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682B1 -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 Google Patents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682B1
KR100702682B1 KR1020060044403A KR20060044403A KR100702682B1 KR 100702682 B1 KR100702682 B1 KR 100702682B1 KR 1020060044403 A KR1020060044403 A KR 1020060044403A KR 20060044403 A KR20060044403 A KR 20060044403A KR 100702682 B1 KR100702682 B1 KR 10070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hand
hole
gloves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인서
Original Assignee
호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인서 filed Critical 호인서
Priority to KR102006004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장갑을 벗지 않은 상태에서 맨손을 꺼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한 장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은 손바닥과 대응하는 하판의 손목부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복수의 신축부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 고정되며, 상기 겹쳐진 신축부재 사이로 내부의 손이 상기 하판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장갑, 맨손, 구멍, 손목부, 덮개, 신축부재

Description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Glove easy to use han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키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키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키 장갑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스키 장갑의 일측면 투시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키 장갑에서 맨손을 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손을 스키 장갑에서 꺼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 : 장갑 101 : 손가락부
103 : 손목부 105 : 입구
110 : 상판 120 : 하판
121 : 구멍 123 : 덮개
131, 132 : 신축부재 135 : 돌출부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갑을 낀 상태에서 맨손으로 정밀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장갑을 일시적으로 벗어야 할 경우에 있어 장갑을 벗지 않고, 장갑 밖으로 맨손을 꺼내 작업을 한 후에 다시 쉽게 착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손의 보호, 보온, 수식, 계급상징 때로는 표지 등의 목적으로 손에 끼는 주머니 모양의 손싸개로서,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장갑이 있다.
특히 이들 장갑 중에서, 손의 보호 및 보온을 목적으로 하는 보호용 장갑 또는 방한용 장갑 등은 장갑을 구성하는 재질이 질기면서 두껍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재질이 질기고 두꺼움으로서, 위험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거나 보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재질이 두꺼운 장갑을 낀 상태에서는 손의 촉감이 둔해져 정밀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키 장갑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방한 목적의 장갑 중에 대표적인 장갑이 스키 장갑(1)이 있다. 스키 장갑(1)은 그 내피가 단열재로서 손을 보온할 뿐만 아니라, 격렬한 운동에 의해 장갑이 찢어지지 않고 방수성을 갖도록 외피는 질긴 합성수지재로 감싸이며, 손을 집어넣는 장갑의 입구에는 밴드(3)가 재봉 고정된다. 스키 장갑(1)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3)로 입구를 조임으로써, 눈이 장갑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키 장갑(1)은 손의 사용이 둔탁할 뿐만 아니라, 밴드(3)로 장갑(1)의 입구를 조이기 때문에, 맨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밴드(3)를 풀고 장갑을 벗은 후에 맨손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다시 장갑(1)을 착용하고 밴드(3)를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맨손을 사용하기 위해서 장갑은 완전히 벗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장갑을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한의 목적보다는 손의 보호가 주목적인 장갑이 있다. 대표되는 장갑이 용접 장갑이다. 용접 장갑은 용접 중에 비산하는 불꽃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통가죽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통가죽 재질의 용접 장갑을 낀 상태에서는 손의 느낌이 둔해져서, 작은 사물을 잡거나 정밀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장갑을 벗고, 맨손으로 작은 사물을 잡거나 정밀 작업을 수행하며, 다시 용접 시에 장갑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맨손을 사용하기 위해서 장갑을 완전히 벗고 착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용접 장갑과 같이 그 길이가 착용자의 팔꿈치에 달하는 긴 장갑의 경우에는 장갑을 벗고 착용함에 커다란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장갑을 끼고 있다보면, 손에서 땀이 나는데, 손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장갑을 완전히 벗은 상태에서 손을 건조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갑을 분실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장갑을 낀 상태에서는 장갑 낀 손을 주머니에 넣을 수 없어, 이 또한 장갑을 벗고 주머니에 손을 넣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갑을 낀 상태에서 맨손으로 정밀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갑 밖으로 맨손을 용이하게 내놓을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원래 상태로 쉽게 착용할 수 있게 구성한 장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은 손바닥과 대응하는 하판의 손목부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복수의 신축부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 고정되며, 상기 겹쳐진 신축부재 사이로 내부의 손이 상기 하판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판에는 덮개가 재봉되어 상기 복수의 신축부재가 겹쳐진 구멍을 덮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부재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도포되어 상호 겹친 부위가 미끄러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갑은 상기 손목부위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되며, 상기 복수의 신축부재 중 어느 한 신축부재가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된 장갑을 재봉 고정하여 연결하되, 상기 하판의 일부를 재봉하지 않아 상기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는 가죽재질 또는 합 성수지 재질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키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키 장갑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스키 장갑의 일측면 투시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키 장갑에서 맨손을 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손을 스키 장갑에서 꺼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 장갑(100)은 손등에 대응하며 손의 모양을 갖는 상판(110)과, 손바닥에 대응하며 상기 상판(110)과 유사한 모양의 하판(120)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이 재봉되며, 5개의 손가락부(101)의 반대쪽에 입구(105)가 형성되어 손을 넣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키 장갑(100)의 길이는 통상 팔목과 팔꿈치 사이까지 올라간다. 여기에서 스키 장갑(100)은 스키의 종목에 따라 상판(110) 및 하판(120)에 모양이 약간씩 다를 수 있으며, 다른 재질의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장갑(100)의 상하판(110, 120)에 있어서, 손목에 대응하는 손목부(103)에는 제1 신축부재(131)가 손목부(103) 둘레를 따라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 장갑(100)은 손목부(103)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되며, 링 밴드 형태의 제1 신축부재(131)가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된 장갑(100)의 전단에 재봉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장갑(100)의 후단이 제1 신축부재(131)에 재봉되어 고정되는데, 장갑(100)의 상판(110)과 그 측부만 재봉 고정되고, 하판(120) 쪽은 재봉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신축부재(132)가 상기 구멍(121)에 대응하여 장갑(100)의 후단에 재봉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는 구멍(121)에서 상호 겹친 상태로 스키 장갑(100)의 하판(120) 쪽에 위치한다. 즉 스키 장갑(100)에 있어서, 제1 신축부재(131)는 상판(110)과 하판(120)에 걸쳐 손목부(103)에 위치하며, 제2 신축부재(132)는 하판(120)에 재봉 고정된 상태로 제1 신축부재(131)와 겹쳐진다. 따라서 스키 장갑(100)을 낀 상태에서 착용자는 자신의 손을 오므려 상기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가 겹쳐진 구멍(121)을 통해 밖으로 내밀 수 있다.
한편, 스키 장갑(100)의 하판(120)에는 상기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가 겹쳐진 구멍(121)을 덮는 덮개(123)가 재봉되어 고정된다. 상기 덮개(123)는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를 통해 눈 또는 이물질이 장갑(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123)는 질긴 가죽재질이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여 넘어지거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손바닥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가 상호 겹쳐 접하는 부위에는 미끄럼방지부재인 실리콘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부재(131)에 실리콘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125)와 돌출부(125) 사이에는 제2 신축부재(132)의 돌출부(125)가 위치함으로써, 겹쳐진 제1, 제2 신축부재(131, 132)들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구멍(121)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맨손을 구멍(121)에 강제로 삽입하여야만 그 힘에 의해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가 벌어지면서 맨손이 장갑(1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한편, 장갑(100)의 손가락부(101)에 각각의 손가락을 끼운 상태, 즉 장갑(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의식적으로 상기 구멍(121) 밖으로 손을 내밀기 위해서는, 도 5에 보이듯이, 손가락부(101)에 끼워진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목을 구부려 주먹이 구멍(121)과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주먹을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의 사이로 밀어 인출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주먹이 구멍(121)을 향하도록 손목을 구부리면, 장갑(100)의 손목부(103)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이 확장되어 장갑(100)이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목부(103)의 내부공간이 팽창하는 것을 제1 신축부재(131)가 탄성변형하여 보상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손목을 구부려서 구멍(121) 밖으로 손을 내밀 수 있게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21)을 통해 손이 완전히 나와 있을 경우에, 손등은 통가죽 재질의 덮개(123)와 접하게 되기 때문에, 장갑(100)의 손가락부(101)는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판(120)에 구멍(121)이 형성되고, 그 구멍(121)은 제1 신축부재(131)와 제2 신축부재(132)로 겹쳐 폐쇄된 장갑에 있어서, 착용자가 스키 장갑(100)을 낀 상태에서 제1, 제2 신축부재(131, 132)의 사이로 손을 내밀어 스키 장갑(100)을 벗지 않을 상태로 맨손을 정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스키 장갑을 예로 들었으나, 스키 장갑이 아닌 용접 장갑에도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장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용접 장갑(100')은 앞에서 설명한 스키 장갑(100)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용접 장갑(100')의 구멍(121) 밖으로 손을 내밀었을 때에 손등을 덮개(123)가 덮는다. 따라서 용접 장갑(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맨손을 구멍(121)으로 내밀어 정밀 작업을 하는 과정에도 덮개(123)가 비산하는 불꽃으로부터 손등을 보호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갑은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멍 밖으로 맨손을 내밀어 인출함으로써, 맨손으로 정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 장갑을 벗지 않고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 다시 장갑을 착용할 때에도 구멍 밖으로 손을 내민 순서의 반대로 쉽게 장갑 안으로 손을 넣어 손을 보호 및 보온할 수 있다. 따라서 벗기 불편한 길이가 긴 용접 장갑 또는 스키 장갑과 같은 종류의 장갑 등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장갑의 구멍 밖으로 밀어 인출하였을 때에, 손등은 덮개 및 장갑의 손가락부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외부에 노출된 손을 장갑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본 발명의 장갑을 착용하고 용접할 경우 에 있어서, 손을 장갑 밖으로 밀어 내어 정밀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서 비산되는 불꽃으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에 손을 넣어야 할 경우에, 장갑의 구멍을 통해 손을 밖으로 밀어낸 후에 주머니 속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에 난 땀을 건조하기 위해서 구멍 밖으로 손을 내어 쉽게 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을 밖으로 인출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장갑을 벗음으로써 발생하는 장갑 분실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손바닥과 대응하는 하판의 손목부위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복수의 신축부재가 겹쳐진 상태로 재봉 고정되며, 상기 겹쳐진 신축부재 사이로 내부의 손이 상기 하판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덮개가 재봉되어 상기 복수의 신축부재가 겹쳐진 구멍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도포되어 상호 겹친 부위가 미끄러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손목부위를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되며, 상기 복수의 신축부재 중 어느 한 신축부재가 전단과 후단으로 분할된 장갑을 재봉 고정하여 연결하되, 상기 하판의 일부를 재봉하지 않아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가죽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KR1020060044403A 2006-05-17 2006-05-17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KR10070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03A KR100702682B1 (ko) 2006-05-17 2006-05-17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403A KR100702682B1 (ko) 2006-05-17 2006-05-17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682B1 true KR100702682B1 (ko) 2007-04-02

Family

ID=3816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403A KR100702682B1 (ko) 2006-05-17 2006-05-17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56Y1 (ko) * 2017-09-20 2018-07-13 신옥규 손목 안쪽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손목부를 가진 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316U (ja) * 1983-03-29 1984-10-15 吉田手袋株式会社 防寒手袋
JPS6032326U (ja) * 1983-08-05 1985-03-05 株式会社 サンコ− 手袋
JPS61172116U (ko) * 1985-04-17 1986-10-25
KR200236031Y1 (ko) * 2001-03-22 2001-10-08 김선광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316U (ja) * 1983-03-29 1984-10-15 吉田手袋株式会社 防寒手袋
JPS6032326U (ja) * 1983-08-05 1985-03-05 株式会社 サンコ− 手袋
JPS61172116U (ko) * 1985-04-17 1986-10-25
KR200236031Y1 (ko) * 2001-03-22 2001-10-08 김선광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56Y1 (ko) * 2017-09-20 2018-07-13 신옥규 손목 안쪽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절단되어 형성된 손목부를 가진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779B2 (ja) 防寒手袋
US5459883A (en) Ergonomic hand covering and grip enhancer
US6012165A (en) Thumb guard for carpenters
US6839911B1 (en) Garment with selectable mittens
US4787376A (en) Retainer for glove
US9643073B1 (en) Exercise grip
AU2001256206B2 (en) Motorcycling glove
JP2008540869A (ja) 畳み込み式ハンドカバーシステム
US20070150999A1 (en) Cycling glove
US20060212989A1 (en) Partially removable glove
US10117473B2 (en) Hand protection and covering
US9642406B2 (en) Glove providing grip and dexterity
US20130007987A1 (en) Handle Gripping Device
JP7032104B2 (ja) 手袋
US5708980A (en) Protective glove
KR100702682B1 (ko) 맨손 사용이 용이한 장갑
JP3959528B2 (ja) 装着状態で手が開放できる5本指手袋
US7814572B2 (en) Reusable cuff barrier
US20080244806A1 (en) Child's Mitten
RU2489949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ая система
FR2492265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la marche sur les mains
JP2008045224A (ja) 防寒手袋
KR200321660Y1 (ko) 손가락부 개폐 장갑
JP2005226185A (ja) 手袋付衣服
JP2006104619A (ja) 子供用の防寒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