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867B1 -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867B1
KR100701867B1 KR1020060068897A KR20060068897A KR100701867B1 KR 100701867 B1 KR100701867 B1 KR 100701867B1 KR 1020060068897 A KR1020060068897 A KR 1020060068897A KR 20060068897 A KR20060068897 A KR 20060068897A KR 100701867 B1 KR100701867 B1 KR 10070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image
left image
scan controller
image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재
Original Assignee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6006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LED 디스플레이패널을 갖는 전광판의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좌영상의 표시를 위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의 표시를 위한 우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가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전광판의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고속 및 고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HIGH SPEED 3D OPERATING CONTROL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입체영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LED 모듈 및 3D 편광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3D 편광시트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구동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광판 10 : 전방케이스
20 : 후방케이스 30 : LED 모듈
31 : LED 기판 32 : LED 차단판
33 : LED 40,40a,40b : 3D 편광시트
41 : 제1 편광필름 42 : 제2 편광필름
50 : LED 디스플레이패널
51,52,53,54 : 모듈 드라이버
60 : 구동제어장치 61 : 인터페이스부
62 : A/D 컨버터 63 : 메인프로세서
64 : 디지털 스위치 65 : 좌영상 변환회로부
66 :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 67a : 제1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
67b : 제2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 68a :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68b :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75 : 우영상 변환회로부
76 :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 77a : 제1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
77b : 제2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 78a :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78b :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본 발명은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전광판의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고속 및 고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하며,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각종 전자제품퓨와 계기판 등의 전자 표시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전광판은 다수의 LED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픽셀을 형성함으로써,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 2D 기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벗어난 3D 영상, 즉 입체영상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입체영상의 촬영에 있어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093534호 "입체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093533호 "입체동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는 하나의 촬영장비를 통해 좌영상과 우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시스템은,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에 대응하는 한 쌍의 영상, 즉, 좌영상 및 우영상을 촬영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영상을 영사하는 영상장치와 우영상을 영사하는 영사장치를 통해 입체영상을 스크린 상에 영사한다.
이 때, 좌영상을 영사하는 영사장치에서 영사되는 빛은 수직편광필터를 통과하여 스크린에 영사되고, 우영상을 영사하는 영사장치에서 영사되는 빛은 수평편광필터를 통과하여 스크린에 영상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수직편광필터 및 수평편광필터가 형성된 편광안경을 통해 스크린을 바라보게 되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입체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좌영상과 우영상의 영사를 위한 2대의 영사장치를 필요로 하여 그 설치 및 비용이 많아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영사장치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좌영상과 우영상을 구분하기 위해 LCD 셔터를 영사장치에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LED 타입의 전광판을 제공하면서도, 고속 및 고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하다면 기존의 입체영상 시스템보다 저렴하면서도 고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전광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전광판의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고속 및 고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LED 디스플레이패널을 갖는 전광판의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좌영상의 표시를 위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의 표시를 위한 우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가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혼합된 입체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로세서는 상기 A/D 컨버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체영상신호를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디지털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에 각각 인가되는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제1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에 각각 인가되는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제1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은 복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을 형성하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픽셀의 수직 및 수평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각 픽셀에 대응하여 제1 편광필터 및 상기 제1 편광필터의 편광 방향에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2 편광필터가 교대로 형성된 3D 편광시트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ED 모듈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2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1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2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1)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디스플레이패널(50) 및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LED 디스플레이패널(50)은 LED 모듈(30)과, 3D 편광시트(40) 및 LED 모듈(30)에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 드라이버(51,52,53,54)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모듈(30)은 복수의 LED(33)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을 형성한다. 여기서, LED 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33)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LED 기판(31)과, LED 기판(31)의 전방에 배치되는 LED 차단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LED 기판(31)에는 모듈 드라이버(51,52,53,54)의 제어에 따라 각 LED(33)를 선택적으로 점멸하기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LED 차단판(32)에 각 LED(33)가 전방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각 LED(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32a)이 형성됨으로써, LED(33)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전방으로 노출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LED(33)는 복수의 색상, 예컨대, 빨강(Red), 파랑(Blue), 및 녹색(Green)을 각각 발광하는 LED(33)가 하나의 픽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LED(33) 칩 형태의 4핀 컬러 LED(33)가 각각의 픽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3D 편광시트(40)는 LED 모듈(30)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3D 편광시트(40)의 표면에는 제1 편광필름(41)과 제2 편광필름(42)이 부착된다. 여기서, 제1 편광필름(41)과 제2 편광필름(42)의 편광 방향은 상호 수직한 것, 예컨대, 제1 편광필름(41)은 수평편광필름의 형태로, 제2 편광필름(42)은 수직편광필름의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 편광필름(41) 및 제2 편광필름(42)은 LED 모듈(30)에 형성된 픽셀의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각 픽셀에 교대로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도 4는 3D 편광시트(40)의 제1 편광필름(41)이 픽셀들 중 짝수 번째 수평라인을 형성하는 픽셀의 전방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2 편광필름(42)이 픽셀들 중 홀수 번째 수평라인을 형성하는 픽셀의 전방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제1 편광필름(41) 및 제2 편광필름(42)이 픽셀의 수직 방향으로 각 픽셀에 교대로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 5는 3D 편광시트(40a)의 제1 편광필름(41a)이 픽셀들 중 짝수 번째 수직라인을 형성하는 픽셀의 전방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2 편광필름(42a)이 픽셀들 중 홀수 번째 수직라인을 형성하는 픽셀의 전방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제1 편광필름(41a) 및 제2 편광필름(42a)이 픽셀의 수평 방향으로 각 픽셀에 교대로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도 6은 제1 편광필름(41b) 및 제2 편광필름(42b)이 수평 방향으로 각 픽셀에 교대로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수직 방향에 대하여도 제1 편광필름(41b) 및 제2 편광필름(42b)이 각 픽셀에 교대로 대응하도록 마련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1)에 표시된 이미지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제1 편광필름(41)이 형성되고 오른쪽에 제2 편광필름(42)이 형성된 편광안경(3)을 착용하고 바라보는 경우, 제1 편광필름(41)을 통해 바라보는 왼쪽 눈에는 전광판(1)의 제2 편광필름(42)이 전방에 위치하는 픽셀로부터의 빛이 보이지 않고, 제2 편광필름(42)을 통해 바라보는 오른쪽 눈에는 전광판(1)의 제1 편광필름(41)이 전방에 위치하는 픽셀로부터의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편광필름(41)에 대응하는 픽셀, 즉, 제1 편광필름(41)의 후방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픽셀은 사용자의 왼쪽 눈에만 보이는 픽셀(이하, '좌영상 픽셀'이라 함)을 형성하게 되고, 제2 편광필름(42)에 대응하는 픽셀, 즉, 제2 편광필름(42)의 후방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픽셀은 사용자의 오른쪽 눈에만 보이는 픽셀(이하, '우영상 픽셀'이라 함)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장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처리 과정을 통해 LED 모듈(30)이 영상신호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LED 모듈(30)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장치는 LED 모듈(30)이 좌영상를 좌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고 우영상을 우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되, 좌영상 및 우영상이 교대로 LED 모듈(30)에 표시되도록 LED 모듈(3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제어장치가 좌영상을 LED 모듈(30)의 좌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왼쪽 눈만으로 좌영상을 보게 되고, 구동제어장치가 우영상을 LED 모듈(30)의 우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오른쪽 눈으로만 우영상을 보게 된다. 그리고, 좌영상과 우영상이 교대로 LED 모듈(30)을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3D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1)의 구동제어장치(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장치(60)는 A/D 컨버터(61),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 및 메인프로세서(63)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61)는 좌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영상신호를 디지털화, 예컨대, 디지털 RGB 형태로 변환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장치(60)가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혼합된 입체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프로세서(63)는 A/D 컨버터(61)가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입력되는 입체영상신호를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디지털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A/D 컨버터(61)를 통해 분리되어 디지털화된 좌영상신호는 좌영상 변환회로부(65)를 거쳐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로 인가된다. 여기서, 좌영상 변환회로부(65)는 A/D 컨버터(61)를 통해 디지털화된 좌영상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로 전달한다.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는 좌영상 변환회로부(65)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에 의해 교대로 신호 처리되어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이 초당 240프레임 이상이 되도록 그 처리 속도가 초당 240프레임 이상의 처리 속도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는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로부터 출력되는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LED 디스플레이패널(50)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되는 좌영상신호는 LED 디스플레이패널(50)로 인가된다.
한편, A/D 컨버터(61)를 통해 분리되어 디지털화된 우영상신호는 우영상 변환회로부(75)를 거쳐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로 인가된다. 여기서, 우영상 변환회로부(75)는 A/D 컨버터(61)를 통해 디지털화된 우영상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로 전달한다.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는 우영상 변환회로부(75)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는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에 의해 교대로 신호 처리되어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이 초당 240프레임 이상이 되도록 그 처리 속도가 초당 240프레임 이상의 처리 속도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로부터 출력되는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LED 디스플레이패널(50)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되는 우영상신호는 LED 디스플레이패널(50)로 인가된다.
메인프로세서(63)는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LED 디스플레이패널(50)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를 제어한다.
여기서, LED 모듈(30)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모듈 드라이버(51,52,53,54)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로부터 출력되는 좌영상신호에 기초하여 LED 모듈(3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51) 및 제2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52)와, 제1 우영상 스 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로부터 출력되는 우영상신호에 기초하여 LED 모듈(3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53) 및 제2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프로세서(63)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b)가 제1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51), 제2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52), 제1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53) 및 제2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54)에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LED 모듈(30)에 좌영상 및 우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LED 모듈(30)에 3D 영상이 표출됨과 동시에 그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장치(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67a), 제2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67b), 제1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77a) 및 제2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7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67a), 제2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67b), 제1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77a) 및 제2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77b)는 각각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a),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68b),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78a)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68b)의 전단에 마련되어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 및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에 대해 감마보정을 수행함으로써, LED 디스플레이패널(5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한다.
여기서, 메인프로세서(63)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구동조 건 등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다수의 감마 보상 곡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구동조건은 전광판 외부의 온도, 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인프로세서(63)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값이나 기 설정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의 미설명 참조번호 10 및 20은 LED 디스플레이패널(50) 및 구동제어장치(60)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케이스 및 후방케이스이고, 미설명 참조번호 11은 LED 모듈(30)에 표시된 이미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방케이스에 형성된 표시창이다.
또한, 도 7의 미설명 참조번호 64는 메인프로세서(63)의 제어에 따라 A/D 컨버터(61)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분리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66) 및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76)가 순차적으로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동기화하는 디지털 스위치이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와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전광판의 제어가 가능하면서도, 고속 및 고 화질의 3D 영상의 표출이 가능하게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복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을 형성하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픽셀의 수직 및 수평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각 픽셀에 대응하여 제1 편광필터 및 상기 제1 편광필터의 편광 방향에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2 편광필터가 교대로 형성된 3D 편광시트를 갖는 LED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전광판의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좌영상의 표시를 위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의 표시를 위한 우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가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가 혼합된 입체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로세서는 상기 A/D 컨버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체영상신호를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디지털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에 각각 인가되는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제1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감마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에 각각 인가되는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제1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감마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ED 모듈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2 좌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1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 제2 우영상 모듈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5. 복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을 형성하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픽셀의 수직 및 수평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각 픽셀에 대응하여 제1 편광필터 및 상기 제1 편광필터의 편광 방향에 수직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2 편광필터가 교대로 형성된 3D 편광시트를 갖는 LED 디스플레이패널과;
    좌영상의 표시를 위한 좌영상신호와 우영상의 표시를 위한 우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좌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및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좌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1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 상기 제2 우영상 스캔 컨트롤러가 상기 좌영상신호 및 상기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상기 LED 디스플레이패널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KR1020060068897A 2006-07-24 2006-07-24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KR10070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97A KR100701867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897A KR100701867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867B1 true KR100701867B1 (ko) 2007-04-02

Family

ID=3816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897A KR100701867B1 (ko) 2006-07-24 2006-07-24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89B1 (ko) 2010-06-11 2011-08-10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3d 전광판
KR101056086B1 (ko) 2010-06-11 2011-08-10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3d 전광판
KR102064892B1 (ko) 2019-08-30 2020-01-13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사물 인터넷 융합운영을 갖춘 자율진단 스마트 전광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351A (ko) * 1998-04-16 1999-11-05 윤종용 마이크로 폴러라이저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36217A (ko) * 1999-10-06 2001-05-07 이영화 입체영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2004253879A (ja) 2003-02-18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351A (ko) * 1998-04-16 1999-11-05 윤종용 마이크로 폴러라이저를 이용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36217A (ko) * 1999-10-06 2001-05-07 이영화 입체영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2004253879A (ja) 2003-02-18 2004-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89B1 (ko) 2010-06-11 2011-08-10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3d 전광판
KR101056086B1 (ko) 2010-06-11 2011-08-10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3d 전광판
KR102064892B1 (ko) 2019-08-30 2020-01-13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사물 인터넷 융합운영을 갖춘 자율진단 스마트 전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930B2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方式の立体映像表示装置
KR100813975B1 (ko)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0501500C (zh) 立体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TWI492595B (zh) 立體畫像顯示裝置
EP1087627A2 (en)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9485498B2 (en) Display apparatus, projection apparatus, display assist apparatus, and system
US20050057702A1 (en) High resolution 3-D image display
US9030538B2 (en) Three 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6633884B2 (ja) 立体像表示装置
KR20110031461A (ko) 픽셀화된 조명 기구를 갖는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US6603442B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075818B1 (ko) 입체영상의 표출이 가능한 led 전광판
KR100701867B1 (ko) 하이 스피드 3d 구동제어장치
US200600557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ereoscopic reproduction of picture information on a screen
TWI471607B (zh) 混合多工式立體顯示器及混合多工式立體影像之顯示方法
KR10165020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7139865A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JP4767620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245439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0884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viewer to perceive three dimensional image
KR101735396B1 (ko)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681193B2 (en) Stereoscopic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95123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09192897A (ja) 表示装置、立体表示方法
JP3634486B2 (ja) 立体映像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