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531B1 -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531B1
KR100706531B1 KR1020040116398A KR20040116398A KR100706531B1 KR 100706531 B1 KR100706531 B1 KR 100706531B1 KR 1020040116398 A KR1020040116398 A KR 1020040116398A KR 20040116398 A KR20040116398 A KR 20040116398A KR 100706531 B1 KR100706531 B1 KR 10070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se code
guide
messag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513A (ko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531B1/ko
Priority to CNB2005101359559A priority patent/CN100386782C/zh
Publication of KR2006007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출력함으로서 청각 또는 시각 장애인이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지정된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안내정보 송신장치, 상기 안내정보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 부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를 포함하는 모스부호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스부호, 진동, PWM신호, 무선통신

Description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apparatus for information guidance by using morse code, and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안내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안내장치 및 보조진동감지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진동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WM신호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흐름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스부호생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모스부호생성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스부호 생성을 위한 화면예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정보안내장치 102: 무선통신부 104:저장부
106: 제어부 108: 진동부 110:LED부
112: 연결선 114: 보조진동감지수단
200: 이동통신단말기 202: 입력부 204: 표시부
205: 제1 무선통신부 206: 제2 무선통신부 208: 저장부
210: 제어부 211: 이동통신처리부 212: 메시지추출부
213: 식별정보추출부 214: 안내정보추출부 215: 모스부호변환부
216: 진동부 217: PWM신호변환부 218: 진동모터부
219: 보조진동감지수단 300: 안내정보 송신장치
본 발명은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출력함으로서 청각 또는 시각 장애인이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들은 지하철, 공항 등 공공장소에서의 안내방송을 청취하지 못하 고, 시각장애인들은 공공장소에서의 안내판 등에 기재된 사항을 읽지 못한다. 이에 대한 별도의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 청각 장애인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위험한 사항에 처할 경우 안내에 의한 신속한 대처가 힘든 어려움이 있어 왔다.
또한, 최근 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및 무선통신기술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단순한 음성통화수단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여러 다양한 활용가능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 근거리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공공장소에서의 안내방송메시지의 모스부호변환장치 및 방법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철, 공항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무선랜 등 무선통신수단의 송신부에서 송신한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의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안내장치에서 수신하고 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여 진동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시각, 청각 장애인이 공공장소에서 안내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청각 장애인 들이 위험지역 등에 있는 경우 상기 안내메시지를 인지하고 위험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숙을 요하는 장소 또는 주변소음이 매우 심한 장소에서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촉각을 통해 안내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무선통신부, 상기 셀룰러 무선주파수대역과 다른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일반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 부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생성하는 PWM신호변환부; 상기 PWM신호변환부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진동출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 진동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의 정보안내방법은 지정된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고 해당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의하여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시지가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해당 메시지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모스부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로 변환하고 해당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방법은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방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안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안내장치(100)는, 무선통신부(102), 저장부(104), 제어부(106), 진동부(108), 및 LED부(11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02)는 안내정보 송신장치(300)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02)는 채용된 근거리무선연결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모듈, 또는 무선랜 모듈 등일 수 있다.
저장부(104)는 제어부(106)의 제어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모스부호를 분석하기 위한 한글 및 영문 데이터,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06)는 정보안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통신부(102)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상기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모스부호를 분석하기 위한 한글 및 영문 데이터,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등에 의거하여 모스 부호로 변환한다.
진동부(108)는 상기 제어부(106)에 의해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진동부(108)는 정보안내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정보안내장치 자체가 진동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진동출력을 감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진동부에 포함된 감지수단이 이동통신단말기 외부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진동부가 포함된 감지수단(114)을 정보안내장치(100)와 연결선(112)으로 연결하여 정보안내장치(100)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감지수단만(114) 들고 있어도 제어부(106)를 통해 모스부호로 변환된 안내정보가 진동 감지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LED부(110)는 상기 정보안내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점등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부(202), 표시부(204), 제1 무선통신부(205), 제2 무선통신부(206), 저장부(208), 제어부(210), 및 진동부(216)를 포함한다.
입력부(202)는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표시부(204)는 이동통신단말기(200)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표시한다.
제1 무선통신부(205)는 셀룰러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이의 고주파 신호 무선통신을 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신호는 제1 무선통신부(205)를 통하게 된다.
제2 무선통신부(206)는 상기 셀룰러 무선주파수대역과 다른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하며 안내정보 송신장치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06)는 채용된 근거리무선연결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모듈, 또는 무선랜 모듈 등일 수 있다.
저장부(208)는 제어부의 제어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모스부호를 분석하기 위한 한글 및 영문 데이터,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통신부(206)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상기 저장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모스부호를 분석하기 위한 한글 및 영문 데이터, 모스부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 등에 의거하여 모스 부호로 변환한다.
진동부(216)는 제어부(210)에 의해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진동부(216)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이동통신단말기 자체가 진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진동출력을 감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진동부에 포함된 감지수단이 이동통신단말기 외부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진동부가 포함된 감지수단(219)을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등 근거리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감지수단만(219) 들고 있어도 제어부(210)를 통해 모스부호로 변환된 안내정보가 진동 감지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10)는 이동통신처리부(211), 메시지추출부(212), 식별정보추출부(213), 안내정보추출부(214), 및 모스부호변환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처리부(211)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통신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메시지추출부(212)는 제2 무선통신부(206)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채용된 통신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추출하는 역할을 행한다.
식별정보추출부(213)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채용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추출하여 상기 메시지가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정보는 사업자 코드, 안내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 또는 성인인증 요구코드 등으로 미리 정해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정보송신장치(300)에서 송신하는 정보 중 성인광고 등 특정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모스부호로 변환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특정 사업자의 안내정보송신장치(300)에서 송신되는 메시지만을 모스부호로 변환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200)를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 경우, 안내정보추출부(214)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채용된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추출하여 모스부호변환부(215)로 전달해 준다. 상기 안내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음향,음성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스부호변환부(215)는 상기 추출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의 표현형식에 맞추어 변환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진동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동부(216)는 PWM신호변환부(217)와 진동모터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WM신호변환부(217)는 제어부(210)의 모스부호변환부(215)에서 변환된 모스부호를 입력받아, 이를 높낮이 레벨과 시간길이가 틀린 펄스신호인 PWM신호(pulse width modulation signal)로 변환시켜 준다.
진동모터부(218)는 상기 변환된 PWM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촉각으로 모스부호를 인지하게 한다.
도 7에는 PWM신호가 예시되어 있다. 진동신호의 진동시간은 PWM신호의 시간길이에 의해 진동강도는 PWM신호의 높낮이레벨에 의해 제어된다. 즉, PWM신호의 펄스가 길면 진동시간이 길고 짧으면 진동시간이 짧으며, PWM신호의 높이레벨이 높으면 진동강도가 높아지고 낮으면 진동강도가 낮아지는 방식으로 입력된 PWM신호에 의해 진동모터부(218)의 진동신호 생성을 위한 움직임이 제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흐름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무선통신부(206)는 안내정보 송신장치(30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의 메시지추출부(212)로 전달한다. 상기 메시지추출부(212)에서는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어부(210)의 식별정보추출부(213)로 전달한다. 상기 식별정보추출부(213)는 상기 메 시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본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대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본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대한 메시지가 아닌 경우, 상기 메시지를 폐기하고, 메시지인 경우, 안내정보추출부(214)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모스부호변환부(215)로 전달한다.
모스부호변환부(215)는 상기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한 후 진동부(216)의 PWM신호변환부(217)로 전달한다. PWM신호변환부(217)는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PWM신호에 의해 진동모터부(218)의 구동을 제어하여 안내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사용자는 촉각을 통해 인지하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부(218)는 입력되는 PWM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스부호 생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스부호생성 시스템은 안내정보 송신 장치(3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광범위한 보급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다수가 신호의 강약을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인체로 느끼게 하는 진동멜로디기능을 구비한 실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안내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택하였다.
안내정보 송신 장치(300)는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지정된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출한다. 채용된 근거리무선연결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모듈, 또는 무선 랜 모듈 등일 수 있다. 송출되는 안내정보 또한 사업자가 채용하는 방식에 따라 음성, 문자 또는 기타 형식에 의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메뉴에는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 생성을 위한 메뉴가 추가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부(208)에는 한글 및 영문에 해당하는 모스부호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표 1은 한글에 해당하는 모스부호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국문 모스부호 국문 모스부호 국문 모스부호
ㆍ ━ ㆍ ㆍ ㆍ ㆍ ━ ㆍ ━ ㆍ ㆍ ㆍ
ㆍ ㆍ ㆍ ━ ━ ━ ㆍ ━ ━
━ ━ ㆍ ━ ㆍ ━ ㆍ ━ ━ ㆍ
━ ㆍ ━ ㆍ ━ ㆍ ㆍ ━ ━ ━ ㆍ ㆍ
━ ━ ━ ㆍ ━ ━ ━
ㆍ ㆍ
ㆍ ㆍ ㆍ ㆍ ━ ━ ㆍ
ㆍ ㆍ ㆍ ㆍ ㆍ ━ ㆍ ━ ㆍ ㆍ
ㆍ ㆍ ━ ━ ㆍ ━ ━ ━ ━ ㆍ ━
모스부호는 단점(dot)와 장점(dash:단점3배의 길이)과의 조합으로 문자나 기호를 나타내는 전신부호(electric telegraphy)이다. 모스부호는 1832년 미국의 Samuel F. B. Morse에 의해 전신용으로 발명되었고, 현재에도 선박 등에서 간이 무선전신용이나 잠수함의 케이블 시스템 등에 이용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 내에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부(202) 상의 메뉴키를 누르면(S100)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표시부(204)에,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항목이 포함된 메뉴항목들이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2) 상의 키를 눌러 "환경설정"항목을 선택하면, "모스부호생성"항목이 포함된 메뉴항목들이 표시부(204)에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2) 상의 키를 눌러 '모스부호생성'이라는 메뉴항목을 설정하여 이를 저장부(208)에 저장한다(S102).
버스 운전사의 키 입력 또는 자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정류장 근처에 왔음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나감과 동시에 안내정보 송신장치(300)는 동일한 내용의 안내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신한다. 상기 안내정보 송신장치(300)의 최대전송거리 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그 제2 무선통신부(206)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무선신호의 형태로 수신한다(S104).
제어부(210)는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서 메시지를 추출(S106)한 다음, 추출된 메시지 내의 식별정보에 의하여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예를 들어, 안내정보송신장치(300)에서 송신하는 정보 중 성인광고 등 특정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모스부호로 변환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특정 사업자의 안내정보송신장치(300)에서 송신되는 메시지만을 모스부 호로 변환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200)를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판단결과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에서 안내정보를 추출(S110)한 다음 이 안내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된 모스부호를 분석하기 위한 한글 및 영문 데이터에 의거하여 모스부호로 변환한다(S112). 진동부(216)의 PWM신호변환부(217)는 상기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PWM신호를 생성한다(S114). 진동모터부(218)는 상기 PWM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촉각으로 어느 정류장 근처에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돌아간다(S116).
한편, 판단결과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상기 메시지를 폐기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는 단계로 돌아간다(S118)
표 1을 참조하면, '이 번 정류장은 사당'에 해당하는 모스부호 문장은 '━ ㆍ ━ ㆍ ㆍ ━ ㆍ ━ ━ ━ ㆍ ㆍ ━ ㆍ ━ ㆍ ━ ㆍ ㆍ ㆍ ㆍ ━ ㆍ ㆍ ━ ㆍ ━ ━ ㆍ ㆍ ㆍ ㆍ ━ ㆍ ━ ━ ㆍ ㆍ ━ ㆍ ㆍ ㆍㆍ ━ ㆍ ━'이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진동부(216)는 '━ ㆍ ━ ㆍ ㆍ ━ ㆍ ━ ━ ━ ㆍ ㆍ ━ ㆍ ━ ㆍ ━ ㆍ ㆍ ㆍ ㆍ ━ ㆍ ㆍ ━ ㆍ ━ ━ ㆍ ㆍ ㆍ ㆍ ━ ㆍ ━ ━ ㆍ ㆍ ━ ㆍ ㆍ ㆍㆍ ━ ㆍ ━'를 진동신호로 출력하게 되어 사용자가 촉각으로 사당역 근처에 왔음을 알게 된다.
모스부호를 해석할 때는 모스부호의 규칙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모스부호 해석을 위해 장애인이 미리 모스부호 해석법을 알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시각, 청각 장애인에게 안내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정숙을 요하는 장소 또는 주변 소음이 매우 심한 장소에서 장애인이 아닌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있는 지하철, 공항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무선랜 등 무선통신장치에서 송신한 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수단의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안내장치에서 수신하고 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여 진동신호로 출력함으로서 시, 청각 장애인이 공공장소에서 안내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 청각 장애인 들이 위험지역 등에 있는 경우 상기 안내메시지를 인지하여 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바,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숙을 요하는 장소 또는 주변소음이 매우 심한 장소에서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도 촉각을 통해 안내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동통신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무선통신부;
    상기 이동통신 무선주파수대역과 다른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일반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 부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생성하는 PWM신호변환부; 상기 PWM신호변환부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진동모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진동출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 진동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 이동통신단말기.
  13. 지정된 무선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임의의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고 해당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의 식별정보에 의하여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시지가 모스부호로 변환될 안내정보가 포함된 메시지가 아닌 경우, 해당 메시지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의 정보안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2단계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안내정보를 모스부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모스부호를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로 변환하고 해당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의 정보안내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의 통신방법은 적외선통신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IrDA),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의 정보안내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040116398A 2004-12-30 2004-12-30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KR10070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98A KR100706531B1 (ko) 2004-12-30 2004-12-30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CNB2005101359559A CN100386782C (zh) 2004-12-30 2005-12-29 一种利用莫尔斯电码的信息导航装置及其导航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398A KR100706531B1 (ko) 2004-12-30 2004-12-30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513A KR20060077513A (ko) 2006-07-05
KR100706531B1 true KR100706531B1 (ko) 2007-04-11

Family

ID=3681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398A KR100706531B1 (ko) 2004-12-30 2004-12-30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6531B1 (ko)
CN (1) CN1003867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0187A (zh) * 2011-09-19 2013-03-27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携式声音辨识系统及其方法
CN103178875B (zh) * 2011-12-20 2016-09-14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接触实现通信的通讯设备、通信系统及方法
CN105323731A (zh) * 2014-07-30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递方法及终端设备
CN106650605B (zh) * 2016-10-20 2019-10-08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机器学习的Morse信号自动检测译码方法
CN108347517A (zh) * 2017-01-22 2018-07-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及装置
US20230071312A1 (en) * 2021-09-08 2023-03-09 PassiveLogic, Inc. External Activation of Quiesc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37A (ko)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KR20040058596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르스 부호를 이용한 통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5156A (en) * 1983-02-07 1984-08-22 Joan May Hughes Radio paging system
JPH07264661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非常位置指示無線標識装置
JP2003032732A (ja) * 2001-07-19 2003-01-31 Toshiba Corp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方法
KR20040080698A (ko) * 2003-03-13 2004-09-20 라이텍코리아 (주) 시각장애자용 보행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937A (ko) * 2002-12-05 2004-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KR20040058596A (ko) * 2002-12-27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르스 부호를 이용한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7490A (zh) 2006-07-05
CN100386782C (zh) 2008-05-07
KR20060077513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0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safety for hands free SMS capability in a moving vehicle
US20060134586A1 (en) Tactile interface system
KR20060098596A (ko) 메시지의 변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6747535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53912B1 (ko) 시각장애인의 보행안내장치 및 방법
KR100706531B1 (ko) 모스부호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및 그 안내방법
EP1854756A1 (en) Elevator car inside display
CN106598267A (zh) 一种智能手表文字输入及其文字远程输入的装置和方法
KR100691976B1 (ko) 모스 신호 분석 및 변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방법
JP2000056676A (ja) 情報告知装置及び情報告知端末装置
JP2004015250A (ja) 携帯端末装置
KR20090069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0608A (ko) 초음파센서 또는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링크를 활용한 운전 중 스마트폰 문자입력 방지 시스템
KR20040049937A (ko)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JP2002015391A (ja) 報知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携帯端末機
JP2000231694A (ja) 視覚障害者用交通信号機通信システム
KR980009080A (ko) 엘리베이터 정보장치
KR2006013542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점자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06321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캔 데이터의 전송 시스템
KR200341094Y1 (ko) 시각 장애인용 음성변환 프로그램 내장형 핸드폰
KR20220153128A (ko) 마을 자체적으로 긴급 재난 방송을 수행하는 마을 방송 송신 장치
KR100526355B1 (ko) 네비게이션용 안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698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 실시간으로 문자를 전송하는방법
KR20050018216A (ko) 자동 음성인식 표시장치
JPH1132123A (ja) 音声合成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