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945B1 -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945B1
KR100705945B1 KR1020000086931A KR20000086931A KR100705945B1 KR 100705945 B1 KR100705945 B1 KR 100705945B1 KR 1020000086931 A KR1020000086931 A KR 1020000086931A KR 20000086931 A KR20000086931 A KR 20000086931A KR 100705945 B1 KR100705945 B1 KR 10070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all forwarding
forwarding service
call
b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801A (ko
Inventor
김세진
박기연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0008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9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8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etering arrangements or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12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M15/24Discriminative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preventing metering of tax-free calls to certain lines, e.g. to fire or ambulanc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1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stored program controlled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신전환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로 되는 루팅유형정보를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착신전환조건항목으로 무조건/무응답/통화중/활성화/시간지정에 해당하는 세부항목을 지원하고, 목적지항목에 특정 DN/특정 루트시퀀스에 해당하는 세부항목을 지원하며, 과금항목에 과금/비과금에 해당하는 세부항목을 지원하여, 운용자가 상기 세부항목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상기 착신선화서비스의 루팅유형을 자유롭게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원발명은 전전자교환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관리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가입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Routing a Terminating Service In Full Electronic ex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서비스 루팅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자교환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서비스 루팅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발신가입자 4: 착신가입자
10,100:아날로그 가입자정합 서브시스템(ASS-S)
11,33,111,333:정합교환프로세서(ASP) 12:가입자정보저장부
20,200:연결망 서브시스템(INS) 22,222:연결망프로세서(INP)
30,300:트렁크 가입자정합 서브시스템(ASS-T)
40,400:중앙제어서브시스템(CCS)
44,444: 입출력제어프로세서(MMP)
46: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그램 50:운용자단말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전환서비스에 대한 루팅유형을 세분화하고, 해당 루팅유형을 운용자가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전자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착신전환서비스는 임의의 발신가입자로부터 자신에게 착신되는 호를 다른 특정 전화번호로 전환시킴으로써 착신가입자에 대해 호성공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착신전환서비스는 무조건 또는 조건부 통화전환 등의 호전환 조건에 따라 전환될 착신호에 대한 유형이 결정되며, 전자의 무조건 착신전환서비스는 착신가입자 자신에게 착신되는 호가 착신가입자가 사전에 활성화시킨 특정 전화번호로 무조건 호전환이 이루어지며, 후자의 조건부 착신전환서비스는 착신가입자 자신에게 호가 통화중이거나 또는 일정 시간 무응답을 유지할 경우에 착신가입자가 사전에 활성화시킨 특정 전환번호로 호전환이 이루어졌다.
한편, 이러한 착신전환서비스에 따른 루팅유형을 위해 전전자교환기의 ASP에 구성되는 소프트웨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전환조건, 목적지, 과금여부 등이 착신전환조건항목은 무조건+활성화 또는 무응답+통화중+활성화로 고정되고, 목적지항목은 "특정 DN(Directory Number; 즉 착신전환번호)"로 고정되고, 과금여부 항목은 "과금"으로 고정되어 설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루팅유형과 다른 루팅유형으로 착신전환서비스를 제공코저 하면 그때마다 소프트웨어를 수동으로 변경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가지 종류의 루팅유형을 설계할 수 있도록 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자교환기의 운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을 용이하게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은, 가입자접속교환 서브시스템(ASS)과, 연결망 서브시스템(INS)과,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을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상기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설정에 따른 MMI명령어가 입력되면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실행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MMI명령어로부터 착신전환조건항목, 목적지항목, 과금여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취득하는 제2단계; 상기 취득된 착신전환조건항목과 목적지항목, 과금여부항목으로 구성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를 상기 ASS의 정합교환프로세서(ASP)에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착신전환서비스에 등록된 가 입자가 호출되면 상기 정합교환프로세서(ASP)에 저장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를 근거로 착신전환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서비스 루팅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자교환시스템의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전자교환기는 아날로그 가입자접속교환 서브시스템인 ASS-S(10,100)와, 연결망 서브시스템인 INS(20,200), 트렁크 가입자접속교환 서브시스템인 ASS-T(30,300), 중앙제어 서브시스템인 CCS(40,400)로 구성된다.
상기 ASS-S(10,100)에는 상기 ASS내의 전반적인 호처리기능과, 트래픽 제어, 스위치 제어, ASS 유지 보수, 운용관리, IPC메시지교환, 기타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정합교환프로세서인 ASP(Access Switching Priccessor)(11,111)가 구성되고, 상기 INS(20,200)에는 공간스위치링크를 사용하는 통화로 검색 및 관리를 수행하고, 각 ASP에서 오는 번호번역 요구에 응답하여 루트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망 프로세서인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cessor)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CCS(40,400)에는 운용자단말(50)과 시스템간의 대화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인 입출력제어프로세서인 MMP(Man Machine Processor)가 구성되고, 상기 ASS-T(30,300)에는 상술되어진 ASS-S(10,110)의 ASP(11,1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ASP(33,333)이 구성되는데, 이 ASP(33,333)는 출중계호와 입중계호에 대한 호처리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ASP(11,33,111,333)에는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 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가입자정보저장부(12)가 구성되고, 통상의 호처리와 착신전환서비스 등의 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세스 예컨대, 발신프로세스, 착신프로세스, 전환프로세스, 출중계프로세스, 입중계프로세스, 착신프로세스 등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가입자(2)가 임의의 가입자(4)를 호출하면, 발신가입자(2)의 발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스인 발신프로세스(13)가 생성되고, 이 발신프로세스(13)가 번호번역 프로세스(도시 생략)을 경유하여 착신번을 취득하면 그 착신번에 해당하는 착신가입자(4)에 대해 착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착신프로세스(14)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착신프로세스(14)는 가입자정보저장부(12)에 저장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에 포함된 착신전환조건을 근거로 상기 착신가입자(4)가 착신전환서비스에 등록된 착신가입자인가를 확인한 다음, 착신전환서비스등록자로 판단되면 상기 착신프로세스(14)는 소멸되고, 최종 착신가입자에게 착신시키기 위해 호전환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스인 전환프로세스(15)가 생성된다.
상기 전환프로세스(15)의 동작수행결과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정보로부터 목적지, 과금여부 등을 판단하여 목적지가 타국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ASS-T(30)에 위치한 ASP의 출중계호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인 출중계프로세스(16)가 생성되어 타국의 ASS-T(300)의 ASP(333)에 구성된 입중계프로세서(310)를 생성시킨 다음, 그 입중계프로세서(310)와 중계선 점유에 필요한 신호를 교신한다.
이어, 상기 입중계프로세스(310)가 번호번역 프로세서(도시 생략)를 경유하 여 호전환될 최종 착신가입자(6)로 착신시키기 위해 ASS-S(100)의 ASP(111)에 구성된 최종 착신가입자(6)의 착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스인 착신프로세스(320)를 생성하여 발신가입자(2)와 최종 착신가입자(6)간의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CCS(40)의 MMP(44)에는 운용자가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램(46)이 구성되는데, 상기 루팅제어프로그램(46)에 의하면 운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착신전환조건항목"은 무조건/무응답/통화중/활성화/시간지정중 하나이상의 항목을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고, "목적지항목"는 특정 DN 뿐만 아니라 특정 루트시퀀스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지능망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며, "과금여부항목"는 과금상태 뿐 만 아니라 비과금상태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에 구성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운용자가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상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CCS(40)의 MMI(Man Machine Interface; 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된 운용자단말(50)로부터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설정에 따른 MML(Man Machine Language)명령어가 입력되면(S10), 상기 MMP(44)는 착신전환서비스루팅 제어프로그램(46)을 실행시키고(S20), 상기 착신전환서비스루팅 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MMI명령어로부터 착신서비스전환조건항목, 목적지항목, 과금여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한다(S30).
상기 착신서비스전환조건항목의 세부항목으로는 무조건/무응답/통화중/활성 화/시간지정항목을 지원하는데, 상기 세부항목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조합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응답+활성화+시간지정 조건이 선택되면, 활성화상태에서 착신가입자에게 걸려온 전화를 지정된 시간동안 무응답인 경우에만 최종 착신가입자에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용자는 상기한 조건들은 임의로 조합하여 새로운 착신전환조건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적지항목의 세부항목으로는 특정 DN항목과 특정 루트시퀀스항목이 지원되는데, 이중 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반 유선전화로의 착신전환시에는 착신번호를 지정해주어야 하지만 지능망 연동시에는 착신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루트시퀀스만 설정해주면 착신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가능한 서비스에 대해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과금여부항목으로는 과금상태항목과 비과금상태항목이 지원되는데, 종래에 과금여부가 항상 과금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비과금상태로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가능한 서비스에 대해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되어진 과정을 통해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이 설정되면, 상기 MMP(44)는 그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를 상기 ASS-S(10)의 ASP(11)의 가입자정보저장부(12)에 저장한다(S40).
이때, 상기 ASP와 MMP간은 프로세서간 통신(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술되어진 일련의 과정이 수행된 상태에서 상기 ASP(12)는 착신전환서비스에 등록된 착신가입자가 호출되는가를 판단한 후(S50), 상기 착신가입자의 호출상태가 판단되면(S50에서 Yes),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12)에서 그 착신가입자에 대해 저장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트유형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가입자에 대해 착신전환서비스를 제공한다(S60).
그러나, 상기한 경우와는 달리 상기 S5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착신전환서비스 가입자의 호출상태가 판단되지 않으면(S50에서 No), 통상적인 착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발신가입자(2)와 최종 착신가입자(6)간의 통화로가 성립되면 통화에 따른 음성신호는 발신가입자(2)↔ASS↔S(10)↔INS(20)↔ASS-T(30)↔ASS-T(300)↔INS(200)↔ASS-S(100)↔최종 착신가입자(6)에 해당하는 경로를 통해 교환된다.
운용자는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정보를 용이하게 변경설정할 수 있게 되고, 전전자교환기는 변경설정된 루팅유형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착신전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착신통화전환 서비스에서는 루팅조건, 루팅 목적지 및 전환된 호에 대한 과금여부 등의 루팅유형을 항상 고정시킨 소프트웨어구조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을 변 경코저 할 경우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운용자가 MMI명령어를 통해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유형을 자유롭게 변경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써, 전전자교환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가입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가입자접속교환 서브시스템(ASS)과, 연결망 서브시스템(INS)과, 중앙제어 서브시스템(CCS)을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상기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설정에 따른 MMI명령어가 입력되면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실행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MMI명령어로부터 착신전환조건항목, 목적지항목, 과금여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을 취득하는 제2단계;
    상기 취득된 착신전환조건항목과 목적지항목, 과금여부항목으로 구성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를 상기 ASS의 정합교환프로세서(ASP)에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착신전환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가 호출되면 상기 정합교환프로세서(ASP)에 저장된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유형정보를 근거로 착신전환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조건항목은 세부항목으로 무조건/무응답/통화중/활성화/시간지정항목을 지원하고, 상기 목적지항목은 세부항목으로 특정 DN항목과 특정 루트시퀀스항목 지원하며, 상기 과금여부항목은 세부항목으로 과금상태항목과 비과금상태항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조건항목의 세부항목을 1개이상 선택하여 상기 세부항목이 조합된 상태로 착신전환조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중 한 항목을 택일하여 목적지항목으로 선택하고, 상기 과금여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중 한 항목을 택일하여 과금여부항목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의 루팅제어방법.
KR1020000086931A 2000-12-30 2000-12-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KR10070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931A KR100705945B1 (ko) 2000-12-30 2000-12-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931A KR100705945B1 (ko) 2000-12-30 2000-12-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801A KR20020058801A (ko) 2002-07-12
KR100705945B1 true KR100705945B1 (ko) 2007-04-11

Family

ID=2768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931A KR100705945B1 (ko) 2000-12-30 2000-12-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9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691A (ko) * 1995-10-31 1997-05-30 양승택 디지탈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의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691A (ko) * 1995-10-31 1997-05-30 양승택 디지탈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의 착신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801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033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ll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alling party or calling line
JP4061602B2 (ja) セルラー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個々の加入者へのサービスの提供
US8670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routing of repair calls to a call center
US5469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alling services
JP3026547B2 (ja) 電話システム運用方法及びその装置
KR980013191A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CA252390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bt in communication network
US6611689B1 (en) System for integra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into a private telecommunication system
US63273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routing data calls to internet service provider via lowest access point in a telephone network
US6671361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telecommunications services with number translation
WO20040958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using a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US67112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 call to a voice mail system
EP1491031B1 (en) Relaying of message waiting indications to support distributed telephony networks
KR20010090478A (ko) 지적 네트워크형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중복 요금 청구회피 방법
US6072866A (en) Path replacement scheme
KR20070074291A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05945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착신전환서비스 루팅제어방법
EP21667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one-number service
KR10030236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통신서비스제공방법
CN100459724C (zh) 融合移动网和固定网的虚拟小交换机业务实现方法
CN101707753B (zh) 移动通信网络中实现非急勿扰业务的方法和平台
CN101272425A (zh) 防止业务重复触发的方法、系统和设备
KR100634725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링백톤대체음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351032B (zh) 智能改号通知系统、方法及服务器
EP17424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