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96B1 -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96B1
KR101735396B1 KR1020100125857A KR20100125857A KR101735396B1 KR 101735396 B1 KR101735396 B1 KR 101735396B1 KR 1020100125857 A KR1020100125857 A KR 1020100125857A KR 20100125857 A KR20100125857 A KR 20100125857A KR 101735396 B1 KR101735396 B1 KR 10173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talk
eye image
image data
grad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573A (ko
Inventor
이선화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드 리타더로 인한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은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크로스토크 측정 패턴을 표시하여 위치별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별로 크로스토크 값이 설정된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PATTEREND RETARD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턴드 리타더로 인한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제감이 풍부하도록 3차원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의학, 교육, 게임, 영화, 텔레비젼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청자가 좌우 시차 영상에 의해 입체감을 인식하게 한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특수 안경을 사용하는 안경 방식, 특수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대표적이다. 안경 방식은 표시 장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꾸거나 시분할 방식으로 분리하여 표시하고, 시청자가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인식하게 한다. 무안경 방식은 표시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렌티큘러 시트(Lenticular Sheet),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과 같은 광학판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편광 안경을 이용한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소 매트릭스에 수평 화소 라인 단위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표시하고, 전면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원편광으로 변환되어 진행되게 한다. 편광 안경은 제1 및 제2 원편광을 각각 투과시키는 편광 필름을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에 각각 배치하여 편광 방향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좌우 시차 영상에 의해 입체감을 인식하게 한다.
패턴드 리타더로는 통상 유리 기판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 글래스 패턴드 리타더(Glass Patterned Retarder; GPR)와, 수지 필름 상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 필름 패턴드 리타더(Film Patterned Retarder; FPR)가 이용되고 있다. 코스트 저감면에서 필름 패턴드 리타더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패턴트 리타더는 선편광을 제1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제1 편광 필름과 선편광을 제2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제2 편광 필름이, 표시 장치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좌안 영상 라인 및 우안 영상 라인에 대응하여 수평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통상의 패턴드 리터더는 편광 필름의 열변형으로 제1 및 제2 편광 필름의 피치가 위치에 따라 변동하여 표시 장치의 영상 라인 피치와 불일치함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크로스토크되고, 이로 인하여 패턴드 리타더 위치별로 크로스토크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필름 패턴드 리타더는 글래스 패턴드 리타더보다 지지 강도가 취약하여 열변형이 더 쉽게 발생하므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가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드 리타더로 인한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를 데이터 보상 처리로 보상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크로스토크 측정 패턴을 표시하여 위치별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와 계조 구간별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별 크로스토크 값과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 값이 포함된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토크 측정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촬영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다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의 중심부에서 좌안 영상에 대한 우안 영상의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1 크로스토크값과, 우안 영상에 대한 좌안 영상의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크로스토크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분할 영역의 위치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분할 영역의 세로 방향의 위치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상기 보상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계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계조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크로스토크값을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보상 이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드 방식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보상 이후에, 상기 보상된 영상 데이터를 좌안 영상 라인 및 우안 영상 라인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드 방식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3D 포맷터와; 위치별 크로스토크과 계조별 크로스토크 값이 미리 설정된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3D 포맷터로부터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과;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크로스토크 값을 감산하는 연산기를 구비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패턴드 리타더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성분과 계조별 크로스토크를 측정하여 그 위치별 크로스토크 및 계조별 크로스토크를 보상하기 위한 크로스토크 보상 테이블을 먼저 설정한 다음, 그 크로스토크 보상 테이블이 적용된 크로스토크 보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소 위치별 및 계조별로 크로스토크 성분 만큼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 및 계조별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위치별 크로스토크를 측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표시 패널을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패턴드 리타더로 인한 표시 패널의 위치별 3D 크로스토크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위치별 3D 크로스토크를 측정하여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이하 LUT)을 설정하는 LUT 설정 단계와, 크로스토크 LUT를 이용한 크로스토크 보상 알고리즘으로 영상 데이터의 3D 크로스토크 성분을 선보상하는 보상 단계를 포함한다.
LUT 설정 단계에서, 설계자는 표시 장치에 측정 패턴을 표시하여 위치별 3D 크로스토크 성분을 측정한다. 표시 장치에 좌안 측정 패턴 및 우안 측정 패턴을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으로 표시한다. 좌안 및 우안 측정 패턴으로는 화이트 패턴과 블랙 패턴을 이용하며, 계조별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계조가 서로 다른 좌안 측정 패턴과 우안 측정 패턴을 수평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표시하고, 전면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를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원편광으로 변환한다. 휘도 측정 장치는 편광 방향이 서로 다른 좌안 카메라 및 우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촬영한다. 휘도 측정 장치는 촬영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m×n(여기서, m 및 n는 양의 정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한 다음, 도 1과 같이 각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3D 크로스토크를 측정한다.
도 1은 좌안 카메라로 촬영한 좌안 영상으로부터, a(예를 들면 40mmm) 간격을 갖는 각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위상차, 광축, 3D 크로스토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로 위상차 및 광축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측정된 3D 크로스토크 성분도 분할 영역별로 다름을 알 수 있다.
휘도 측정 장치는 촬영된 좌안 영상을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좌영상에 대한 우영상의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1 크로스토크 값(x)을 검출한다. 또한, 휘도 측정 장치는 촬영된 우안 영상을 다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측정된 휘도값을 이용하여 우영상에 대한 좌영상에 대한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크로스토크 값(y)을 검출한다. 휘도 측정 장치는 각 분할 영역에서 측정된 제1 및 제2 크로스토크 값(x, y)을 이용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분할 영역의 가로 및 세로 위치별(X, Y)로 제1 및 제2 크로스토크 값(x, y)을 LUT로 구성한다.
X1 X2 X3 ... Xn
Y1 x11, y11 x12, y12 x13, y13 ... x1n, y1n
Y2 x21, y21 x22, y22 x23, y23 ... x2n, y2n
Y3 x31, y31 x32, y32 x33, y33 ... x3n, y3n
... .. ... ... ... ...
Ym xm1, ym1 xm2, ym2 xm3, ym3 ... xmn, ymn
상기 표 1에서, 좌영상에 대한 우영상의 제1 크로스토크 값(x)과, 우영상에 대한 좌영상에 대한 제2 크로스토크 값(y)은 서로 유사(x=y)하므로, 상기 표 1에서 제1 크로스토크값(x) 또는 제2 크로스토크 값(y)을 사용하여 LUT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서 크로스토크 편차가 주로 중심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좌/우 방향으로는 동일값을 사용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별(Y)로 제1 크로스토크값(x) 또는 제2 크로스토크 값(y)을 사용하여 LUT의 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Y1 x1
Y2 x2
Y3 x3
... ...
Ym xm
또한,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 크로스토크값이 계조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휘도 측정 장치는 계조별 측정 패턴을 이용하여 계조별 크로스토크값을 전술한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로 더 측정하여, 위치별 및 계조별 크로스토크값을 LUT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6 계조를 감마 특성에 따라 6개 계조 구간(계조 구간1: 30-70계조, 계조 구간2: 71-120계조 등) 또는 8개의 계조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계조 구간별 측정 패턴을 이용하여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값을 전술한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로 더 측정하여, 위치별 및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값을 LUT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크로스토크 LUT는 표시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표시 장치는 크로스토크 LUT를 이용하여 위치별 또는 위치별 및 계조별 크로스토크값 만큼 입력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패턴트 리타더로 인한 위치별 크로스토크 편차를 방지한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입력 데이터로부터 크로스토크값을 미리 빼줌으로써 패턴드 리타더로 인한 크로스토크 성분이 부가되더라도 시청자는 입력 영상과 동등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0081312101-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Li 및 Ri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입력 데이터를, Li' 및 Ri'는 크로스토크가 보상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Lo 및 Ro는 시청자에게 실제로 보여지는 출력 데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입력 데이터로부터 크로스토크값을 미리 빼주는 크로스토크 보상 연산으로, 패턴트 리타더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산 영상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시청자는 입력 영상과 동등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3D 포맷터(Formatter; 10), 크로스토크 보상부(20), 타이밍 컨트롤러(40), 게이트 드라이버(52) 및 데이터 드라이버(54)를 포함하는 패널 구동부(50), 표시부(60)와, 크로스토크 보상부(20)와 접속된 메모리(30)를 구비한다.
3D 포맷터(10)는 외부로부터 분리되어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드 방식으로 정렬하여 크로스토크 보상부(20)로 출력한다. 3D 포맷터(10)는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가 1 수평 동기 기간(1H) 단위로 교번하도록 정렬하여 크로스토크 보상부(20)로 출력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크로스토크 LUT를 이용하여 3D 포맷터(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로 출력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에는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 또는 위치별 및 계조별 크로스토크값이 미리 설정된 LUT가 저장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에 따라 또는 위치 및 계조에 따라 크로스토크 LUT로부터 해당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하고,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크로스토크값을 감산함으로써 패턴트 리타더의 크로스토크 성분을 선보상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크로스토크 보상부(20)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54)의 구동에 맞게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54)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크로스토크 보상부(20)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함께 공급된 다수의 동기 신호, 즉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 도트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 드라이버(54)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드라이버(26)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드라이버(54) 및 게이트 드라이버(26)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게이트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한편, 표시부(60)가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액정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데이터 차에 따라 오버슈트(Overshoot) 값 또는 언더슈트(Undershoot) 값을 부가하여 데이터를 변조하는 오버 드라이빙 회로 등과 같은 화질 향상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50)는 표시 패널(60)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52)와, 표시 패널(60)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58)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52)는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부(60)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58)는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서 표시부(60)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한다.
표시부(60)는 표시 패널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고,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패턴드 리타더를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원편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6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62)과, 표시 패널(62)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64) 및 패턴드 리타더(66)를 구비한다.
표시 패널(62)로는 액정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62)로 액정 패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62)은 상하부 기판 사이에 밀봉된 액정층을 구비한다. 상부 기판에는 컬러 필터 어레이가 형성되고, 하부 기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컬러 필터 어레이는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 등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 어레이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화소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이 더 형성된다. 적, 녹, 청 서브화소 각각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의 전압차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여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조를 구현한다. 또한, 표시 패널(62)은 상하 기판의 외부면에 각각 부착된 상부 편광판(64) 및 하부 편광판(미도시)과, 액정 패널(62)의 후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은 상호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다.
표시 패널(62)은 좌안 영상 데이터(L) 및 우안 영상 데이터(R)를 수평 라인 단위로 교번하여 표시한다. 상부 편광판(64)은 표시 패널(62)에 표시된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패턴드 리타더(66)는 유리 기판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 글래스 패턴드 리타더(GPR) 또는 수지 필름 상에 편광 필름을 부착한 필름 패턴드 리타더(FPR)를 이용한다. 패턴드 리타더(66)는 표시 패널(62)의 좌안 영상 라인 및 우안 영상 라인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편광축을 갖는 제1 및 2 편광 필름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편광 필름은 상부 편광판(64)의 편광축과 ±45도의 관계를 갖는 편광축을 이용하여, 상부 편광판(64)으로부터의 선편광을 1/4 파장 만큼 위상 지연시켜서 좌원편광 및 우원편광으로 각각 변환한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62)의 좌안 영상 라인에 대응하는 제1 편광 필름은 좌안 영상의 선편광을 좌원편광으로, 표시 패널(62)의 우안 영상 라인에 대응하는 제2 편광 필름은 우안 영상의 선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시청자가 착용하는 편광 안경(70)은 서로 다른 편광축을 갖는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좌안 렌즈는 패턴드 리타더(66)에 의해 좌원편광을 갖는 좌안 영상만을 투과시키고, 우안 렌즈는 리타더(66)에 의해 좌원편광을 갖는 우안 영상만을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편광 안경(70)에 의해 좌우 공간으로 분리된 좌우 영상의 시차에 의해 입체 영상을 인식한다.
전술한 크로스토크 보상부(20)에 의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데이터에서 크로스토크값이 선보상되었으므로, 패턴트 리타더(66)를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시청자는 입력 영상과 동등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위치 판단부(22), 크로스토크 LUT(24) 및 연산기(26)를 구비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입력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의 화소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화소 위치(분할 영역의 위치)에 따라 크로스토크 LUT(24)에서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한 다음, 입력 영상 데이터와 선택된 크로스토크 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위치 판단부(22)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DE), 클럭(CLK)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DE)가 동시에 이네이블된 기간에서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카운팅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의 세로 방향의 위치, 즉 입력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분할 영역의 세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위치 판단부(22)가 입력 영상 데이터의 가로 방향의 위치를 더 판별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DE)의 이네이블 기간에 클럭(CLK)을 카운팅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위치, 즉 입력 영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분할 영역의 가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LUT(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로 크로스토크값을 저장하고 있다. 크로스토크 LUT(24)는 위치 판단부(22)로부터 검출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분할 영역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연산기(38)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크로스토크 LUT(24)로부터의 크로스토크 값을 연산하여, 즉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크로스토크 값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위치 판단부(22), 계조 판단부(28), 크로스토크 LUT(24') 및 연산기(26)를 구비한다.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입력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의 화소 위치를 판별함과 아울러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판별하고, 판별된 화소 위치 및 계조에 따라 크로스토크 LUT(28)에서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한 다음, 입력 영상 데이터와 선택된 크로스토크 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도 5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20')는 도 4에 나타낸 크로스토크 보상부(20)와 대비하여 계조 판단부(28)를 추가로 구비하고, 크로스토크 LUT(24')가 크로스토크 값을 위치별 및 계조별로 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단히 설명한다.
위치 판단부(22)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계조 판단부(28)는 입력 영상 데이터 계조 정보를 판별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계조 판단부(28)는 256 계조를 감마 특성에 따라 6개 또는 8개의 계조 구간으로 분할하고, 입력 영상 데이터가 포함하는 계조 구간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크로스토크 LUT(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영역의 위치별 및 계조별(계조 구간별)로 크로스토크값을 저장하고 있다. 크로스토크 LUT(24)는 위치 판단부(22)로부터 검출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분할 영역의 위치 정보)와, 계조 판단부(28)로부터 검출된 계조 정보(계조 구간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값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연산기(26)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크로스토크 LUT(24')로부터의 크로스토크 값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크로스토크 LUT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데이터를 크로스토크 값 만큼 선보상함으로써패턴트 리타더를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시청자는 입력 영상과 동등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턴트 리타더로 이한 크로스토크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3D 포맷터 20, 20': 크로스토크 보상부
22: 위치 판단부 24, 24': 크로스토크 LUT
26: 연산기 28: 계조 판단부
40: 타이밍 컨트롤러 50: 패널 구동부
52: 게이트 드라이버 54: 데이터 드라이버
60: 표시부 62: 표시 패널
64: 상부 편광판 66: 패턴드 리타더
70: 편광 안경

Claims (11)

  1.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크로스토크 측정 패턴을 표시하여 위치별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와 계조 구간별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별로 측정된 크로스토크 값과 계조 구간별로 측정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간의 크로스토크값이 포함된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계조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크로스토크값을 선택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측정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촬영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다수개의 분할 영역 및 계조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의 중심부에서 좌안 영상에 대한 우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정도와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1 크로스토크값과, 우안 영상에 대한 좌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정도와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크로스토크값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분할 영역의 위치별 및 계조 구간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분할 영역의 세로 방향의 위치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상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계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와 계조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크로스토크값을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보상 이전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드 방식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보상 이후에, 상기 보상된 영상 데이터를 좌안 영상 라인 및 우안 영상 라인이 교번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드 방식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3D 포맷터와;
    위치별 크로스토크값과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값이 미리 설정된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3D 포맷터로부터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크로스토크 보상부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 정보를 검출하는 계조 판단부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 및 계조 정보에 해당하는 크로스토크 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과;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선택된 크로스토크 값을 감산하는 연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표시부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의 각 중심부에서 좌안 영상에 대한 우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정도와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1 크로스토크값과, 우안 영상에 대한 좌안 영상의 위치별 크로스토크 정도와 계조 구간별 크로스토크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크로스토크값을 각각 측정한 측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분할 영역의 위치별 및 계조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룩업 테이블은 상기 분할 영역의 세로 방향의 위치별로 상기 제1 크로스토크값 및 제2 크로스토크값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삭제
KR1020100125857A 2010-12-09 2010-12-09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3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57A KR101735396B1 (ko) 2010-12-09 2010-12-09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57A KR101735396B1 (ko) 2010-12-09 2010-12-09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73A KR20120064573A (ko) 2012-06-19
KR101735396B1 true KR101735396B1 (ko) 2017-05-16

Family

ID=4668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57A KR101735396B1 (ko) 2010-12-09 2010-12-09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796B1 (ko) * 2012-09-12 2019-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크로스토크 보상을 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메모리 저감장치
KR102130133B1 (ko) * 2015-10-16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73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170B1 (ko)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963002B2 (ja) マルチビュー無眼鏡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最適視聴距離の制御方法
US9191657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23651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8952942B2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2D image and 3D im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607580B2 (en) Driving method to improve stereoscopic image display visibility
JP5755318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30009941A1 (en) Image display device
US9674508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same
KR20120053747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20162208A1 (en) 2d/3d image display device
KR101224461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35396B1 (ko) 패턴드 리타더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3089067A1 (ja) 表示装置
KR10165020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45439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39150B1 (ko) 3d 화질개선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70590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3089153A1 (ja) 表示装置
KR10175200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13089068A1 (ja) 表示装置
US913752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WO2012115161A1 (ja) 表示装置
KR20140049277A (ko) 편광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WO2012115160A1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