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473B1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473B1
KR100699473B1 KR1020050042228A KR20050042228A KR100699473B1 KR 100699473 B1 KR100699473 B1 KR 100699473B1 KR 1020050042228 A KR1020050042228 A KR 1020050042228A KR 20050042228 A KR20050042228 A KR 20050042228A KR 100699473 B1 KR100699473 B1 KR 10069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external memor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321A (ko
Inventor
지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473B1/ko
Priority to US11/353,122 priority patent/US20060265567A1/en
Publication of KR2006011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with a user or administ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은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메모리부가 복수 개의 파티션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각각의 파티션을 모두 인식하여, 인식한 내용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외부 메모리부가 복수 개의 파티션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사용자가 각각의 파티션에 저장된 모든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부 메모리, 화상형성장치, USB, 파티션, 허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The 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ethof of perceiving the partition in the outer memory unit connected the image forming devi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서브-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5: 이동식 저장장치 10: USB 인터페이스부
20: 접속 상태 판단부 30: 서브-디스크 개수 확인부
40: 제어부 50: 데이터 구조 작성부
60: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 70: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
80: 표시부 85: 저장부
90: 인쇄부 100: 화상형성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5608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을 동시에 인식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시스템은 컴퓨터의 주변 기기를 용이하게 접속하는 시스템이다. USB 호스트를 중심으로 중계기인 허브를 경유하여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모뎀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USB 시스템의 접속 구조에서, 허브는 상위 USB 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하나의 업스트림 포트와, 하위 USB 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다운스트림 포트를 갖는다. 즉, 허브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USB 호스트에 접속가능한 USB 디바이스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USB 시스템에서는, 접속 구조의 중심에 하나의 USB 포트가 존재하고, USB 호스트와 접속된 복수의 USB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며, 데이터의 전송은 USB 통신 규약에 따라 정해진다.
종래에는 USB 디바이스와 USB 디바이스는 직접 통신할 수 없고,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필수적으로 USB 호스트를 경유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유에스비 컨트롤러가 내장된 프린터" (대한민 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5608호)가 기출원된 바 있다.
기출원된 상기 공개특허공보에는 USB 이동식 저장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컴퓨터 없이도 문서를 출력하거나 스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서에 개시된 프린터의 경우, 프린터에 접속된 하나의 USB 이동식 저장장치 내의 디스크가 복수의 파티션(이하 각각의 파티션을 '서브 디스크'라 함)으로 구분되어 있거나, 복수의 USB 이동식 저장장치가 허브를 이용하여 하나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경우, 이 중 오직 하나의 서브-디스크에만 액세스(access)하여 그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뿐, 나머지 서브-디스크들에는 액세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SB 이동식 저장장치 내의 모든 서브-디스크들에 액세스하고, 액세스된 모든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내용을 트리 구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은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내 파티션의 개수가 산출되면,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이 인식되고, 인식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 상기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영역은, FAT(File Allocation Tabl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은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연결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메모리부가 탈착된 경우, 탈착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들에 대응되는 트리 구조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티션 개수가 산출되면,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이 인식되고, 인식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되며,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부와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파티션 개수 산출부 및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을 인식하고, 인식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데이터 구조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영역은, FAT(File Allocation Tabl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와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연결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파티션 개수 산출부 및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을 인식하고, 인식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메모리부가 탈착된 경우, 제어부는 탈착된 상기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들 대응되는 트리 구조를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데이터 구조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와 하나의 이동식 저장장치(5)가 USB 포트(미도시)를 통해 접속된다. 이동식 저장장치(5) 내부의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스크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이동식 저장장치(5) 내부의 디스크는 2개의 서브 디스크들(#1, #2)로 구분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중계기인 허브(7)를 통해 복수 개의 이동식 저장장치들(5a,5b,…,5n)과 접속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이동식 저장장치들 중, 이동식 저장장치 5a는 두 개의 서브 디스크를 가지며, 이동식 저장장치 5b는 3개의 서브 디스크를 가지며, 이동식 저장장치 5n은 n 개의 서브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USB 인터페이스부(10), 접속 상태 판단부(20), 서브-디스크 개수 확인부(30), 제어부(40), 데이터 구조 작성부(50), 서브-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60),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70), 표시부(80), 저장부(85) 및 인쇄부(9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들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식 저장장치(5)는 외부 메모리부의 일예로서, 외부 메모리부는 USB 이동식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외부 메모리부로서 이동식 저장장치(5)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동식 저장장치(5) 내부의 디스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스크로 구분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와 접속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 1B에서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중계기인 허브(7)를 통하여 복수 개의 이동식 저장장치(5a,5b,…,5n)와 동시에 접속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USB 인터페이스부(10)는 USB 포트를 통해 이동식 저장장치(5)와 화상형성장치(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접속 상태 판단부(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탈착된 이동식 저장장치(5)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
서브 디스크 개수 확인부(30)는 접속된 이동식 저장장치(5)에 포함된 서브 디스크의 개수를 확인한다.
제어부(4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USB 인터페이스부(10)를 제어하여 이동식 저장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동식 저장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직접적인 출력을 위한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40)는 이동식 저장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부(90)로 전송하며, 이에 의해 인쇄부(90)에서 인쇄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이동식 저장장치(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저장을 위한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40)는 이동식 저장장치(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부(85)에 저장시킨다.
또한, 제어부(40)는 이동식 저장장치 내의 각 서브 디스크를 소정 순서에 따라 인식하고, 인식된 서브 디스크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가 새로 추가되거나 제거되어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부(85)에 저장하고,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구조 작성부(50)는 이동식 저장장치(5)의 서브 디스크 내의 FAT(File Allocation Table)를 분석하여, 상기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한다.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60)는 데이터 구조 작성부(50)에서 작성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폴더들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70)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60)에서 생성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미 구성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새로운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85)에 저장된다.
표시부(80)는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70)에서 새롭게 작성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파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식 저장장치(5)가 USB 인터페이스부(10) 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에 새롭게 장착되거나, 이미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탈착되면, 접속 상태 판단부(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탈착된 이동식 저장장치(5)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S310). 접속 상태 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된 접속 정보는 제어부(40)에 제공된다.
접속 상태 판단부(20)의 판단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즉, 첫 번째는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새롭게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는 접속 상태이며, 두 번째는 이미 화상형성장치(100)와 접속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탈착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비접속 상태이다.
즉, 접속 상태 판단부(20)의 판단결과, 화상형성장치(100)와 이동식 저장장치(5)가 새로운 접속을 형성하는 접속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320), 서브 디스크 개수 확인부(30)는 서브 디스크 내의 FAT(File Allocation Table)를 분석하여 이동식 저장장치(5)에 포함된 서브 디스크의 개수를 확인한다(S330). 즉, 서브 디스크 개수 확인부(30)에 의해 이동식 저장장치(5) 내부의 디스크가 몇 개의 서브 디스크로 구분되는지 확인된다. 제어부(40)는 서브 디스크 개수 확인부(30)에서 확인된 서브 디스크의 개수 만큼 하기 S340 단계 내지 S370 단계가 반복수행되도록 제어한다(S330).
이어서, 제어부(40)는 각각의 서브 디스크가 인식되는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서브 디스크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 인식되는 서브 디스 크는 디스크 1, 두 번째로 인식되는 서브 디스크는 디스크 2 등과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서브-디스크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다(S340).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서브 디스크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되면, 데이터 구조 작성부(50)는 상기 서브 디스크 내의 FAT를 분석하여 상기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한다(S350). FAT는 일반적으로 파일 배치표 혹은 디스크 색인표라고 불리며, 디스크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의 크기, 위치, 작성일, 속성과 디스크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를 기록, 관리한다.
이어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60)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파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구조 작성부(50)에서 작성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상위 폴더 및 하위 폴더들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360).
이어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부(70)는 생성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미 만들어진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S370). 제어부(40)는 새롭게 변경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부(85)에 저장하고, 표시부(8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70). 도 4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참조부호 120은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60)에서 생성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10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새롭게 생성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기존에 존재하는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에 추가되어, 전체 인터페이스 화면이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 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이동식 저장장치(5) 내의 서브-디스크에 저장된 폴더들의 목록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동식 저장장치(5)에 저장된 파일들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원하는 파일에 대한 각종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310 단계에서, 접속 상태 판단부(20)의 판단 결과, 이미 화상형성장치(100)와 접속을 형성하고 있던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탈착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비접속 상태의 경우(S380), 제어부(40)는 탈착된 이동식 저장장치(5) 내의 서브 디스크들에 대응되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검색한다(S390).
제어부(40)는 검색된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고, 변경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부(85)에 저장한다(S400). 또한, 제어부(40)는 변경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부(8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400).
이와 같이, 이동식 저장장치(5)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제거된 경우, 변경된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부(8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비접속된 이동식 저장장치(5) 내의 서브 디스크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저장장치 내의 디스크가 복수 개의 서브 디스크로 파티션된 경우에도 파티션된 각각의 서브 디스크를 모두 인식하여, 인식한 내용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이동식 저장장치 내의 디스크가 복수 개의 서브 디스크로 파티션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각각의 서브 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내 파티션의 개수가 산출되면,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이 인식되고, 인식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FAT(File Allocation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5.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메모리부가 탈착된 경우,
    탈착된 상기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들에 대응되는 트리 구조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개수가 산출되면,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이 인식되고, 인식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이 부여되며, 디스크 명칭이 부여된 상기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 파티션 인식방법.
  8.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와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파티션 개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을 인식하고, 인식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데이터 구조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FAT(File Allocation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외부 메모리부와 연결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와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연결된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의 개수를 산출하는 파티션 개수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파티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소정 순서에 따라 각각의 파티션을 인식하고, 인식한 파티션에 디스크 명칭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메모리부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메모리부가 탈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탈착된 상기 외부 메모리부 내의 파티션들 대응되는 트리 구조를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내의 소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를 작성하는 데이터 구조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42228A 2005-05-19 2005-05-1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KR10069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28A KR100699473B1 (ko) 2005-05-19 2005-05-1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US11/353,122 US20060265567A1 (en) 2005-05-19 2006-02-1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zing partitions in an external memory device connec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28A KR100699473B1 (ko) 2005-05-19 2005-05-1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21A KR20060119321A (ko) 2006-11-24
KR100699473B1 true KR100699473B1 (ko) 2007-03-26

Family

ID=3744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28A KR100699473B1 (ko) 2005-05-19 2005-05-1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65567A1 (ko)
KR (1) KR100699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4846B2 (ja) * 2010-04-06 2013-07-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710398B1 (ko) * 2010-09-10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Usb저장장치의 제거 및 재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CN105074653B (zh) * 2013-03-28 2018-11-23 慧与发展有限责任合伙企业 使计算刀片设备和扩展刀片设备的存储器可供由操作系统使用
EP2979171A4 (en) 2013-03-28 2016-11-23 Hewlett Packard Entpr Dev Lp MEMORY IDENTIFICATION OF A BLADE ELEMENT FOR USE BY A OPERATING SYSTEM OF A PARTITION WITH THIS BLADE ELEMENT
WO2014158161A1 (en) 2013-03-28 2014-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rror coordination message for a blade device having a logical processor in another system firmware domain
JP6365100B2 (ja) * 2014-08-12 2018-08-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データ格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84404B (zh) 2017-10-26 2024-03-08 Ur光闪有限责任公司 包含多个分区的媒体存储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612A (ja) * 2000-04-07 2001-10-19 Nec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
KR20030029550A (ko) * 2003-03-06 2003-04-14 (주)비트와이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컨트롤러를 이용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이동식 디스크 저장공간의 파티션(영역할당)기능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
KR20030055608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컨트롤러가 내장된 프린터
KR20030061564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허브형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다기능 이동식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53236A (ja) * 2004-11-12 2005-03-03 Seiko Epson Corp 画像出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0612A (ja) * 2000-04-07 2001-10-19 Nec Corp プリントシステム
KR20030055608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컨트롤러가 내장된 프린터
KR20030061564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루트미디어 허브형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다기능 이동식저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29550A (ko) * 2003-03-06 2003-04-14 (주)비트와이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컨트롤러를 이용한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이동식 디스크 저장공간의 파티션(영역할당)기능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
JP2005053236A (ja) * 2004-11-12 2005-03-03 Seiko Epson Corp 画像出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5567A1 (en) 2006-11-23
KR20060119321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4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메모리부의파티션 인식방법
RU2284841C2 (ru) Протокол связи для установки конфигурации системы проведения игр
US200802633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virtualization function, method of virtualiz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76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GB2510443A (en) Accessing a database using a puzzle cube
US720377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
CN105993009A (zh) 通过非透明桥向PCIe集群中的计算资源传送MSI-X中断的方法和装置
CN105099786B (zh) 一种网络割接中业务配置的方法和设备
US7117141B2 (en) Disk array apparatus sett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k array apparatus
US20140149663A1 (en) Storage pools management and/or presentation
JP2001312389A5 (ko)
CN109427272B (zh) 配屏方法及装置、以及显示系统
CN102388357A (zh) 访问存储设备的方法及系统
US7477949B2 (en)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storage system
CN110471740A (zh) 执行机器学习任务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533603B1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EP2071447A2 (en) Storage apparatus, storage system and path information setting method
JP201107621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ファイルの表示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305176A1 (en) Ui creation support system, ui creation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0855553B2 (en) Visualization of new storage area network devices and connectivity with a topology based map
CN114610259A (zh) 一种数据传输系统、方法、服务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6507968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CN110327626A (zh) 虚拟服务器创建方法及装置
CN102902463A (zh) 在网格视图和表单视图之间改变显示画面
JP741061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