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018B1 - 잭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018B1
KR100700018B1 KR1020040095713A KR20040095713A KR100700018B1 KR 100700018 B1 KR100700018 B1 KR 100700018B1 KR 1020040095713 A KR1020040095713 A KR 1020040095713A KR 20040095713 A KR20040095713 A KR 20040095713A KR 100700018 B1 KR100700018 B1 KR 10070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piece
jack
contact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6574A (ko
Inventor
윤기화
Original Assignee
유지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잭(jack)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의 접편유지부 내측벽에 고정되는 지지체로부터 일정각도 벤딩되는 벤딩부를 형성한 후 유동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가동접편의 선단부가 플러그 삽입전에는 반대편측의 고정접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변위되어서 상기 고정접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에 접촉하게 되는 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몸체의 상기 접편유지부의 내측벽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벤딩부를 후방측에서 접촉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변위되는 변위량을 제한하게 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의 부가로 잭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잭, 플러그

Description

잭{JACK}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잭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잭의 조립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잭의 스위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잭의 요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잭의 요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의 도 5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10 : 몸체
11 : 패널돌출부 11a : 관통공
11a-1 : 개구 12 : 안내구
13 : 함몰부 21 : 접편유지부
21a : 공동 21b : 변형방지구
21b-1 : 모서리부 22 : 접지단자끼움홈
23a, 23b, 24a, 24b : 안내홈 25a, 25b : 내측벽
26a, 26b : 결합홈 30 : 가동접편
31 : 접편본체 32 : 플러그받이부
33, 33a, 33b : 접촉편 34 : 플러그도입부
35 : 지지체 35a, 35b : 가장자리부
36 : 결합편 37 : 엠보
38 : 단자 38a : 단자돌출부
39 : 벤딩부 40 : 고정접편
41, 41a, 41b : 접촉핀 43 : 연결부
45 : 지지체 45a, 45b : 가장자리부
46 : 결합편 48 : 단자
48a : 단자돌출부 50 : 슬리브
51 : 접지단자 51a : 단자돌출부
본 발명은 플러그(plug)가 삽입되면 가동접편이 구동되어 고정접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가동접편에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전자제품용 잭(jac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에 따라 가동접편이 탄성복원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전자제품에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 등을 외부기기와 입출력하기 위하여 잭(jack)이 장착 사용되며, 이러한 잭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된 플러그(plug)가 꽂아져 결합되게 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이루어 전기적 신호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게 되고, 해당 잭은 해당하는 전자제품 내부의 회로기판측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므로 회로기판측으로 해당 신호를 입출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잭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조립투시도이며, 도 3은 그 스위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몸체(1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 성형체로서, 플러그(1)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11a)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널돌출부(11)와, 이 패널돌출부(11)의 후단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관통공(11a)에 연통하는 공동(21a)이 내측에 형성된 접편유지부(21)로 이루어지며, 특정신호용 잭임을 표시하도록 특정 색을 띠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돌출부(11)는 원통형으로, 그 전단면은 플러그(1)가 삽입되는 면으로서, 삽입용의 원형 개구(11a-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돌출부(11)의 외주부에는 원통형의 금속재 슬리브(50)가 전방으로부터 끼워져 위치되게 되는데, 슬리브(50)의 후단면 일부는 미세하게 직각 절곡된 후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접지단자(51)를 이루며, 이 접지단자(51)는 접편유지부(21)의 외측면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접지단자끼움홈(22)에 끼워져 위치되게 된다.
접편유지부(21)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그 후단면은 개방면으로 되어 있어, 그 개방면으로부터 박판으로 형성된 가동접편(30) 및 고정접편(40)이 내부로 삽입 수용되어 유지되게 된다.
가동접편(30)은 접편본체(31)와 그 지지체(35)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한편 고정접편(40)은 2개의 접촉핀(41)과 그 지지체(45)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대략 ㄷ자 형상의 그 지지체들(35, 45)은 그 양쪽 가장자리부(35a/35b, 45a/45b)가 접편유지부(21)의 대향하는 내측벽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23a/23b, 24a/24b)에 안내되도록 후방으로부터 끼워져 유지 고정되게 된다.
지지체들(35, 45)의 중앙부분에는 외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되도록 결합편(36, 4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편(36, 46)이 각각 해당하는 내측벽(25a, 25b)의 결합홈(26a, 26b)에 결합을 이룸으로써 해당 지지체(35, 45)가 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 후단은 지지체(35)의 ㄷ자 형상의 오목중앙부에 연결되며,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은 연결부(43)를 개재하여 지지체(45)의 ㄷ자 형상의 오목중앙부에 연결되고, 이들 접편본체(31)와 접촉핀(41)은 패널돌출부(11)내에 연장 삽입되어서 서로 대향 접촉되게 된다.
즉,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는 지지체(35)의 오목한 중앙으로부터 패널돌출부(11)측을 향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다소 길게 연장 형성되며,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은 지지체(45)의 오목한 중앙으로부터 미세 벤딩되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부(43)를 통해 수평지게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의 중앙부분에는 일정각도의 벤딩된 상태를 이루고, 그 벤딩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 후면을 벤딩방향으로 일부 펀칭하여 누른 엠보(37)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동접편(30)의 유동가능한 접편본체(31)의 선단측에는 패널돌출부(11)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1)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그 플러그(1)에 의해 구동되게 되는 플러그받이부(32)가 형성되며, 플러그받이부(32)는 양쪽에 귀형상으로 고정접편(40)측으로 약간 절곡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촉편(33a, 3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로 대향하는 접촉편(33a, 33b)의 사이공간은 삽입되는 플러그(1)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플러그(1)를 탄성적으로 협지하여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물론, 고정접편(40)측으로 약간 연장된 양쪽의 접촉편(33a, 33b)은 플러그(1)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의 최선단에는 그 벤딩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벤딩되어 안내경사면을 이루는 짧은 길이의 플러그도입부(34)가 패널돌출부(11)의 관통공(11a)에 임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받이부(32)측으로 플러그(1)를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한편, 고정접편(40)의 선단부에는 포오크형상으로 2개의 접촉핀(41a, 41b)이 형성되어 있어, 패널돌출부(11)내에서 가동접편(30)의 선단측과 대향해서 배치되며, 즉 플러그(1)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것에 가동접편(30)의 접촉편(33a, 33b)이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전술한 가동접편(30) 및 고정접편(40)의 지지체들(35, 45)의 후면 일부에서 후방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단자(38, 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접편유 지부(21)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각 단자(38, 48)의 후단부 직교방향의 일측에는 갈고리형상의 단자돌출부(38a, 48a)가 미세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슬리브(50)의 접지단자(51)도 거의 동일길이로 접편유지부(21)의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그 후단부에는 미세하게 반복 절곡된 단자돌출부(5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들(38, 48, 51)은 해당 전자제품내의 회로기판(미도시)상에 납땜으로 연결을 이루게 되는 부분이다.
덧붙여,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고정접편(40)의 2개의 접촉핀(41a, 41b)이 위치되는 패널돌출부(11)의 내주벽에는 그 내주면이 일부 돌출되어 버섯형상으로 안내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11a)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1)를 계속적으로 안내하면서 고정접편(40)의 2개의 접촉핀(41a, 41b)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대향되는 반대편측의 패널돌출부(11)의 내주벽에는 가동접편(30)의 접촉본체(31)가 원활히 외측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여백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잭의 작용을 도 3을 참조로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플러그(1)를 꽂기 전에는 가동접편(30)의 접촉편(33)과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이 상호 접촉(즉, 쇼트(shot))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플러그(1)가 패널돌출부(11)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1a)을 통해 삽입되면, 그 선단은 관통공(11a) 다음의 안내구(12)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나아가서, 가동접편(30)의 플러그도입부(34)로부터 플러그받이부(32)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받이부(32)의 양측 돌출편(33) 사이에 그 선단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껴안아진 상태로 강하게 탄접 유지되게 된다.
이로써, 플러그(1)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플러그(1)에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져도 빠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플러그(1)의 삽입에 따라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가 외측으로 구동되게 되며, 즉 접편본체(31)가 벤딩부(39)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적으로 변위되면서 그 접촉편(33)이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로써 고정접편(40)과 가동접편(30)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끊어지게 되며, 그 대신 가동접편(30)과 플러그(1)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1) 삽입과정에 있어서, 플러그(1)는 안내구(12)에 의해서 안내되며, 또한 안내구(12)의 존재에 의해서 삽입된 후에는 플러그(1)에 그 삽입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과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플러그(1)는 고정접편(40)과 전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편(30)은 플러그(1) 유지기능과 스위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며, 플러그(1) 유지기능은 플러그받이부(32)를 통해서 플러그(1)를 단단히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충분히 강하게 접촉하여 양호한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기능은 스프링(spring) 역할을 하는 길이가 긴 접촉본체(31)를 통해서 비교적 큰 개폐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유연한 개폐가 가능하면서 고정접편(40)의 접촉핀(41)에 강한 접촉압으로 접촉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접편(30)은 기본적으로 플러그(1) 유지기능과 고정접편(40)과의 확실한 스위치 동작기능을 동시에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장기간 반복사용하다 보면, 가동접편(30)의 탄성복원력이 약화되어, 결국 고정접편(40)과 접속불량을 야기함으로써, 제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즉, 플러그(1)의 삽탈이 반복됨에 따라 가동접편(30)은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내측으로 오므러드는 탄성작용을 반복 수행하고, 플러그(1)의 비삽입상태에서는 고정접편(40)측에 접촉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만 하는데, 오랜기간 반복사용하다 보면 플러그(1)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탄성적으로 벌어졌던 것이 플러그(1)의 이탈에 따라 외측으로 밀던 힘이 제거되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측으로 다시 오므러들어 고정접편(40)측에 접촉되어야만 하는데, 원상태까지 완전히 오므러들어 회복되지 못하고 외측에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결국 고정접편(40)측과 스위칭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결국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가 일정한 벤딩각도를 잃어버리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가동접편(30)이 영구변형되어 내측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외측에 위치되게 됨에 따라 삽입되는 플러그(1)를 강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플러그(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야기되게 되며, 심한 경우 플러그(1)와도 접촉을 이루지 않게 되어 완전히 제기능을 상실하게 될 수도 있다.
나아가, 가동접편(30)은 그 벤딩부(39)를 중심점으로 하여 가동되게 되므로, 가동시의 비교적 강한 변형이 벤딩부(39)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벤딩부(39)의 파손을 유발할 가능성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가동접편(30)의 탄성복원력 상실의 문제는 종래의 잭이 가진 가장 크면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조속히 해결되어야 할 사항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동접편의 변위량을 항시 일정한도내로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결과적으로 가동접편의 탄성복원력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접편유지부 내측벽에 고정되는 지지체로부터 일정각도 벤딩되는 벤딩부를 형성한 후 유동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가동접편의 선단부가 플러그 삽입전에는 반대편측의 고정접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변위되어서 상기 고정접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에 접촉하게 되는 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몸체의 상기 접편유지부의 내측벽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벤딩부를 후방측에서 접촉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변위되는 변위량을 제한하게 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접편유지부의 내측벽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진 부분의 모서리부를 통해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벤딩부를 지지하되, 상기 모서리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기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일부 생략함을 밝힌다.
잭은 플러그(1)를 삽입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플러그(1) 삽입전에는 그 가동접편(30)과 고정접편(40)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플러그(1)가 삽입되게 되면 그 가동접편(30)이 구동되어서 고정접편(40)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플러그(1)측에 접촉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접편(40) 및 플러그(1)측과 반복적으로 스위칭되게 되는 가동접편(30)의 부분은 고정되는 그 지지체(35)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벤딩되어 다소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접편본체(31)로서, 지지체(35)에 연결되는 접편본체(31)의 후단부는 벤딩부(39)로 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편(30)의 지지체(35)는 그 양쪽 가장자리부(35a, 35b)가 몸체(10)의 접편유지부(21)의 내측벽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23a, 23b)에 끼워져 고정되게 되며, 그 접편본체(31)는 그 선단부가 패널돌출부(11)내에 삽입되도록 경사져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에 대응하는 위치의 접편유지부(21)의 내측벽(25a)에 그 내주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변형방지구(2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변형방지구(21b)에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 후면측이 접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가 과다하게 변위되는 것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가 영구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시키게 된다.
즉, 변형방지구(21b)는 내측벽(25a)의 내주면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그 모서리부(21b-1)를 통해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를 후방에서 접촉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해당 모서리부(21b-1)는 바람직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동접편(30)의 압입 조립시 안내면 역할을 수행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접촉 지지되는 부분에서 꺽임이 발생되어 영구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동접편(30)이 적당한 벤딩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써,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가 항상 후방의 변형방지구(21b)에 의해 지지되게 되므로, 플러그(1)의 삽입에 따라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가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변위되는 시점에서 일정한도 이상으로는 변위되지 않도록 그 탄성변형량을 억제시키기 되므로, 가동접편(30)의 접편본체(31)가 삽입되는 플러그(1)에 보다 강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플러그(1) 유지기능이 원활히 수행되면서도, 플러그(1)의 인출시에는 변형방지구(21b)에 의해 보강되는 탄성복원력으로 고정접편(40)측에 확실하게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기본적으로 플러그(1) 삽탈에 따른 탄성변형량이 적게 되어 장기간 반복사용에 따라 벤딩각도가 이완되어 영구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접편(30)의 보다 확실한 스위칭동작 및 플러그(1) 유지기능이 확보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구(21b)의 돌출형성 높이 및 그 모서리부(21b-1)의 라운드진 정도는 적절히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방지구(21b)의 존재로 인해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가 항상 일정각도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가동접편(30)의 벤딩부(39)에 일정 벤딩각도의 유지를 위해 형성하는 엠보(37)는 생략되어도 되며, 이에 따라 엠보(37) 형성을 위한 후처리 가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의 부가로 잭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

  1. 몸체의 접편유지부 내측벽에 고정되는 지지체로부터 일정각도 벤딩되는 벤딩부를 형성한 후 유동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가동접편의 선단부가 플러그 삽입전에는 반대편측의 고정접편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변위되어서 상기 고정접편으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에 접촉하게 되는 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몸체의 상기 접편유지부의 내측벽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벤딩부를 후방측에서 접촉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변위되는 변위량을 제한하게 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접편유지부의 내측벽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진 부분의 모서리부를 통해 상기 가동접편의 상기 벤딩부를 지지하되,
    상기 모서리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KR1020040095713A 2004-11-22 2004-11-22 KR10070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13A KR100700018B1 (ko) 2004-11-22 2004-11-2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13A KR100700018B1 (ko) 2004-11-22 2004-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574A KR20060056574A (ko) 2006-05-25
KR100700018B1 true KR100700018B1 (ko) 2007-03-27

Family

ID=3715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713A KR100700018B1 (ko) 2004-11-22 2004-11-2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0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435U (ko) * 1983-03-04 1984-12-03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KR890002592B1 (ko) * 1983-09-30 1989-07-19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접편 매설지지형 잭
KR100225233B1 (ko) 1996-08-03 1999-10-15 윤기화 전자제품의 잭 접속장치
KR20030082907A (ko) * 2002-04-18 2003-10-23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435U (ko) * 1983-03-04 1984-12-03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KR890002592B1 (ko) * 1983-09-30 1989-07-19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접편 매설지지형 잭
KR100225233B1 (ko) 1996-08-03 1999-10-15 윤기화 전자제품의 잭 접속장치
KR20030082907A (ko) * 2002-04-18 2003-10-23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574A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7952B2 (ja) コネクタ
JP6385815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605124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08794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040002265A1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JP6023255B1 (ja) コネクタ
JP5035990B2 (ja) 弾性レバー付きコネクタ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WO2009133850A1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6032338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プラグコネクタ
US10770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9876295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20048693A1 (en) Mode Switch For Vehicle
US4493526A (en) Jack
JP2011044405A (ja) コネクタ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CN110994298B (zh) 同轴开关
US10763617B2 (en) Movable connector
JP6259003B2 (ja)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US638299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jector for withdrawing an inserted electronic card
KR100700018B1 (ko)
US6186833B1 (en) Hybrid connector with audio jack
WO2018221094A1 (ja) コネクタ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KR101921739B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