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285B1 -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 Google Patents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285B1
KR100702285B1 KR1020017007364A KR20017007364A KR100702285B1 KR 100702285 B1 KR100702285 B1 KR 100702285B1 KR 1020017007364 A KR1020017007364 A KR 1020017007364A KR 20017007364 A KR20017007364 A KR 20017007364A KR 100702285 B1 KR100702285 B1 KR 10070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container
closing memb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571A (ko
Inventor
요한네스 야코부스 토마스 브루스위지크
귀도 페트루스 요한네스 반데르클라우
Original Assignee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667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22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filed Critical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18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 CO2 cartridge for dispensing and carbonating the beve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65D7/045Casks, barrels, or drums in their entirety, e.g. beer barrels, i.e. presenting most of the following features like rolling beads, double walls, reinforcing and supporting beads for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6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63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pellan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duct and incrementally released by means of a pressure reg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설정된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용기는 유체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바,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압력유체 특히 압력가스를 수용하는 제 1체임버와,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 조절압력이 작용하는 제 2체임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임의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고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 3체임버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 1체임버와 제 3체임버 사이에는 보통 사용하는 동안 상기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이 상기 조절압력보다 클 때 개방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 2체임버의 벽의 이동가능하거나 변형가능한 부분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이 조절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압력유체가 상기 제 1체임버에서 제 3체임버로 압력하에서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폐쇄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하기 전에 상기 조절수단은 적어도 기능적으로는 상기 폐쇄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사용하기 전에 작동단계를 거쳐 상기 조절수단을 상기 폐쇄부재에 기능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Container for dispensing fluid,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device with activation step}
본 발명은 청구항의 전제부에서 설명된 형태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런 용기는 프랑스특허 A-2690142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용기는 배출될 유체가 수용되어 있고 압력조절수단이 갖추어진 내부공간의 압력통을 포함하고 있다. 압력통에서, 제 1체임버는 가스가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유출개방부는 폐쇄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이 폐쇄부재는 약간 봉형상으로 되어 있고 단단히 밀봉되도록 유출개방부에 O-링으로 둘러싸여 있고, 봉형상부재에는 원주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압력통내의 제 1체임버와 마주보는 제 2체임버는, 봉형상부재가 하나의 단부를 통과하여 부착되는 멤브레인에 의해 제 1체임버의 측면기부에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체임버에서 조절압력은 가스에 의해 작용된다. 제 1체임버와 제 2체임버 사이에는 제 3체임버가 형성되는 바, 봉형상부재는 이 제 3체임버를 관통하여 뻗고 제 3체임버와 용기의 내부공간 사이에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 다.
제 3체임버의 공지된 장치에서 예컨대 조절압력과 같은 바람직한 압력이 작용할 때, 홈은 제 3체임버에 위치되고 유출개방부는 봉형상부재에 의해 밀폐된다. 유체가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될 때 내부의 압력은 감소될 것이며, 이에 따라 제 3체임버내의 대응되는 압력도 감소될 것이다. 그 결과, 제 2체임버의 멤브레인형상의 벽부분은 제 1체임버의 방향으로 변형할 것이고, 이에 의해 봉형상부재를 제 1체임버내의 축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것이다. 홈이 O-링의 높이로 이동될 때, 가스는 압력하에서 O-링을 지나 홈을 거쳐서 제 1체임버에서 제 3체임버로, 그리고 다시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은 멤브레인형상의 벽부분이 조절압력에 대해 거슬러 변형되도록 상승하고, 이에 의해 제 1체임버로부터 봉형상부재와 함께 이동되게 된다. 봉형상부재가 O-링에 의해 다시 밀폐가능하게 둘러싸이게 될 때 가스는 더이상 제 1체임버로부터 새어나갈 수 없게 되며, 제 3체임버와 내부공간내의 압력조건은 다시 바람직한 압력 여기서는 조절압력과 대략 같게 된다.
공지된 이 용기는 압력이 조정될 때 이미 조절압력이 제 2체임버내에 형성되게 되고, 더욱이 조절수단이 가스가 제 1체임버 밖으로 흐르도록 폐쇄부재를 직접 작용시키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조정이 보통압력하에서 일어날 때 제 3체임버의 압력이 제 2체임버의 조절압력보다 항상 낮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명료히 하기 위해, 조절압력이 평형이 되도록 압력조절장치를 부착하고 초과압력하에서 용기를 채우도록 되어 있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단점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된 단점들을 없애면서 장점들을 유지하는 전제부에서 설명된 형태의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에 따른 특징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용하기 전에 조절수단이 적어도 기능적으로는 폐쇄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장점이 성취된다. 이는 예컨대 조립되고 용기가 채워지는 동안, 조절압력에 대해 비교적 낮은 제 3체임버의 압력에서 조절수단의 이동이 폐쇄부재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음을 의미하는 바, 이는 사용하기 전에 폐쇄부재가 항상 폐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단지 특정한 작동단계가 수행될 때에는 사용하는 동안 바람직한 조절압력이 제 2체임버내에서 얻어지고, 조절압력에 비해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이 감소할 때 도입부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폐쇄부재가 바람직한 압력유체의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수단과 폐쇄부재 사이에 기능적인 결합이 얻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작동단계가 압력조절이 작용되도록 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압력조절은 압력매체가 제 1체임버의 밖으로 흐르는 위험을 갖지 않고 쉽게 저장되고 이송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중요한 기술적 안전 및 경제적인 장점이 성취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바람직한 보통의 주위압력에서 조립되고 채워질 수 있는 바, 이는 종래의 조립체와 충전라인의 이용을 허용하며 특별한 압력설비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청구항 2에 따른 특징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런 실시예에서, 제 1위치의 조절수단은 폐쇄부재가 작동되지 않고도 선택된 거리를 초과하여 폐쇄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제 2체임버의 체적이 예컨대 압력유체가 제 1체임버로부터 새어나가지 않으면서 압력변화의 결과로서 선택된 범위내에서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작동단계를 통해 폐쇄부재가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제 1체임버와 제 3체임버 사이의 개방통로를 통과하도록 작용되어 제 2체임버의 체적변화가 특히 증가할 때에 제어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제 1, 제 2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 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체임버로부터 압력유체의 원하지 않은 배출이 방지되는 한편 용기가 작동단계를 거쳐 사용준비될 수 있도록, 용기는 채워질 수 있고 압력조절장치는 제 1위치의 결합수단과 끼워질 수 있다. 작동단계는 이 단계가 소비자 자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조자나 소매상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제 2결합수단은 제 1부분이 폐쇄부재를 작동시키지 않고 제 2부분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들이 기능적으로 분리되는 제 1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단지 제 1, 제 2결합수단이 기능적으로 결합되는 제 2위치로 이동될 때, 폐쇄부재는 조절수단의 이동에 의해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요구된 작동단계는 예컨대 서로에 대해 제 1, 제 2부분의 활발한 이동과 같은 기계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3체임버의 압력을 사용하는 동안 적어도 바람직한 제 2체임버의 조절압력보다 높은 작동압력 이상으로 일시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공기방식으로 얻어진다.
작동단계 전에 제 2체임버의 압력이 주위압력과 대체로 같게 적어도 대략 1bar와 같게 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벽의 이동가능한 부분이 지나치게 그리고 더 연장되게 넣어진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6에 따른 특징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대체로 일정한 압력하에서 유체를 배출하도록 된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단하게 이런 방법으로, 압력조절장치는 가스와 같은 압력매개체로 채워질 수 있고, 결국 압력유체가 제 1체임버에서 주위로 바람직하지 않게 흘러나가는 위험을 포함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사실, 폐쇄부재는 제 1체임버를 항상 폐쇄되게 유지하는 한편, 조절수단은 적어도 아직은 제 1체임버를 개방할 수 없다. 단지 조절수단이 작동단계를 통해 폐쇄부재에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 압력조절은 제어된 폐쇄부재의 개방부와 폐쇄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7에 따른 특징에 의해서도 특징지어진다.
적어도 용기용 폐쇄부재에 인접한 제 2부분을 갖추고 이 제 2부분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 용기의 제 1부분을 장착함으로써, 이들은 사용하기 전에 용기에서 분리된다. 또, 제 2부분을 제 1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압력조절장치는 이동을 통해 제 1, 제 2부분을 결합하여 작동되게 할 수 있다. 폐쇄부재가 서로 작용함에 의해 조절수단은 용기의 바람직한 내압을 형성할 것이다. 이 경우, 용기가 채워질 때 압력은 이미 제 2체임버의 조절압력과 대략 같은 내부공간에 작 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수단은 제 1, 제 2부분을 결합하기 전에 중립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9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런 실시예에서 용기의 내부공간내의 압력은, 조절수단이 폐쇄부재와 연통되어 활성적이고 기능적으로 연결된(actively functionally coupled) 위치로 작동되고 이동되도록, 예컨대 압력가스 특히 상당한 추가 이산화탄소를 용기의 헤드공간에 유입함으로써 일시적으로는 대체로 상승된다. 헤드공간은 대개는 비교적 작을 것으므로, 압력이 비교적 빨리 감소하도록 비교적 소량의 가스만 추가로 유입될 필요가 있는 바, 즉 음료에 의해 쉽게 흡수될 수 있다. 그 다음, 폐쇄부재의 개방부와 폐쇄부는 압력조절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조절된다. 또, 예컨대 내부공간의 방향으로 용기 벽부분의 변형, 또는 용기의 풍선형상부재를 팽창시킴으로써 헤드공간을 감소시켜 바람직한 압력증가를 얻을 수 있음이 확실하다.
요구된 작동단계는 예컨대 용기를 채운 후에 바로, 그리고 용기를 폐쇄시키는 동안이나 폐쇄 후에 바로 상당한 이산화탄소를 유입하거나 용기의 벽부분을 변형함으로써 제조자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내부나 외부의 가스카트리지와, 배출수단이나 이와 유사한 수단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작은 장치에 의해 소비자가 이 작동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방법의 압력유체로는 바람직하게는 가스가 특히 이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가 이용되지만, 예컨대 액체와 같은 다른 압 력유체도 이용될 수 있다. 또, 압력유체는 예컨대 칼슘, (중)탄산염 및, 구연산(citric acid) 같은 산을 모아 화학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많은 변경예가 가능하다. 이 연결에서, 예컨대 (중)탄산염이나 다른 칼슘염제품은 적어도 폐쇄부재의 마주보는 측면에 있는 제 3체임버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와 방법은 다른 종속항들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용기와 압력조절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를 갖춘 용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압력조절장치 일부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상세도로서, 도 3a는 분리된 상태를 도 3b는 결합되어 사용준비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상세한 측단면도,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상세한 측단면도,
도 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상세한 측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따른 압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 5실시예로서 도 6에 따른 압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와 도 9a는 제 6실시예로서 도 6에 따른 압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과 도 10a는 제 7실시예로서 도 6에 따른 압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 8실시예로서 특히 틸팅밸브들과 사용하는 데에 적합한 도 6에 따른 압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음료(2)가 내부공간(4)내에 넣어지게 되는 대체로 원통형상의 캔형태로 된 용기(1)를 매우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용기(1)의 헤드공간(6)은 예컨대 탄산가스로 채워질 수 있고, 또 이 용기(1)의 압력조절장치(8)는 압력통(10)과 밸브조립체(12) 및 개방출구(14)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 더 설명될 압력통(10)내에 가스는 비교적 고압으로 저장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될 밸브조립체(12)에 의해, 가스는 압력통(10)에서 압력조절장치(8)를 거쳐 압력을 조절하는 용기(1)의 내부공간(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의 측벽에는 음료(2)가 내부공간(4)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탭(16)이 배치된다.
도 2의 측단면도에는, 동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유체를 배출하는 압력조절장치를 갖춘 용기"인 네덜란드 특허출원서에 더 상세히 설명된 압력조절장치(8)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이런 압력조절장치(8)의 일반적인 작동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압력조절장치(8)는 제 1하우징(18)과 중간부(22) 및 제 2하우징(52)으로 이루어진다. 중간부(22)에서 밸브(94)는 종래에 에어로솔 용기와 같은 스프레이캔들과 이와 유사한 장치에 이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런 밸브는 실제 공지되어 있다. 도 2에는 밸브(94)의 적절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태의 밸브들도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예컨대 암밸브나 틸팅밸브가 도시된 숫밸브 대신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94)는 중간부(22)와 단단히 연결되면서, 압축스프링(42)이 편향수단(biasing means)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제 4체임버(86)를 구비하는 제 3하우징(95)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밸브는 폐쇄위치로 편향된다. 봉형상부재(96)는 칼라(98)를 통과하여 연결부(22)와 스프링(42)의 상단 사이에 구획되고, 연결부(22) 바깥의 한점으로 뻗는다. 연결부(22) 바깥에 위치된 부분에는 축보어(36)가 막혀있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칼라(98) 위에는 축보어(36)내에서 끝나는 방사형보어(37)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위치에서, 방사형보어(37)는 중간부(22)의 밀봉링(39)에 의해 폐쇄된다. 중간부(22) 위의 제 2하우징(52)은 적절한 스냅수단(48,50)에 장착된다. 제 2하우징(52)내부에서, 제 2체임버(60)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피스톤(58)에 의해 제 3체임버(62)로부터 분리되고, 제 3체임버(62)는 개방출구(64)를 거쳐 용기(1)의 내부공간(4)과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58)의 아랫면에는 원통부(95)가 봉형상부재(96)의 상단 위에 적당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축보어(98)와 함께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8)의 측면기부에는 칼라(99)가 봉형상부재(96)의 상단에 지지되는 축보어(98)내에 형성되어 있다. 방사형보어(97)들은 축보어(98)가 제 3체임버(62)와 유체연통되도록 축보어(98)로부터 뻗는다.
상기 설명된 동일자 네덜란드 특허출원서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제 2체임버(60)내의 조절압력은 제 3체임버(62)와 내부공간(4)내의 압력이 바람직한 최소압력 아래로 감소할 때 체임버(60)의 체적이 증가하고 적어도 피스톤(58)이 이동되도록, 그리고 봉형상부재(96)가 제 1체임버(24)의 방향에서 스프링(42)의 스프링압력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도록 작용된다. 이에 따라, 개방통로(28)와, 제 4체임버(86), 방사형보어(37), 축보어들(36,98) 및, 방사형보어들(97)을 거쳐 제 1체임버(24)와 제 3체임버(62) 사이에서 유체의 연통이 성취된다.
제 1체임버내에는 특히 이산화탄소와 같은 적절한 양의 가스성 압력매개체가 초과압력상태로 저장된다. 제 1하우징(18)내의 제 1체임버(24)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특히 이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에 대한 압력가스에 대해 높은 흡입 및 흡입력을 갖는 활성탄소섬유(26)와 같은 활성탄소로 대개 채워진다. 그 결과, 특히 많은 양의 압력가스가 얻어질 수 있는 압력에 비례하여 제 1체임버(24)에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제 1체임버(24)가 비교적 작지만 충분한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런 활성탄소의 이용은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네덜란드 특허출원 제 1009654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 이는 여기서 참조로만 소개된다.
이산화탄소 대신에 또는 이산화탄소를 첨가한 예컨대 압력상태의 액체와 같은 다른 압력유체가 제 1체임버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반응물질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력매개체를 형성하도록 제 2반응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제 1체임버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구연산과 (중)탄산염과 같은 산제품과 칼슘제품으로 될 수 있는 한편, 제 2반응요소는 제 1체임버나 제 3체임버내에 저장되고, 압력이 감소할 때 적어도 제 1체임버에서 떨어진 폐쇄부재 측면상의 제 3체임버내에서만 반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요소들 사이의 반응은 압력이 용기의 내부공간내에서 감소할 때 폐쇄부재가 일시적으로 개방위치내로 조절될 때까지는 발생하지 않으며, 요소들이 함께 이동되거나 바람직한 가스를 형성하는 데에 충분한 압력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다른 반응들도 특히 배출될 매개체에 따라 선택되도록 적절히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제 1체임버(24)와 제 3체임버(62) 사이의 유체연통이 형성될 때, 가스는 압력하에서 흘러나가고 개방통로(64)를 거쳐 용기의 내부공간(4)으로 흐르며, 이에 따라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제 3체임버(62)의 압력은 피스톤(58)이 다시 위로 이동되도록 상승될 것이며, 이에 따라 제 2체임버(60)의 압력증가는 봉형상부재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이동될 때까지 그리고 방사형 개방부(37)가 링(39)에 의해 폐쇄될 때까지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런 압력조절장치로 용기(2) 내부공간(4)의 바람직한 압력은 연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실제로 유체가 용기로부터 배출된다면, 내부공간(4)과 제 3체임버(62)내의 압 력은 감소하고 피스톤은 상기 설명된 압력조절을 위해 아래로 이동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58)은 제 2하우징(52)이 제 1하우징(18)과 결합될 때 봉형상부재(96)에 결합된다. 이는 피스톤(58)과 밸브(94) 사이의 활성적이고 기능적인 결합을 유연하게 한다. 이는 형성된 조립체가 저장되지 않고 충분히 큰 주위압력하에서 조립될 때, 밸브(94)가 즉시 개방되도록 조절되고 가스가 제 1체임버(24)에서 주위로 흐르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제안되는 바, 이는 밸브(94)나 이와 유사한 폐쇄부재로부터 피스톤(58)이나 이와 유사한 조절수단을 기능적으로 분리하고, 작동단계 후에만 이런 기능적인 결합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작동단계를 갖춘 이런 조절장치들에 대한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인 바, 내부에 사용된 조절수단은 예컨대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상기 설명된 네덜란드 특허출원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가 예컨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력조절장치의 일부를 갖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흔히, 용기(101)내에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이 명료해질 것이다.
도 3a에는 내부에 개방부(115)를 갖춘 용기(101)의 벽(103)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는 이동가능한 폐쇄수단(117)이 고무링(119)이나 이와 유사한 밀봉부재와 밀봉되게 맞물려 수용된다. 적절한 현가수단(121)에 의해 개방부(115) 아래 의 약간 떨어진 거리에 압력조절장치(108)의 제 1하우징(118)이 압력조절장치(108)가 위치고정되어 장착되도록 달려 있다. 폐쇄수단(117)내의 제 1체임버 측면기부에는 부결합수단(150)이 다른 결합수단(148)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뻗도록, 제 2하우징(152)이 조금 조여지게 고정될 수 있는 공간(12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축보어(198)도 마찬가지로 봉형상부재(196)로부터 조금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제 1체임버(124)에서 내부공간(104)으로 어떤 가스도 흐를 수 없도록 밸브(194)는 가압될 수 없으며 적어도 개방될 수 없다.
폐쇄부재(117)에는 배출채널(125)이 형성되어 있는 바, 한쪽 단부에는 공동부(123)가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에는 예컨대 태핑수단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호스(127)가 연결될 수 있다. 공동부에는 일련의 립(128)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제 2하우징(152)의 단부벽(156)이 축방향과 방사상의 방향에서 공동부(123)의 벽들로부터 떨어져 있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사용하는 동안 음료(2)는 폐쇄수단(117)의 위치에는 관계없이 제 2하우징(152)을 지나 배출채널(125)로 흐를 수 있다.
도 3에 따른 용기(101)내에 압력조절장치(108)를 사용준비하기 위해 폐쇄수단(117)은 단지 내부공간(104)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결합수단(148,150)에 의해 제 2하우징(152)을 제 1하우징(118) 위에 고정되게 누르고, 동시에 축보어(198)는 봉형상부재(196) 위에 눌려진다. 이 사용준비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폐쇄수단(117)은 다시 위로 이동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는 내리누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04)의 압력 은 제 2체임버(160)의 조절압력과 제 3체임버(162)의 압력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조절될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변경예에서, 폐쇄수단(117)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상태 즉 완전히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 배출채널(125)을 폐쇄하는 밸브로 이루어진다. 이 밸브는 도 3a나 도 3b의 폐쇄수단(117)이 아래로 눌려질 때 자동으로 개방되고, 이에 의해 폐쇄수단(117)이 동시에 탭(116)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성취된다. 하지만, 배출채널(125)도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탭이 형성되어 있을 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작동에 앞서서 체임버(160)가 비교적 크고 폐쇄수단(117)이 아래로 눌려질 때만 감소되도록 봉형상부재(196)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제 2체임버(260)에 대한 하우징(252)이 밸브(294)와 연결되는 한편, 피스톤(258)이 제 1체임버(224)에서 떨어진 하우징(252)의 개방단부로 뻗고 용기의 벽(203)에 대해 2개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의 왼쪽에는 피스톤(258)이 제 2체임버(260)가 비교적 크고 대체로 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또 하우징(252)이 정지된 채로 유지되도록 윗쪽 위치에 고정된다. 피스톤(258)을 도 4의 오른쪽에 도시된 위치로 내리누름으로써, 피스톤은 핑거(253)에 의해 벽(203)에 지지되고, 제 2체임버(260)의 체적은 바람직한 조절압력이 얻어지도록 상당히 감소된다. 내부공간(204)의 압력이 조절압력 아래의 값으로 변화하는 것은 하우징(252)이 피스톤(258)으로부터 즉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도 록 하여, 제 1체임버(224)로부터 가스배출을 위해 밸브(294)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5는 제 1체임버(324)가 밸브(394)를 갖추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상기 밸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숫밸브로 되어 있지만, 이 밸브는 암밸브나 틸팅밸브로도 될 수 있다. 제 2체임버(360)는 피스톤(358)이 밀봉 O-링(370)과 적당하게 끼워져 수용되는 하우징(352)내에 형성되어 있다. 스템(366)은 피스톤(358)과 단단히 연결되고 밸브(394)의 방향으로 뻗으며, 스템(366)의 자유단(367)은 밸브(394)와 접촉되지 않는다. 대체로 원통형의 중간부(369)는 밸브(394)에 고정된 제 1단부와, 밸브가 개방될 때 제 1체임버(324)와 제 3체임버(304) 사이에 유체연결을 형성하는 다수의 개방통로(397)를 구비한 원주벽을 갖추고 있다. 중간부(369)는 쇼울더(373)를 갖춘 확장된 부분(371)과 함께 제 1체임버로부터 떨어진 제 2개방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템(366)의 자유단(367)은 중간부(369)의 보어(375)내로 뻗고, 바깥으로 편향된 탄성핑거(377)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1위치에서, 핑거(377)들은 밸브(394)와 쇼울더(373) 사이에서 보어(375)의 더 좁은 부분의 안쪽에 접촉되어 있다. 이는 피스톤(358)이 한편으로는 자유단(367)과 밸브(394) 사이의 최소거리로, 다른 한편으로는 핑거(377)들과 쇼울더(373)의 위치에 의해 거리가 결정되는 미리 선택된 거리 이상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실 피스톤(358)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거리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 단부벽(356)의 방향으로 하우징(352)내에 더 이동될 때, 핑거(377)들의 자유단들은 이어서 발생되는 피스톤(358)의 하강이동이 일어날 때 이들이 쇼울더(373)의 윗표면에 걸리도록 쇼울더(373) 위에 있게 되고 바깥쪽으로 움직일 것이다. 따라서, 핑거(377)들과 쇼울더(373)는 제 1, 제 2결합수단을 형성한다. 피스톤(358)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에서 아래로 이동될 때, 제 2체임버(360)의 체적이 증가한 결과 중간부(369)는 이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밸브(394)는 개방될 것이다.
밸브(394)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피스톤(358)의 위치로부터, 밸브는 작동단계에 의해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결국, 피스톤(358)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상승이동되도록 예컨대 제 3체임버(304)내의 압력이 바깥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상승됨으로써, 제 2체임버(360)내의 조절압력은 적어도 근사하게 된다. 그 결과, 핑거(377)들은 쇼울더(373) 위로 이동되고 사용할 때의 작동위치가 얻어진다. 또, 이는 예컨대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피스톤(358)을 기계적으로 위로 밀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도 6은 스템(466)내에 보어(475)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 스템(466)은 보어(475)가 막힌 단부(479)를 갖도록 피스톤(458)과 연결되어 있다. 개방단부(481)에 인접한 부위에서 보어(475)는 쇼울더(473)가 막힌 단부(479)에서 떨어진 거리에 형성되도록 확장된 부분(471)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부(469)는 이 실시예에서는 암밸브인 밸브(494)에 고정된 제 1단부를 갖추고 있고, 밸브가 개방될 때 용기의 제 1체임버(424)와 내부공간(404) 사이에 유체연결을 형성하는 통로(497)를 구비하고 있으며, 중간부(469)는 바깥쪽으로 편향된 탄성핑거(477)들을 구비하고 있다. 핑거(477)들의 자유단들이 함께 고정될 때, 이들은 막힌 단부(479)와 쇼울더(473) 사이에서 보어(475)의 비교적 좁은 부분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핑거(477)들은 피스톤(458)의 이동이 작동되는 밸브(494) 없이 가능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단지 체임버(460)의 체적이 상당히 감소되고 핑거(477)들의 자유단(483)들이 쇼울더(473) 아래로 이동되도록 피스톤이 이동될 때, 핑거(477)들은 자유단(483)들이 쇼울더(473)에 걸릴 수 있도록 팽창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밸브(494) 방향의 피스톤(458)의 이동은 이를 따라 아래로 눌려지는 중간부(469)에서 끝나게 됨으로써 밸브(494)를 개방시킨다. 스템(466)에 형성된 제 1, 제 2결합수단의 제 1, 제 2위치와, 적어도 쇼울더(473), 중간부(469) 및, 적어도 핑거(477)들은 분리된 제 1위치와 연결된 제 2위치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7은 피스톤(458)이 2개의 부분(466a,466b)으로 나누어지는 스템(466)을 갖는 도 6에 따른 조절수단의 일부를 나타낸다. 원통형의 제 1부분(466a)은 피스톤(458)과 단단히 연결되고, 자유단에는 개방부를 가지면서 안쪽으로 뻗는 플랜지(461)를 구비한다. 스템(466)의 제 2부분(466b)은 제 1부분(466a)내에 위치된 단부에서 개방부를 통과하여 뻗고, 이 제 2부분(466b)가 최대로 아래로 이동될 때 적당한 안내를 제공하고 또한 플랜지(461)와 맞대어지는 확장부를 구비한다. 제 2부분(466b)의 보어(475)는 바깥 자유단에 인접한 확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쇼울더(473)를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간부(469)의 핑거(477)들이 제 1, 제 2위치의 보어(475)내에 다시 수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458)이 제 2부분(466b)가 거리(S)에 비해 제 1부분(466a)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밸브(494)가 작동되지 않게 하는 제 1위치의 연결수단(477,473)들과 더 큰 자유이동을 얻는 장점이 성취된다. 단지 제 2부분(466b)의 안쪽 단부가 피스톤(458a)에 접촉되고 핑거(477)들이 쇼울더(473)에 접촉되어 있을 때 밸브(494)가 작동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압력조절장치에 이용되는 스템(466)을 갖춘 피스톤(45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어(475)의 확장부(471)에 있는 리지(485;ridge)는 피스톤(458)과 보어(475)의 막힌 단부(479)로부터 떨어진 방향의 쇼울더(473)로부터 뻗는 바, 이 리지(485)는 확장부(471)내에 포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핑거(477)들의 자유단(483)들은 분리된 제 1위치에서 연결된 제 2위치로 쇼울더(473)에 접촉될 수 있도록 리지(485)의 가장자리(487)를 통과해야만 할 것이다. 이에 따라, 피스톤(458)이 비교적 큰 거리에 대해 하우징(425)에 상대적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즉 제 2체임버(460)의 체적이 상당히 감소되는 장점이 성취되며, 이는 분명히 바람직한 조절압력에 더 필요하다. 또,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작동의 기회가 상당히 감소되고 안전이 훨씬 더 향상됨을 의미한다.
도 9와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절단된 측단면도와 부분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1체임버(524)의 밸브(594)에는 통로(597)를 갖춘 중간부(569)가 고정되어 있는 바, 탄성핑거(577)가 이 중간부(569) 위에 장착된다.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 탄성핑거(577)는 선택적으로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바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피스톤링(570)을 갖춘 피스톤(558)에는 서로에 대해 옆으로 위치된 2개의 보어가 구비된 스템(566)이 부착 된다. 도 9에서, 왼쪽 측면에 위치된 제 1보어(575a)는 깊이(S1)를 갖고, 오른쪽 측면에 위치된 제 2보어(575b)는 깊이(S1)보다 더 큰 깊이(S2)를 갖는 바, 깊이는 피스톤(558)에서 떨어져 있는 보어(575)들의 개방단부(581)에서 시작된다. 단부의 탄성핑거(577)는 도시된 실시예에 교차막대로 나타내어진 헤드(59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보어(575a)는 개방단부(581)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끝나는 칸막이(595)에 의해 제 2보어(575b)로부터 분리된다. 보어의 개방단부(581)에 인접한 약간 유연성이 있는 플랩(593)은 제 1보어(575a)의 측면에 연결되고 제 2보어(575b)의 마주보는 벽에 대해 경사져서 뻗는다. 플랩(593)에는 핑거(577)가 통과하여 뻗을 수 있는 슬롯(593a)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591)는 피스톤(558) 기부의 포크형상 플랩(593) 끝들의 측면과 접촉한다.
도 9에는 분리된 제 1위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헤드(591)는 막힌 단부와 플랩(593) 사이의 제 2보어(575b)내로 뻗고, 피스톤(558)은 칸막이(595)의 끝가장자리(599)와 제 2보어(575b)의 막힌 단부(579b) 사이의 거리로 결정되는 높이 이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헤드(591)가 끝가장자리(599) 아래로 뻗을 때까지 피스톤(558)이 위로 이동될 때, 헤드는 플랩(593)에 의해 제 1보어(575a)내로 안내될 것이다. 이어서 피스톤(558)이 다시 하강이동되면, 헤드(591)는 제 1보어(575a)내에 수용되고 제 1보어(575a)의 막힌 단부(579a)에 접촉된다. 피스톤(558)이 더 아래로 이동할 때 밸브(594)는 핑거(577)를 거쳐 작동될 것이고, 플랩(593)은 헤드(591)가 보어(575)에서 빠지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더욱이, 플랩(593)은 칸막 이(595)의 가장자리(599)에 아주 가깝게 위치되어 헤드가 플랩(593)을 따라 위로 이동할 때 헤드(591)는 이들 사이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에 의해, 헤드(591)는 제 2보어(575b)로 이동이 되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핑거(579)가 제 1보어(575a)의 방향으로 충분히 경사질 때 플랩(593)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0a는 각각 특히 틸팅밸브와 함께 사용하는 데에 알맞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단면도와 사시도이다. 개방통로가 작동스템을 기울여서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는 이런 틸팅밸브들은 실제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 1체임버(624)와 연결된 틸팅밸브(694)는 확장헤드(widened head; 667)를 갖춘 작동스템(669)을 구비하고, 헤드(667)는 바람직하게는 볼록한 상부를 갖는다. 제 2체임버(660)의 하우징(652)에는 스템(666)이 고정되는 피스톤(658)이 수용된다. 피스톤(658)은 틸팅밸브(694)와 작동스템(669)의 중심선(L)에 대해 임의의 각,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뻗는 운동방향(P)을 가지며, 피스톤(658)의 스템(666)은 제 1포크(690)와 제 2포크(692)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a는 제 1포크(690)와 제 2포크(692)를 갖춘 스템의 사시도로서, 확장헤드(667)를 갖춘 작동스템(669)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제 1포크(690)와 제 2포크(692)는 서로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평행한 평면들내에 위치된다. 도 10a에 도시된 중립위치에서 이 거리는 D1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포크(690,692)는 각각 슬롯들이 피스톤(658)에서 떨어진 단부에서 개방되는 슬롯(690a,690b)을 갖춘 2개의 갈라진 끝으로 이루어진다. 이 슬롯들(690a,690b)은 작동스템(669)의 두께보다 크지만 확장헤드(667)의 폭보다는 작은 폭을 갖는다. 따라서, 2개의 포크(690,692)는 밸브(694)와 헤드(667) 사이의 작동스템(669) 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제 1포크(690)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들에서처럼 제 2포크(692)보다 짧고, 제 1슬롯(690a)의 폐쇄단부(679a)는 피스톤(658)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있는 바, 이는 피스톤과 제 2슬롯(690b)의 폐쇄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도 10은 분리된 제 1위치에서 작동장치의 윗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누르는(biased) 제 1포크(690)가 확장헤드(667)인 놉(knob) 위에 지지된다. 재료들과 포크의 변형은 방향(P)에서의 피스톤(658)의 이동이 작동스템(669) 없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수행되도록 선택된다. 이 위치로부터, 장치는 제 1포크(690)의 자유단이 헤드(667)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단부벽(656)의 방향에 피스톤(658)을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제 1포크(690)의 탄성변형응력은 헤드(667)의 아랫면 아래로 뻗도록 평면(V)에 귀환될 것이다. 그 결과, 밸브(694)의 방향으로 피스톤(658)이 복귀할 때 작동스템(669)은 제 1슬롯(690a)에 수용될 것이다. 단부벽(656)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피스톤(658)이 더 이동하고 체임버(660)의 체적이 증가할 때, 막힌 단부(679a)는 작동스템(669)과 접촉하고, 더 이동하면 위에 비해 길이방향축(L)에 대해 경사지도록 작동스템(669)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틸팅밸브(694)는 개방될 것이고, 가스는 제 1체임버(624)에서 내부공간(604)으로 흐를 수 있다. 내부공간(604)내의 압력이 증가할 때 피스톤(658)은 뒤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 2체임버(660)는 틸팅밸브(694)가 폐쇄위치로 귀환될 수 있도록 감소된다. 선택적으로는 밸브(624)와 헤드(667) 사이에 있는 작동스템(669)의 안내링(667a)은, 도 10의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적어도 제 2포크(692)가 밸브(694)와 안내링(667a) 사이에 안내되어 훨씬 더 좋은 위치가 얻어지도록 될 수 있다.
도 11은 틸팅밸브(794)를 작동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간단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752)내의 제 2체임버(760)를 한정하는 피스톤(758)은 비스듬하게 형성된 자유단(781)을 갖춘 스템(76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 1체임버(724)의 틸팅밸브(794)에는 이와 유사하게 비스듬하게 형성된 자유단(783)을 갖춘 결합부(769)가 형성되어 있고, 스템(766)은 안내부(757)에 의해 하우징(752)내에 안내된다. 제 2체임버(760)를 팽창시킬 때 스템(766)은 틸팅밸브(794)의 방향으로 하강이동된다. 상호 작용하는 비스듬하게 형성된 단부들(781,783)은 틸팅밸브(794)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기울어지게 되도록 할 것이다. 또, 이런 방법은 틸팅밸브들이 밸브들 또는 도시된 작동수단 대신 이용될 때 위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장치(80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이 실시예에서 제 1하우징(818)의 오목부(872)에는 축보어(836)를 갖춘 개방통로(828)가 형성되어 있다. 볼의 형태로 된 폐쇄부재(840)는 편향수단(842)에 의해 안착부(834)에 밀어부쳐지는 바, 폐쇄부재(840)에서 축보어(836)를 통과하여 오목부(872)로 뻗는 핀(880)을 갖추고 있다. 편향수단(842)과 폐쇄부재(840)는 제 1체임버(824)내에서 끝나는 유입개방부(888)들을 갖춘 제 4체임버(886)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872)는 제 1하우징(818)의 벽으로부터 비교적 큰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2하우징(852)은 오목부의 바닥(878)에 지지되는 단부벽(856)을 갖도록 오목부(872)에 수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858)은 끼워지는 피스톤링(870)의 개재물 또는 이와 유사한 가스와 액체가 통하지 않는 밀봉수단을 갖춘 제 2하우징(852)의 내주와 대략 대응되는 외주를 갖춘 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피스톤(858)과 단부벽(856) 사이에는 다시 제 2체임버(860)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체임버(860)에서 떨어져 있는 피스톤(858)의 단부에는 절단원뿔형 가장자리들(890,892)을 갖춘 디스크(867)와 같이 형성된 조절수단(866)이 포함되어 있다. 이 디스크(867)는 예컨대 오목부(872)의 내경과 대략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한편, 절단원뿔형 가장자리들(890,892)의 최소 직경은 피스톤(858)의 직경과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중립위치, 즉 분리된 위치에 피스톤(858)을 갖추고, 제 2체임버(860)내의 낮은 압력이 작용하는 하부의 원뿔형 가장자리(892)는 핀(880)의 윗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폐쇄부재(840)는 스프링(842)에 의해 바깥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피스톤(858)에 의해 작동될 수 없다. 제 3체임버(862)내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압력이 상당히 상승될 때 피스톤(858)은 아래로 눌려지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제 2체임버(860)는 감소되고 내부의 압력은 상승된다. 그 다음, 피스톤(858)은 일시적으로 팽창작용되어 스프링(842) 반대방향의 핀(880)을 지나 밀리게 될 것이다. 피스톤(858)이 통과한 후에 폐쇄부재(840)는 폐쇄위치로 다시 밀릴 것이고, 이에 따라 조절장치(808)가 작동된다. 제 3체임버(862)의 압력이 조절압력 아래로 다시 감소될 때 피스톤(858)은 윗쪽으로 눌려질 것이고, 이에 따라 제 3체임버(862)내와 용기의 내부공간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제 1체임버(824)와, 개방부(888), 제 4체임버(886) 및, 유출개방부(828) 사이에 유체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내부공간의 압력이 다시 충분히 상승될 때, 피스톤(858)은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밀려지게 되고 폐쇄부재는 다시 폐쇄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들은 제 2체임버내의 조절압력이 예컨대 누수에 의해 떨어질 때, 가스가 제 1체임버에서 제 3체임버로 조절불가능하게 흐르는 것을 그리고 용기내에서 적어도 제 3체임버내에서는 과도한 압력으로 상승되는 것을 간단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작동수단이 폐쇄위치로 강제위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내부에 사용될 압력조절장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안전은 훨씬 더 향상된다.

Claims (10)

  1. 일정하게 설정된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유체를 배출하도록 배치된 용기로서,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압력유체 특히 압력가스를 수용하는 제 1체임버와,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 조절압력이 작용되는 제 2체임버,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용기의 내부공간에 포함되어 있고 이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 3체임버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 1체임버와 제 3체임버 사이에는 사용하는 동안 상기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이 상기 조절압력보다 클 때 개방통로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수단이 상기 제 2체임버의 벽의, 멤브레인이나 피스톤과 같은, 이동가능하거나 변형가능한 부분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제 3체임버내의 압력이 조절압력보다 낮을 때 상기 폐쇄부재를 이동시켜 열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압력유체가 상기 제 1체임버에서 제 3체임버로 압력하에서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사용하기 전에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폐쇄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 보내어지고,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사용하기 전에 작동단계를 거쳐 상기 조절수단을 상기 폐쇄부재에 기능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하게 설정된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제 1부분(466a)과 제 2부분(466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부분(466a)은 상기 폐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부분(466b)은 상기 제 2체임버의 이동가능하거나 변형가능한 벽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 1부분(466a)과 제 2부분(466b)은 상기 벽부분이 상기 폐쇄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제 1위치로, 그리고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벽부분의 이동이나 변형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 2위치로 각각 이동될 수 있는, 핑거(377, 477)들과 쇼울더(373,473)로 된 제 1, 제 2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은 바깥으로 편향된 다수의 탄성핑거(377, 477)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결합수단은 보어(375, 475)로 이루어지되, 이 보어는 쇼울더(373,473)가 형성되는 형태로 반대쪽의 단부에 인접한 부분보다 개방단부(481)에 인접한 쪽의 폭이 더 넓게 되어 있고, 제 1위치의 상기 탄성핑거는 상기 쇼울더와 더 좁은 단부 사이에서 보어의 내부에 지지되고, 제 2위치의 탄성핑거는 폭이 넓은 개방단부에 가까운 쇼울더의 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수단은 상기 제 1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는 틸팅밸브(694)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수단은 상기 틸팅밸브와 연결된 작동스템(669)으로 이루어지면서 확장헤드(667)를 갖고, 상기 제 2결합수단은 적어도 2개의 갈라진 끝과 슬롯(690a, 690b)을 갖는 포크형상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롯은 상기 작동스템의 폭보다 크지만 확장헤드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한편, 상기 제 1위치의 포크형상부재의 갈라진 끝들은 상기 확장헤드(667)의 윗쪽에서 탄성적으로 누를 수 있게(biased) 위치되고 틸팅밸브 없이 그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위치의 작동스템은 상기 갈라진 끝들이 상기 확장헤드와 틸팅밸브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벽부분의 이동을 통해 상기 슬롯의 폐쇄단부가 상기 틸팅밸브를 기울이는 상기 작동스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캔형상홀더가 압력조절장치의 제 1부분을 구비하되, 이 제 1부분은 폐쇄위치로 편향되어 있는(biased)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재로 이루어지고, 바깥에서부터 작용되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유체 특히 가스는 상당히 높은 압력하에서 상기 홀더에 유입되고 과도한 압력을 제거할 때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 1부분에 압력조절장치의 제 2부분이 정렬되는 바, 이 제 2부분은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 상기 조절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홀더에 작용할 때 개방된 위치로 편향부에 반대하여 폐쇄부재를 이동시키는, 조절압력으로 제어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부분에 결합된 상기 홀더는 용기내에 도입되되, 이 용기는 배출될 유체로 채워지면서 폐쇄되는 한편, 상기 조절수단은 작동단계에 의해 상기 폐쇄부재에 상호작용으로 작동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일정한 압력하에서 유체를 배출하도록 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은 적어도 상기 용기의 폐쇄수단에 인접하고,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제 2부분에서 서로 접하지 않는 거리로 용기내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가 폐쇄될 때 상기 제 2부분은 이 제 2부분의 이동을 통해 압력조절장치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 1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분은 유체배출수단에 장착되거나 이에 인접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2부분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배출수단은 작동되고 사용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사용하기 전에 상기 조절수단이 폐쇄부재에 상호작용으로 작동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동가능한 벽부분에 의해 한정된 상기 제 2체임버와 사용되고, 사용하는 동안 상기 제 2체임버내에서 조절압력이 조정되며, 상기 조절수단과 폐쇄부재의 제 1, 제 2결합수단이 상호작용하지 않게 분리된 위치에서 상호작용하게 결합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사용하기 전에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내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제 2체임버의 체적이 상당히 감소되고 내부의 압력이 조절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7007364A 1998-12-16 1999-12-14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KR100702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822430.5 1998-12-16
DE29822430U DE29822430U1 (de) 1998-12-16 1998-12-16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einer Hochdruckflasche in Getränkebehältern
NL1012921A NL1012921C2 (nl) 1998-12-16 1999-08-27 Container voor fluïdumafgifte, voorzien van een drukregelinrichting met activeringstap.
NL1012921 199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571A KR20010089571A (ko) 2001-10-06
KR100702285B1 true KR100702285B1 (ko) 2007-03-30

Family

ID=806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364A KR100702285B1 (ko) 1998-12-16 1999-12-14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KR (1) KR100702285B1 (ko)
AR (3) AR021702A1 (ko)
CO (3) CO5070690A1 (ko)
CU (1) CU22956A3 (ko)
DE (1) DE29822430U1 (ko)
GE (1) GEP20053560B (ko)
MY (3) MY124393A (ko)
NL (3) NL1012802C2 (ko)
RS (1) RS49816B (ko)
UA (1) UA68411C2 (ko)
ZA (1) ZA200104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6688C2 (nl) * 2000-11-23 2002-05-24 Heineken Tech Services Drankcontainer voorzien van afgifteventiel met verbeterd bedieningsmiddel.
NL1020651C2 (nl) 2002-05-22 2003-11-25 Heineken Tech Services Drankcontainer voorzien van afgifteventiel met verbeterd bedieningsmiddel en antidruppel middelen.
NL1023967C2 (nl) 2003-07-21 2005-01-24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met openklapbare afgifteleiding.
NL1023968C2 (nl) 2003-07-21 2005-01-24 Heineken Tech Services Drukregelaar voor houder voor koolzuurhoudende drank.
DE102004017171A1 (de) 2004-04-02 2005-10-20 Huber Verpackungen Gmbh & Co K Vorrichtung zur Ausgabe eines Fluides aus einem Hohlraum eines Behälters
WO2006000437A1 (de) 2004-06-25 2006-01-05 Impress Group B.V. Einweg-zapfhahn für einen unter druck stehenden flüssigkeitsbehälter
EP1688813A1 (de) 2005-02-02 2006-08-09 Impress GmbH & Co. oHG Druckminder- und Regulierventil mit Anstechmechanismus einer im Faßverschluss montierbaren Gaspatrone
NL1031412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NL2003132C2 (en)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NL2003133C2 (en)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pparatus and compressible bottle therefore, and a preform for forming such container.
CN103145080B (zh) * 2013-03-11 2014-08-13 黄文斌 一种适用于聚氨酯泡沫填缝剂罐的罐口阀
NL2012199C2 (en) 2014-02-04 2015-08-06 Heineken Supply Chain Bv Dispensing assembly and container with tap.
NL2012200C2 (en) 2014-02-04 2015-08-06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ta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583A (en) * 1964-02-11 1966-04-12 Reynolds Metals Co Gas charging an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GB1440070A (en) * 1972-12-28 1976-06-23 Bespak Industries Ltd Aerosol valves
EP0328598A4 (en) * 1987-07-22 1989-10-27 John Wentworth Bucknell IMPROVED BEVERAGE DISPENSER.
JPH0755286B2 (ja) * 1988-04-21 1995-06-14 トーメー産業株式会社 簡易液体浄化装置
DE4422190A1 (de) * 1994-06-24 1995-05-04 Adolf Sitterli Mehrwegfähiger Flaschen- oder Behälterverschluß mit eingebautem Ventil und Zapf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12921C2 (nl) 2000-06-19
MY117663A (en) 2004-07-31
RS49816B (sr) 2008-08-07
CO5070685A1 (es) 2001-08-28
NL1012922C2 (nl) 2000-06-19
KR20010089571A (ko) 2001-10-06
CU22956A3 (es) 2004-06-21
CO5210960A1 (es) 2002-10-30
AR021700A1 (es) 2002-07-31
AR021701A1 (es) 2002-07-31
CO5070690A1 (es) 2001-08-28
ZA200104767B (en) 2002-09-27
DE29822430U1 (de) 1999-04-01
YU43501A (sh) 2003-01-31
UA68411C2 (en) 2004-08-16
MY124393A (en) 2006-06-30
MY123218A (en) 2006-05-31
GEP20053560B (en) 2005-07-11
NL1012802C2 (nl) 2000-06-19
AR021702A1 (es)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0658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fluid,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device with activation step
KR100702285B1 (ko) 작동단계를 갖는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한 유체배출용기
US7748578B2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predetermined pressure in a container
JP4558209B2 (ja) 圧力制御装置を有する流体分与容器
US5273191A (en)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4015752A (en) Rapid charging valve for a pressurized dispenser
JP2005511424A (ja) エーロゾル・バルブ・アセンブリ及びエーロゾル・パッケージ
KR20090018603A (ko) 음료수용 용기
KR20040075887A (ko) 에어로졸 분말 밸브
NO170069B (no) Trykkgassdrevet doseringsanordning
US4393984A (en) Vapor tap valve for aerosols
US5027985A (en) Aerosol valve
EP0438404B1 (en) Pressure supply unit
US4978038A (en) Aerosol dispenser and valve
US4227628A (en) Fluid dispensing pump having axially deformable valve
JPS6041567A (ja) 計量バルブ
CA1303565C (en) Aerosol valve
MXPA01006053A (es) Recipiente para distribuir fluid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control de presion con etapa de activacion
EA042806B1 (ru) Клапан с шаровым соединением
MXPA99010594A (en) Valve for dispensing a pressurized liquid, container fitted with this valve, and method of packing a container thus equipp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