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909B1 - 녹화 장치 - Google Patents

녹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909B1
KR100703909B1 KR1020027008369A KR20027008369A KR100703909B1 KR 100703909 B1 KR100703909 B1 KR 100703909B1 KR 1020027008369 A KR1020027008369 A KR 1020027008369A KR 20027008369 A KR20027008369 A KR 20027008369A KR 100703909 B1 KR100703909 B1 KR 10070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ime
broadcast
program
recor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918A (ko
Inventor
히로시 오따나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programme or channel identify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와,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XDS 신호를 추출하는 XDS 신호 추출 회로(4)와,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VCR 기구(6)와, 제어 회로(5)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5)는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개시한 후, XDS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기까지의 방송 잔여 시간을 산출함과 함께, 자기 테이프에 3배속으로 녹화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방송 잔여 시간과 녹화 가능 시간이 일치하였을 때에, 녹화 속도를 3배속으로 전환하여 녹화 동작을 계속한다.
튜너, TV 수상기, 표준 속도, 녹화

Description

녹화 장치{RECORDER}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VCR(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소망의 프로그램이 1개의 테이프에 녹화되도록, 녹화 속도를 자동적으로 전환 설정하여 녹화 동작을 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VCR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VCR에서는 사용자가 통상의 타이머 예약 설정 정보, 즉 예약 녹화하고자 하는 소망의 프로그램의 채널, 방송 개시 시각 및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하여 두면, 방송 개시 시각과 방송 종료 시각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산출됨과 함께, 세트되어 있는 테이프의 녹화 가능 시간이 산출되고, 산출된 방송 시간 및 녹화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녹화 속도가 자동적으로 전환 설정되어, 녹화 동작이 개시된다.
예를 들면, 소위 표준 속도와 소위 3배속 사이에서 녹화 속도의 전환 설정이 가능한 VCR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표준 속도로 1개의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이 개시되고, 그 프로그램을 표준 속도로 1개의 테이프에 녹화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녹화 속도가 3배속으로 전환 설정되어 녹 화 동작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이 1개의 테이프에 녹화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VCR에서는 타이머 설정에 의한 자동 녹화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송 개시 시각 및 방송 종료 시각에 기초하여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산출되기 때문에, 통상의 수동 조작에 의한 녹화 시에는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VCR에서는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연장되어, 방송 종료 시각이 예정보다 지연된 경우, 그 사태에 상관없이 녹화 동작 개시 전에 전환 설정된 녹화 속도로 녹화 동작이 계속되기 때문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테이프에 녹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 설정에 의한 자동 녹화 시뿐만 아니라, 통상의 수동 조작에 의한 녹화 시에도, 녹화 동작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을 변경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이 연장된 경우에도,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그런데, 북미에서는 XDS(Extended Data Service) 신호라 불리는 제어 신호를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제2 필드의 수직 블랭킹 기간 중의 제21번째의 수평 구간에 중첩하여, 송신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XDS 신호에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시간 정보나,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상기 XDS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는 프로그램별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시간 정보, 및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중첩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전환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녹화 장치는 그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분리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보 분리 수단과,
녹화 중에, 분리된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기까지의 방송 잔여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1 시간 산출 수단과,
제1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었을 때, 그 시점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제2 시간 산출 수단과,
녹화 중에, 제1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방송 잔여 시간과, 제2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녹화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녹화 가능 시간이 방송 잔여 시간과 일치하는 동작, 또는 녹화 가능 시간이 방송 잔여 시간보다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하는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에서는 녹화 개시 후,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의 감시가 개시되고, 방송 시간 정보로부터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감산되어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됨과 함께,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된 시점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이 산출된다. 그 후, 녹화 동작이 녹화 가능 시간과 방송 잔여 시간이 일치하는 동작, 또는 녹화 가능 시간이 방송 잔여 시간보다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되어 녹화가 계속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이 마지막까지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에서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녹화 장치에서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산출하는데 필요했던 방송 개시 시각 및 방송 종료 시각의 정보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타이머 설정에 의한 자동 녹화 시뿐만 아니라, 통상의 수동 조작에 의한 녹화 시에도, 녹화 동작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이 필요한 종래의 녹화 장치에 비하여, 상기 기능을 이용할 때의 조작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에서는 녹화 개시 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감시되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된다. 여기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연장된 경우, 이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 시간 정보는 갱신된다. 따라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연장되었다고 하여도, 그 연장에 따라 갱신된 방송 시간 정보와 방송 경과 시간 정보로부터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게 되어, 방송 잔여 시간과 녹화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녹화 동작이 전환되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이 마지막까지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녹화 기구에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동작으로 녹화 동작을 개시시키는 녹화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 산출 수단은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녹화를 계속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방송 잔여 시간과 녹화 가능 시간이 일치하였을 때,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한다.
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동작으로 녹화가 개시된 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잔여 시간과,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녹화를 계속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이 일치하였을 때에, 녹화 동작을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이 다 차게 된다. 여기서, 녹화 가능 시간이 짧아지는 동작으로 녹화를 행한 경우, 녹화 가능 시간이 길어지는 동작으로 녹화를 행한 경우에 비하여, 고화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녹화 장치에서는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이 유효하게 이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고화질로 녹화되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이 다 차게 된 것을 검지하는 용량 검지 수단과, 기록 용량의 다 찬 것이 검지되었을 때, 녹화 기구에 녹화 동작을 종료시키는 녹화 종료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한 시점에서,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이 다 차게 되므로, 그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는 시점과 녹화 동작이 종료하는 시점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주행 속도를 전환한다.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주행 속도를 높인 경우에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이 짧아지는 반면,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주행 속도를 저하시킨 경우에는 상기 녹화 가능 시간이 길어진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이 변경된다.
또는, 기록 매체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이고,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녹화 기구로부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공급하는 정보량을 전환한다.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공급하는 정보량을 증대시킨 경우에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이 짧아지는 반면,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공급하는 정보량을 감소시킨 경우에 상기 녹화 가능 시간이 길어진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이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에 따르면, 타이머 설정에 의한 자동 녹화 시뿐만 아니라, 통상의 수동 조작에 의한 녹화 시에도, 녹화 동작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을 변경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이 연장된 경우에도, 원하는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VCR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제어 회로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분리 도면.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 회로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제1 분리 도면.
도 6은 도 4의 제2 분리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표준 속도와 3배속 사이에서 녹화 속도의 전환 설정이 가능한 VCR로 실시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VCR(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2)를 구비하고, 튜너(2)로부터 얻어지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영 상 신호 처리 회로(3)에 입력되고, 그 회로에 의해 소정 포맷의 영상 신호가 작성되어, TV 수상기(12)로 출력된다.
한편, 영상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VCR 기구(6)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5)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또한, 튜너(2)의 출력단에는 XDS 신호 추출 회로(4)가 접속되고, 그 회로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XDS 신호가 추출된다. 추출된 XDS 신호는 제어 회로(5)로 공급된다.
제어 회로(5)에는 복수의 조작 키를 구비한 키 입력 장치(7), 원격 제어 송신기(9)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제어 수신기(8), 키 입력 장치(7)나 원격 제어 송신기(9)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예약 녹화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 및 계시 기능을 발휘하는 타이머 회로(11)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의 VCR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전환 설정된 어느 것인가의 녹화 속도, 즉 표준 속도, 또는 3배속으로 녹화 동작을 행하는 통상 모드와, 표준 속도와 3배속 사이에서 녹화 속도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녹화 동작을 행하는 자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 설정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은 제어 회로(5)에 의한 녹화 속도 전환 처리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또,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VCR(1)의 사용 시에, 통상 모드 또는 자동 모드 중 어느 것인가의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고, 통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준 속도 또는 3배속 중 어느 것인가의 녹화 속도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또 한, 본 실시예의 VCR(1)에 있어서는 녹화의 개시는 통상의 수동 조작이나 타이머 설정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도 2의 단계 S1에서 녹화 개시 조작을 행한 후, 단계 S2에서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에서 예(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3으로 이행하여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4에서는 XDS 신호 추출 회로(4)로부터 얻어지는 XDS 신호에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로 이행하여 상기 방송 시간 정보로부터 상기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감산하고, 그 시점에서부터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기까지의 방송 잔여 시간 T1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6에서는 테이프의 현 주행 위치로부터 종단까지의 영역(이하, 잔여 영역이라고 함)을 3배속으로 녹화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 T2를 산출한 후, 단계 S7에서는 방송 잔여 시간 T1로부터 녹화 가능 시간 T2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감산치가 제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1로 이행하여 테이프가 종단까지 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4로 되돌아간다.
방송 잔여 시간 T1과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여 단계 S7에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8로 이행하여 녹화 속도를 3배속으로 전환한 후, 단계 S9에서, 테이프가 종단까지 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9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하는 반면,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계속하면 녹화 중인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테이프에 녹화할 수 없는 경우, 녹화 동작 중에,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으로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게 되어, 그 시점에서 단계 S7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고, 단계 S8에서 녹화 속도가 3배속으로 전환된 후, 테이프가 종단까지 간 시점에서 단계 S9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고, 단계 S10에서 녹화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계속하여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녹화할 수 있는 경우, 방송 잔여 시간 T1은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보다 항상 짧기 때문에, 단계 S7에서 항상 아니오(NO)라고 판단되고, 테이프가 종단까지 간 시점에서 단계 S11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고, 단계 S10에서 녹화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XDS 신호에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단계 S4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1로 이행하여 테이프가 종단까지 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4로 되돌아간다.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도중에 선전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선전 광고에는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선전 광고의 방 송 시에는 단계 S4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지만, 단계 S4의 판단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이 재개되면 단계 S4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게 되어, 상술한 녹화 속도 전환 처리 절차가 실행되게 된다.
또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항상 아니오(NO)라고 판단되고, 테이프가 종단까지 간 시점에서, 즉 단계 S11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고, 단계 S10에서 녹화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통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고, 도 3의 단계 S12로 이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녹화 속도, 즉 표준 속도, 또는 3배속 중 어느 것인가의 녹화 속도로 녹화 동작을 개시한 후, 단계 S13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변경 조작, 또는 녹화 속도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녹화 중에, 사용자가 통상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 변경하는 조작, 또는 녹화 속도를 변경하는 조작을 행하면, 단계 S13에서 예(YES)라고 판단되고, 도 2의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한편, 도 3의 단계 S13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4로 이행하고, 테이프가 종단까지 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되돌아가는 반면,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S1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녹화 중에, 사용자가 통상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 변경한 경우에서도, 상술한 녹화 속도 전환 처리 절차가 실행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VCR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XDS 신호에 포함되는 방송 시간 정보로부터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감산함으로써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기 때문에, 녹화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방송 개시 시각 및 방송 종료 시각의 정보는 필요없다. 따라서, 타이머 설정에 의한 자동 녹화 시뿐만 아니라, 통상의 수동 조작에 의한 녹화 시에도, 자동 모드에서의 상기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자동 모드에서의 상기 기능의 이용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은 불필요하여, 방송 종료 시각을 입력하는 조작이 필요한 종래의 VCR에 비하여, 그 기능을 이용할 때의 조작이 간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VCR에서는 녹화 중,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의 유무가 항상 감시되고, XDS 신호에 이들의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항상 이들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연장되었다고 하여도, 그 연장에 따라 갱신된 방송 시간 정보와 방송 경과 시간 정보로부터 방송 잔여 시간 T1이 산출되게 된다. 방송 잔여 시간 T1과 녹화 가능 시간 T2에 기초하여 녹화 속도를 3배속으로의 전환 여부의 판단이 행해지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 종료 시각이 예정보다 지연된 경우에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VCR에서는 표준 속도로 녹화가 개시된 후,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였을 때에 녹화 속도를 3배속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한 시점과 테이프가 종단까지 가는 시점이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기록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가능한 한 고화질로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VCR에서는 녹화 중에 통상 모드로부터 자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XDS 신호에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타이틀(TlTLE) 정보, 및 레이팅(RATING)이라 불리는 레이팅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VCR은 이들의 타이틀 정보 및 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에 의한 녹화 속도 전환 처리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4의 단계 S21에서 녹화 개시 조작을 행한 후, 단계 S22에서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2에서 동일한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선택되어 있어 단계 S22에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이행하여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개시한 후, 단계 S24에서는 XDS 신호 추출 회로(4)로부터 얻어지는 XDS 신호에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5의 단계 S30으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녹화 종료의 처리 절차를 실행한다.
XDS 신호에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단계 S24에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5로 이행하여 상기 방송 시간 정보로부터 상기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감산하여, 그 시점에서부터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기까지의 방송 잔여 시간 T1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6에서는 테이프의 여유 영역을 3배속으로 녹화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 T2를 산출한 후, 단계 S27에서는 방송 잔여 시간 T1에서 녹화 가능 시간 T2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감산치가 제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5의 단계 S30으로 이행하여, 후술하는 녹화 종료 처리 절차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 S27에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8로 이행하여, 녹화 속도를 3배속으로 전환한 후, 도 5의 단계 S3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XDS 신호에 타이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33으로 이행하여 타이틀 플래그를 1로 설정한 후, 단계 S34에서는 과거의 타이틀 정보와 현재의 타이틀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24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실제로 종료할 때까지는 과거의 타이틀 정보와 현재의 타이틀 정보가 일치하여, 녹화 동작이 계속됨과 함께,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반복되게 된다.
그 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여, 다음의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면, 과거의 타이틀 정보와 현재의 타이틀 정보가 불일치가 되어, 단계 S34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35로 이행하여 타이틀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 도 6의 단계 S4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XDS 신호에 타이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의 단계 S30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31로 이행하여 타이틀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타이틀 정보가 중첩되어 있고, 다음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타이틀 정보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틀 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S31에서 예(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32로 이행하여 타이틀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 도 6의 단계 S4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타이틀 정보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틀 플래그는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S31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도 6의 단계 S36으로 이행한다.
단계 S36에서는 XDS 신호에 레이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37로 이행하여 레이팅 플래그를 1로 설정한 후, 단계 S38에서는 과거의 레이팅 정보와 현재의 레이팅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예(YES)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24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실제로 종료할 때까지는 과거의 레이팅 정보와 현재의 레이팅 정보가 일치하여, 녹화 동작이 계속됨과 함께,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반복되게 된다.
그 후,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여, 다음의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면, 과거의 레이팅 정보와 현재의 레이팅 정보가 불일치가 되어, 단계 S38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39로 이행하여 레이팅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 단계 S40에서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XDS 신호에 레이팅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6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41로 이행하여 레이팅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RATINC 정보가 중첩되어 있고, 다음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레이팅 정보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레이팅 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S41에서 예(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39로 이행하여 레이팅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 단계 S40에서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레이팅 정보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레이팅 플래그는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S41에서 아니오(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42로 이행한다.
단계 S42에서는 테이프가 종단까지 갔는지의 마지막까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NO)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24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녹화 중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타이틀 정보 및 레이팅 정보의 어느 것도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경우, 테이프가 종단까지 갈 때까지 녹화 동작이 계속되 어,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반복되게 된다.
그 후, 테이프가 종단까지 가게 되면, 도 6의 단계 S42에서 예(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40으로 이행하여 녹화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처리 절차에 따르면,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실제로 종료하여, 다음의 프로그램이 시작된 시점에서, 녹화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 여기서, 표준 속도로 녹화 동작을 계속하면 녹화 중인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테이프에 녹화할 수 없는 경우, 방송 잔여 시간 T1과 3배속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 T2가 일치한 시점에서 녹화 속도가 3배속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하는 시점과 테이프가 종단까지 간 시점이 일치하게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VCR로 실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상관없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등, 그 밖의 주지의 녹화 장치로 실시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 디스크를 이용하는 녹화 장치에서는 디스크에 공급하는 정보량을 전환함으로써, 디스크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표준 속도와 3배속 사이에서 녹화 속도의 전환 설정이 가능한 VCR로 실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상관없이 임의의 속도 사이에서 전환 설정이 가능한 VCR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테이프가 종단까지 간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녹화를 종료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XDS 신호에 포함되는 타이틀 정보 또는 레이팅 정보에 변화가 있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녹화를 종료하는 구성을 채용하 고 있지만, 이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녹화를 종료하는 구성이나, 도 2의 단계 S5 및 도 4의 단계 S25에서 산출되는 방송 잔여 시간 T1에 기초하여 녹화를 종료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Claims (5)

  1. 프로그램별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시간 정보, 및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방송 경과 시간 정보가 중첩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함께,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전환하여 기록 매체에 대한 녹화 가능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녹화 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를 분리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정보 분리 수단과,
    녹화 중에, 분리된 방송 시간 정보 및 방송 경과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시점으로부터 녹화 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이 종료할 때까지의 방송 잔여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제1 시간 산출 수단과,
    제1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방송 잔여 시간이 산출되었을 때, 그 시점에서의 녹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제2 시간 산출 수단과,
    녹화 중에, 제1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방송 잔여 시간과, 제2 시간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녹화 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녹화 가능 시간이 방송 잔여 시간과 일치하는 동작, 또는 녹화 가능 시간이 방송 잔여 시간보다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하는 녹화 동작 전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녹화 기구에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동작으로 녹화 동작을 개시시키는 녹화 개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간 산출 수단은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녹화를 계속한 경우의 녹화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방송 잔여 시간과 녹화 가능 시간이 일치하였을 때에, 녹화 기구의 녹화 동작을 녹화 가능 시간이 가장 길어지는 동작으로 전환하는 녹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이 다 차게 된 것을 검지하는 용량 검지 수단과, 기록 용량이 다 찬 것이 검지되었을 때, 녹화 기구에 녹화 동작을 종료시키는 녹화 종료 수단을 더 포함하는 녹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이고,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주행 속도를 전환하는 녹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이고, 녹화 동작 전환 수단은 녹화 기구 로부터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공급하는 정보량을 전환하는 녹화 장치.
KR1020027008369A 1999-12-28 2000-12-25 녹화 장치 KR100703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68799A JP3520010B2 (ja) 1999-12-28 1999-12-28 録画装置
JPJP-P-1999-00372687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18A KR20020065918A (ko) 2002-08-14
KR100703909B1 true KR100703909B1 (ko) 2007-04-05

Family

ID=1850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369A KR100703909B1 (ko) 1999-12-28 2000-12-25 녹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06498B2 (ko)
JP (1) JP3520010B2 (ko)
KR (1) KR100703909B1 (ko)
WO (1) WO2001048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3557B2 (ja) 2001-12-28 2005-04-27 株式会社東芝 記録再生装置
KR100608597B1 (ko) * 2004-06-2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콤보 시스템에서 적응적 레코딩 방법
KR101278156B1 (ko) * 2005-05-03 201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녹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타이틀 기록 방법
KR100733965B1 (ko) 2005-11-01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기반 오디오 전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52160A (ja) * 2007-03-29 2008-10-1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388987B (zh) * 2007-09-13 2010-07-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记录被录制节目名称的装置及方法
US9445159B2 (en) 2007-12-17 2016-09-13 Echostar Technologies L.L.C. Extended recording tim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734A (ja) * 1991-09-18 1993-04-02 Funai Denki Kenkyusho:Kk タイマ記録の記録速度切換方法
KR19990015420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방송정보 녹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2735U (ko) * 1976-04-23 1977-10-28
ATE516664T1 (de) * 1990-09-10 2011-07-15 Starsight Telecast Inc Anwenderendgerät für fernseh-programmtafel-system
JP3136794B2 (ja) * 1992-08-21 2001-02-1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番組送信装置及び映像番組受信装置
US5661526A (en) * 1993-08-25 1997-08-26 Sony Corporation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tape recorder and, method of detecting additional information channel
JPH0817137A (ja) * 1994-04-28 1996-01-19 Sanyo Electric Co Ltd 記録方法及び装置、再生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記録媒体の原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3534B2 (ja) * 1995-06-30 2001-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録画制御装置
KR100242645B1 (ko) * 1997-03-27 2000-02-01 윤종용 다수프로그램의져스트레코드예약녹화방법및장치
DE19740119A1 (de) * 1997-09-12 1999-03-18 Philips Patentverwaltung System zum Schneiden digitaler Video- und Audioinformationen
JP2000050186A (ja) * 1998-07-24 2000-02-18 Toshiba Video Products Japan Kk 記録装置
US20030038895A1 (en) * 2001-08-22 2003-02-27 Hong Ya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am status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734A (ja) * 1991-09-18 1993-04-02 Funai Denki Kenkyusho:Kk タイマ記録の記録速度切換方法
KR19990015420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방송정보 녹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84754A (ja) 2001-07-06
JP3520010B2 (ja) 2004-04-19
US7206498B2 (en) 2007-04-17
WO2001048754A1 (fr) 2001-07-05
KR20020065918A (ko) 2002-08-14
US20020181935A1 (en)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909B1 (ko) 녹화 장치
KR20060127851A (ko) 간략화된 피어-투-피어 기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56228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自動学習録画装置
JP2002152652A (ja) 放送受信記録再生方法及び放送受信記録再生装置
JP3556639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H11355703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58103B1 (ko) 감시용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화 장치
JPH10208327A (ja) 番組予約記録方法および番組予約記録装置
KR100569877B1 (ko)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에서 가상 재생 전용 채널을 통한프로그램 재생방법
JP3858915B2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EP1863278A2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JPH06303569A (ja) 文字多重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2625026B2 (ja) 音声多重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装置
KR100638941B1 (ko) 저장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00284B1 (ko) 타이틀곡비교에 의한 텔레비젼의 예약녹화방법
KR100885568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14626B1 (ko) 타임 쉬프트 저장된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방법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089164U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58958B1 (ko) 간단예약녹화시스템의 녹화속도 제어방법
KR20090055211A (ko) 타임 쉬프트 저장된 데이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90056457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레벨 조절 방법
JPH11144344A (ja) 記録装置
JP2006041715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KR19990043800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콘트라스 상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따른표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