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38B1 -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38B1
KR100698238B1 KR1020000049902A KR20000049902A KR100698238B1 KR 100698238 B1 KR100698238 B1 KR 100698238B1 KR 1020000049902 A KR1020000049902 A KR 1020000049902A KR 20000049902 A KR20000049902 A KR 20000049902A KR 100698238 B1 KR100698238 B1 KR 10069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gate insulating
gate
polycrystallin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714A (ko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남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남상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15Devices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s, gamma-rays or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소전극의 표면에 축적되는 전하의 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는 충전 블러킹 층으로 인한 추가공정을 줄이기 위한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는 글라스 기판과; 상기 글라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 상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막과;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루는 다결정 실리콘층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제1 컨택홀과;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과;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p형(p-type)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부를 제조함으로써, 공정 단계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Detecting X-r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통상의 엑스-선 검출소자의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은 종래의 엑스-선 검출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영역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게이트패드부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패드부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링크부와 정전기 방지회로부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링크부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를 도시한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에 도시된 엑스-선 검출소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50 : 글라스 기판 3 : 게이트 라인
4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5 : 화소전극
6 : 광감지층 7 : 상부 유전층
8 : 상부전극 9 : 고전압발생부
10 : 데이터라인 12, 62 : 게이트전극
14,64 : 소스전극 15,17,19,21,63,65 : 컨택홀
16,64 : 드레인전극 18 : 게이트패드
20 : 데이터패드 22, 52 : 그라운드 전극
32, 56, 58 : 게이트 절연막 34 : 반도체층
35 : 제1 투명전극 36, 54 : 스토리지 절연막
38 : 제2 투명전극 40, 60 : 패시베이션층
42 : 알루미늄층 44 : 몰리브덴층
66a : 비정질 실리콘층 66b : 다결정질 실리콘층
본 발명은 엑스-선(이하 "X-선" 이라 함)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소전극의 표면에 축적되는 전하의 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는 충전 블러킹 층으로 인한 추가공정을 줄이기 위한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에 가시광이 아닌 X-선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촬상하는 진단용 X-선 감지장치가 의료 분야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X-선 감지장치는 X-선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소자가 필요하게 된다.
최근, X-선 검출소자로 개발되고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표시소자(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AMLCD"라 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MLCD는 스위치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X-선이 입사되는 광감지층(6)과, 유리기판(2) 상에 형성되어 광감지층(6)으로부터 검출된 X-선을 스위칭하기 위한 TFT 어레이(4)를 구비하는 AMLCD가 도시되어 있다. 광감지층(6)은 수백 ㎛ 두께의 셀레니옴(Selenium)이 TFT 어레이(4) 상에 도포되어 X-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광감지층(6) 상에는 유전층(7)과 상부전극(8)이 형성된다. 상부전극(8)은 고전압 발생부(9)에 접속된다. TFT 어레이(4)는 게이트라인(3)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신호를 데이터 재생부(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하게 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TFT의 소오스전극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되어 광감지층(6)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충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피사체에 X-선이 조사되면, 피사체를 투과한 광은 광감지층(6)에 입사된다. 광감지층(6)에 입사된 X-선은 광감지층(6) 내에 전자-전공쌍을 생성시키게 된다. 고전압 발생부(9)로부터 발생되는 수 KV의 고전압이 상부전극(8)을 통하여 광감지층(6)에 인가되면 전자-정공쌍이 분리된다. 전자와 분리된 정공은 상부 화소전극(5)을 경유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됨과 아울러 정공의 일부는 화소전극(5)의 표면상에 축적된다. 이로 인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축적되 는 정공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소전극(5) 상에는 화소전극(5)과 대응되게 충전 블러킹 층(Charge Blocking Layer)(11)이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라인(3)을 경유하여 TFT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전압이 인가되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이 드레인 전극을 통하여 데이터 재생부에 공급되어 영상으로 재생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FT 어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TFT 어레이에서 화소전극(5)은 게이트라인(3)과 데이터라인(10)에 의해 마련된 단위화소 영역에 형성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화소전극(5)과, 그 하부에 스토리지(Storage)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투명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그라운드전극(22)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잔류전하를 리셋시키기 위한 것으로 화소전극(5)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TFT는 데이터라인(10)과 게이트라인(3)의 교차지점에 형성된다. 이 TFT는 게이트라인(3)에서 연장된 게이트전극(12)과, 데이터라인(10)에서 연장된 드레인전극(16)과, 화소전극(5)과 컨택홀(15)에 의해 접속된 소스전극(14)과, 소스전극(14)과 드레인전극(16)에 접속된 반도체층(도시하지 않음)을 구성으로 한다. 게이트라인(3)과 데이터라인(10) 각각의 일측단에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와 접속되는 게이트패드부(18)와 데이터패드부(20) 각각이 형성된다. 게이트라인(3) 및 게이트전극(12)과 게이트패드(18)는 동일한 금속재질이 사용되며, 통상 알루미늄(Al)과 몰리브덴(Mo)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라인(10)은 신호전달 특성이 양호하도록 저항값을 줄이기 위하여 몰리브덴(Mo)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패드(20)는 구동 IC와의 접속을 알루미늄(Al)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으로 하기 위해 게이트패드(18)와 같이 알루미늄(Al)과 몰리브덴(Mo)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패드(20)는 데이터라인(10)과 다른층에 형성되므로 게이트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 경유하여 형성된 컨택홀(19)을 통해 접속되게 된다. 게이트패드(18)와 데이터패드(20)는 컨택홀(17,21)을 통해 알루미늄(Al)의 금속층이 노출되어 구동 IC와 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TFT 어레이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글라스 기판(2) 위에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금속막을 형성한 후, 제1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게이트라인(3)과 게이트전극(12), 게이트패드(18), 데이터패드(20)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게이트라인(3) 및 게이트전극(12), 게이트패드(18), 데이터패드(20)는 알루미늄(Al, 42)과 몰리브덴(Mo, 44) 금속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게이트라인(3) 및 게이트전극(12) 등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2)의 전면에 연속적인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게이트절연막(32)과 비정질실리콘(이하 "a-Si"라 함) 및 불순물이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층(이하, "n+층"라 함)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2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n+층과 a-Si층을 패터닝함으로써 TFT의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층(34)을 형성하게 된다. 반도체층(34)을 형성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물질(Mo/Al)을 사용한 데이터패드(20)와 이후 형성될 데이터라인(10)과의 컨택을 위해 제3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패드(20) 상의 게이트절연막(32)을 패터닝함으로써 컨택홀(19)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정전기 방지회로에서의 게이트라인(3)과 데이터라인(10)과 접속을 위해 상기 제3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 동일한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게이트라인(3) 상의 게이트절연막(32)을 패터닝함으로써 컨택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컨택홀(19)이 형성된 후 몰리브덴(Mo)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고 제4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데이터라인(10) 및 소스전극(14)과 드레인전극(16), 그라운드 전극(22)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링크부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리브덴(Mo) 재질의 데이터라인(10)과 몰리브덴/알루미늄(Mo/Al) 재질의 데이터패드(20)가 게이트절연막(32)에 형성된 컨택홀(19)을 통해 접속하게 된다. 아울러, 정전기방지회로부에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리브덴(Mo) 재질의 데이터라인(10)과 몰리브덴/알루미늄(Mo/Al) 재질의 게이트라인(3)이 게이트절연막(32)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접속하게 된다. 이어서, 투명전극물질을 전면 도포하고 제5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위한 제1 투명전극(35)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제1 투명전극(35)이 형성된 후,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형성을 위한 스토리지 절연막(즉, 유전층)(36)을 전면 도포하게 된다. 이 스토리지 절연막(36) 상에 투명전극 물질을 전면 도포한 후 제6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제2 투명전극(38)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제2 투명전극(38)은 이후 형성될 패시베이션층(40)에 컨택홀을 형성하기 위해 에칭하는 경우 그 패시베이션층(40)의 에칭깊이를 제한하는 에치 스타퍼(Etch Stopper)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컨택홀 형성 시 패시베이션층(40)과 스토리지 절연막(36)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제2 투명전극(38)이 형성된 후, 전면에 무기 또는 유기 물질의 패시베이션층(40)을 형성하고 제7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소스전극(14)과 화소전극(5)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15), 게이트패드(18) 및 데이터패드(20)와 구동 IC칩과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17,21), 화소전극(5)과 제2 투명전극(38)과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소스전극(14)과 화소전극(5)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15)과, 게이트패드(18) 및 데이터패드(20) 각각과 구동 IC칩과의 접속을 위한 컨택홀(17,21)은 패시베이션층(40) 및 스토리지 절연막(36)을 경유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투명전극 물질을 전면 도포한 후 제8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화소전극(5)을 형성하게 된다. 이 화소전극(5)이 형성된 후 제9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게이트패드(18)와 데이터패드(20)의 컨택홀(17,21)을 통해 노출된 몰리브덴층(44)을 패터닝하여 알루미늄층(42)이 노출되게 한다. 이는 게이트 패드(18)와 데이터패드(20)를 구동 IC칩과 접착강도가 큰 알루미늄(Al)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구조로 가져가기 위한 것이다. 그런 다음, 화소전극(5)의 표면상에 정공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소전극(5)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전극(5) 전면에 충전 블러킹 층(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화소전극(5) 상에 충전 블러킹 층(11)을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소전극의 표면에 축적되는 전하의 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화소전극 상에 형성되는 충전 블러킹 층으로 인한 추가공정을 줄이기 위한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는 글라스 기판과; 상기 글라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 상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막과;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루는 다결정 실리콘층 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제1 컨택홀과;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과;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글라스 기판 상에 그라운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그라운드 전극 상에 스토리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루는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과 접속되도록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의 TFT 어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의 TFT 어레이부는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전극(52)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52)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막(54)과,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54) 상에 형성되는 a-Si층(66a) 및 p-Si층(66b)과, 상기 a-Si층(66a) 및 p-Si층(66b)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56)과, a-Si층(66a)과 대응되게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56)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62)과, 상기 게이트 전극(62)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58)과, 이후 공정에 형성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이 p-Si층(66b)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56,58)을 경유하여 형성 되는 제1 컨택홀(63)과, 상기 제1 컨택홀(63)을 통해 p-Si층(66b)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60)과, 이후 공정에 형성되는 a-Se(도시되지 않음)과 접촉됨과 아울러 p-Si층(66b)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 패시베이션층(60), 제2 및 제1 게이트절연막(58,56)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제2 컨택홀(65)을 구비한다.
여기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그라운드 전극(52), 스토리지 절연막(54) 및 p-Si층(66b)로 형성된다. 그라운드 전극(52)은 채널의 폭을 넓히기 위해 충분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스토리지 절연막(54)은 소정의 유전율(ε)을 갖도록 유기절연막이 이용된다. p-Si층(66b)은 a-Si층(66a)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다결정화시켜 반도체 특성을 갖도록 한다.
이를 도 8a 내지 도 8f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에 도시된 엑스-선 검출소자의 TFT 어레이부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엑스-선 검출소자의 TFT 어레이부는 글라스 기판(50) 상에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와 같은 투명전극을 전면에 증착한다. 그런 다음, 투명전극을 제1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에칭하면, 글라스 기판(50) 상에 그라운드 전극(52)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8b와 같이 글라스 기판(50)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 전극(52)을 덮도록 스토리지 절연막(54)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스토리지 절연막(54) 상에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를 이용하여 a-Si를 전면 증착한 후, 400℃ 정도의 열처리로 수소를 이탈시키는 탈수소화 공정을 거치거나, 다이사일렌(Si2H6)을 이용하여 400~450℃ 정도에서 CVD 장비를 이용하여 a-Si를 증착한다. 이렇게 스토리지 절연막(54) 상에 증착된 a-Si 상부의 소정부분에만 마스크가 위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상에 레이저 빛을 조사하여 빛에 노출된 부분만 결정화되도록 한다. 이때, 빛에 노출되어 결정화가 되는 부분은 도 8c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전극(52)과 대응되는 부분과 이 후 공정에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이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결정화가 되는 부분은 p-Si층(66b)이 되고, 결정화가 되지 않는 부분은 그대로 a-Si층(66a)으로 남게 된다. 이어서, 제2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p-Si층(66b)과 a-Si층(66a)이 스토리지 절연막(54)의 소정 부분에만 잔재하도록 패터닝한다. 그런 다음, 도 8d와 같이 패터닝되어 스토리지 절연막(54) 상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p-Si층(66b)과 a-Si층(66a) 상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56) 및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증착된다. 여기서, 제1 게이트 절연막(56)은 유기절연막과 같은 유기물질로 구성된다. 또한, 금속전극은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및 알루미늄(Al)등의 금속물질로 구성됨과 아울러 제3 마스크 패턴에 의해 패터닝되어 a-Si층(66a)과 대응되도록 제1 게이트 절연막(56) 상에 게이트 전극(62)이 도 8e와 같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게이트 전극(62)을 덮도록 제1 게이트 절연막(56) 상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58)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8f와 같이 이 후 공정에서 형성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과 p-Si층(66b)이 접속되기 위해 제2 및 제1 게이트 절연막(58,56)은 제4 마스크 패턴에 의해 순차적으로 패터닝되어 그 부분에 제1 컨택홀(63)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제1 컨택홀(63)을 통해 p-Si층(66b)과 접속되도록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이 형성된다. 이어서,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64)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50) 상에 패시베이션층(60)을 전면 증착한 후, 제5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그라운드 전극(52)과 대응되게 형성된 p-Si층(66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패시베이션층(60)이 패터닝된다. 이로 인해, 패시베이션층(60)이 패터닝되는 부분은 제2 컨택홀(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엑스-선 검출소자의 TFT 어레이부를 p형(p-type) p-Si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화소전극 상에 대응되게 추가적으로 형성된 충전 블러킹 층이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그라운드 전극과 대응되게 형성된 p-Si층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로 동작함과 아울러 충전 블러킹 층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검출소자는 p형(p-type) p-Si를 이용하여 TFT 어레이부를 제조함으로써, 공정 단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글라스 기판과;
    상기 글라스 기판 상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 상에 형성되는 스토리지 절연막과;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다결정 실리콘층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제1 컨택홀과;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과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과;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컨택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검출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은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접속되는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비정질 실리콘층이 잔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검출소자.
  3. 글라스 기판 상에 그라운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그라운드 전극 상에 스토리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토리지 절연막 상에 위치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루는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 상에 제1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제1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과 접속되도록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 상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제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을 경유하여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은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과 접속되는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비정질 실리콘층이 잔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00049902A 2000-08-26 2000-08-26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98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02A KR100698238B1 (ko) 2000-08-26 2000-08-26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02A KR100698238B1 (ko) 2000-08-26 2000-08-26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14A KR20020016714A (ko) 2002-03-06
KR100698238B1 true KR100698238B1 (ko) 2007-03-21

Family

ID=1968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902A KR100698238B1 (ko) 2000-08-26 2000-08-26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293A (ja) * 1992-04-10 1993-11-05 Casio Comput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9980081122A (ko) * 1997-04-08 1998-11-25 모리시타요오이찌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JPH1168109A (ja) * 1997-08-26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結晶薄膜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9990018394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293A (ja) * 1992-04-10 1993-11-05 Casio Comput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9980081122A (ko) * 1997-04-08 1998-11-25 모리시타요오이찌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그것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JPH1168109A (ja) * 1997-08-26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結晶薄膜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9990018394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811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14A (ko)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0412B2 (en) Method of fabricating an array substrate
US6037609A (en) Corrosion resistant imager
US6797961B2 (en) X-ray det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20076861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rray substrate for X-ray detector
US6531346B1 (en) Fabrication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X-ray detector
US20040183024A1 (en) X-ray det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fore
US6528819B2 (en) Method of fabricating an array substrate for an x-ray detector
KR100310179B1 (ko) 엑스레이 영상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2631A (ko) 엑스레이 디텍터 및 그 제조 방법
US6617584B2 (en) X-ray detec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463337B1 (ko) 엑스레이영상감지소자및그제조방법
KR100730066B1 (ko)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1440B1 (ko)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41732B1 (ko) 엑스-선 검출소자의 제조방법
KR100698238B1 (ko)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EP0890190B1 (en) Corrosion resistant imager
KR100683526B1 (ko) 엑스-선 검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1998032173A9 (en) Corrosion resistant imager
KR100463594B1 (ko) 엑스레이 영상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3498A (ko) 엑스레이 영상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CA2247717A1 (en) Corrosion resistant im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