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539B1 -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539B1
KR101281539B1 KR1020120031205A KR20120031205A KR101281539B1 KR 101281539 B1 KR101281539 B1 KR 101281539B1 KR 1020120031205 A KR1020120031205 A KR 1020120031205A KR 20120031205 A KR20120031205 A KR 20120031205A KR 101281539 B1 KR101281539 B1 KR 10128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peaker
damper
magnetic field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대
정택희
고경수
Original Assignee
광원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원텍(주) filed Critical 광원텍(주)
Priority to KR102012003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04R1/2896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Abstract

울림통이 일체로 되어 슬림화가 가능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는 내부에 울림공간(S)이 형성된 울림통(200); 상기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댐퍼(300);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울림통(200)에 구비되는 자기장 형성부(400); 및 상기 댐퍼(300)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한 자기장과 상기 자기장 형성부(400)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진동하도록 상기 댐퍼(300)와 상기 자기장 형성부(400)에 연계되는 진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로 울림통을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소형화되는 전자기기에 스피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RESONATOR INTEGRATED SPEAKER}
본 발명은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소리로 바꾸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림통이 일체로 되어 있어서 울림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슬림화가 가능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소리로 바꾸는 장치이다.
종래, 이러한 스피커는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며 스피커 프레임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댐퍼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 및, 댐퍼에 연결되고 자기장 형성부에 연계되어 댐퍼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과 자기장 형성부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서 생성된 소리의 증폭을 위해서 스피커는 소리가 공명되도록 구성된 울림통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스피커는 MP3 플레이어 등의 음원 재생기나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근래에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소리의 증폭을 위해서 소리가 공명되는 울림통 내부에 구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으로는 스피커의 슬림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점점 소형화되고 있는 전자기기에 스피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별도로 울림통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소형화되는 전자기기에 스피커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는 내부에 울림공간이 형성된 울림통; 울림통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댐퍼;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울림통에 구비되는 자기장 형성부; 및 댐퍼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한 자기장과 자기장 형성부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진동하도록 댐퍼와 자기장 형성부에 연계되는 진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울림통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댐퍼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울림통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림통은 댐퍼가 위치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제1울림통부재; 및 제1울림통부재와 결합하여 울림공간을 형성하는 제2울림통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 개방부 일측의 제1울림통부재의 부분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개방부 타측의 제1울림통부재의 부분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코일보빈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울림통부재에는 제1연결부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기신호원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형성부는 울림통에 구비되는 요크; 및 요크에 형성된 공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크는 울림통에 포함되는 제2울림통부재에 형성된 요크끼움구멍에 끼워지며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된 마그네트수용부; 및 마그네트수용부로부터 연장되며 울림통에 포함되는 제1울림통부재에 형성된 개방부 내주의 제1울림통부재의 부분에 연결되는 연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제2울림통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동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댐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코일이 감기며 일측은 댐퍼에 연결되고 타측은 자기장 형성부와 연계되는 코일보빈; 및 일부가 댐퍼에 연결되며 울림통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판;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은 울림통에 포함되는 제1울림통부재에 형성된 개방부를 덮도록 제1울림통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은 댐퍼에 연결되는 제1진동판; 및 일측은 제1진동판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울림통부재에 연결되는 제2진동판;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울림통을 구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되는 전자기기에 스피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100)는 울림통(200), 댐퍼(300), 자기장 형성부(400) 및, 진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울림통(200)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울림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울림통(200)은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울림통부재(210)와 제2울림통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울림통부재(210)에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부(21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댐퍼(3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울림통부재(2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댐퍼(300)가 위치하는 개방부(211)가 형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울림통부재(220)는 제1울림통부재(210)와 결합하여 울림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울림통부재(220)는 용접 또는 볼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의해서 제1울림통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제2울림통부재(220)는 주지의 다른 구성으로도 제1울림통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울림통부재(220)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울림통부재(210)와 결합하여 울림공간(S)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댐퍼(3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울림통(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댐퍼(300)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울림통(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댐퍼(300)가 울림통(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300)가 울림통(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용접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댐퍼(300)는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댐퍼(300)는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및, 코일보빈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31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부(211) 일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울림통(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1연결부(310)가 개방부(211) 일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310)가 개방부(211) 일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울림통부재(210)에는 전기신호원연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신호원연결부(212)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31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 노출된 제1연결부(310)의 일부가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신호원의 전기신호가 제1연결부(310)를 통해 댐퍼(300)에 입력될 수 있다.
제2연결부(32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부(211) 타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울림통(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2연결부(320)가 개방부(211) 타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320)가 개방부(211) 타측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지지부(330)는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지지부(330)는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 및 코일보빈지지부(330)는 금속 등의 도체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보빈지지부(3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330)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코일보빈지지부(330)가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코일보빈지지부(330)가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댐퍼(300)는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의 전기신호가 댐퍼(3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300)에 포함되는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및, 코일보빈지지부(330)는 일체로 형성되며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는 도체로 이루어지며, 코일보빈지지부(3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코일보빈지지부(330)가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서,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의 신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310)를 통해 댐퍼(300)에 입력될 수 있다.
자기장 형성부(400)는 울림통(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 형성부(400)에 의해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기장 형성부(4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요크(410)와 마그네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41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울림통(200)에 구비될 있다. 이를 위해서, 요크(4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트수용부(411)와 연장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트수용부(411)는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제2울림통부재(220)에 형성된 요크끼움구멍(22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수용부(41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마그네트(42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412)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트수용부(4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제1울림통부재(210)에 형성된 개방부(211) 내주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장부(412)의 단부는 개방부(211) 내주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형성된 제1연결턱(211a)에 용접이나 볼트 등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412)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울림통부재(220)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장부(412)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동구멍(4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구멍(412a)를 통해 연장부(412)를 중심으로 연장부(412)의 일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장부(412)의 타측으로 또는 연장부(412)의 타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장부(412)의 일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진동부(500)에 포함되는 진동판(520)이 진동함에 따라 연장부(412)의 일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장부(412)의 타측으로 또는 연장부(412)의 타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장부(412)의 일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서, 진동판(520)의 진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소리가 용이하고 노이즈 없이 깨끗하게 생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42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요크(410)에 형성된 공간에 소정 간격(d)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그네트(420)는 요크(410)의 마그네트수용부(411)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420)에 의해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트(420)에는 자기장이 바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플레이트(430)가 구비될 수 있다.
진동부(500)는 댐퍼(300)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한 자기장과 자기장 형성부(400)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진동하도록 댐퍼(300)와 자기장 형성부(40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진동부(5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510)과 진동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510)에는 댐퍼(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코일(V)이 감길 수 있다. 보이스코일(V)의 일단부가 댐퍼(300)에 납땜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보이스코일(V)이 댐퍼(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으로부터 댐퍼(300)에 입력된 전기신호는 보이스코일(V)에 입력되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보빈(510)의 일측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댐퍼(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510)은 댐퍼(3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코일보빈지지부(330)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510)의 타측은 자기장 형성부(400)와 연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코일보빈(510)의 타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부(400)에 포함되는 요크(410)와 마그네트(420) 사이의 간격(d)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V)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과 마그네트(420)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코일보빈(510)이 댐퍼(300)와 함께 요크(410)와 마그네트(420) 사이의 간격(d)에서 진동할 수 있다.
진동판(520)은 일부가 댐퍼(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진동판(520)은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제1울림통부재(210)에 형성된 개방부(211)를 덮도록 제1울림통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진동판(5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300)와 함께 코일보빈(510)이 진동하면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소리가 생성될 수 있다.
진동판(520)은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진동판(521)과 제2진동판(5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진동판(521)은 댐퍼(3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진동판(521)은 댐퍼(300)의 전술한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2진동판(522)의 일측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진동판(5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제2진동판(522)의 일측은 제1진동판(5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진동판(522)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울림통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진동판(522)의 타측은 개방부(211) 외주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형성된 제2연결턱(211b)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호부재(600)가 진동판(520)을 덮도록 개방부(211) 외주의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부재(6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동판(520)의 진동에 의해서 생성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보호부재(600)와 제1울림통부재(210)에 외부와 연통된 소리전달부(610,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퍼(300)가 직접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울림통(200)에 자기장 형성부(400)가 구비되기 때문에, 댐퍼(300)에 전기신호원으로부터의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진동부(500)가 이러한 댐퍼(300)와 자기장 형성부(400)와 연계되어 진동하여서 입력된 전기신호가 소리로 바뀔 수 있다.
그러므로, 울림통이 스피커와 일체로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울림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하면, 근래에 점점 소형화되는 전자기기에 스피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200 : 울림통
210 : 제1울림통부재 211 : 개방부
211a : 제1연결턱 211b : 제2연결턱
212 : 전기신호원연결부 213, 610 : 소리전달부
220 : 제2울림통부재 221 : 요크끼움구멍
300 : 댐퍼 310 : 제1연결부
320 : 제2연결부 330 : 코일보빈지지부
400 : 자기장 형성부 410 : 요크
411 : 마그네트수용부 412: 연장부
412a : 공기유동구멍 420 : 마그네트
430 : 플레이트 500 : 진동부
510 : 코일보빈 520 : 진동판
521 : 제1진동판 522 : 제2진동판
600 : 보호부재 S : 울림공간
V : 보이스코일

Claims (13)

  1. 내부에 울림공간(S)이 형성된 울림통(200);
    상기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댐퍼(300);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상기 울림통(200)에 구비되는 자기장 형성부(400); 및
    상기 댐퍼(300)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한 자기장과 상기 자기장 형성부(400)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진동하도록 상기 댐퍼(300)와 상기 자기장 형성부(400)에 연계되는 진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댐퍼(300)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울림통(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200)은
    상기 댐퍼(300)가 위치하는 개방부(211)가 형성된 제1울림통부재(210); 및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와 결합하여 상기 울림공간(S)을 형성하는 제2울림통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300)는
    상기 개방부(211) 일측의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310);
    상기 개방부(211) 타측의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320); 및
    상기 제1연결부(310)와 제2연결부(320)에 연결되는 코일보빈지지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에는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기신호원연결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300)는 적어도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형성부(400)는
    상기 울림통(200)에 구비되는 요크(410); 및
    상기 요크(410)에 형성된 공간에 소정 간격(d) 이격되게 구비되는 마그네트(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410)는
    상기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제2울림통부재(220)에 형성된 요크끼움구멍(221)에 끼워지며 상기 마그네트(42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된 마그네트수용부(411); 및
    상기 마그네트수용부(4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제1울림통부재(210)에 형성된 개방부(211) 내주의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의 부분에 연결되는 연장부(4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12)는 상기 제2울림통부재(2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12)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유동구멍(4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500)는
    상기 댐퍼(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코일(V)이 감기며 일측은 상기 댐퍼(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자기장 형성부(400)와 연계되는 코일보빈(510); 및
    일부가 상기 댐퍼(300)에 연결되며 상기 울림통(2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동판(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520)은 상기 울림통(200)에 포함되는 제1울림통부재(210)에 형성된 개방부(211)를 덮도록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520)은
    상기 댐퍼(300)에 연결되는 제1진동판(521); 및
    일측은 상기 제1진동판(5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울림통부재(210)에 연결되는 제2진동판(5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KR1020120031205A 2012-03-27 2012-03-27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KR10128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05A KR101281539B1 (ko) 2012-03-27 2012-03-27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05A KR101281539B1 (ko) 2012-03-27 2012-03-27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539B1 true KR101281539B1 (ko) 2013-07-03

Family

ID=4899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205A KR101281539B1 (ko) 2012-03-27 2012-03-27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5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40B1 (ko) * 2015-08-12 2017-05-02 주식회사 에스제이앤에스 자력부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평면 스피커
KR20170127338A (ko) * 2016-05-11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형 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1966586B1 (ko) 2018-04-24 2019-04-05 이인환 흡반 구조의 소리 전달 장치
WO2023191304A1 (en) * 2022-03-31 2023-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and laptop computer with sp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98B1 (ko) 2000-12-29 2002-08-2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전자제품과 신호 변환장치의 일체화를 위한 신호변환장치의 결합 구조
KR100860679B1 (ko) 2007-06-01 2008-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KR100890393B1 (ko) 2008-03-05 2009-03-26 주식회사 블루콤 휴대폰 장착용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KR100930537B1 (ko) 2009-09-03 2009-12-09 주식회사 블루콤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98B1 (ko) 2000-12-29 2002-08-2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전자제품과 신호 변환장치의 일체화를 위한 신호변환장치의 결합 구조
KR100860679B1 (ko) 2007-06-01 2008-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KR100890393B1 (ko) 2008-03-05 2009-03-26 주식회사 블루콤 휴대폰 장착용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KR100930537B1 (ko) 2009-09-03 2009-12-09 주식회사 블루콤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40B1 (ko) * 2015-08-12 2017-05-02 주식회사 에스제이앤에스 자력부착을 이용한 마이크로 평면 스피커
KR20170127338A (ko) * 2016-05-11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형 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2272386B1 (ko) * 2016-05-11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형 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1966586B1 (ko) 2018-04-24 2019-04-05 이인환 흡반 구조의 소리 전달 장치
WO2023191304A1 (en) * 2022-03-31 2023-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aker and laptop computer with spe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446B2 (en) Speaker frame and speaker having the same
US8379905B2 (en) Micro-speaker
WO2016086756A1 (zh) 微型扬声器
US20180167738A1 (en) Speaker and speaker-box
US9706310B2 (en) Acoustic device
US9674613B2 (en) Speaker box
CN213126461U (zh) 发声单体、扬声器及电子终端
KR101281539B1 (ko) 울림통 일체형 스피커
US20200053443A1 (en) Speaker Assembly
US20160227326A1 (en) Electromagnetic Speaker
US9338534B2 (en) Miniature speaker
US20160198264A1 (en) Electromagnetic Speaker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KR101538635B1 (ko)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KR101595175B1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20060084684A (ko) 현장음을 구현하는 스피커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101756652B1 (ko) 중공채널을 갖는 이어셋
KR20110031570A (ko) 스피커
US9258631B1 (en) Micro-speaker
KR100511219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공명구조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US8141675B2 (en) Micro-speaker
US10149027B2 (en) Speak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