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78B1 - 턴버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턴버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78B1
KR100704778B1 KR1020050079439A KR20050079439A KR100704778B1 KR 100704778 B1 KR100704778 B1 KR 100704778B1 KR 1020050079439 A KR1020050079439 A KR 1020050079439A KR 20050079439 A KR20050079439 A KR 20050079439A KR 100704778 B1 KR100704778 B1 KR 10070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rotating
teeth
rota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066A (ko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케이블텍 주식회사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블텍 주식회사, 박종찬 filed Critical 케이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턴버클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을 그 턴버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상기 턴버클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가능하며, 상기 턴버클을 관통한 핀에 결합되는 핀결합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그 지지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의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은 방지하는 역회전방지기구;를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턴버클 회전장치{Turnbuckle Tensioning Device}
도 1은 턴버클에 의해 교량에 사용되는 강선이 조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턴버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턴버클을 종래의 방법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턴버클 회전장치에 의해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폴이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폴이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턴버클 회전장치 10 : 턴버클
20 : 지지부재 30 : 결합부재
40 : 회전부재 45 : 핀
25 : 손잡이부재 46 : 핀결합부
본 발명은 턴버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이동없이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152)이 아치(151)에 연결된 강선(100)의해 지탱되도록 설계된 교량(150)에서는, 턴버클(10)에 의해 강선(100)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그 가해진 인장력을 제거한다.
턴버클(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암나사부(131)를 가지는 본체부(13)와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과 상기 암나사부(131)에 대응되는 숫나사부(151)를 가지는 두 개의 연결부재(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5) 중 하나의 연결부재(15)에는 강선(100)이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재(15)는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암나사부(131) 중 하나의 암나사부는 왼나사식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암나사부는 오른나사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턴버클(10)의 본체부(13)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방향에 따라 그 연결부(15)에 연결된 강선(100)에 인장력을 가하기도 하고, 가해진 인장력을 제거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턴버클(10)의 본체부(13)를 회전시키는 것을 편의상 턴버클(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종래에 있어 상기 턴버클(10)에 인장력을 재하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10)에 그 턴버클(10)의 직경방향으로 마련된 관통공(11)에 강봉(101)을 삽입하여, 강봉(101)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턴버클(10)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턴버클(10)에 연결된 강선(100)에 큰 인장력을 재하하기 위해서 큰 모멘트가 필요하고, 강봉(101)의 길이가 길수록 큰 모멘트를 작용시키기가 유리한데, 턴버클에 의해 조여지는 강선(100)이 다수개 이고, 그 강선(100)들 사이의 간격이 짧은 경우에는 그 간격보다 긴 강봉(101)을 사용하는 경우 인접하는 강선(100)에 강봉(101)이 걸려 그 회전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턴버클(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강봉(101) 전체가 회전해야 하므로 강봉(101)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그 회전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을 해야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턴버클을 회전시키는데 있어, 작업자의 이동없이 한자리에서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턴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턴버클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을 그 턴버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상기 턴버클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가능하며, 상기 턴버클을 관통한 핀에 결합되는 핀결합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그 지지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의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은 방지하는 역회전방지기구;를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톱니들이 형성된 래칫이며, 상기 역회전방지기구는,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 가능한 제1걸림톱니를 가지는 폴(pawl)과, 상기 폴을, 상기 제1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은, 그 폴의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톱니와 반대쪽에 배치된 제2걸림톱니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을, 상기 제2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을, 상기 제1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제2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켜 두기 위한 걸림톱니 선택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톱니 선택기구는, 상기 폴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지지부재에 상 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과, 상기 볼을 상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다른 하나의 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손잡이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턴버클 회전장치에 의해 턴버클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폴이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폴이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 회전장치(1)는 핀(45)과 회전부재(40)와 지지부재(20)와 결합부재(30) 및 역회전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핀(45)는 턴버클(10)에 그 직경방향으로 마련된 관통공(11)에 관통되는 부재이다.
상기 회전부재(40)는 상기 턴버클(10)의 외주에 끼워져 턴버클(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톱니(47)들이 형성된 래칫(ratchet)이다. 상기 회전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되어 있다. 즉, 두개의 회전부재요소(41)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회전부재(40)를 이루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40)에는 핀결합부(46)가 마련되어, 상기 턴버클(10)에 마련된 관통공(11)에 관통된 핀(45)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부재(20)는 후술하는 결합부재(30)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부재(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손잡이부재(2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25)는 상기 지지부재(2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25)에는 널링(knurling)가공을 통해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켜 작업자가 손잡이부재(25)를 잡고 작업을 할 때,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지지부재(20)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부재(40)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결합부재(30)의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20)에 힌지(3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의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20)에 나사(3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역회전방지기구는 상기 회전부재(40)의 일방향의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은 방지하는 기구로서, 폴(pawl)(51)과 제1스프링(56)과 제2스프링(57)과 톱니선택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폴(51)은 상기 지지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폴(51)에는 제1걸림톱니(511)와 제2걸림톱니(5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톱니(511)는 폴(51)의 그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C.L)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20)의 톱니(47)들 사이에 결합되는 부재이며, 상기 제2걸림톱니(512)도 상기 제1걸림톱니(511)와 기능은 같고, 다만 그 위치가 상기 제1걸림톱니(511)의 반대쪽에 있는 차이가 있다.
상기 폴(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톱니(511)가 상기 회전부재(40)의 톱니(47)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제2걸림톱니(512)가 상기 톱니(47)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56)은 상기 제1걸림톱니(511)가 상기 회전부재(40)의 톱니(47)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0)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스프링(57)은 제1스프링(56)과 상기 제2걸림톱니(512)가 상기 회전부재(40)의 톱니(47)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0)의 상기 제1스프링(56)의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톱니선택기구는 걸림턱(513)과 볼(521)과 스프링(5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림턱(513)은 상기 폴(51)에 마련되어 있으며, 볼(521)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볼(521)은 상기 지지부재(20)에 상기 폴(51)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22)은 상기 볼(521)을 상기 폴(51)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0)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턴버클(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턴버클(10)에 직경방향으로 마련된 관통공(11)에 핀(45)을 삽입한다. 핀(45)이 삽입되면, 그 핀(45)의 양단부를, 회전부재(40)에 마련된 핀결합부(46)에 결합시킨다. 이 때, 2개로 분할된 회전부재요소(41)들을 상호 결합시켜, 회전부재(40)를 턴버클(10)의 외주와 결합시켜 둔다. 회전부재(40)가 턴버클(10)에 설치되면, 상기 턴버클(10)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40)를, 그 일부는 지지부재(20) 내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결합부재(30) 내로 삽입되도록, 지지부재(20)와 결합부재(30)를 상기 나사(32)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턴버클(10)이 턴버클 회전장치(1)에 결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 회전장치(1)에 마련된 손잡이부재(25)를 이용하여 턴버클 회전장치(1)를 턴버클(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턴버클(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턴버클 회전장치(1)의 회전부재(40)는 일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고 일방향으로는 회전이 방지되는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A방향과 A'방향 중, A방향으로 턴버클(10)이 회전하는 경우에 손잡이부재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정하도록 하며, 이때 도 6에 도시된 폴(51)의 위치를 제1위치로 정하기로 한다. 먼저 회전이 방지되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부재(40)에 마련된 톱니(47)는 폴(51)에 마련된 제2걸림톱니 (512)에 걸려있는데, 턴버클 회전장치(1)의 지지부재(20)를 손잡이부재(25)를 이용하여 A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부재(40)의 톱니(47)가 제2걸림톱니(512)에 힘을 가하는 방향이 폴(51)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R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방향이다. 이때, 폴(51)의 R방향의 반대방향의 회전은 지지부재(20)에 의해 방지되므로 회전부재(40)의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부재(40)의 톱니(47)가 상기 폴의 제2걸림톱니(512)에 힘을 가하는 방향이 상기 폴(51)이 도 6에 표시된 R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하는데, 그 힘이 제2스프링(57)이 상기 폴(51)을 탄성가압하고 있는 힘보다 큰 경우 폴(51)이 그 힘에 의해 상기 제2스프링(57)을 누르면서 회전부재(40)의 톱니(47)와 이탈하여 상기 회전부재(4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원리에 의해, A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20)를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부재(40)는 폴(5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턴버클 회전장치(1)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턴버클(10)은 핀(45)에 의해 턴버클 회전장치(1)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턴버클 회전장치(1)의 지지부재(2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버클(1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강선(10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이다. 반대로 턴버클 회전장치(1)의 지지부재(20)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부재(40)의 회전이 허용되므로, 턴버클(10)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부재(40)는 그대로 있고, 회전부재(40)를 제외한 턴버클 회전장치(1)만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를 A'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턴버클(10)은 회전하지 않고 턴버클 회전장치(1)만이 회전하게 되므로, 강선(100)에 재하되는 인장력의 손실 없이 턴버클 회 전장치(1)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원리에 의해 작업자가 턴버클 회전장치(1)를 손잡이부재를 이용하여 A방향으로 회전시켜 턴버클(10)을 회전시키는 작업과, A'방향으로 회전시켜 인장력의 손실없이 턴버클 회전장치(1)만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턴버클 회전장치(1)를 360도 회전시킬 필요없이, 일정각도만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턴버클(10)을 회전시켜 강선(100)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턴버클 회전장치(1)를 회전시킴에 따라 같이 움직일 필요없이, 간단하게 한자리에서 턴버클(1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걸림톱니 선택장치를 이용해 폴(51)의 위치를 변경시켜, 회전부재(40)의 회전이 허용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폴(51)에는 지지부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513)이 마련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0)에 마련된 볼(521)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볼(521)은 스프링(522)에 의해 결합부재(30) 방향으로 탄성가압 되고 있다. 이때, 폴(51)을 상기 스프링(522)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볼(521)이 스프링을(522)을 누른 상태로 회전되어 폴(51)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거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51)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회전부재(40)의 회전이 허용되는 방향이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턴버클(10)에 연결된 강선(100)에 인장력을 재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재하된 인장력을 해제하는 원리도 인장력을 재하하는 원리와 동일하다. 다만,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폴(51)의 위치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이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2걸림톱니(512)는 회전부재(40)에 마련된 톱니(47)들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제1걸림톱니(511)가 회전부재(40)의 톱니(47)들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에는 도7에 도시된 B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되고, B'방향의 회전은 가능하게 되므로, 턴버클 회전장치(1)를 B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강선(100)에 재하된 인장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작업자가 턴버클 회전장치(1)를 회전시킴에 따라 같이 움직일 필요없이, 간단하게 한자리에서 턴버클 회전장치(1)를 손잡이부재(25)를 이용하여 B방향으로 일정각도만을 회전시켜 강선(100)에 가해진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작업과, 다시 B'방향으로 회전시켜 턴버클 회전장치(1)만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턴버클(10)을 회전시켜 강선(100)에 가해진 인장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턴버클(10)의 크기는 턴버클(10)에 연결된 강선(100)에 재하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크기의 턴버클(10)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의 경우 턴버클(10)의 크기에 맞추어 회전부재(40)와 핀(45)의 크기만을 조절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턴버클(10)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부재(25)는 길수록 같은 힘으로도 강한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긴 손잡이부재(25)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재(25)는 지지부재(20)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손잡이부재(25)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길 이가 긴 손잡이부재(25)를 사용할 수도 있고,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손잡이부재(25)를 사용하는 등 손잡이부재(25)의 길이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회전부재(4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래칫과 폴이 이용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래칫과 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을 적절히 채용하여 턴버클 회전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걸림톱니 선택기구를 이용하여 회전부재(40)의 회전이 허용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폴(51)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턴버클 회전장치(1)를상하방향으로 180도 뒤집게 되면, 회전부재(40)가 회전가능한 방향이 변경되게 되므로, 걸림톱니 선택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결합부재(30)의 일측이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나사(32)에 의해 결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양측을 모두 나사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는 손잡이부재(25)가 지지부재(20)에 나사결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탈착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 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턴버클 회전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작업자가 한자리에서 턴커블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둘째,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턴버클을 용이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셋째, 턴버클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턴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턴버클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을 그 턴버클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상기 턴버클의 외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2개로 분할 가능하며, 상기 턴버클을 관통한 핀에 결합되는 핀결합부를 가지는 회전부재;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그 지지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향의 회전은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은 방지하는 역회전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톱니들이 형성된 래칫이며,
    상기 역회전방지기구는,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 가능한 제1걸림톱니를 가지는 폴(pawl)과,
    상기 폴을, 상기 제1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은, 그 폴의 회전중심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톱니와 반대쪽에 배치된 제2걸림톱니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을, 상기 제2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을, 상기 제1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제2걸림톱니가 상기 회전부재의 톱니들 사이로부터 벗어나 있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켜 두기 위한 걸림톱니 선택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톱니 선택기구는,
    상기 폴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과, 상기 볼을 상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폴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다른 하나의 위치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손잡이부재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KR1020050079439A 2005-08-29 2005-08-29 턴버클 회전장치 KR10070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439A KR100704778B1 (ko) 2005-08-29 2005-08-29 턴버클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439A KR100704778B1 (ko) 2005-08-29 2005-08-29 턴버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066A KR20070027066A (ko) 2007-03-09
KR100704778B1 true KR100704778B1 (ko) 2007-04-09

Family

ID=3810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439A KR100704778B1 (ko) 2005-08-29 2005-08-29 턴버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01B1 (ko) 2019-07-31 2020-04-09 이훈희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1843U (ko) * 1978-11-14 1980-05-17
JPS6181883U (ko) * 1984-11-06 1986-05-30
JPS63201064U (ko) * 1987-05-16 1988-12-26
KR960016621U (ko) * 1994-11-30 1996-06-17 스패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1843U (ko) * 1978-11-14 1980-05-17
JPS6181883U (ko) * 1984-11-06 1986-05-30
JPS63201064U (ko) * 1987-05-16 1988-12-26
KR960016621U (ko) * 1994-11-30 1996-06-17 스패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01B1 (ko) 2019-07-31 2020-04-09 이훈희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066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28214B2 (en) Tensioning device for chains
US4541155A (en) Portable beam clamp
US4034971A (en) Clamp usable as jig and lifting clamp
US11555295B2 (en) Ground engaging tool locking system
US4567627A (en) Load binder apparatus
US6736743B2 (en) Belt installation tool
US5647576A (en) Chain lever hoist
KR100704778B1 (ko) 턴버클 회전장치
US9248555B2 (en) Locking V hinge tool device
US6302611B1 (en) Connecting piece
US20200347911A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JP6307371B2 (ja) 穴吊りクランプ
KR101002943B1 (ko) 스크류 클램프
JP6298124B2 (ja) 吊金具
JP4510839B2 (ja) ロープ緊張装置
WO2013160545A1 (en) Tightener for track
US1012282A (en) Hose-tie wrench.
US952301A (en) Mop-head.
US20050061115A1 (en) Wrench device
DE338874C (de) Feststellvorrichtung fuer Dreharme an Werkzeugmaschinen
US4572494A (en) Method of providing multiplied force using vernier members and pry lever
US1031622A (en) Wire-fence controller.
US1228106A (en) Mold-clamping device.
JPH0745230Y2 (ja) ロープ緊張装置
JP2814060B2 (ja) 仮設用鋼管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