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258B1 - 혼형 부저 - Google Patents

혼형 부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258B1
KR100705258B1 KR1020050131976A KR20050131976A KR100705258B1 KR 100705258 B1 KR100705258 B1 KR 100705258B1 KR 1020050131976 A KR1020050131976 A KR 1020050131976A KR 20050131976 A KR20050131976 A KR 20050131976A KR 100705258 B1 KR100705258 B1 KR 10070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horn
sound
case
propa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혼에 의하여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키고, 음을 증폭시킬 수 있는 혼형 부저가 개시된다. 부저는 자력과 진동판에 의해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부저는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부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다. 부저케이스의 일측 외주연에는 부저에서 발생된 음을 증폭시키는 혼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부저케이스에 부착된 혼에 의하여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키고, 부저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전파되는 음이 증폭되고 명료한 음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을 부저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혼의 치수 및 직경에 따라 부저로부터 전파되는 음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먼 거리까지 음을 명료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혼, 부저, 음

Description

혼형 부저{HORN TYPE BUZZ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혼형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형 부저의 사용상태도로써, 음이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혼형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통상적인 부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저 20 : 부저케이스
22 : 배출공 30 : 혼
본 발명은 혼형 부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저케이스에 혼을 부착하여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키고, 음을 증폭시킬 수 있는 혼형 부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통신단말장치(예컨데, 셀룰라 전화기, PCS 전화기, 무선호출기) 및 컴퓨터 등의 기기내부에 호출신호 또는 수신신호를 음향 및 진동으로 경보하기 위한 부저(BUZZER)가 필수적으로 채용되어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저는 알려진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과,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크네트와, 코일과 마그네트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생하는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중앙에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배출공(112)이 형성된 부저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부저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부저(100)는, 휴대통신단말장치에 착신이 도래되는 경우, 그 착신에 대응하는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코일이 여자되면서 코일과 마크네트에 의해 자력이 생성되고, 이 자력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음이 부저케이스(110)의 배출공(112)을 통해 외부로 전파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부저(100)가 설치된 부저케이스(110)는, 부저(100)에서 발생하는 음을 외부로 전파하고, 부저(100)를 보호하는 기능만 하고 있을 뿐, 부저케이스(11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음을 증폭 시킬 수 없었고, 부저(100)에서 발생되는 신호음은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른 원하는 음량 및 음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저케이스(110)의 배출공(112)을 통해 외부로 전파되는 음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저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부저 모듈의 변경으로만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저케이스에 혼을 부착하여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키고, 음을 증폭시킬 수 있는 혼형 부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혼의 길이에 따라 부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먼 거리까지 음을 명료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혼형 부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부저가 설치되고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부저케이스의 외주연 일측에 배출공을 통해 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혼이 형성된 혼형 부저에 있어서,
혼은 부저케이스에 압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형 부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혼형 부저는 혼에 의해서 부저의 음을 증폭시키고,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혼형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저케이스(20)의 상면 중앙에 부저(10)에서 발생된 음이 외부로 전파될 수 있게 배출공(22)이 형성된다. 배출공(22)이 형성된 부저케이스(20)의 외주연에는 혼(HORN)(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부저케이스(20)는 사각형, 원형 및 다각형상이다.
혼(30)은 목부(32)와 개구부(34)를 가진다. 단면이 원형인 혼(30)의 벽(36)은 목부(32)에서 시작하여 개구부(34)까지 연장된다. 벽(36)은 부저케이스(20)에 부착되는 목부(32)에서 개구부(34)로 갈수록 벌어지는 나팔관 형태이다.
부저케이스(20)의 내부에는 휴대통신단말장치 등의 기기내부에 설치되어 호출신호 또는 수신신호를 음향 및 진동으로 경보하기 위한 부저(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부저(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에 의해 여자되는 코일과,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어 자력을 생성하는 마크네트와, 코일과 마그네트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하여 신호음을 발생하는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저(10)가 설치된 전자 및 전자기기(예, 휴대통신단말장치)에 착신이 도래되는 경우, 그 착신에 대응하는 발진 주파수에 대 응하여 코일이 여자되면서 코일과 마크네트에 의해 자력이 생성되고, 이 자력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음은 부저케이스(20)의 배출공(22)을 통해 혼(30)의 벽(36)을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로 전파하게 된다. 즉, 부저케이스(20)의 배출공(22)을 통해 전파되는 음은 혼의 벽(36)의 목부(32)에서 개구부(3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전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30)을 통해 외부로 전파되는 음은 종래 부저에서 전파되는 음보다 큰 음향을 얻을 수 있고, 명료한 음을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도 2참조).
또한, 부저케이스(20)에 부착된 혼(30)에 의하여 부저(10)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는 혼(30)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혼의 단면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30)의 형상을 나팔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혼의 목부에서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은 테이퍼 형상 및 기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혼형 부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써, 부저케이스(20)에 부착되는 혼(3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혼(30)의 치수 및 직경에 따라 부저(10)로부터 전파되는 음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먼 거리까지 음을 명료하게 전달시킬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음영역을 얻을 수 있다.
부저케이스(20)와 혼(30)은 나사 결합, 압입 결합 및 기타 연결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여기서, 혼의 길이는 적정 길이의 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혼의 길이가 적정 길이 이상이면 공기와의 정합성이 좋아져 부저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그에 따른 제작, 설치 및 휴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 혼(30)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혼의 단면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혼(30)의 형상은 나팔 형상 뿐만 아니라 테이퍼 형상 및 기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혼(30)의 목부(32) 부위에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설치하여 부저(10)의 효율을 높여 더 높은 음압 및 우수한 음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형 부저에서는, 부저케이스에 부착된 혼에 의하여 부저의 음량 및 음질을 향상시키고, 부저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전파되는 음이 증폭되고 명료한 음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음영역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을 부저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혼의 치수 및 직경에 따라 부저로부터 전파되는 음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먼 거리까지 음을 명료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부저가 설치되고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부저케이스의 외주연 일측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혼이 형성된 혼형 부저에 있어서,
    상기 혼은 상기 부저케이스에 압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형 부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혼은 나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형 부저.
KR1020050131976A 2005-12-28 2005-12-28 혼형 부저 KR10070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76A KR100705258B1 (ko) 2005-12-28 2005-12-28 혼형 부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976A KR100705258B1 (ko) 2005-12-28 2005-12-28 혼형 부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258B1 true KR100705258B1 (ko) 2007-04-09

Family

ID=3816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976A KR100705258B1 (ko) 2005-12-28 2005-12-28 혼형 부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2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03U (ko) * 1993-06-16 1995-01-04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부저구조
KR20030021288A (ko) * 2001-09-05 2003-03-15 혜성산업주식회사 단말기용 수신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03U (ko) * 1993-06-16 1995-01-04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부저구조
KR20030021288A (ko) * 2001-09-05 2003-03-15 혜성산업주식회사 단말기용 수신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74234A (ja) スピーカー装置用振動板及びスピーカー装置並びに携帯電話機
US20070003094A1 (en) Earphone device integrated with microphone
KR102167420B1 (ko) 공명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다이나믹 리시버
JP5987911B2 (ja) イヤホン
JP2009278214A (ja) 電気音響変換器
WO2002045460A3 (en) Loudspeakers
US5514927A (en) Piezoelectric audio transducer
KR100705258B1 (ko) 혼형 부저
KR101281539B1 (ko)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JP2004253852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20042451A (ko) 스피커
KR100534154B1 (ko) 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의 내부결합구조
KR100751212B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JP2006165945A (ja) スピーカ
JP2006217518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04282736A (ja) ウェイトリングを備えたスピーカー
CN210120644U (zh) 耳机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48B1 (ko) 진동 스피커
CN209806025U (zh) 喇叭及耳机
KR20010058096A (ko) 진동 스피커
JP4796153B2 (ja) 振動板及びスピーカー装置
KR20020006292A (ko) 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