율은 1 : 0.005~0.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블록.
  3. 베이스층과 그 베이스층의 상측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표면층을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층은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8~13mm 크기의 자갈 70~95중량부, 시멘트 40~60중량부, 모래 15~30중량부, 석분 5~1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체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고,
    상기 표면층에는 입도 19~45mm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입도 5~13mm크기의 자갈 40~70중량부, 시멘트 60~90중량부, 모래 40~6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약 10~60중량부에 의해 반죽되어 혼합되어, 상기 베이스층과 표면층의 재료들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유체는 물과 시멘트 혼화제가 혼합된 것이고,
    상기 물과 시멘트 혼화제의 비율은 1 : 0.005~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블록.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합성섬유 보강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합성섬유 보강재는 상기 입도 13~20mm 크기의 자갈 100중량부에 대해서, 0.2~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블록.
  5. 프레스 금형 내에 베이스층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과, 시멘트, 석분, 모래가 배합되고, 유약과 시멘트 혼화제의 비율이 1 : 0.005~0.05로 혼합된 유체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층 재료들이 투입된 금형에 좌,우 진동을 가하면서 상측에서 가압판을 이용하여 50~90kgf의 힘으로 눌러서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금형내에 투입된 베이스층 재료들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표면층을 구성하는 시멘트, 모래,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복수종류의 자갈들이 포함된 재료들이 배합되어 유약에 의해 반죽된 재료들을 상기 가압판을 다시 상승시킨 후에 금형 내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내에 투입된 표면층 재료들이 상기 베이스층과 일체화되도록 진동을 가하면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50~90kgf의 유압력을 가해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켜 양생 건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블록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양생과정후 성형이 완료된 제품의 외측면에 물을 분사시킨 후에 브러쉬 로울러로 폴리싱 가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블록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060011269A 2006-02-06 2006-02-06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269A KR100710052B1 (ko) 2006-02-06 2006-02-06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269A KR100710052B1 (ko) 2006-02-06 2006-02-06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052B1 true KR100710052B1 (ko) 2007-04-20

Family

ID=3818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269A KR100710052B1 (ko) 2006-02-06 2006-02-06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0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59B1 (ko) * 2009-05-04 2010-04-28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전면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면 투수블록
KR100981702B1 (ko) * 2010-03-29 2010-09-10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시멘트 백화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시멘트 블록
KR101475723B1 (ko) * 2013-11-13 2014-12-23 금강골재산업 주식회사 블록포장용 기층블록의 시공방법
KR101513307B1 (ko) * 2008-12-09 2015-04-17 (주)건축리싸이클 투수 및 보수가 용이한 풍토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367B1 (ko) * 2017-10-27 2018-06-04 한림로덱스(주) 인조 현무암 제조용 투수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379B1 (ko) * 2017-10-27 2018-06-04 한림로덱스(주) 인조 현무암 제조용 불투수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8700B1 (ko) * 2021-03-03 2021-07-15 윤기로 투수성 골재를 이용한 지압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77Y1 (ko) * 2001-08-28 2002-02-04 한국아이엘비주식회사 투수성 보도블럭
KR20050050065A (ko) * 2005-05-06 2005-05-27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도로 경계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5479A (ko) * 2005-05-25 2005-06-2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77Y1 (ko) * 2001-08-28 2002-02-04 한국아이엘비주식회사 투수성 보도블럭
KR20050050065A (ko) * 2005-05-06 2005-05-27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도로 경계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65479A (ko) * 2005-05-25 2005-06-29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07B1 (ko) * 2008-12-09 2015-04-17 (주)건축리싸이클 투수 및 보수가 용이한 풍토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759B1 (ko) * 2009-05-04 2010-04-28 주식회사 삼이씨앤지 전면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면 투수블록
KR100981702B1 (ko) * 2010-03-29 2010-09-10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시멘트 백화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시멘트 블록
KR101475723B1 (ko) * 2013-11-13 2014-12-23 금강골재산업 주식회사 블록포장용 기층블록의 시공방법
KR101864367B1 (ko) * 2017-10-27 2018-06-04 한림로덱스(주) 인조 현무암 제조용 투수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379B1 (ko) * 2017-10-27 2018-06-04 한림로덱스(주) 인조 현무암 제조용 불투수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8700B1 (ko) * 2021-03-03 2021-07-15 윤기로 투수성 골재를 이용한 지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40B1 (ko)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0052B1 (ko) 지압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3054B1 (ko) 황토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6565B1 (ko) 보차도 경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7556B1 (ko) 에코스톤 바이오 블록 및 그 제조방법
EP094729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products with exposed aggregates
KR20130115075A (ko) 코팅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33314B1 (ko) 투수성 보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2321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블록
KR101203511B1 (ko) 블록 표면 가공방법
KR100628515B1 (ko) 투수성 인터로킹 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1870B1 (ko)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포장재 시공방법
KR101778579B1 (ko) 빗물 침투 및 저류 저장이 용이한 경계석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경계석
KR101226960B1 (ko) 목재 일체형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7432Y1 (ko) 투수성 인터로킹 블럭
KR100662857B1 (ko) 인조화강석 블록,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US1728991A (en) Paving block and slab made of rubber compound
JP3636712B1 (ja) 人造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7514B1 (ko) 경사진 연부와 휨 방지 보강재가 혼합된 투수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00037708A (ko)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017B1 (ko) 제설제 침식 방지 기능이 있는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0641869B1 (ko) 재활성 석재 및 콘크리트 블록의 부순 돌을 이용한다층구조의 탄성포장재
KR20030072275A (ko)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69392A (ko) 측면경계부분의 홈을 통해 투수성능을 향상시킨 투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