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029B1 -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 Google Patents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029B1
KR100701029B1 KR1020050050940A KR20050050940A KR100701029B1 KR 100701029 B1 KR100701029 B1 KR 100701029B1 KR 1020050050940 A KR1020050050940 A KR 1020050050940A KR 20050050940 A KR20050050940 A KR 20050050940A KR 100701029 B1 KR100701029 B1 KR 10070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morphous
present
alloy
amorphous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324A (ko
Inventor
박은수
장혜정
이주연
경준석
김도향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02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05Amorphous alloys with Mg as the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0/00Crystalline structure
    • C22C2200/02Amorphou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소성 특성을 부여하여 고강도 및 고연성 특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이용 가능성을 높인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식 Mg100-x-yAxBy(x, y는 원자량%로 각각 2.5≤x<30, 2.5≤y<20)으로 표시되고, 상기 A는 Cu, Ni, Zn, Al, 및 Ag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이고, 상기 B는 Ca, Gd, Nd 및 Y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네슘, 고강도, 고인성, 비정질

Description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Magnesium Based Metallic Glasses with Enhanced Duct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Mg80Cu15Gd5)과 비교예 2(Mg60Cu20Gd20)에 대한압축시험을 통해 얻은 응력-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Mg80Cu15Gd5)에 대한 시차 열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Mg80Cu15Gd5)과 비교예 2(Mg60Cu20Gd20) 각각의 파괴 후 파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Mg85Cu5Y10)에 대한 압축 시험의 응력-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Mg85Cu5Y10)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소성 특성을 부여하여 고강도 및 고연성 특성을 동시 에 확보한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합금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기계적 성질은 비정질의 고유한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결정질보다 더 큰 충진도는 비정질 재료의 커다란 탄성 한계(약 2%)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비정질 합금의 파괴는 일반적으로 결정질 합금에서 관찰되는 취성 파괴 현상과는 다르게 국부적으로 집중된 전단 변형에 의해 진행된다. 즉, 비정질 합금의 파괴는 시편의 두께 방향으로 전단띠의 전파와 함께 일어나기 때문에 비정질은 매우 제한된 연신성을 갖는다.
한편, 보통의 마그네슘 합금은 높은 비강도를 갖는 최경량의 합금으로서 진동, 충격, 전자 파동에 대한 흡진성이 탁월하고, 전기 전도도와 열전도도, 가공성 및 고온에서의 피로충격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이나 항공기 등의 수송 수단, 방위산업 및 일반 기계 등의 무게 절감을 위한 경량화 소재로서 그 응용범위가 넓다.
하지만 기존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은 결정질의 합금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의 결정질 마그네슘 합금보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인장 강도, 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살펴보면 이원계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과, 삼원계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이 소개되어 있다.
이원계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으로 Mg-Ca, Mg-Ni, Mg-Cu, Mg-Zn, Mg-Y 등이 있으며, 삼원계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으로 Mg-Cu-(Si, Ge, Ln, Y), Mg-Ni-(Si, Ge, Ln), Mg-Zn-(Si, Ge, Ln), Mg-Ca-(Al, Li, Si, Ge, M), Mg-Al-(Ln, Zn) 등(단, Ln: 란탄계열(lanthanide), M : 전이금속원소(Ni, Cu, Zn))이 있다.
상기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중에서 상기 Mg-Cu-Y 삼원계 합금의 경우, 인젝션 캐스팅(Injection casting) 법을 이용하여 직경 4mm까지의 벌크 비정질화가 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 Mg-Cu-Gd 삼원계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의 경우에는 대기 중에서도 직경 8mm까지의 벌크 비정질화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은 대부분 상온에서 소성 변형 없이 탄성 한계 이후에 취성 파괴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응용성이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의 한계 즉, 상온에서 소성 변형 구간을 가지지 않아서 응용성이 낮은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비정질 기지에 제 3의 입자들을 첨가하거나 열처리를 통하여 복합재 형태로 형성하거나, 혹은 비정질 형성 후 후처리를 통해 재료에 소성 특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형성할 때의 열역학적, 속도론적 고찰 (비정질/결정질 경계조건)을 바탕으로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소성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며, 특히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결과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비정질 형성능을 높이는 금속 원소와 인성을 높여 주는 금속 원소를 첨가하여 대기 중에서 일반 금형 주조법으로 단일상 또는 경쟁 결정상의 균일한 석출 및 미세화에 의한 복합재 형태의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형성할 때에 마그네슘의 함량을 최대한 유지하여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상온에서의 연성 특성을 가지게 하여 탄성 한계 이상의 응력 조건에서도 저항성이 뛰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의 연성 및 강도의 향상과 벌크 비정질 합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벌크 비정질화가 가능한 영역과 가능하지 않은 영역 간의 경계 조성 범위에서 경쟁 결정상의 부분적인 석출 거동을 통하여 특정한 원소를 새로이 첨가하지 아니하고도 비정질이 형성되는 경계 조건에서 석출되는 상을 이용하여 복합재를 구성하여 재료 내부의 불균일성을 유발해 상온에서도 소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의 고유한 연성 특성과, 비정질 형성 시의 열역학적, 속도론적 고찰(비정질/결정질 경계조건)을 바탕으로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소성 특성을 부여하여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일반식 Mg100-x-yAxBy(x, y는 원자량%로 각각 2.5≤x<30, 2.5≤y<20)으로 표시되고, 상기 A는 Cu, Ni, Zn, Al, 및 Ag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이고, 상기 B는 Ca, Gd, Nd 및 Y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이다.
본 발명에서 조성 성분인 상기 A 및 B의 금속 원소를 각각 2.5원자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는 비정질 형성에 관한 경험칙상 3성분 이상의 다성분계에서 주어지는 조밀 충진 효과를 얻을 수 없어 비정질화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2.5원자량% 이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 및 B의 함량이 각각 30원자량%, 20원자량% 이상인 경우에는 마그네슘 함량이 많은 조성 영역에서 얻어질 수 있는 마그네슘 고유의 특성 발현에 기인한 연성 특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각각 30원자량%, 20원자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은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연성 특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탄성 한계 이상의 응력 조건에서도 저항성이 뛰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여러 종류의 합금(실시예 1~9, 비교예 1~5)을 조성하여 기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의 기계적 특성(압축 시험)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젝션 캐스팅 법을 통해 봉상 시편을 제조하였다.
즉, 인젝션 캐스팅법을 이용하여 봉상 시편을 제조하기 위해 합금을 조성하는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에 맞게 투명 석영관 속에 장입한 후, 챔버 내의 진공도를 20cmHg로 조절한 후에, 약 7~9KPa의 아르곤 분위기 중에서 고주파 유도 가열로 용융시키고, 용융물이 표면 장력에 의해 석영관 내부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석영관과 용융물이 반응하기 전에 석영관을 급속히 강하시키면서 동시에 석영관 내에 약 50KPa의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수냉되는 구리 몰드에 충진하여 40mm의 일정한 길이를 가진 직경 1mm의 봉상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봉상 시편에 대한 압축 시험은 상기 봉상 시편을 2mm의 길이로 잘라 1×10-4/s의 응력 변형률 속도로 실험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봉상 시편을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9의 결과를 보면, 마그네슘 함량 증가에 의한 비정질 형태, 또는 경쟁 결정상의 균일한 석출로 인한 복합재 형태를 유지하면서 각각 1% 이상의 우수한 소성 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비하여, 비교예 1(Mg60Cu35Gd5)은 본 발명의 A 금속 원소의 양이 30%를 넘는 경우와 대비되는 것으로 1mm 이상의 벌크 비정질화가 가능하지만 소성 변형 없이 탄성 변형 이후 취성 파괴 거동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비교예 2(Mg60Cu20Gd20)와 비교예 3(Mg55Cu10Ni5Ag10Gd10Y10)은 본 발명의 B 금속 원소의 양이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로 1mm 이상의 벌크 비정질화가 가능하지만 소성 변형 없이 탄성 변형 이후 취성파괴 거동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비교예 4(Mg90Y10)는 본 발명의 A 금속 원소의 양이 2.5% 미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정질화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5(Mg70Cu15Ni5Ag10)는 본 발명의 B 금속 원소의 양이 2.5% 미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정질화가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서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연성 특성을 가지게 하여 탄성 한계 이상의 응력 조건에서도 저항성이 뛰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응용성이 높은 고강도, 고인성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간의 기계적 특성 비교
구분 합금조성(at%) σf(GPa) εf(%) 형태
실시예 1 Mg80Cu15Gd5 848 5.52 비정질
실시예 2 Mg80Cu10Y10 908 3.02 비정질
실시예 3 Mg75Cu5Ni5Zn2.5Ag2.5Gd5Y5 864 2.91 비정질
실시예 4 Mg75Ni10Nd15 889 3.85 비정질
실시예 5 Mg75Ni15Gd10 837 4.12 비정질
실시예 6 Mg85Cu10Gd5 712 7.22 복합재
실시예 7 Mg85Cu5Y10 586 14.1 복합재
실시예 8 Mg75Zn20Ca5 547 9.46 복합재
실시예 9 Mg85Cu5Zn2.5Ag2.5Gd2.5Y2.5 623 6.78 복합재
비교예 1 Mg60Cu35Gd5 762 1.82 비정질
비교예 2 Mg60Cu20Gd20 733 1.74 비정질
비교예 3 Mg55Cu10Ni5Ag10Gd10Y10 703 1.76 비정질
비교예 4 Mg90Y10 - - 결정질
비교예 5 Mg70Cu15Ni5Ag10 - - 결정질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와 같이 조성된 시편을 분석한 결과가 첨부된 도 1 ~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Mg-Cu-Gd 합금계(실시예 1 및 비교예 2 참조)에 대해 압축시험을 통해 얻은 응력-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b)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1(Mg80Cu15Gd5)은 일반적인 결정질 마그네슘 합금에서 알려진 압축강도 200~300MPa보다 약 3배의 고강도(848MPa)를 나타내며, 5.52%의 파괴 연성(fracture elongation)을 가진다.
이에 비하여 도 1의 (a)에 나타낸 비교예 2(Mg60Cu20Gd20)는 결정질 마그네슘 합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한 강도값(733MPa)을 가지지만, 탄성 한계 이후에 소성 변형 없이 취성 파괴 거동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합금 설계 방법 즉, 마그네슘 결정질 합금의 연성 특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마그네슘 함량을 증가시킨 것이 실제로 기계적 특성, 특히 소성 변형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Mg80Cu15Gd5)에 대한 시차 열분석 결과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리본 형태의 비정질 합금(melt-spun)과 벌크 비정질 합금(d=1mm)사이에 유사한 열분석 거동, 특히 결정화시 발열되는 양인 ΔH 값이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진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실시예 1이 마그네슘 함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일상의 비정질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 따른 합금의 파괴 후 파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의 (a)는 전형적인 기존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에 대한 취성 파괴 단면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에 비하여 도 3의 (b)는 소성 변형으로 형성된 계곡무늬(vein pattern)의 연성 파괴 이미지들이 파단시 발생되는 저항에 의한 열과 본 발명에 따른 비정질 합금의 용융 온도가 낮기 때문에 비정질 합금이 부분적으로 녹아서 재응고되어 형성된 일그러진 형상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비정질 합금의 어느 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면, 집중된 응력은 비정질 합금 내부에 전단띠(shear band)를 형성하면서 완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정질 합금이 더 우수한 소성 변형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중 전단띠(multiple shear bands)의 형성이 요구되며, 소성 변형 후 파괴될 때에 소성 변형 동안 완화된 잔류 응력들이 순간적으로 열로 변환되어 방출된다.
그리고, 비정질 합금은 고온에서 점성 유동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순간적인 발열에 의한 고온 조건에서 점성 변형에 의해 생긴 계곡 무늬(vein pattern)들이 파단면에 형성되는데,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용융 온도가 낮은 비정질 합금은 파괴 시의 순간적인 발열량에 의해 비정질 합금의 표면이 순간적으로 녹았다가 재응고되므로 계곡 무늬 형상이 쉽게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계곡 무늬(vein pattern)들과 표면의 용융 흔적은 압축 응력 하에서 재료가 압축 응력을 견디려고 하는 소성 변형 거동을 나타낼수록, 특히 더 그 양이 클수록 잘 나타난다. 반대로 압축 응력 후 비정질 재료의 파단면이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것은 비정질 재료가 소성 변형 거동을 하였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합금이 기존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과는 달리 우수한 연성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Mg85Cu5Y10)에 대한 압축 시험의 응력-변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7은 결정질 마그네슘 합금의 압축강도 200~300MPa보다 약 2배의 고강도(586MPa)를 나타내며, 특히 기존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의 취성 파괴 거동과는 달리 14.1%의 파괴 연성(fracture elongation)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7은 마그네슘 비정질 기지에 비정질 형성에 관한 경쟁 결정상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의 복합재 형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인 비정질 합금은 액상의 안정성과 결정상 형성의 경쟁과정 상황에서 액상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조건에서 비정질이 더 잘 형성되고, 경쟁 결정상이 더 안정한 조건의 경우에는 계 전체가 결정상으로 응고가 진행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어진 냉각 속도 조건에서 비정질 상이 형성될 때 내부에 경쟁 결정상이 일부 석출된 형태이다(In-situ composite).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마그네슘계 혹은 일반적인 비정질 합금에서 설계된 합금 조성에 다른 원소를 첨가하거나(ex-situ composite), 세라믹 재료 등과의 혼합을 통해서 복합재를 구성하여 소성 변형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과 전혀 다른 방식에 의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 7은 주어진 냉각 속도 조건에서 대체로 비정질 상(도 5의 하얀 부분)이 안정된 상태에서 일부 경쟁 결정상의 석출 및 성장(도 5의 회색 또는 검은 부분)이 진행된 것으로, 우수한 소성 변형 특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비정질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마그네슘의 함량을 최대한 증가시켜 고강도 및 고인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온에서도 소성 변형이 가능한 단일상 또는 복합재 형태의 벌크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을 제조할 수 있어서 구조재로 이용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일반식 Mg100-x-yAxBy(x, y는 원자량%로 각각 2.5≤x<30, 2.5≤y<20)으로 표시되고,
    상기 A는 Cu, Ni, Zn, Al, 및 Ag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이고,
    상기 B는 Ca, Gd, Nd 및 Y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Cu이고, 상기 B는 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Ni이고, 상기 B는 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Zn이고, 상기 B는 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Cu이고, 상기 B는 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Ni이고, 상기 B는 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KR1020050050940A 2005-06-14 2005-06-14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KR10070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40A KR100701029B1 (ko) 2005-06-14 2005-06-14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40A KR100701029B1 (ko) 2005-06-14 2005-06-14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24A KR20060130324A (ko) 2006-12-19
KR100701029B1 true KR100701029B1 (ko) 2007-03-29

Family

ID=3781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940A KR100701029B1 (ko) 2005-06-14 2005-06-14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91B1 (ko) * 2007-04-05 2008-09-25 주식회사 지알로이테크놀로지 축비가 감소된 마그네슘 합금 및 그 마그네슘 합금의 판재제조방법
CN102021504B (zh) * 2009-09-23 2012-03-21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镁基非晶/多孔钛双相三维连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32030B1 (ko) * 2011-01-31 2013-02-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마그네슘 비정질 합금 자성재료
CN102312177A (zh) * 2011-09-21 2012-01-11 镇江忆诺唯记忆合金有限公司 一种块体镁基非晶合金复合材料
CN104388841B (zh) * 2014-10-15 2016-08-24 南京工程学院 一种耐腐蚀生物镁基金属玻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630662B (zh) * 2015-01-28 2017-02-22 清华大学 一种碳纳米管增强镁镍基非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057912B (zh) * 2015-08-26 2017-05-10 南昌航空大学 一种用于镁合金钎焊的镁基非晶合金钎料及其制备方法
CN110042327A (zh) * 2019-05-28 2019-07-23 北方民族大学 一种降解速率大范围可控的生物镁合金
CN112941383B (zh) * 2021-01-28 2022-04-08 山东省科学院新材料研究所 一种含有非晶增强相的镁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528917A (zh) * 2021-07-27 2021-10-22 重庆大学 一种具有长周期相的高强度镁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976362A (zh) * 2022-12-07 2023-04-18 南京理工大学 一种Mg基块状金属玻璃多尺度结构复合协同增韧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53A (ko) * 1988-09-05 1990-04-13 츠요시 마스모토 고강도 마그네슘-기재 합금
JPH0625805A (ja) * 1991-03-14 1994-02-01 Takeshi Masumoto 高強度耐熱性非晶質マグネシウム合金
JPH0641701A (ja) * 1991-09-06 1994-02-15 Takeshi Masumoto 高強度非晶質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US5304260A (en) 1989-07-13 1994-04-19 Yoshida Kogyo K.K. High strength magnesium-based allo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53A (ko) * 1988-09-05 1990-04-13 츠요시 마스모토 고강도 마그네슘-기재 합금
US5304260A (en) 1989-07-13 1994-04-19 Yoshida Kogyo K.K. High strength magnesium-based alloys
JPH0625805A (ja) * 1991-03-14 1994-02-01 Takeshi Masumoto 高強度耐熱性非晶質マグネシウム合金
JPH0641701A (ja) * 1991-09-06 1994-02-15 Takeshi Masumoto 高強度非晶質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24A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029B1 (ko) 고연성의 마그네슘계 비정질 합금
JP4137095B2 (ja) 非晶質形成能と延性の優れたマグネシウム系非晶質合金
Liu et al.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fractory HfMo0. 5NbTiV0. 5Six high-entropy composites
KR100701027B1 (ko) 연성이 우수한 단일상 비정질 합금
US6692590B2 (en) Alloy with metallic glass and quasi-crystalline properties
Kim et al. A development of Ti-based bulk metallic glass
Bae et al. Plasticity in Ni 59 Zr 20 Ti 16 Si 2 Sn 3 metallic glass matrix composites containing brass fibers synthesized by warm extrusion of powders
He et al. Stability, phase transformation and deformation behavior of Ti-base metallic glass and composites
US6918973B2 (en) Allo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840156B1 (en) Magnesium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Hong et al. Effects of Nd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s-cast Mg-12Gd-2Zn-x Nd-0.4 Zr alloys with stacking faults
Lee et al. Synthesis of Ni-based bulk metallic glass matrix composites containing ductile brass phase by warm extrusion of gas atomized powders
WO2006138286A2 (en) Tizr-based metallic alloys: controllable composite phase structures and related properties
US7591916B2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Cu-based amorphous alloy and high fusion point element and composite materials produced by the method
US6669899B2 (en) Ductile particle-reinforced amorphous matrix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4111283A1 (en) Thermally stable calcium-aluminum bulk amorphous metal with low mass density
Takenaka et al. New Pd-based bulk glassy alloys with high glass-forming ability and large supercooled liquid region
Mandal et al. Chemical modification of morphology of Mg2Si phase in hypereutectic aluminium–silicon–magnesium alloys
KR101449954B1 (ko) 복합 비정질 금속재료 및 그 제조방법
Park et al. Microstructural change and precipitation hardening in melt–spun Mg–X–Ca alloys
FX et al. Effects of Ta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of Ti-Zr-Cu-Pd-Ta alloys
KR101230368B1 (ko) 상온 인장 연신을 보이는 비정질 복합재료와 그 제조방법
US5956559A (en) Irregular shape change of tungsten/matrix interface in tungsten based heavy alloys
KR101573705B1 (ko) 질화물로 강화된 비정질합금 기지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복합재료
KR101908962B1 (ko) 가공경화가 가능한 비정질 합금 기지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