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692B1 - 리버스톤 - Google Patents

리버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692B1
KR100705692B1 KR1020060049313A KR20060049313A KR100705692B1 KR 100705692 B1 KR100705692 B1 KR 100705692B1 KR 1020060049313 A KR1020060049313 A KR 1020060049313A KR 20060049313 A KR20060049313 A KR 20060049313A KR 100705692 B1 KR100705692 B1 KR 10070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stone
support portion
river
sub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권
Original Assignee
정효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권 filed Critical 정효권
Priority to KR102006004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리버스톤(하천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부양부(10)와; 부양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에 삽입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된다. 이때 부양부(10)는 그 상부에 형성된 메인홈(11)과, 부양부(10)의 하부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서브홈(12)과, 메인홈(11)과 서브홈(12)을 연결하는 유로(13)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용 블록이 하천바닥에 시공될 때, 하천 바닥의 토양과 물, 그리고 공기와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수생식물이나 미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하천의 자체 정화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버스톤{a river st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버스톤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을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에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리버스톤에 있어서 부양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2는 도 1의 부양부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
도 13 내지 14는 도 1의 부양부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부양부의 제6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보강철근과 고리의 투시도,
도 16은 도 1의 지지부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리버스톤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10, 210, 310, 410, 510 ... 부양부
11, 111, 211 ... 메인홈
12, 112, 212, 212' ... 서브홈
13, 113, 213 ... 유로
18 ... 고리
19 ... 보강철근
214 ... 서브유로
20, 20', 120, 220 ... 지지부
I ... 철근
B ... 하천바닥
P ... 골재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바닥이나 제방을 보강하기 위하여 토양에 직접 매설되는 리버스톤(하천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바닥은 부드러운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항상 물의 유속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하천의 사용성을 높이거나 홍수 조절을 위하여 하천의 양측부에 제방을 쌓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적으로 하천에 제방을 시공하기 위하여, 제방을 시공하는 장소에서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우회시킨 이후에, 하천의 측부나 바닥에 콘트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제방을 쌓게 되었다. 이러한 콘트리트를 이용하여 쌓은 제방은 물의 유속에 의하여 하천 측부나 바닥으로부터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오랫동안 제방의 기능을 유지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방식에 의하여 제방을 시공할 경우에, 콘크리트가 하천의 측부 및 바닥을 완전히 덮게 되어 토양과 물의 교류를 차단하므로, 물을 정화시키는 수생식물이나 미생물이 살기가 어려운 환경이 되었고, 더 나아가 토양 자체의 정화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방을 쌓을 경우 하천의 자연 정화기능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천 바닥의 토양과 물, 그리고 공기와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가능하게 하여 수생식물이나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하천이 자체 정화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리버스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은,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부양부(10)와; 상기 부양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천바닥에 삽입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양부(10)는 그 상부에 형성된 메인홈(11)과, 부양부(10)의 하부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서브홈(12)과, 메인홈(11)과 서브홈(12)을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홈과 서브홈을 연결하는 유로를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는 서브홈(212)(212')은 상기 부양부(2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서브유로(214)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그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버스톤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은,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부양부(10)와; 상기 부양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천바닥에 삽입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된다.
부양부(10)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30도 내지 60도 정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은 실질적으로 후술할 철근 및 토양에 부양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양부(10)는 그 상부에 형성된 메인홈(11)과, 부양부(10)의 하부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서브홈(12)과, 메인홈(11)과 서브홈(12)을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한다. 이때 부양부(10)는 유로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부양부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부양부(10)의 제1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홈(11)과 서브홈(12)을 연결하는 유로(13)를 직선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부양부(110)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홈(111)과 서브홈(112)을 연결하는 유로(113)를 곡선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부양부(210)의 제3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홈(213)과 서브홈(212)을 연결하는 유로(213) 이외에, 상호 마주보는 서브홈(212)(212')을 연결하 는 서브유로(214)를 부양부(21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한 메인홈과 서브홈, 유로, 서브유로는, 본원의 리버스톤을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에 시공할 때 하천의 바닥을 구성하는 토양과 물을 상호 교류시키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수생식물 및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더 나아가 토양 자체의 정화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한 리버스톤을 이용한 시공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을 하천바닥에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하천 바닥(B)이나 바닥 측부에 메트릭스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용 철근(I)을 미리 설치한다.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I)의 메트릭스 구멍으로 다수개의 본원의 리버스톤의 지지부(20)를 관통시킨 후 부양부(10)가 메트릭스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리버스톤들 사이의 공간 및 상부에 골재(P) 또는 토사를 채워넣음으로써 제방을 완성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제방이 완성될 경우에, 하천 바닥의 토양, 물 및 공기는, 부양부의 메인홈, 서브홈 및 유로를 통하여 상호 교류되므로, 물을 정화시키는 수생식물이나 미생물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고, 이에 따라 토양 자체의 정화효과가 유지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리버스톤에 있어서 부양부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원의 리버스톤의 부양부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 형상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310)는 그 상부가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410)는 그 상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510)는 그 상부가 8각형 형상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12는 도 1의 부양부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14는 도 1의 부양부의 제5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의 부양부의 제6실시예에 따른 리버스톤의 보강철근과 고리의 투시도이고, 도 16은 도 1의 지지부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리버스톤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은,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천바닥 및/또는 제방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부양부(10)와, 상기 부양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천바닥에 삽입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된다.
부양부(10)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30도 내지 60도 정도의 경사면(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10a)은 실질적으로 지반에 부양되는 부분이다.
부양부(10)의 하부에는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목부(14)가 형 성된다.
오목부(1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10)의 가장자리에서 지지부(20)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오목부(14)는 부양부(10)의 가장자리에서 움푹 함몰된 형상을 함으로써 그 표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또한, 부양부(10)에 형성된 오목부(1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두리(12)의 하부로부터 지지부(20)까지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부양부(10)의 경사면(10a)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유동방지날개(1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동방지날개(15)는 전체적으로 유동성을 가지는 원지반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양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볼록한 형태의 유동방지날개와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14, 14')가 교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부양부(10)의 경사면(10a)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목부(16) 또는 유동방지날개(17)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목부(16)와 유동방지날개(17)를 가로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버스톤의 부양부(10)내에는 부양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형의 보강철근(19)이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보강철 근(19)에 연결되어 부양부(1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고리(18)가 설치되며, 고리(18)에 의하여 리버스톤이 운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버스톤의 지지부(20')는 호안의 제방에 사면(斜面)의 안정성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천이나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한 고수공사(高水工事), 또는 호수 및 저수호안공사(貯水護岸工事)를 위해 구축되는 사면이나 도로의 법면(法面)에 토양안정과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의 지지부(20')가 사용된다. 직사각형의 지지부(20')는 넓은 면쪽이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지지부(20')가 원형이나 직사각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으로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톤은, 부양부에 형성된 메인홈, 서브홈 및 유로를 통하여 하천 바닥의 토양과 물, 그리고 공기와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가능하다. 따라서, 풀 등의 수생식물이나 미꾸라지, 도룡뇽 등의 생물 및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기반환경이 조성될 수 있어 하천의 자체 정화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부와 원지반이 서로 상호 압축구속 되어 홍수발생 시에도 제방뚝의 붕괴우려가 없이 더욱 견고한 제방을 구축하는 작용 및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천바닥 또는 제방을 보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상부에 부양될 수 있도록 그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뿔 형상의 부양부(10)와; 상기 부양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천바닥 또는 제방에 삽입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양부(10)는 그 상부에 형성된 메인홈(11)과, 부양부(10)의 하부 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서브홈(12)과, 메인홈(11)과 서브홈(12)을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홈과 서브홈을 연결하는 유로를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3.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마주보는 서브홈(212)(212')은 상기 부양부(2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서브유로(214)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는 그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리버스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의 하부에는 법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30도 ~ 60도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의 경사면에는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과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목부 또는 유동방지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의 경사면에는 하천바닥 또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과 접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오목부와 유동방지날개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내에는 부양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형의 보강철근(19)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방의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높임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톤.
KR1020060049313A 2006-06-01 2006-06-01 리버스톤 KR100705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13A KR100705692B1 (ko) 2006-06-01 2006-06-01 리버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13A KR100705692B1 (ko) 2006-06-01 2006-06-01 리버스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692B1 true KR100705692B1 (ko) 2007-04-09

Family

ID=3816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313A KR100705692B1 (ko) 2006-06-01 2006-06-01 리버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6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315A (ja) * 1984-12-25 1986-07-10 Maikoma Seven:Kk コマ型ブロツク
JPS61151316A (ja) * 1984-12-25 1986-07-10 Maikoma Seven:Kk コマ型ブロツク
JPH01280112A (ja) * 1988-05-06 1989-11-10 Maikoma Seven:Kk 緩傾斜護岸構造
JPH01280117A (ja) * 1988-05-06 1989-11-10 Maikoma Seven:Kk 廃棄物封入型埋設ブロック及び廃棄物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1315A (ja) * 1984-12-25 1986-07-10 Maikoma Seven:Kk コマ型ブロツク
JPS61151316A (ja) * 1984-12-25 1986-07-10 Maikoma Seven:Kk コマ型ブロツク
JPH01280112A (ja) * 1988-05-06 1989-11-10 Maikoma Seven:Kk 緩傾斜護岸構造
JPH01280117A (ja) * 1988-05-06 1989-11-10 Maikoma Seven:Kk 廃棄物封入型埋設ブロック及び廃棄物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423Y1 (ko) 자연형 식생블록
US20100158617A1 (en) Eros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0705692B1 (ko) 리버스톤
KR20010035227A (ko) 하천의 어족자원과 양서류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상보호 및 호안의 시공방법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JP4097222B2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200249172Y1 (ko) 환경친화적 중력식 보강토 식재옹벽블록
CN214832326U (zh) 一种新型护岸结构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28498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337316Y1 (ko) 생태계 어초블록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418744Y1 (ko) 케이스 블럭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KR100461858B1 (ko) 사석을 이용한 v자형 여울
CN107675678B (zh) 一种三维立体自嵌套式岸滩生态守护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