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10B1 -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110B1
KR100702110B1 KR1020050018094A KR20050018094A KR100702110B1 KR 100702110 B1 KR100702110 B1 KR 100702110B1 KR 1020050018094 A KR1020050018094 A KR 1020050018094A KR 20050018094 A KR20050018094 A KR 20050018094A KR 100702110 B1 KR100702110 B1 KR 10070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wave
sensor
pulse
wav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842A (ko
Inventor
박성욱
황정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1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1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손목이나 발목 등의 부위에 센서가 고정되어 사람의 피부 조직과 혈관에 빛을 방사하면, 그 빛의 일부가 동맥혈관의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다시 피부 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센서에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빛을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을 수행한 후에 제1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센서에 적합한 구동신호로 생성 출력하고, 또 제2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불필요한 직류 성분과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맥파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에게 맥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히 센서를 착용하여 맥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혈류 특성을 감지하고 있어 조직이 두꺼운 부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한의학에서 맥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맥파 감지 센서, 적외선, 혈관의 체적 변화량, 맥진 측정

Description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ARTERIAL PULSE SENSING }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부분의 맥파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센서를 사람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혈류 가속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혈관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손목이나 발목과 같이 조직이 두꺼운 부위에서 혈류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기본 진료 중 맥진은 맥의 특성은 부침(浮沈), 지삭(遲數), 허실(虛實), 대소(大小), 활삽(滑澁)이라는 상대적인 개념의 맥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맥진과 관련한 센서를 살펴보면, 먼저 손가락 부분의 맥파 센서(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0-0004307호)는 도 1ㅇ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 세트면(11)을 가지는 손가락 끝부분의 세트 받침부(10)에 손톱 세트면(11)에 대하여 표준적인 손가락 끝부분의 두께보다 접근하여 대면하는 손가락 끝부분의 바닥 세트면(21)을 구비한 슬라이더(20)를 손톱 세트면(11)에 대하여 접근ㆍ이반 방향으로 슬라이더 가능하게 안내시키고, 손가락 끝부분의 세트 시에 있어서 손가락 끝부분의 바닥 세트면(21)의 이반 방향으로의 슬라이더 스트로우크의 변동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탄성체이다.
또한 손가락 부분의 맥파 센서는 슬라이더(20)를 접근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하고, 손톱 세트면(11) 및 손가락 끝부분의 바닥 세트면(21)의 한쪽 측면에 발광소자(16), 및 다른 쪽 측면에 수광소자(26)를 배치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는 손가락 부분의 맥파 센서 외에도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맥파 센서도 있지만, 이 맥파 센서들은 압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압력이 주어져야 하므로 압력에 따라서 나타나는 혈관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맥파 센서는 광의 투과 정도에 따라 혈관의 특성을 파악 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직이 얇은 손가락 끝 부위에서만 혈류 측정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한의학에서 원하는 진맥의 특성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한의학에서 기본이 되는 진맥은 사람에 따라, 또 한의사의 숙련 정도에 따라 진맥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맥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정략적인 분석을 위해 센서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 하에서 진맥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맥파를 측정하는 센서는 실질적으로 맥진이 이루어지는 손목 부위에서 감지가 이루어져 하므로, 조직이 두꺼운 손목에서 빛의 투과를 이용한 센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빛의 반사를 이용한 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목 부위와 같이 조직이 두꺼운 부위에서 혈관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맥파를 검출하도록 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센서를 통해 혈관의 체적 변화량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혈관의 체적 변화량을 이용해 맥진의 정량적인 측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사람의 피부에 고정되어 피부조직과 혈관으로 빛을 방사하여 동맥 혈관이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상기 피부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빛을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 과정을 통해 맥파검출신호 형태로 피드백 시키는 제1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1 신호변환수단을 통해 피드백 되는 상기 맥파검출신호에서 직류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저주파 성분을 억제시키는 제1 필터수단; 상기 제1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를 상기 센서의 구동 신호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신호레벨 제어수단; 상기 신호레벨 제어수단에서 조정된 신호를 전압/전류 변환 과정을 거쳐 상기 센서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1 신호변환수단을 통해 피드백 되는 상기 맥파검출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필터수단; 상기 제2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에서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특정 차단주파수를 갖는 제3 필터수단; 상기 제3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을 거친 맥파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시스템이 펄스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주파수 및 듀티(duty)를 조절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발진수단, 상기 발진 수단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의 구동에 적합한 전류 제어 펄스를 생성하도록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맥파 감지 방법은, a) 맥파를 검출하기 위한 부위에 센서가 고정되어 사람의 피부 조직과 혈관에 빛을 방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방사된 빛의 일부가 동맥혈관의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상기 피부 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을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을 수행한 후에 제1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상기 센서에 적합한 구동신호로 생성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을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을 수행한 후에 제2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불필요한 직류 성분과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맥파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맥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의한 센서를 사람이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LED와 광검출 다이오드(PD)로 이루어진 센서(1), 제1 및 제2 신호변환수단, 제1 내지 제3 필터수단, 신호레벨 제어수단, 발진수단, 펄스폭 변조 수단(4), 신호출력수단을 포함한다.
LED는 사람의 피부가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피부조직과 혈관으로 빛을 방사한다. PD(Photo Detector)로서 LED와 10㎝ 가량 간격을 두고 사람의 피부에 고정되고, LED에 의해 방사된 빛의 일부가 동맥혈관의 미세한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피부 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한다.
제1 신호변환수단은 PD에서 검출된 빛을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전류/전압 변환 과정을 통해 맥파검출신호 형태로 피드백 시키게 되는데, 전류/전압 변환기(IV Convertor, IVC)(2)와 샘플/유지 수단(Sample And Holder, SAH)(3)으로 구성된다.
전류/전압 변환기(2)는 PD에서 검출된 빛을 전달받아 -22mV/㎂의 변환 계수를 통해 전류/전압 변환되어 샘플/유지 수단(3)으로 출력된다. 샘플/유지 수단(3)은 일정한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샘플링된 맥파검출신호를 유지하면서 제1 경로와 제2 경로로 이루어지는 피드백 루프로 출력한다.
먼저, 제1 경로는 맥파검출신호가 제1 필터수단, 신호레벨 제어수단, 제2 신호변환 수단을 거쳐 LED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 신호로 피드백 되게 된다.
제1 필터수단은 제1 필터(Low Pass Filter 1, LPF1)(7)로 맥파검출신호에서 DC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매우 미미한 신호를 포함한 저주파 성분을 억제시킨다. 신호레벨 제어수단은 전압 레벨 제어기(Voltage Level Controller, VLC)(8)로 LPF1(7)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LED 구동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크기를 적합하게 조정한다. 제2 신호변환수단은 전압/전류 변환기(VIC)(6)로서 전압레벨 제어기(8)에서 조정된 신호를 전압/전류 변환하여 구동신호로 LED에 전달한다.
전압/전류 변환기(6)는 전압 레벨 제어기(8)에서 LED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주입력단자와, 펄스폭 변조 수단(4)에서 펄스 동작을 유발하기 위한 기준 펄스를 인가받아 LED에 공급하는 보조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위에서 전압 레벨 제어기(8)는 PD에서 전류/전압 변환기(2)를 통과한 음의 신호는 음의 DC 레벨을 형성하므로, 이러한 음의 신호를 양의 신호로 변환하고 신호 크기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PD에서 검출된 신호 크기가 음의 값으로 클수록 LED 구동을 위한 구동 제어 전압은 0에 접근하여 시스템이 음의 피드백(Negative feedback)으로 운영되게 된다.
다음, 제2 경로는 맥파검출신호가 제2 필터수단, 제3 필터수단, 신호출력수단을 거쳐 맥파 신호로 출력되도록 한다.
제2 필터 수단은 제2 필터(LPF2, 9)로 샘플/유지 수단(3)을 통해 전달되는 맥파검출신호에서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제3 필터 수단은 제3 필터(High Pass Filter, HPF)(10)로 LPF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0.2㎐의 차단(cutoff) 주파수를 이용해 직류 성분을 제거한다.
신호출력수단은 증폭기(Amplifier, AMP)(11)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or, ADC, 12)로서, LPF2(9)에서 필터링된 신호가 증폭기(11)를 지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를 거쳐 실시간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맥파신호로 출력된다.
또한, 발진 수단은 오실레이터(oscillator)(5)로 시스템이 펄스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주파수 및 듀티(duty)를 조절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데, 대개 1.024㎑의 주파수와 50% 듀티로 동작된다. 그러나 오실레이터(5)는 잡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파수 및 듀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펄스폭 변조 수단(Pulse Width Variation, PWV)(4)은 오실레이터(5)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폭을 변조시키고, LED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 제어 펄스의 듀티는 17%, 샘플/유지 수단(3)에서 샘플링 펄스로 사용되는 듀티는 9%가 되도록 공급하게 된다.
다음,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혈류 가속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 혈관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방법은, 사람의 피부, 특히 손목 부위에 센서(1)를 고정시키고 센서(1)의 LED로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S1)
이때, LED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측정하면 0~250㎃가 되는데, 사람마다 손목 조직의 두께와 지방, 및 혈관 두께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LED에 공급해주는 전류를 피드백을 통해 조절해 주면 광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LED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는 TTL 펄스로 듀티가 17%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이 펄스(high pulse)에서 전류를 흐르고, 로우 펄스(low pulse)에서 차단되도록 하여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에서 방사된 빛은 피부 조직과 모세 혈관에서 흡수되고, 이렇게 흡수된 빛의 일부가 동맥 혈관의 미세한 체적 변화에 따라 흡수되어 반사량에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PD는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아 전류/전압 변환기(2)로 전달하고, 전류/전압 변환기(2)는 PD에 의해 전달된 광전류를 전압으로 바꾸어 샘플/유지 수단(3)으로 전달한다.(S2, S3)
샘플/유지 수단(3)은 전류/전압 변환기(2)에서 전달되는 펄스형태의 신호를 DC 형태의 맥파검출신호로 변환한다. (S4)
맥파검출신호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따라 LED 구동 신호와 맥파신호로 피드백 되게 된다.
먼저, 제1 경로를 따라가는 맥파검출신호는 LPF1(7)에서 DC 성분만 통과되고 저주파 성분이 억제되어 전압 레벨 제어기(8)로 전달되고, 전압 레벨 제어기(8)는 음의 신호를 양의 신호로 변환하면서 그 크기를 적합하게 조정한다.(S5, S6)
전압 레벨 제어기(8)에서 조정된 맥파 검출신호를 전압/전류 변환기(6)를 통해 LED 구동에 적합한 구동 전류로 변환되어 LED에 공급된다.(S7)
다음, 제2 경로를 따라가는 맥파 검출신호는 LPF2(9)에서 고주파 잡음이 제 거된 후에 HPF(10)에서 증폭기(11)를 포화시킬 수 있는 직류 성분이 제거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를 통해 맥파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S8~S11)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적외선 반사를 이용하는 센서(1)에서 측정한 혈류 가속도(b),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센서를 이용한 혈류 가속도(a), 및 실제 병원에서 사용하는 ECG의 결과(c)를 상호 비교해 볼 때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10℃의 물에 5분간 손목을 담근 후에 혈관의 특성을 상온에서 측정한 결과로서, 혈관이 실온에서 얼마나 빠르게 정상화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센서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어레이 형식으로 사용할 경우에 더욱더 민감한 혈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손목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서도 혈류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파 감지 시스템은 손목이나 발목 등의 부위에서 혈관의 체적 변화량을 감지하고 있어 센서의 감도를 높인다면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 질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간단히 센서를 착용하여 맥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혈류 특성을 감지하고 있어 조직이 두꺼운 부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한의학에서 맥진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사람의 피부에 고정되어 피부조직과 혈관으로 빛을 방사하여 동맥 혈관이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상기 피부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빛을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 과정을 통해 맥파검출신호 형태로 피드백 시키는 제1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1 신호변환수단을 통해 피드백 되는 상기 맥파검출신호에서 직류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저주파 성분을 억제시키는 제1 필터수단;
    상기 제1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를 상기 센서의 구동 신호에 이용하도록 조정하는 신호레벨 제어수단;
    상기 신호레벨 제어수단에서 조정된 신호를 전압/전류 변환 과정을 거쳐 상기 센서로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
    상기 제1 신호변환수단을 통해 피드백 되는 상기 맥파검출신호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필터수단;
    상기 제2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에서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미리 정해진 차단주파수를 이용해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제3 필터수단;
    상기 제3 필터수단을 통과한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을 거친 맥파 신호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도록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피부조직과 혈관으로 빛을 방사하는 LED; 및
    상기 LED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LED에 의한 빛의 일부가 동맥혈관의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상기 피부 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광검출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감지 시스템은 시스템이 펄스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주파수 및 듀티(duty)를 조절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발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수단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한 전류 제어 펄스를 생성하도록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변환 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빛을 전달받아 변환 계수를 통해 전류/전압 변환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기;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한 샘플링 주파수에 의해 샘플링된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샘플/유지 수단
    을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수단은 상기 샘플/유지 수단에서 사용되는 샘플링 주파수의 듀티(duty)를 조절하기 위해 펄스폭을 변조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변환수단은,
    상기 신호레벨수단에서 LED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주입력단자; 및 상기 펄스폭 변조수단에서 펄스 동작을 유발하기 위한 기준 펄스를 인가받아 LED에 공급하는 보조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맥파 감지 시스템.
  8. a) 맥파를 검출하기 위한 부위에 센서가 고정되어 사람의 피부 조직과 혈관에 빛을 방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방사된 빛의 일부가 동맥혈관의 체적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르게 흡수된 후 상기 피부 조직으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을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을 수행한 후에 제1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상기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로 생성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을 전류/전압 변환 및 샘플링을 수행한 후에 제2 경로를 통해 피드백 하여 불필요한 직류 성분과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맥파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되도록 사용자에게 상기 맥파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맥파 감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 경로는,
    c-1)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이 일정한 변환 계수를 이용해 전류/전압 변환된 후에 샘플/유지 주파수에 의해 맥파검출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c-2) 상기 c-1) 단계에서 전달되는 맥파검출신호에서 직류 성분만 통과시키고 저주파 성분을 억제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및
    c-3) 상기 c-2) 단계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센서의 구동에 적합 크기로 전압 레벨을 조정한 후 전압/전류 변환 과정을 통해 구동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맥파 감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제2 경로는,
    d-1)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빛이 일정한 변환 계수를 이용해 전류/전압 변환된 후에 샘플/유지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잡음이 제거되어 맥파검출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전달되는 맥파검출신호에서 미리 정해진 차단주파수를 이용해 직류성분을 제거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및
    d-3) 상기 d-2) 단계에서 필터링된 신호가 증폭 과정을 거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어 맥파신호로 실시간 출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맥파 감지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또는 d) 단계는 시스템이 펄스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주파수 및 듀티(duty)를 조절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주파수발진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파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발진 단계에서 출력되는 기준 클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한 전류 제어 펄스를 생성하도록 펄스폭을 변조하는 펄스폭 변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맥파 감지 방법.
KR1020050018094A 2005-03-04 2005-03-04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94A KR100702110B1 (ko) 2005-03-04 2005-03-04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94A KR100702110B1 (ko) 2005-03-04 2005-03-04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42A KR20060096842A (ko) 2006-09-13
KR100702110B1 true KR100702110B1 (ko) 2007-03-30

Family

ID=3762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094A KR100702110B1 (ko) 2005-03-04 2005-03-04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55B1 (ko) 2008-08-28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맥파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1652B2 (en) 2015-06-27 2020-01-2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 settling calibration to improve speed of tracking and cancelling of DC offset
US10568530B2 (en) 2015-06-27 2020-02-2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cancelling DC offset to acquire small AC signal
US10231632B2 (en) 2016-02-22 2019-03-1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nd cancelling DC offset to acquire small AC signal using dual feedback loops
CN108158563B (zh) * 2017-12-28 2024-02-20 宋鲁成 一种基于低频可闻声波的中医脉诊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55B1 (ko) 2008-08-28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맥파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42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8658B (zh) 使用脈搏測量裝置來判斷人的脈博之方法、脈搏測量裝置、及可攜式電子儀器
US94804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al of ambient noise signal from a photoplethysmograph
US9778111B2 (en) Method for estimating a cardiac frequency and associated device
US10278622B2 (en)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sugar level
US112913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hotoplethysmogram
KR101033472B1 (ko) 동잡음 제거를 위한 광전용적맥파 계측용 센서모듈의 형태 및 방법
JP2011502716A (ja) 脈動性生物測定信号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WO2012078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vital signs of a human
JP2004261366A (ja) 生体状態検出装置及びセンサ並びに生体状態検出方法
KR100702110B1 (ko) 맥파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032887A1 (en) Heartbeat synchronous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pulse wave propagation velocity related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blood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nd preejection period measuring apparatus utilizing heartbeat synchronous information
JP2008132012A (ja) 脈波検出装置
US11369275B2 (en) Device for read-out of a photoplethysmography signal and a wearable sensor
JP3107630B2 (ja) パルスオキシメータ
JP6373511B2 (ja) 光学的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JP5127526B2 (ja) 脈波計測装置及び脈波計測方法
TW202237026A (zh) 基於光聲體積描記法的非侵入式血壓估計和血管監測
JP2008167868A (ja) 生体情報測定機
JP7361046B2 (ja) 血圧測定値を決定す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37321B2 (ja) 生体センサ
WO2021250681A1 (en) Sensor device to mitigate the effects of unwanted signals made in optical measurements of biological properties
CN109330608A (zh) 血糖测量方法及装置
Leier et al. Smart photoplethysmographic sensor for pulse wave registration at different vascular depths
Prokop et al. Application of a multi-sensor set for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s
JP2017109058A (ja) 生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生体情報取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