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092Y1 -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 Google Patents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092Y1
KR200439092Y1 KR2020070004949U KR20070004949U KR200439092Y1 KR 200439092 Y1 KR200439092 Y1 KR 200439092Y1 KR 2020070004949 U KR2020070004949 U KR 2020070004949U KR 20070004949 U KR20070004949 U KR 20070004949U KR 200439092 Y1 KR200439092 Y1 KR 200439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hinge
horizontal fram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
Original Assignee
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 filed Critical 김석
Priority to KR2020070004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44Dressing or beach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변형이 불가능하고 이동이 어려운 단순 고정식 구조의 탈의실을 탈피하여 중간 및 코너 경첩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수직, 수평 프레임에 내외측 삽입홈에 판넬을 삽입 설정된 볼트 등 최소의 체결수단을 사용 조립부위에 따라 간편하면서도 신속, 견고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바퀴가 장착되며 전면에는 경첩으로 회전되는 여닫이문을 문틀로 조립 장착하여 양측벽이 상호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간이 탈의실을 조립식으로 형성하고, 백화점이나 의류 전문점 등 공간이 협소한 상시 매장이나 행사용 임시 매장 등에서 필요시에는 원하는 장소에 신속 간편하게 이동시켜 전체가 일체화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단면의 박스형 칸막이 형태 탈의 공간으로 전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 보관시에는 간단히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함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협소한 장소나 좁은 공간에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프레임 연결부위가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이 우수한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에 관한 것이다.
탈의실, 조립식, 절첩식, 지주 수직 프레임, 고정 수평 프레임, 절첩식 수평 프레임, 코너 경첩, 중앙 경첩, 중간 프레임, 이동, 보관, 여닫이문

Description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Folding type fabricable fitting room for clothses shop}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 사용상태도로서
도 2a는 탈의실을 펼친 사용 상태도
도 2b는 탈의실을 접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도로서
도 4a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요부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단위 프레임의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측벽 B:후벽
C:출입부 S:나사 P:판넬
10:수직 코너 프레임 11:나사홀
12:체결홈 13:경첩
20:코너덮개 21:나사공
22:체결편 30:절첩식 수평 프레임
31:코너 경첩부 32:중앙 경첩부
33:경첩덮개 34:프레임 덮개
40:단위프레임 41:경첩
43:판넬삽입홈 44:이음구
45:중간경첩 45a:나사홀
50:상부 수평 프레임 51:하부 수평 프레임
52:판넬 삽입홈 60:출입문
61:문짝 62:거울
63:경첩 64:문틀
70:저판 71:경첩
본 고안은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종래 변형이 불가능하고 이동이 어려운 단순 고정식 구조의 탈의실을 탈피하여 중간 및 코너 경첩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수직, 수평 프레임에 내외측 삽입홈에 판넬을 삽입 설정된 볼트 등 최소의 체결수단을 사용 조립부위에 따라 간편하면서도 신속, 견고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바퀴가 장착되며 전면에는 경첩으로 회전되는 여닫이문을 문틀로 조립 장착하여 양측벽이 상호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간이 탈의실을 조립식으로 형성하고, 백화점이나 의류 전문점 등 공간이 협소한 상시 매장이나 행사용 임시 매장 등에서 필요시에는 원하는 장소에 신속 간편하게 이동시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전체가 일체화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단면의 박스형 칸막이 형태 탈의 공간으로 전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 보관시에는 간단히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협소한 장소나 좁은 공간에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프레임 연결부위 노출면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이 우수한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의류 전문점 등에서 옷을 갈아입기 위하여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탈의실은 규격화된 경금속재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형성되는 조립체가 아니라 목재로 된 다수개의 부품을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체결못을 박아 제작한 설치물로서 고정되어 조립 및 해체가 어려운 구축물이고 규격이 일정하여 축소나 확대가 불가능한 고정식 구조로서 제작상 어려움이 많아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을 요함으로서 원가가 제고 되고 공정이 비능률적이며, 공간이 협소한 상시 매장이나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임시 행사 매장 등에서는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여 보관이 불편하고 바퀴 수단이 없 어 이동이 어려우며, 또한 이를 개선하여 프레임을 조립하여 절첩식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금속 부재로서 다수개의 수평 수직 프레임을 연결 조립함에 있어 각 프레임의 체결위치에 따라 나사조립공을 천공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 조립이 번거롭고 부실한 형태로 조립되거나, 심지어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심각한 제조상의 문제점과 나사 등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구조로 전체적인 제품의 미관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지 못하여 인테리어 효과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백화점이나 고급 상품을 파는 의류 매장 내부의 고급스런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 기술의 변형이 불가능한 단순 고정식 구조의 탈의실을 탈피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견고하며 절첩도 가능함과 동시에 외관적 심미감도 우수하고 필요시 이동, 설치 및 보관이 자유로운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 변형이 불가능하고 이동이 어려운 단순 고정식 구조의 탈의실을 탈피하여 중간 및 코너 경첩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경금속 수직, 수평 프레임 내측 삽입홈에 판넬을 삽입 설정된 볼트 등 최소의 체결수단을 사용 조립부위에 따라 간편하면서도 신속, 견고하게 결합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바퀴가 장착되며 전면에는 경첩으로 회전되는 여닫이문을 문틀로 조립 장착하여 양측벽이 상호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간이 탈의실을 조립식으로 형성하고, 백화점이나 의류 전문점 등 공간이 협소한 상시 매장이나 행사용 임시 매장 등에서 필요시에는 원하는 장소에 신속 간편하게 이동시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전체가 일체화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단면의 박스형 칸막이 형태 탈의 공간으로 전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 보관시에는 간단히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협소한 장소나 좁은 공간에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프레임 연결부위 노출면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제품의 외형적 심미감이 우수한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사방 모서리의 수직 코너 프레임(10)을 지주로 전후면에는 고정식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바퀴(53)가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51) 사이에 문틀(64)로 지지되는 출입문(60)과 판넬(P)을 결합하여 각각 출입부(C)과 후벽(B)을 형성하고, 출입부(C)와 후벽(B) 사이에는 판넬(P)이 삽입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이 2조 1쌍으로 결합되어 중앙 경첩부(32)와 코너 경첩부(31)을 축으로 내측으로 회전되게 형성되며 절첩식 수평 프레임(30) 상하부가 프레임 덮개(34)로 마감되는 양 측벽(A)이 각각 좌우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절첩식 칸막이 구조의 조립식 탈의실로서,
상기 전면의 출입부(C)는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하부 수평 프레임(51)으로 결합 수용되는 문틀(64) 내측으로 모서리 접촉 단부가 경사진 문짝(61) 2쌍을 상하, 좌우 대칭으로 결합하여 내측에 거울(62), 일측면에 경첩(63)이 구비된 여닫이식 출입문(60)를 형성하고
후면의 후벽(B)도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하부 프레임(51) 사이에 판넬(P)이 삽입된 이동 칸막이 형태로 형성하며,
출입구(C)와 후벽(B) 사이 좌우 양 측면은 양단부에 경첩이 구비된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의 일측은 코너 프레임(10)에 일측은 중간 경첩(45)에 각각 암수 한 쌍으로 대응 결합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중앙 경첩부(32)와 복수개의 모서리 체결 단부 코너 경첩부(31)를 형성하여 대향되는 양 측면이 상호 내측으로 절첩되는 양측 절첩식 측벽(A)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좌우 출입부(C)와 후벽(B), 좌우 양 측면의 절첩식 측벽(A) 내측공간으로는 경첩(71)으로 절첩되는 저판(70)을 장착하여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을 형성함으로써, 출입부(C)와 후벽(B), 한 쌍의 절첩식 측벽(A) 전체가 일체화 조립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양 측벽(A)을 펼치면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 단면의 박스형 칸막이 형태 탈의 공간을 형성하고 접으면 출입부(C)와 후벽(B), 한 쌍 의 절첩식 측벽(A)이 순차적으로 포개진 상태로 부피가 축소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편의성과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제작자에게는 조립공수의 절감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복합효과를 구현하게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51)에 장착되는 바퀴(53)는 고정식 하부 프레임(51)의 저부 장착이 용이하도록 브라켓(미도시함)이 구비되고, 절첩식 측벽(A)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의 이음구(44)를 체결부재로 이용하여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단위 프레임(40)을 일체화 결합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측벽 양단부에 경첩이 구비되는 프레임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이 비틀어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의 상하 단부는 캡 형상의 프레임 덮개(34)로 마감처리하여 외관이 깔끔하게 마감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부가 항시 개방되고 저부가 필요시 개방되는 절첩식 저판(70)을 구비하는 박스형 칸막이 형태 외형 틀을 구성하는 기둥으로서 사방 모서리에는 수직 코너 프레임(10), 이에 결합하여 정면 출입부(C)와 후면 칸막이로서 후벽(B)을 형성하게 되는 전후면으로는 판넬(P)을 밀착 삽입시켜 협지시키는 삽입홈(52)이 구비되는 고정식의 상부 프레임(50)과 하부 프레임(51), 2개의 판넬(P)이 삽입되어 동시에 회전되게끔 절첩식 측벽(A)을 형성하게 되는 양 측면에는 양단부 및 결합부위에 경첩(41)이 구비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을 설정된 결합 위치에 다수 개 상호 조합 연결하여 탈의실을 구성한다.
상기한 사방 모서리 수직 코너 프레임(10)은 조립용 골재로서 성형이 간단하고 재질이 강한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형강재의 조립부재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코너에 위치하여 지주 기능을 수행하면서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판넬(P)이 장착된 고정식의 상부 수평 프레임(50) 및 하부 수평 프레임(51)과 타측으로는 양단부와 중앙에 경첩(41)이 구비된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을 동시에 2조 1쌍으로 결합수용 결합하여 프레임 내측에 판넬(P)이 구비된 정면 출입부(C)와 후면 칸막이로서 후벽(B) 및 절첩식 측벽(A)의 골격을 형성하게 하는 기둥으로서 상부에 장착되는 사방 모서리의 코너 덮개(20)와 일체로 대응 결합되어 사방 벽체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체결부위에서의 비틀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한다.
즉, 상기 수직 코너 프레임(10)은 소정 길이로 외주가 완만한 곡선과 직선으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ㄴ" 자형 평면구조의 기둥 및 연결구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는 코너 덮개(33)와 중첩되어 나사(S)로 결합되게끔 일측면이 절개되고 상하로 관통된 원기둥 형태의 나사홀(11)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일측 체결홈(12)으로는 전후방의 고정식 상부 프레임(50) 및 하부 프레임(51)과 결합하고, 절첩식 수평 프레임(30)과 결합되는 타측의 경첩(13)으로는 2분할되어 대 칭으로 형성된 절첩식 프레임 일단의 경첩(41)과 암수 한 쌍으로 대응 결합하여 회전되는 코너 경첩부(31)를 형성하게 되는데, 중간경첩(45)을 이용하여 2조 1쌍으로 결합되는 절첩식 프레임 중간에도 암수 한 쌍의 경첩으로 대응 결합된 중앙 경첩부(3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측벽이 양측 절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코너 프레임(10)의 일측으로는 수직 코너 프레임의 코너 경첩(13)에 절첩식 프레임 일단의 경첩(41)이 대응 결합하여 형성된 코너 경첩부(31)를 축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는 양측 절첩용 수평 프레임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은 일측에만 경첩이 형성된 단위 프레임을 양측면의 삽입홈으로 판넬(P)을 끼워서 수용하는 이음구(44)를 매개로 2조 한 쌍으로 이음 결합되어 양단에 경첩이 형성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을 형성하고, 상기와 결합 형성된 복수 개의 절첩식 수평 프레임(30) 일단 경첩(41)을 양측 대칭의 복수개 나사홀(45a)이 형성되는 중간 경첩(45)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중앙 경첩부(32)에 의하여 내측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평 프레임을 절첩식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 한 쌍이 중간에 형성되는 중앙 경첩부(32)에 의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함과 동시에 모서리 수직 코너 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된 절첩식 수평 프레임 양단의 복수 개 코너 경첩부(3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됨으로써 내측으로 절첩이 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중간 경첩(45)은 내부가 빈 공간이고 양측 전방의 연장선으로는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홀(45a)이 복수개 나란히 구비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이는 전술한 복수개의 절첩식 수평 프레임(30)과 체결할 때 경첩 덮개(33)로 마감함으로써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고 견고한 체결과 동시에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2조 한쌍의 대칭 구조로 단위 프레임(40)이 합쳐져 일체화 형성된 절첩식 수평 프레임(30) 한 쌍이 중앙 경첩부(45)와 복수 개 코너 경첩부(31)를 축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직 코너 프레임(10)에 구비된 경첩(13) 및 중간 경첩(45)과 체결됨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경첩이 상호 대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맞물림됨으로써 수평 프레임(30) 한 쌍을 직렬 수평의 절첩식으로 연결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일측에만 경첩이 형성된 단위 프레임을 2조 한 쌍으로 묶어서 결합한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을 형성함에 있어 이를 이어주는 이음구(44)는 완만하게 볼록한 가느다란 "I"자 지주 형상으로서, 절첩식 측벽(A)의 외관 심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틀어지지 않도록 인장력을 강화시켜 결합력을 높이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코너 프레임(10)의 일측 체결홈(12)으로는 고정식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식 수평 프레임은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하부 수평 프레임(51)으로 구분되며 그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조립위치별로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외주 일측으로는 판넬 삽입홈(52)이 형성된 직사각 파이프 형상으로서, 하부 프레임(51)의 저부에는 바퀴(53)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식 수평 프레임의 판넬 삽입홈(52)에는 중간에 휘어짐 보강 용 격벽이 형성되므로서 뒤틀리지 않고 견고하며 일반 판넬 또는 무늬목 형태의 목재 판넬(P)이 프레임에 정확하게 끼워져서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맞춤 결합될 수 있어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모서리의 수직 코너 프레임(10)에 고정식의 상부 프레임(50)과 하부 프레임(51), 절첩식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40)이 설정된 결합 위치에 판넬(P)을 삽입하고 다수 개 상호 조합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칸막이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 코너 프레임(10)은 코너 덮개(20)로 마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처리하게 되는데, 코너 덮개(20)는 수직 코너 프레임(10)의 평면과 대응하는 소정 면적의 평판 형상으로 다수개의 나사공(21)이 형성되어 나사(S) 결합에 의하여 수직 프레임 평면 공간을 마감하는 구성으로 수평한 몸체에 직교하는 수직의 체결편(12)이 부가 장착되어, 특히 고정식 수평 프레임과 결합함에 있어서, 코너 덮개의 직립구조 체결편(12)에 상부와 하부 수평 프레임을 직립 상태로 밀착시켜 측면을 견고하게 조립하고, 다시 평판형 몸체의 나사공(21)에 나사(S)를 삽입 평면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 조립하며, 상기한 절첩식 수평 프레 임 상하부에는 캡 형상의 프레임 덮개(34)를 부착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마감하게 되는데 프레임 덮개(34)는 각 프레임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덮개 기능을 일체로 수행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고정구 겸용 장식 덮개로서 하나로 2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정면 출입부(C)에는 사용자가 옷을 갈아입을 때 출입할 수 있게끔 직사각형의 여닫이식 출입문(60)이 형성되는데, 출입문(60)은 서로 대응 접촉하여 결합되게끔 모서리 양 끝단을 45도 각도로 절단된 마름모꼴 문짝(61) 2쌍을 상하, 좌우 대칭으로 서로 돌출 단부를 끼워 맞추는 강제 끼움 방식으로 문의 외형을 구성하여 거울(62)이 부착된 여닫이식 출입문(6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단위 조립체로서 출입문(60)은 상부와 좌우측 문틀(64)과 하부 프레임(51)에 의하여 4면에서 지지되어 경첩(63)을 회전수단으로 하여 여닫이식 출입문을 형성하게 되는데, 문짝(61)이 문틀(64)과 상호 결합으로 이중으로 고정됨으로써 종래의 출입문에 비해서 출입문을 형성하는 바탕틀의 강도가 향상되어 출입문(60) 자체를 견고하고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고 따라서 외관적으로 깨끗하고 미려한 출입부(C)를 형성함으로써 출입문을 자주 여닫더라도 불편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식 하부 프레임(51)에 장착되는 바퀴(53)는 본 고안 탈의실을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는 통상의 바퀴 구성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도록 미도시한 브라켓을 부가 장착하여 탈의실의 이동 및 설치, 보관에 지장이 없도록 다수 개 장착한다.
또한 상기 탈의실은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 공간의 저판(70)은 절첩식 판체로서 하부 수평 프레임(51)의 일측에 경첩(71)으로 연결되어 좌우의 절첩식 측벽(A)을 절첩하기 전에 절첩하게 되면 탈의실의 후벽(B)으로 겹쳐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탈의실을 백화점 등의 임시 의류매장에서 사용이 끝나 접어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전개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 측벽(A)의 양쪽 적정 부위를 가볍게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이 중간의 중앙 경첩부(32)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2조 1쌍의 절첩식 수평 프레임(30) 양측 단부 코너 경첩부(31)도 기둥 역할의 수직 코너 프레임(10)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함으로써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으로 대향되는 타측의 절첩식 측벽도 같은 원리로 접으면 완전히 접혀지게 되어 측벽(A)을 사이에 두고 전면에 출입구(C)와 후면에 후벽(B)이 샌드위치 형태로 중첩되게 포개진다.
상기와 같이 출입구(C)와 측벽(A), 후벽(B) 샌드위치 형태로 포개져서 접어진 탈의실을 바퀴(53)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적절한 장소에 보관하면 되는데 탈의실을 펼쳐서 다시 전개시키는 것은 상기 순서와 역순으로 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첩된 상태에서는 설치상태에 비해 부피가 축소되고 소형화되어 운반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하게 되고, 설치시에는 양 측면의 절첩식 측벽을 펼치는 것만으로써 출입구, 후벽과 함께 펼쳐져 설치되고 내부에 탈의공간이 형성되므로서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탈의실은 조립식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구성이 간 단한 것으로, 조립과정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전체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절첩이 용이하여 번거로운 절차 없이 펼치거나 접는 작업이 용가능하여 취급이 간편하며 그에 따른 이송 및 보관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종래 절첩하면서 발생하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조립의 용이성으로 생산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사용 및 조립상의 편리성 및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시 체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품 전체적으로는 심미감이 향상되고 연결부위의 고장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방 모서리의 수직 코너 프레임(10)을 지주로 전후면에는 고정식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바퀴(53)가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51) 사이에 문틀(64)로 지지되는 출입문(60)와 판넬(P)을 결합하여 각각 출입부(C)과 후벽(B)을 형성하고, 출입부(C)와 후벽(B) 사이에는 판넬(P)이 삽입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이 2조 1쌍으로 결합되어 중앙 경첩부(32)와 코너 경첩부(31)을 축으로 내측으로 회전되게 형성되며 절첩식 수평 프레임(30) 상하부가 프레임 덮개(34)로 마감되는 양 측벽(A)이 각각 좌우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절첩식 칸막이 구조의 조립식 탈의실로서,
    상기 전면의 출입부(C)는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하부 수평 프레임(51)으로 결합 수용되는 문틀(64) 내측으로 모서리 접촉 단부가 경사진 문짝(61) 2쌍을 상하, 좌우 대칭으로 결합하여 내측에 거울(62), 일측면에 경첩(63)이 구비된 여닫이식 출입문(60)를 형성하고
    후면의 후벽(B)도 상부 수평 프레임(50)과 하부 프레임(51) 사이에 판넬(P)이 삽입된 이동 칸막이 형태로 형성하며,
    출입구(C)와 후벽(B) 사이 좌우 양 측면은 양단부에 경첩이 구비된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의 일측은 코너 프레임(10)에 일측은 중간 경첩(45)에 각각 암수 한 쌍으로 대응 결합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중앙 경첩부(32)와 복수개의 모서리 체결 단부 코너 경첩부(31)를 형성하여 대향되는 양 측면이 상호 내측으로 절첩되는 양측 절첩식 측벽(A)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좌우 출입부(C)와 후벽(B), 좌우 양 측면의 절첩식 측벽(A) 내측공간으로는 경첩(71)으로 절첩되는 저판(70)을 장착하여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2. 제 1항에 있어서, 절첩식 측벽(A)을 구성하는 절첩식 수평 프레임(30)은 중간의 이음구(44)를 체결부재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단위 프레임(40) 한 쌍이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KR2020070004949U 2007-03-27 2007-03-27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KR200439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49U KR200439092Y1 (ko) 2007-03-27 2007-03-27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49U KR200439092Y1 (ko) 2007-03-27 2007-03-27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092Y1 true KR200439092Y1 (ko) 2008-03-19

Family

ID=4162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949U KR200439092Y1 (ko) 2007-03-27 2007-03-27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09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6447A (zh) * 2014-07-21 2014-10-29 广东尚高科技有限公司 一种零空间占用的淋浴房
KR101608503B1 (ko) * 2014-04-21 2016-04-01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이동조립식 자외선소독부스
KR20180015862A (ko) * 2016-08-04 2018-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쉘터
WO2019018789A1 (en) * 2017-07-20 2019-01-24 KidKraft, Inc. ACCORDION FOLDING GAME STRUCTURE WITH EASY ASSEMBLY DEVICE
KR20200068799A (ko) * 2018-12-05 2020-06-16 (주)금하네이벌텍 모듈형 조립식 하우스
KR20210109420A (ko) 2020-02-27 2021-09-06 김경신 안심 탈의실.
KR20220167902A (ko) 2021-06-15 2022-12-22 김경신 안심 칸막이 부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503B1 (ko) * 2014-04-21 2016-04-01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이동조립식 자외선소독부스
CN104116447A (zh) * 2014-07-21 2014-10-29 广东尚高科技有限公司 一种零空间占用的淋浴房
KR20180015862A (ko) * 2016-08-04 2018-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쉘터
KR101878307B1 (ko) * 2016-08-04 2018-07-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쉘터
WO2019018789A1 (en) * 2017-07-20 2019-01-24 KidKraft, Inc. ACCORDION FOLDING GAME STRUCTURE WITH EASY ASSEMBLY DEVICE
US11135525B2 (en) 2017-07-20 2021-10-05 KidKraft, Inc. Accordion fold play structure with easy-up assembly device
KR20200068799A (ko) * 2018-12-05 2020-06-16 (주)금하네이벌텍 모듈형 조립식 하우스
KR102185858B1 (ko) * 2018-12-05 2020-12-03 (주)금하네이벌텍 모듈형 조립식 하우스
KR20210109420A (ko) 2020-02-27 2021-09-06 김경신 안심 탈의실.
KR102321865B1 (ko) * 2020-02-27 2021-11-05 김경신 안심 탈의실.
KR20220167902A (ko) 2021-06-15 2022-12-22 김경신 안심 칸막이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092Y1 (ko) 절첩이 용이한 조립식 탈의실
JP3175275U (ja) 組立式建物の構造
JP3078504U (ja) ゲーム機のフレーム構造
US11297796B2 (en) Easy-to-fold and easy-to-assemble box and pet house using the box
JPH07177939A (ja) キャビネット用角継手およびこの角継手を含む電気キャビネット
US20030205005A1 (en) Construction kit
US20200071950A1 (en) Foldable tent
KR20170111018A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KR101033854B1 (ko) 체결부 은폐 체결구조의 금속재 조립식 안전 사물함
WO2017188207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柱フレーム構造
US8407946B1 (en) Closet liner
KR200454880Y1 (ko) 다중 절첩식 진열판 일체형 상품 진열대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JP3071681B2 (ja) 組立式の収納庫
KR20170135552A (ko) 도어 조립구조
JP2006328751A (ja)
KR20090000825U (ko) 절첩식 상품진열대의 선반 절첩 구조
JPH0120939Y2 (ko)
JP2020058746A (ja) 組立式の個室箱型ベッド
JP2016069876A (ja) 組立家屋
JP2602762B2 (ja) 組立建物における組立て分解自在な側壁
KR200365898Y1 (ko) 절첩식 부스 조립체
KR200288113Y1 (ko) 조립식 가구
KR102513043B1 (ko)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JP3103347U (ja) 折り畳み式容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