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978B1 -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 Google Patents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978B1
KR100698978B1 KR1020050030792A KR20050030792A KR100698978B1 KR 100698978 B1 KR100698978 B1 KR 100698978B1 KR 1020050030792 A KR1020050030792 A KR 1020050030792A KR 20050030792 A KR20050030792 A KR 20050030792A KR 100698978 B1 KR100698978 B1 KR 10069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omposite nonwoven
filter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418A (ko
Inventor
김선헌
정진주
Original Assignee
(주)두람
김선헌
정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람, 김선헌, 정진주 filed Critical (주)두람
Priority to KR102005003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97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34M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59The layers being joined by nee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저융점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법에 따라 카딩하고 성형하여 단섬유 웨브 상태로 공급하고, 그 하부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시트를 도입하여 이층구조로 하고 이를 연속하여 니들펀칭하고 열칼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필터용 다층 복합 부직포가 매우 단축된 공정으로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체필터용 다층 복합 부직포는 집진용 백필터, 자동차 캐빈 필터, 자동차 에어 클리너, 자동차 에어컨 필터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부직포, 기체 필터, 저융점 섬유, 에어필터, 니들펀칭, 열칼렌더링.

Description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터제품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erformance multilayer nonwoven fabric for gas filters and filters thereby}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체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모식적 공정 흐름도이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모식적 공정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에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모식적 공정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직포 2 : 멜트블로운 부직포
3, 13 : 컨베이어 6, 16 : 복합 부직포
11, 11a, 11b, 11c : 단섬유 웨브 12 : 멜트블로운 부직포
본 발명은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터제 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초기 공정에서부터 중첩시켜 니들펀칭하고 열융착시킴으로써 치수안정성을 제고하고 제조공정을 대폭 단축시킨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터제품에 관한 것이다.
기체 필터는 기체속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입자들을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그 용도분야가 매우 넓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용 또는 공조용 기체필터는 공기에 섞여있는 먼지등의 분진을 걸러주어 엔진 효율이나 청정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채용되고, 그 외 필터백, 자동차 캐빈필터, 발전소 가스터어빈 필터, 반도체 에어필터, 가정용 공기청정기용 필터, 청소기 등, 산업의 발달과 생활위생 인식 수준의 제고에 부응하여 기체필터의 용도 및 시장은 매우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체 필터는 그 소재에 있어서,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초기의 단순한 구조에서부터 출발하여 그 층구조, 결합방법, 소재면에서 꾸준히 다양화되고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86581호에는 저융점섬유와 화학수지 슬리팅섬유, 정전기를 띠는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아크릴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개면, 혼면, 소면, 성형, 니들펀칭 및 칼렌더링의 부직포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기체 필터용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자동차 에어컨 등의 네트 플라스틱 제품에서 플라스틱망이나 금속망을 사용하지 않고 부직포만으로 용이하게 절곡된 형상을 이루기 위한 것으 로, 저융점 섬유의 사용에 의한 열융착접착에 의해 견고한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는 있었으나, 여러겹의 부직포가 열융착접착됨으로 인하여 공극이 막혀 차압이 높아지므로 공기의 흐름이 저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 2001-86582 호에는 첨부된 도1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융점섬유와 타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부직포(1)와 멜트블로운 부직포(2) 등을 적층하고 니들펀칭후에 칼렌더링을 통해 열융착한 기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6)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부직포를 별도로 제조한 후 별도의 공정으로 적층하고 니들펀칭 및 칼렌더링함으로서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8271 호에는 용융온도차이를 가지는 합성섬유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단섬유 부직포층, 멜트블로운등의 통기성 부직포 시트, 및 직물등을 합지하여 열융착하는 공기청정기용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각층의 부직포 또는 시트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각층을 적층하여 후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되어 공정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아예 초기 부직포 제조공정부터 상기 각층을 동시에 진행할 수는 없을까 하는 착안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의 기체필터용 부직포를 일공정 연속시스템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대폭 단축시킨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 복합부직포를 이용한 필터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저융점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법에 따라 카딩하고 성형하여 단섬유 웨브 상태로 공급하고, 그 하부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시트를 도입하여 이층구조로 하고 이를 연속하여 니들펀칭하고 열칼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금속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혼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와 백 필터(Bag filter) 생지부직포를 적층하여 니들펀칭한 후 열칼렌더링한 백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 시트를 다층의 부직포 성형(cross lapping) 단섬유 웨브층들 사이에 개재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니들펀칭하고 건조,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되는 에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 시트를 네트지지층 포와 적층한 후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되는 네트 플라스틱 제품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저융점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법에 따라 카딩하고 성형하여 단섬유 웨브 상태로 공급하고, 그 하부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시트를 도입하여 이층구조로 하고 이를 연속하여 니들펀칭하고 열칼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직포 제조 방법은 저융점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카딩하고 성형한 후 단섬유 웨브(11) 상태로 컨베이어(13)에 공급하면서 그 하부에 별도로 멜트블로운 부직포(12)가 적층되는 형태로 공급하여 니들펀칭하고 열칼렌더링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공법은 종래의 방법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융점 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카딩, 성형, 니들펀칭, 열칼렌더링함으로써 공정을 모두 거쳐서 제조된 완성된 부직포(1)를 멜트블로운 부직포(2)와 적층하여 공정을 진행했던 것에 비하여 공정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고, 결과되는 부직포제품의 품위나 치수안정성도 종래보다 매우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금속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혼입될 수도 있다. 금속 섬유로는 예를 들어 서스 화이버(SUS fiber), 탄소섬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와 백 필터(Bag filter) 생지부직포를 적층하여 니들펀칭한 후 열칼렌더링한 백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 시트를 다층의 부직포 성형(cross lapping) 단섬유 웨브층들 사이에 개재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니들펀칭하고 건조,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되는 에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가 제공된다.
첨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는 복수개의 카드기 및 성형기에서 카딩 및 성형된 단섬유 웨브(11, 11a, 11b, 11c)들이 층상으로 공급되고 가장 저면에 또는 상기 웨브들 사이에 멜트블로운 부직포(12) 시트가 공급되면서 순차적으로 니들펀칭, 건조, 열칼렌더링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같은 제조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직포들을 별도로 완전히 제조한 후 후공정을 진행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매우 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부직포 시트를 네트지지층 포와 적층한 후 열칼렌더링하여 네트 플라스틱 제품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지지층포는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망, 폴리프로필렌 직물, 나이론 직물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필터용 다층 복합 부직포가 매우 단축된 공정으로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는 백필터용 부직포, 에어필터용 부직포, 네트 플라스틱 제품등이 역시 용이하게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체필터용 다층 복합 부직포는 집진용 백필터, 자동차 캐빈 필터, 자 동차 에어 클리너, 자동차 에어컨 필터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저융점섬유가 혼합된 섬유면을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법에 따라 카딩하고 성형하여 단섬유 웨브 상태로 공급하고, 그 하부에 멜트블로운 부직포시트를 도입하여 이층구조로 하고 이를 연속하여 니들펀칭하고 열칼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면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금속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
  4. 제3항의 복합부직포와 백 필터(Bag filter) 생지부직포를 적층하여 니들펀칭한 후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된 백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복합부직포시트를 다층의 부직포 성형(cross lapping) 단섬유 웨브층 사이에 개재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니들펀칭하고 건조,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된 에어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
  6. 제1항 또는 제2항의 복합부직포시트를 네트지지층 포와 적층한 후 열칼렌더링하여 제조된 네트 플라스틱 제품.
KR1020050030792A 2005-04-13 2005-04-13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KR10069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792A KR100698978B1 (ko) 2005-04-13 2005-04-13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792A KR100698978B1 (ko) 2005-04-13 2005-04-13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18A KR20060108418A (ko) 2006-10-18
KR100698978B1 true KR100698978B1 (ko) 2007-03-23

Family

ID=3762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792A KR100698978B1 (ko) 2005-04-13 2005-04-13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78B1 (ko) 2013-01-03 2014-10-15 (주)은탑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88B1 (ko) * 2006-09-12 2008-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용 에어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0736B1 (ko) * 2009-02-17 2012-03-28 오원이 기체필터용 제전 세사 부직포
US10676614B2 (en) * 2016-04-20 2020-06-09 Clarcor Inc. High molecular and low molecular weight fine fibers and TPU fine fib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582A (ko) * 2000-03-06 2001-09-13 전제완, 오건석 기체 필터용 다층 부직포
KR20010109591A (ko) * 2000-05-31 2001-12-12 김용민 활성탄소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582A (ko) * 2000-03-06 2001-09-13 전제완, 오건석 기체 필터용 다층 부직포
KR20010109591A (ko) * 2000-05-31 2001-12-12 김용민 활성탄소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10959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78B1 (ko) 2013-01-03 2014-10-15 (주)은탑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18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1180B2 (en) Durable nanoweb scrim laminates
EP2221096B1 (en) Filter filtration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ilter unit
AU2017233895B2 (en) Vacuum-cleaner filter bag made from recycled plastic
KR101543481B1 (ko) 개선된 주름형 나노웨브 구조체
JP4486562B2 (ja) 内燃機関エアクリーナ用濾材およびエアクリーナエレメント
CN101880942B (zh) 一种非织造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80047430A1 (en) Filter element,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CN101500794A (zh) 具有垂直于机器的波浪形状的合成复合织品及其制造方法
US11186931B2 (en) Process for producing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WO2004082805A1 (ja) 内燃機関用不織布エアーフィルター
AU2019406297B2 (en) Vacuum cleaner filter bag having improved weld seam strength
KR100698978B1 (ko) 고효율 기체 필터용 다층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필터제품
WO2007074997A1 (en) Filter element for cleaning ai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05318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여재와 그 제조방법
KR100364290B1 (ko) 기체 필터용 다층 부직포
US20200063304A1 (en) Process for producing semi-processed product for automobile equipment
JP2018009256A (ja) 自動車装備材用半製品の製造方法
US20100140164A1 (en) Use of a material as a filter base material, a method for fabricating a filter base material, a filter base material and a filter
KR20200029862A (ko) 공조기용 다층 필터 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212611246U (zh) 一种汽车、工业润滑油过滤毡
JP6143503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32574A (ko) 내연기관 유입공기 정화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JP6129655B2 (ja) エアフィルタ濾材の製造方法
SU1724321A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материал дл очистки газ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
JP2022089024A (ja)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