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539B1 -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 Google Patents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539B1
KR100698539B1 KR1020060015500A KR20060015500A KR100698539B1 KR 100698539 B1 KR100698539 B1 KR 100698539B1 KR 1020060015500 A KR1020060015500 A KR 1020060015500A KR 20060015500 A KR20060015500 A KR 20060015500A KR 100698539 B1 KR100698539 B1 KR 10069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inforcement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102006001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지의 장점과 나무나 플라스틱소재의 장점을 접목시킨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여러가지 강도가 우수하며, 디자인의 유연성, 작품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를 제공한다. 그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는, 경량이면서 필요한 강도를 지니도록 한쌍의 합지(11,21,31,33)와 그 한쌍의 합지(11,21,31,33)사이에 접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보강재(12,2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크기가 큰 경우, 외주를 따라 상기 보강재(12,22)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허니컴과 같은 내부 보강재(13,23)가 설치되며,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에 골조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결합홈(15,25)이 골조부재(43,55)의 연결부 위치의 합지(11,21,31,3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곡선형상에서는 그 곡선형상에 인접하게 보강재(22)를 설치하고, 그 곡선을 따라 마감외주합지(24)를 접착시키거나, 좁은 곡선형상인 경우, 결합단차(35)를 두고 합지(31,33)를 이중으로 접착시키며, 그 결합단차(35)에 마감외주합지(36)를 끼워 접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합지, 보강재, 경량, 강도, 디자인성, 작품성, 조립성.

Description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cardboard complex with reinforcement members for paper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각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합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서랍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서랍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복합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서랍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서랍대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3의 복합재와 도 5의 서랍을 이용한 종이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종이가구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0,30: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 11,21,31,33: 합지
12,22,32: 보강재 13,23: 내부 보강재
15,25: 결합홈 24,36: 마감외주합지
35: 결합단차 40: 서랍
43,55: 골조부재 50: 서랍대
60: 고가구
본 발명은, 합지의 장점과 나무나 플라스틱소재의 장점을 접목시킨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여러가지 강도가 우수하며, 디자인의 유연성, 작품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합지(cardboard)를 이용하여 종이가구를 제조하는 것은 소품을 넣기 위한 간단한 상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지의 강도면에서의 한계로 인하여 톰슨기계 등에 의한 가공의 용이성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즉, 합지로 만든 상자나 종이가구 등 은 중량물에 의해 휘거나 찌그러지거나 또는 찢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강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 또는 삼중으로 여러겹 중첩하여 가구를 제조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크랙이나 휨이 발생하며, 합지만으로는 나무의 볼륨감을 나타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지의 장점과 나무의 장점을 접목시킨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여러가지 강도가 우수하며, 디자인의 유연성, 작품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 복합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는, 경량이면서 필요한 강도를 지니도록 한쌍의 합지와 그 한쌍의 합지사이에 접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재혼합합지 복합재의 크기가 큰 경우, 외주를 따라 상기 보강재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허니컴과 같은 내부 보강재가 설치되며,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에 골조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결합홈이 골조부재의 연결부 위치의 합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곡선형상에서는 그 곡선형상에 인접하게 보강재를 설치하고, 그 곡선을 따라 마감외주합지를 접착시키거나, 좁은 곡선형상인 경우, 마감외주합지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접착되는 합지가 내부에 접착되는 합지보다 돌출되게 결합단차를 두고 합지를 이중으로 접착시키며, 그 결합단차에 마감외주합지를 끼워 접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종이가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가 도시되는 것으로, 도 1에는 사각판재 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10)가 도시되며, 도 2에는 원형판재 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20)가, 도 3 및 도 4에는 3차원 곡선다리형상의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30)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는, 기본적으로 한쌍의 합지(11,21,31,33)와, 그 한쌍의 합지(11,21,31,33)사이에 접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보강재(12,22,32)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경량이면서 필요한 강도를 지니게 되고, 목제와 같은 볼륨감도 지닐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합지(11,21,31,33)만을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가 쉽게 제조될 수 있게 되고, 소비자들도 간단하게 접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를 위한 합지(11,21,31,33)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정의 형상으로 일종의 합지절단 프레스인 톰슨기계에 의해 대량으로 저렴하면서도 정밀하게 절단하여 공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크기가 큰 경우, 외주를 따라 상기 보강재(12,22)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허니컴과 같은 내부 보강재(13,23)가 설치된다. 그 내부 보강재(13,23)는, 모조지 등을 접어서 절단함으로써 쉽게 허니컴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얇은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 보강재(13,23)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의 외주만 아니라 내부도 필요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는, 나무 등의 볼륨감과 견고성 등의 장점을 지닐 뿐만 아니라, 종이의 가벼움과 제조의 용이성 및 저렴성 등의 장점을 지니며, 종이의 경우 낱장을 여러겹 붙여서 제작할 경우 무게가 나무보다 더 무겁고 작은 충격에도 이음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또, 그 내부 보강재(13,23)도 합지(11,21,31,33)사이의 빈공간을 채우더라도 가벼운 모조지 등을 가공처리한 것이기 때문에 부피나 강도에 비해 무게가 거의 없으며 수직으로 받쳐주어 견고하게 된다.
또한,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에 골조부재(43,55: 도 6 및 도 9 참조)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결합홈(15,25)이 골조부재(43,55)의 연결부 위치의 합지 (11,21,31,3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홈(15,25)이 형성됨으로써 정확하고도 쉽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직각으로 엇물리게 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도 2에 원형상을 일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상의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20)는 그 곡선형상에 인접하게 보강재(22)를 설치하고, 그 곡선을 따라 마감외주합지(24)를 접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어 곡선부분도 쉽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아름다운 곡선미를 지니는 다리에 본 발명을 구현시킨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30)가 도시된다. 그 좁은 곡선형상의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외주합지(36)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접착되는 합지(31)가 내부에 접착되는 합지(33)보다 돌출되게 결합단차(35)를 두고 합지(31,33)를 이중으로 접착시키며, 그 이중으로 접착된 한쌍의 합지(31,33)사이에 보강재(32)를 삽입,부착시키고, 그 결합단차(35)에 마감외주합지(36)를 끼워 접착시킴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합지(21,31,33)는 어떤 원하는 곡선으로도 쉽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20,30)는, 목제로 표현하기 어려운 아주 미려한 곡선모양도 가능하므로 디자인의 유연성 내지 수공예 수준의 작품성을 지니게 될 뿐만 아니라, 목재품보다 견고하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20,30)는, 다양한 종이가구의 제조 내지 조립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 (10,20,30)를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합지(11,21,31,33)와 그 한쌍의 합지(11,21,31,33)사이에 접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보강재(12,22,32)를 포함하고, 나아가, 내부 보강재(13,23), 접착제, 한지, 원목무늬필름, 얇은 원목 등의 마감처리재 등을 포함하여 조립키트로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더라도, 목제와는 달리, 소비자가 직접 쉽게 종이가구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키트로 종이가구를 완성하기 위한 다양한 종이가구의 조립제조방법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은 서랍(40)은,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 합지(42,45) 및 골조부재(43,46,47)로 구성된다.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결합홈(15)을 지니는 합지(11), 보강재(12) 및 내부 보강재(13)로 구성되며, 골조부재(43,46,47)는, 합지(42,45)를 위한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접촉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맞추어 접착시킴으로써 완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골조부재(43,46,47)의 삽입홈(44)에 합지(42,45)를 삽입시켜 조립한 후,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10)의 결합홈(15)에 골조부재(43)의 단부를 접착,결합시킴으로써 도 5의 서랍(40)이 완성되게 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서랍대(50)는, 한쌍의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51), 골조부재(55,56,57) 및 합지(58)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51)를 형성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51)사이에 각 결합홈(52,53,54)을 개재하여 골조부재(55,56,57)가 각각 결합,접착됨으로 써 서랍대(5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서랍대(50)에는 도 5에서와 같은 서랍(40)이 삽입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조립된 고가구(60)가 도시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판, 하판, 중간판 및 후판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61,65,66,67a), 장식대(63,67), 서랍(40) 및 다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30)로 구성된다.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61,65,66,67a)는 도 1에서와 같이 제조 내지 조립되고, 다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3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형성되며, 서랍(4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조립되고, 장식대(63,67) 역시 도 3에서와 같이 합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가벼운 플라스틱제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거나 마련된 상판, 하판 및 중간판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61,65,66,67a) 및 다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30)를 결합,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장식대(63,67)를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61,66)에 결합홈(62)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키거나, 접착제로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고가구(60)의 제조가 완성된다.
그 뒤, 한지, 원목무늬필름, 얇은 원목 등의 마감처리재로 마감시킴으로써 경량이면서도 여러가지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면에서도 훌륭한 작품이 간단하게 완성되게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조립키트만으로,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다양한 종이가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종이가구조립키트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합지의 장점과 나무의 장점을 접목시킨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여러가지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유연성, 작품성 및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경량이면서 필요한 강도를 지니도록 한쌍의 합지(11,21,31,33)와 그 한쌍의 합지(11,21,31,33)사이에 접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보강재(12,2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크기가 큰 경우, 외주를 따라 상기 보강재(12,22)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허니컴과 같은 내부 보강재(13,23)가 설치되며, 그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에 골조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결합홈(15,25)이 골조부재(43,55)의 연결부 위치의 합지(11,21,31,3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의 곡선형상에서는 그 곡선형상에 인접하게 보강재(22)를 설치하고, 그 곡선을 따라 마감외주합지(24)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가 좁은 곡선형상인 경우, 마감외주합지(36)의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접착되는 합지(31)가 내부에 접착되는 합지(33)보다 돌출되게 결합단차(35)를 두고 합지(31,33)를 이중으로 접착시키며, 그 결합단차(35)에 마감외주합지(36)를 끼워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15500A 2006-02-17 2006-02-17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KR10069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500A KR100698539B1 (ko) 2006-02-17 2006-02-17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500A KR100698539B1 (ko) 2006-02-17 2006-02-17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86A Division KR100810608B1 (ko) 2006-10-19 2006-10-19 종이가구조립키트, 종이가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 조립방법 및 종이가구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539B1 true KR100698539B1 (ko) 2007-03-21

Family

ID=4156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500A KR100698539B1 (ko) 2006-02-17 2006-02-17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989A (ko) * 1999-01-16 2000-08-05 이도재 가구용 모양지 및 그 접착방법
KR20030064153A (ko) * 2002-01-26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일그러짐을 최소화하는 파워 앰프 클리핑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989A (ko) * 1999-01-16 2000-08-05 이도재 가구용 모양지 및 그 접착방법
KR20030064153A (ko) * 2002-01-26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일그러짐을 최소화하는 파워 앰프 클리핑 회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50989
20036415300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3486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8534029B2 (en) Panel with paper honeycomb cores as table top
US4156054A (en) Bonded assembly and method for obtaining same
KR100698539B1 (ko) 종이가구용 보강재 혼합 합지복합재
KR100810608B1 (ko) 종이가구조립키트, 종이가구용 보강재혼합합지복합재 조립방법 및 종이가구조립방법
CA2570930A1 (en) Fabric reinforced multi-ply plywood panel
US6773538B2 (en) Method of making countertops
KR20170106726A (ko) 무늬목 가구의 곡면 모서리 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0423205Y1 (ko) 종이가구용 합지판재 및 이를 이용한 종이가구조립키트
JP3226989U (ja) 新型無垢フローリング
CN219748335U (zh) 一种板材的折边结构
JPH05137618A (ja) 家具用パネルの接合構造
KR101557240B1 (ko) 가구용 패널
JPH0616727Y2 (ja) パネル
CN107518584B (zh) 一种超轻质智能桌子
KR20130021264A (ko) 구조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030062010A (ko) 집성목도어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US11884045B2 (en) Structural laminate component
KR200460572Y1 (ko) 폐목재를 이용한 테이블 다리
GB2454514A (en) An edge-sealed table top board with paper honeycomb core
JP4079057B2 (ja) ピアノ本体用の側板などの楽器用部品とその製造方法
EP2398354B1 (en) Panel structure made of wooden material and process for obtaining such panels
KR200318292Y1 (ko) 장식용 판재의 결합부재
AU2005100349A4 (en) Furniture Par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1110714B1 (en) Laminate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toys and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