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985B1 -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985B1
KR100702985B1 KR1020060002208A KR20060002208A KR100702985B1 KR 100702985 B1 KR100702985 B1 KR 100702985B1 KR 1020060002208 A KR1020060002208 A KR 1020060002208A KR 20060002208 A KR20060002208 A KR 20060002208A KR 100702985 B1 KR100702985 B1 KR 10070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elements
cabinet
corner member
prefabricated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동
Original Assignee
태승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승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승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등에서 용품들을 진열.보관시키는 조립식 장식장의 필수적 구성요소인 모서리부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가지며, 천정과 바닥면, 그리고 양 측벽과 후벽들이 제1 및 제2수용요소를 가지는 모서리부재를 이용해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층의 선반들이 구비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장식장으로서,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을 양측으로 분리한 것과, 제1,2수용요소들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용소들이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거나 직각으로 접어지게하는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를 갖추어서, 장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Corner frame using a prefabricated ornament bureau}
도 1은 본 발명 모서리부재가 적용된 조립식 장식장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 모서리부재가 펼쳐져 보관 및 운반시의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3b는 본 발명 모서리부재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화장실 등에서 용품들을 진열.보관시키는 조립식 장식장의 필수적 구성요소인 모서리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 및 보관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에 관한 것이다.
장식장은 대략 화장실이나 그 이외 주방 등에서 용품들을 진열.보관시키는 장으로서, 그러한 장식장은 주로 벽걸이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식장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가지고 있고, 양 측벽과 후벽, 그리고 천정과 바닥면들을 이용해 상자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여닫이식의 도어로 개폐되는 수납공간을 제시함과 아울러, 그 수납공간에는 다층의 선반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식장에서 보관 및 운반 부피가 큰, 즉 장식장은 중공의 상자형상으로 이루어 그 무게에 비하여 부피가 커 보관은 물론이고 운반에서 많은 불편이 따라 근래에 와서는 조립식 장식장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조립식 장식장은 대략 장의 양 측벽과 후벽들을 별도 제시되는 모서리부재를 이용해 조립케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측벽과 후벽들이 서로 맞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별도의 사출물로 제시되는 모서리부재를 이용해 양 벽들을 결합하여 조립식으로 장을 제작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때 모서리부재는 측벽과 후벽이 맞나는 직각지점에 픽스되어 제공되고 있는, 즉 측벽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수용요소와 후벽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수용요소가 직각방향으로 픽스되어 있는 것으로 장식장의 제조처에서 모서리부재에 벽체들을 조립할 시에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리고 현장에서 조립시에는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에 벽체들을 결속시키는 스크루작업이 따라 수공과 시간이 요구되는 등의 현장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후벽과 측벽을 결합시키는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을 양분하고 이들 제1,2수용요소들의 일단 사이를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로 연결하여 수용요소들이 직각으로 접어지거나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게 함으로서, 부피를 최소로 줄이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 등에서 용품들을 진열.보관시키는 조립식 장식장의 필수적 구성요소인 모서리부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가지며, 천정과 바닥면, 그리고 양 측벽과 후벽들이 제1 및 제2수용요소를 가지는 모서리부재를 이용해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층의 선반들이 구비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장식장으로서,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을 양측으로 분리한 것과, 제1,2수용요소들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용소들이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거나 직각으로 접어지게하는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를 갖추어서, 운반 및 보관시 장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장식장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10)를 가지며, 천정(12)과 바닥면(14), 그리고 양 측벽들(16)과 후벽(18)이 제1 및 제2수용 요소(20,22)를 가지는 모서리부재(24)를 이용해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층의 선반들(26)이 구비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장식장이다.
본 발명은 장식장의 양 측벽들(16)과 후벽(18)을 결합시키는 모서리부재(24)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을 양측으로 분리 구성하고, 이들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의 일단 사이를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28)로 연결하여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이 도 3a에서와 같이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거나 또는 도 3b에서와 같이 직각상태로 접어지게 구성하였다. 이때 연결요소(28)는 복원성이 우수한 고무재나 수지계열의 소재를 이용하게 되며, 이중사출방식의 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에 일체로 성형 될 것이다.
또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의 상호 대향면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요소(30)를 갖추어서 모서리부재(24)가 접어져 사용될 시 상호 대향하는 면에서 각기 맞대어져 직각상태를 정확히 유지케 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모서리부재(24)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도 3a는 모서리부재(24)의 양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이 일직선상태로 펼쳐져 보관 및 운반시의 모습이다. 이때 양 제1 및 제2수용요소들(20,22) 각기에는 측벽(16) 또는 후벽(18)이 제조처에서 스크루작업을 거쳐 조립이 완료되어 공급될 것이다.
도 3b는 모서리부재(24)의 제1 및 제 2수용요소들(20,22)이 직각상태로 접어져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으로, 이때에는 후벽(18) 또는 측벽(16)은 천정면(12)이나 바닥면(14)과 스크루조립을 통해 결합되어 상자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조립식 장식장의 모서리부재의 효과를 설명하며, 본 발명은 후벽과 측벽을 결합시키는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을 양분하고 이들 제1,2수용요소들의 일단 사이를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로 연결하여 수용요소들이 직각으로 접어지거나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게 함으로서, 부피를 최소로 줄이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전면이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가지며, 천정과 바닥면, 그리고 양 측벽들과 후벽이 제1 및 제2수용요소를 가지는 모서리부재를 이용해 상자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층의 선반들이 구비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장식장으로서,
    상기 모서리부재의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을 양측으로 분리한 것;
    상기 제1,2수용요소들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용소들이 일직선상태로 펼쳐지거나 직각으로 접어지게하는 유연성 소재로 제시되는 연결요소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용요소들이 직각으로 접어질 시 상호 대향하는 면에서 각기 맞대어져 직각상태를 유지케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요소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KR1020060002208A 2006-01-09 2006-01-09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KR10070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08A KR100702985B1 (ko) 2006-01-09 2006-01-09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08A KR100702985B1 (ko) 2006-01-09 2006-01-09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985B1 true KR100702985B1 (ko) 2007-04-03

Family

ID=3816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208A KR100702985B1 (ko) 2006-01-09 2006-01-09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9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114B2 (en)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US10123615B2 (en) Modular storage unit
US20090309464A1 (en) Furniture assembly system and furniture incorporating such system
JP2002509465A (ja) 家具組立部材
JP2005283091A (ja) 冷蔵庫
ITPI20060015A1 (it) Struttura di telaio per serramenti, arredi o illuminazioni raso muro.
EP0222956B1 (fr) Cabine d'isolement
KR200439092Y1 (ko)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EP3612739A1 (en)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KR100702985B1 (ko) 조립식 장식장에 적합한 모서리부재
KR20170057543A (ko)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101375626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EP2997854B1 (en) Modular component of furniture item
JP2011045674A (ja) キャビネット装置
JP4508059B2 (ja) 箱型収納家具
JP2007282687A (ja) 間仕切り収納家具及び、これを有する建物
US3269791A (en) Construction of wardrobes and other furniture
KR100485959B1 (ko) 조립식 목재수납장
JP7160693B2 (ja) 収納装置
KR200257658Y1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JP2000300358A (ja) 組立式押入
KR200325257Y1 (ko) 녹다운식 금속 캐비넷용 패널
WO2016132306A2 (en) Modular cabinet structure
WO2015124902A1 (en) Modular furnitu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