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503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503B1
KR100702503B1 KR1020050075818A KR20050075818A KR100702503B1 KR 100702503 B1 KR100702503 B1 KR 100702503B1 KR 1020050075818 A KR1020050075818 A KR 1020050075818A KR 20050075818 A KR20050075818 A KR 20050075818A KR 100702503 B1 KR100702503 B1 KR 10070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polarizing plate
substrat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519A (ko
Inventor
안주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5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형성된 모기판의 하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모기판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분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편광판 제조방법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편광판, 염료계 물질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SHEET EMPLOYED IN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투과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소정 전압이 인가된 경우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는 기판(102), 인듐주석산화물층(104), 유기물층(106), 금속전극층(108) 및 원형 편광판(110)을 포함한다.
인듐주석산화물층(104)에 소정의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금속전극층(108)에 소정의 음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유기물층(106)은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유기물층(106)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원형 편광판(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한편 원형 편광판(110)은 별도로 제작된 후, 기판(102)의 하면에 부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2)의 상면에 인듐주석산화물층(104), 유기물층(106) 및 금속전극층(10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후, 기판(102)의 하면에 요오드계 물질로 이루어진 원형 편광판(110)이 부착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 경우, 원형 편광판(110)은 기판(102)의 하면에 정확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원형 편광판(110)이 기판(102)의 하면에 오차없이 부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원형 편광판(110)이 부착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의 이동시 원형 편광판(110)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원형 편광판(110)이 기판(102)에 정확하게 부착되지 않거나, 원형 편광판(110)이 떨어지는 경우, 이를 기판(102)에 재부착하는 것은 어려웠다. 일단, 기판(102)의 하면에 원형 편광판(110)이 부착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에서 원형 편광판(110)을 제거하더라도 기판(102)의 하면에 원형 편광판(110)이 부착되었던 흔적이 남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0)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원형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하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여 편광판을 형성함으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판의 상면에 인듐주석산화물층, 유기물층 및 금속전극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인듐주석산화물층이 형성되는 상면과 상반되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여 편광판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형성된 모기판의 하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모기판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분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투과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는 기판(202), 인듐주석산화물층(Indium Tin Oxide Film: 204, ITO층), 유기물층(206), 금속전극층(208) 및 편광판(210)을 포함한다.
ITO층(204)은 애노드에 해당하며, 기판(202) 위에 증착된다.
유기물층(206)은 ITO층(204) 위에 증착되며, 순차적으로 형성된 정공주입층 (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Emitting Layer, ET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한다.
금속전극층(208)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uminum, Al)으로 이루어지며, 캐소드에 해당하고, 유기물층(206) 위에 증착된다.
이하,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의 발광 동작을 상술하겠다.
ITO층(204)에 소정의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금속전극층(208)에 소정의 음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ITO층(204)은 정공들을 상기 정공주입층에 제공하며 금속전극층(208)은 전자들을 상기 전자주입층에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정공주입층은 상기 제공된 정공들을 상기 정공수송층으로 원활하게 주입하며, 상기 전자주입층은 상기 제공된 전자들을 상기 전자수송층으로 원활하게 주입한다.
계속하여, 상기 정공수송층은 상기 주입된 정공들을 상기 발광층으로 수송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은 상기 주입된 전자들을 상기 발광층으로 수송한다.
이어서, 상기 발광층으로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이 재결합하여 특정 파장을 가지는 빛을 발생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기판(202) 및 편광판(2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편광판(210)은 ITO층(204)이 형성되는 기판(202)의 상면과 상반되는 기판(202)의 표면, 즉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소정의 투과 율을 가지고 통과시킨다. 또한, 편광판(210)은 금속전극층(208)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차단하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향상시킨다.
또한, 편광판(210)은 요오드계 물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편광판과 달리 염료계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염료계 물질은 일반적으로 상기 요오드계 물질에 비하여 블루 빛 및 레드 빛을 잘 흡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염료계 물질로 이루어진 편광판(210)은 상기 요오드계 물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편광판보다 블루 빛 및 레드 빛을 잘 통과시킨다.
그러므로, 블루 빛 및 레드 빛을 발광하는 픽셀들에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더 적은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는 블루, 그린 및 레드 빛을 동일한 휘도를 가지고 발광시킬 수 있다. 즉, 블루 빛 및 레드 빛을 발광하는 픽셀들의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는 상기 염료계 물질의 배합을 조절하여 블루 빛 및 레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픽셀들의 전력 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 빛 및 레드 빛에 대한 편광판(210)의 투과율은 약 60% 이상이고, 그린 빛에 대한 편광판(210)의 투과율은 약 45% 내지 50%이다. 여기서, 블루 빛의 중심 파장은 약 460㎚이고, 그린 빛의 중심 파장은 약 520㎚이며, 레드 빛의 중심 파장은 약 620㎚이다.
이하, 편광판(2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겠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판(202)이 스크라이빙(scribing)되기 전의 모기판(300) 상부에 마스크(310)를 위치시킨다.
모기판(300)에는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기판(202)의 상면에 ITO층(204), 유기물층(206) 및 금속전극층(20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셀 캡(212)까지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편광판(210)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모기판(300)은 기판(202)의 하면이 위로 올라오도록 모기판(300)을 뒤집어 놓은 상태이다. 편광판(210)을 기판(202)의 하면에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마스크(310)에는 복수의 기판(20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기판(300)의 상부에 마스크(310)를 위치시킨 후, 마스크(310) 위에 상기 염료계 물질을 도포한다. 상기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에는 일정한 제한이 없다.
다음으로, 상기 염료계 물질의 도포가 완료되면 모기판(300)의 상부에 위치한 마스크(310)를 제거한다.
마스크(310)를 제거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판(202)의 하면에만 상기 염료계 물질이 도포된 상태가 된다. 마스크(310)에 형성된 개구(312)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상기 염료계 물질이 도포되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을 통하여 모기판(300)에서 각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를 분리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판(300)에 형성된 라인을 따라 절취하면 각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로 분리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 완료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는 기판(202)의 하면에 상기 염료계 물질로 이루어진 편광판(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편광판(210)을 형성하는 공정은 마스크(310)를 사용하므로 기판(202)의 하면에 상기 염료계 물질을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계 물질의 도포 위치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염료계 물질을 기판(202)의 하면에서 쉽게 제거한 후, 재도포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2)의 하면에 직접 상기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여 편광판(210)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편광판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유기 전계 발광 소자(200)의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편광판 제조방법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편광판 형성시 불량률을 최소 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판의 하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여 편광판을 형성함으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기판의 상면에 인듐주석산화물층, 유기물층 및 금속전극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인듐주석산화물층이 형성되는 상면과 상반되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여 편광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형성된 모기판의 하면에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모기판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분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편광판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모기판의 하면 위에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마스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크의 상부에 상기 염료계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기판에서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편광판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모기판을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크기에 맞추어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편광판 제조방법.
KR1020050075818A 2005-08-18 2005-08-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KR10070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18A KR100702503B1 (ko) 2005-08-18 2005-08-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18A KR100702503B1 (ko) 2005-08-18 2005-08-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19A KR20070021519A (ko) 2007-02-23
KR100702503B1 true KR100702503B1 (ko) 2007-04-04

Family

ID=4162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18A KR100702503B1 (ko) 2005-08-18 2005-08-18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68A (ko) * 2000-08-17 2002-02-25 김순택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 어셈블리 및 이의 어셈블리 방법
KR20050036050A (ko) * 2003-10-14 2005-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68A (ko) * 2000-08-17 2002-02-25 김순택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 어셈블리 및 이의 어셈블리 방법
KR20050036050A (ko) * 2003-10-14 2005-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19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4170B2 (en) Recess structure for print deposition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242344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11024679B2 (en) Color filter substrate having a filter layer disposed on quantum dot layer
US9666647B2 (en) OL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5577B1 (ko) Oled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8133951B (zh) 使用有机发光二极管的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9061736A1 (zh) Oled显示器的制作方法及oled显示器
KR10231582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8108482A (ja) 有機el表示装置
WO2019153903A1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16004775A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パネル
US1027005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onents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and an auxiliary electrode layer positioned above the insulating layer, manufacturing method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onents, display panels includ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onents, and display devices
KR2014011669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49023A1 (zh) 发光器件及显示装置
KR10070249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KR20070050722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492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8425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0250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US10476019B2 (e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0250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에 사용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CN110828683B (zh) Oled器件及其制备方法
JP2010003797A (ja) 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2467214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571339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