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419B1 - 멀티웨이 헤드폰 - Google Patents

멀티웨이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419B1
KR100704419B1 KR1020040013953A KR20040013953A KR100704419B1 KR 100704419 B1 KR100704419 B1 KR 100704419B1 KR 1020040013953 A KR1020040013953 A KR 1020040013953A KR 20040013953 A KR20040013953 A KR 20040013953A KR 100704419 B1 KR100704419 B1 KR 10070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ter
channel
woofer
way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575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기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기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6Single (sub)woofer with two or more satellite loudspeakers for mid- and high-frequency band reproduction driven via the (sub)woo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위터와 우퍼를 능률적으로 배치하여 음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웨이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귀를 덮는 형상의 이어컵; 상기 이어컵의 내면에 귀를 향하여 전방 설치되고, 고역대와 중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트위터; 상기 트위터의 후방에 설치되고, 중역대와 저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우퍼(서브우퍼); 및 후방에 설치된 상기 우퍼에서 발생되는 중역대와 저역대의 음파를 상기 트위터가 설치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저음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음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트위터가 차지하는 공간에 상관없이 우퍼의 직경 거의 이어컵의 직경까지 크게 키울 수 있어서, 충분히 낮은 저역은 물론, 고음질의 저역을 재생할 수 있으며, 다채널 구현하는 동시에 멀티웨이를 구현할 수 있어서 다채널 고음질의 멀티웨이를 달성할 수 있고, 기존의 2채널로도 멀티웨이 형태의 음질을 손쉽게 들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회로를 제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거나,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거나, 겸용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다채널 멀티웨어 헤드폰을 2채널 멀티웨어로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멀티웨이 헤드폰{Multi channel head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웨이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위터와 우퍼를 능률적으로 배치하여 음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웨이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웨이 헤드폰은 귀를 덮는 형상의 이어컵과, 상기 이어컵의 내면에 귀를 향하여 설치되고, 고역대와 중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트위터 및 상기 트위터와 동일한 평면상에 귀를 향하여 설치되고, 중역대와 저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우퍼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였다.
그러나, 종래의 2웨이 헤드폰은, 비록 고역대를 담당하는 트위터와 저역대를 담당하는 우퍼를 하나의 이어컵에 설치하여 2웨이를 달성할 수 는 있었으나, 상기 트위터와 우퍼가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정된 평면 공간 안에서 트위터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우퍼의 직경을 크게 키울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2웨이 헤드폰은, 우퍼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키울 수 없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충분히 낮은 저역은 물론, 고음질의 저역을 재생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2웨이 헤드폰은, 4채널 이상의 다채널 구현을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영화나 음악의 4채널 이상의 다채널 구현시 멀티웨이를 구현할 수 있는 멀티웨이 헤드폰의 개발이 절실했었고, 다채널을 구현하는 동시에 기존의 2채널로도 영화나 음악을 손쉽게 들을 수 있게 하는 고음질의 멀티웨이 헤드 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역대를 담당하는 트위터의 후방에 저역대를 담당하는 우퍼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저음안내부재를 설치하여 트위터가 차지하는 공간에 상관없이 우퍼의 직경 거의 이어컵의 직경까지 크게 키울 수 있어서, 충분히 낮은 저역은 물론, 고음질의 저역을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채널 이상 5.1채널 등의 다채널 구현하는 동시에 멀티웨이를 구현할 수 있어서 다채널 고음질의 멀티웨이를 달성할 수 있고, 다채널을 멀티웨이로 구현하는 동시에 기존의 2채널로도 멀티웨이 형태의 음질을 손쉽게 들을 수 있게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회로를 제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거나,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거나, 겸용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다채널 멀티웨어 헤드폰을 2채널 멀티웨어로도 즐길 수 있게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웨이 헤드폰은, 귀를 덮는 형상의 이어컵; 상기 이어컵의 내면에 귀를 향하여 전방 설치되고, 고역대와 중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트위터; 상기 트위터의 후방에 설치되고, 중역대와 저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우퍼(서브우퍼); 및 후방에 설치된 상기 우퍼에 서 발생되는 중역대와 저역대의 음파를 상기 트위터가 설치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저음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음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웨이 헤드폰은, 3웨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트위터와 우퍼 사이에 설치되고, 중역대를 재생하는 중간 크기 직경의 스코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저음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서 편심되어 위치하고, 상기 저음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일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위터와 우퍼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와 각각 직접 병렬 연결되거나, 상기 트위터와 우퍼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에서 고역대와 중역대를 분리하여 고역대를 상기 트위터로 저역대를 상기 우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회로와 각각 직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트위터는 4.1/5.1/6.1/7.1채널 등 멀티채널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프론트채널 스피커 및 리어채널 스피커 또는 프론트채널 스피커와 리어채널 스피커 및 센터채널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퍼는 서브우퍼채널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저음 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프론트채널 스피커와 리어채널 스피커 및 센터채널 스피커의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헤드폰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이 헤드폰은, 크게 이어컵(10)과, 트위터(20)(Tweeter)와, 우퍼(30)(Woofer) 및 저음안내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이어컵(10)은 사용자의 양쪽 또는 한쪽 귀를 덮는 형상인 것이고, 2웨이(고역대와 저역대로 나누어서 음을 각각의 스피커로 재생하는 방식)를 구현할 있도록 상기 트위터(20)는, 상기 이어컵(10)의 내면에 귀를 향하여 전방 설치되고, 고역대와 중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스피커이고, 상기 우퍼(30)(서브 우퍼 포함)는, 상기 트위터(20)의 후방에 설치되고, 중역대와 저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스피커이다.
특히, 상기 저음안내부재(40)는, 후방에 설치된 상기 우퍼(30)에서 발생되는 중역대와 저역대의 음파를 상기 트위터(20)가 설치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저음배출구(40a)가 형성되는 부재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웨이(고역대와 중역대와 저역대로 나누어서 음을 각각의 스피커로 재생하는 방식)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멀티웨이 헤드폰은,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 사이에 설치되고, 중역대를 재생하는 중간 크기 직경의 스코커(Squawk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상기 트위터와, 스코커 및 우퍼는, 2채널 신호 입력시에는 3웨이를 구현하기 위해 중역대를 재생하다가 4채널 이상 5.1채널 등의 다채널 신호 입력시 프론트 채널이나, 센터 채널이나 리어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재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멀티웨이와 멀티채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음배출구(40a)는 상기 트위터(2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서 편심되어 위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음배출구(40a)는 상기 트위터(20)의 일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위터(20)와 상기 우퍼(30)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역위상음이 방출되지 않도록 상기 트위터(20)의 후면과, 상기 우퍼(30)의 후면에 독립 챔버(50)가 형성될 수 있고, 각 챔버(50)에 내부의 공기압력이 진동판의 떨림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이어홀(50a)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와 각각 직접 병렬 연결되어 별도의 네트워크 회로가 없이 부품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는 각각 가장 재생이 잘 되는 구역의 음을 각자 재생하게 하고, 구조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트위터(20)인 경우 저역을 재생할 수 없고, 직경이 큰 상기 우퍼(30)인 경우, 역시 고역을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네트워크 회로가 없이도 2웨이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위터(20)와 우퍼(30)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에서 고역대와 중역대를 분리하여 고역대를 상기 트위터로 저역대를 상기 우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회로(60)와 각각 직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 회로(60)에 따른 부품 비용이 증가하나 네트워크 회로(60)를 통해 보다 절제된 음의 재현이 가능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웨이 및 멀티채널 구현이 동시에 가능해지도록 상기 트위터(20)는 4.1/5.1/6.1/7.1채널 등 멀티채널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프론트채널 스피커(F) 및 리어채널 스피커(R) 또는 프론트채널 스피커(F)와 리어채널 스피커(R) 및 센터채널 스피커(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퍼(30)는 서브우퍼채널 스피커(SW)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음 배출구(40a)는 링형상인 것도 가능하나.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음 배출구(40a)는 상기 트위터의 프론트채널 스피커(F)와 리어채널 스피커(R) 및 센터채널 스피커(C)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승달 형상인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상기 저음 배출구(40a)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멀티웨이 헤드폰은, 2.1채널 구현시 상기 프론트채널 스피커(F)와 리어채널 스피커(R)와, 센터채널 스피커(C)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서브우퍼채널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겸용 네크워크 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여 멀티채널과 멀티웨이는 물론, 기존의 2웨이 2채널의 구현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1 채널이나 7.1 채널 등에 국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다채널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웨이 헤드폰에 의하면, 고역대를 담당하는 트위터의 후방에 저역대를 담당하는 우퍼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저음안내부재를 설치하여 트위터가 차지하는 공간에 상관없이 우퍼의 직경 거의 이어컵의 직경까지 크게 키울 수 있어서, 충분히 낮은 저역은 물론, 고음질의 저역을 재생할 수 있으며, 4채널 이상 5.1채널 등의 다채널 구현하는 동시에 멀티웨이를 구현할 수 있어서 다채널 고음질의 멀티웨이를 달성할 수 있고, 다채널을 멀티웨이로 구현하는 동시에 기존의 2채널로도 멀티웨이 형태의 음질을 손쉽게 들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회로를 제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거나,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거나, 겸용 네트워크회로를 이용하여 다채널 멀티웨어 헤드폰을 2채널 멀티웨어로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0)

  1. 귀를 덮는 형상의 이어컵;
    상기 이어컵의 내면에 귀를 향하여 전방 설치되고, 고역대와 중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트위터;
    상기 트위터의 후방에 설치되고, 중역대와 저역대를 재생하는 비교적 큰 직경의 우퍼(서브우퍼); 및
    후방에 설치된 상기 우퍼에서 발생되는 중역대와 저역대의 음파를 상기 트위터가 설치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저음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음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위터와 우퍼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에서 고역대와 저역대를 분리하여 고역대를 상기 트위터로 저역대를 상기 우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회로와 각각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3웨이가 가능하도록 상기 트위터와 우퍼 사이에 설치되고, 중역대를 재생하는 중간 크기 직경의 스코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커는, 다채널 신호 입력시 프론트 채널이나, 센터 채널이나 리어 채널을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저음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와 우퍼의 중심이 동일축선상에서 편심되어 위치하고, 상기 저음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일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와 우퍼는 2채널 신호의 라이트(또는 레프트)채널 신호와 각각 직접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는 4.1/5.1/6.1/7.1채널 등 멀티채널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프론트채널 스피커 및 리어채널 스피커 또는 프론트채널 스피커와 리어채널 스피커 및 센터채널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퍼는 서브우퍼채널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음 배출구는 상기 트위터의 프론트채널 스피커와 리어채 널 스피커 및 센터채널 스피커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의 후면에 독립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우퍼의 후면에 독립 챔버가 형성되며, 각 챔버에 선택적으로 이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10. 제 8항에 있어서,
    2.1채널 구현시 상기 프론트채널 스피커와 리어채널 스피커와, 센터채널 스피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서브우퍼채널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겸용 네크워크 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이 헤드폰.
KR1020040013953A 2004-03-02 2004-03-02 멀티웨이 헤드폰 KR10070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53A KR100704419B1 (ko) 2004-03-02 2004-03-02 멀티웨이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53A KR100704419B1 (ko) 2004-03-02 2004-03-02 멀티웨이 헤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75A KR20050088575A (ko) 2005-09-07
KR100704419B1 true KR100704419B1 (ko) 2007-04-06

Family

ID=372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53A KR100704419B1 (ko) 2004-03-02 2004-03-02 멀티웨이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60B1 (ko) 2008-04-07 2010-03-09 크레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이어 헤드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6261B2 (en) 2014-12-15 2017-10-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noise reduction earcup with speaker array
EP4207804A1 (en) * 2022-01-04 2023-07-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597A (ja) * 1989-04-28 1990-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ラウンドヘッドホン
JPH07203575A (ja) * 1993-11-26 1995-08-04 Victor Co Of Japan Ltd ヘッドホンシステム
KR200252594Y1 (ko) 2001-07-06 2001-11-16 (주) 굿 엠 중저음 강화 및 전자파 차폐 헤드폰
US6658121B1 (en) 1999-07-20 2003-12-02 Koenig Florian Meinhard Headphone having an adjustable localization of auditory ev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8597A (ja) * 1989-04-28 1990-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サラウンドヘッドホン
JPH07203575A (ja) * 1993-11-26 1995-08-04 Victor Co Of Japan Ltd ヘッドホンシステム
US6658121B1 (en) 1999-07-20 2003-12-02 Koenig Florian Meinhard Headphone having an adjustable localization of auditory events
KR200252594Y1 (ko) 2001-07-06 2001-11-16 (주) 굿 엠 중저음 강화 및 전자파 차폐 헤드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60B1 (ko) 2008-04-07 2010-03-09 크레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이어 헤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75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3637A1 (en) Headphone
US7340071B2 (en) Headphones with a multichannel guiding mechanism
US9602912B2 (en) High bass speaker monomer and a high bass earphone structure
KR20010084500A (ko) 다채널헤드폰
US20180115847A1 (en)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two transducers
CA2610235A1 (en) Compact audio reproduction system with large perceived acoustic size and image
CN101427588A (zh) 用来再现立体声的设备和方法
US20230362532A1 (en) Sound generator wearable on the head, signal proces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und generator or a signal processor
JP3063639B2 (ja) スピーカ装置
KR101451687B1 (ko) 코엑셜 효과의 2웨이 스피커
US6782111B1 (en) Multiple voicecoil and driver transducing
CN110267174B (zh) 一种基于微型扬声器的车内独立声场系统
EP1318692A1 (en) Headphone
KR100704419B1 (ko) 멀티웨이 헤드폰
CN201039449Y (zh) 多声道耳机结构
KR200271621Y1 (ko) 헤드폰
EP1608204A1 (en) Headphones with a multichannel guiding mechanism
JP2002291100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方法、及びパッケージメディア
KR102155574B1 (ko) 개방형 헤드폰의 노이즈 캔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9145964A (ja) イヤホン
JPH0616944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0016573A (ja) クロストークキャンセルステレオ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200252620Y1 (ko) 5.1 채널 헤드폰
JP2003032782A (ja) 音響再生装置
KR200256726Y1 (ko) 5.1 채널 헤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