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09B1 -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09B1
KR100698209B1 KR1020050024101A KR20050024101A KR100698209B1 KR 100698209 B1 KR100698209 B1 KR 100698209B1 KR 1020050024101 A KR1020050024101 A KR 1020050024101A KR 20050024101 A KR20050024101 A KR 20050024101A KR 100698209 B1 KR100698209 B1 KR 10069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advertisement
regular
specific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163A (ko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2Dynamic electric resistor braking, combined with 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6Driver interactions by ped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15Systems characterised by having means acting on components of the drive line, e.g. retarder, clutch or differenti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규 방송 사이의 광고 방송시간에 기 설정된 별도의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규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복조하는 튜너 및 복조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 형태의 특정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나 특정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에서의 방송신호 중간의 광고 방송 시간에 기 설정된 별도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광고

Description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vertising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의 대역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채용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의 기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및 VSB 복조부 20 : 제어부
30 : 디코더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200 : 메모리부 60 : 스위칭부
70 : A/D 변환부 100 : 영상기기
본 발명은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규 방송 사이의 광고 방송시간에 기 설정된 별도의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컴퓨터, 통신 등의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 오디오 등 여러 형태의 정보를 결합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분야까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디지털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요즘은, 그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analog)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어 컴퓨터, 방송, 가전, 통신 등 점차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 TV는 일상 생활에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힘입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등장으로 더욱 많은 방송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생생한 음향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디지털 방식의 TV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어 스포츠, 영화, 홈쇼핑,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지상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등 다양한 방송이 제공됨에 따라 시청자의 선택 폭이 넓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상파 방송의 1개의 방송채널은 6, 7 혹은 8MHz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으며(도 1 참조),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상기 6, 7 혹은 8MHz의 대역폭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실어 전송하여, 상기 1개의 방송채널에 하나의 방송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 등으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1개의 방송채널에 여러개의 방송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다수개의 가상의 방송채널을 구성하여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으로는 하나의 채널로 하나의 방송만 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디지털 방식은 하나의 채널에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여러 개의 방송을 할 수 있는 다채널 방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여러가지 해상도를 지원하는데, 화면 비가 16:9이고, 해상도가 1920×1080 또는 1280×720의 고화질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HD(High Definition)TV 방식과, 화면비가 4:3 또는 16:9이고, 해상도가 704×480 또는 640×480인 SD(Standard Definition)TV 방식이 있다.
이 때 상기 HDTV는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디지털 방송데이터가 커져, 기존의 1개의 방송채널에 하나의 방송만이 가능하고, SDTV는 상기 HDTV보다 해상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디지털 방송데이터가 작아져, 1개의 방송채널에 4~5개 정도의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다채널 방송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1개의 방송채널에서 1개의 방송만 할 수 있었던데 반해, 디지털 데이터의 압축, 다중화 기술에 따라 1개의 채널에 다수개의 방송을 동시에 전송하여 다채널 방송을 하고, 시청자는 상기 다채널 방송 중, 원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로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면 모든 요소(영상,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데이터의 압축에서처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압축, 다중화 기술에 따라 종래 기술은 방송국에서 디지털 방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광고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삽입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디지털 방송에 삽입된 광고 데이터 중에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를 우선하여 선택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효과적인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TV를 이용한 광고방법이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채용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의 디지털 TV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채용되는 디지털 방송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3개의 방송데이터를 하나의 채널에 다중화한 것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채널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디지털 방송데이터가 하나의 채널에 전송할 수 있도록 다중화되고, 상기 각 채널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사이에 4개의 광고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즉, 송신측에서 각 1, 2, 3 채널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와 4개의 광고데이터를 다중화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데이터는 수신측에서 시분할에 의해 각 채널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와 광고데이터로 역다중화되어, 상기 각 채널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을 하고, 또한 상기 광고데이터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광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채널의 데이터는 인간의 눈으로 디스플레이되는 TV 화면의 이상을 느끼지 못 할 정도의 충분한 데이터, 즉, 각 해상도에서 적어도 초당 25~30 프레임의 화면을 표시하여줄 수 있는 만큼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하며, 그에 따라 HDTV 방식의 디지털 방송을 할 때에는 그 방송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삽입할 수 있는 광고데이터의 양이 작아지게 되고, SDTV 방식의 디지털 방송을 할 때에는 그 데이터의 크기가 HDTV에 비해 현격하게 감소하게 되어 많은 양의 광고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삽입되는 광고는 동영상광고, 또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배너광고와 같이,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로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동영상 광고는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삽입할 수 있는 광고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의 광고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 만큼 많은 양의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되는 광고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디지털 TV 수신기, 예를 들어 디지털TV, 또는 컴퓨터, 또는 셋탑박스(set top box) 형태의 디지털 수신기에 사용자가 우선하여 보기를 원하는 광고 항목을 설정해놓고, 상기 전송되는 광고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을 우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데이터에는 그 데이터가 광고데이터라는 정보와, 어떤 항목에 관한 광고데이터라는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 때, 일반적으로 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터에는, 주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특히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헤더(HEADER) 블록, 데이터의 끝을 나타내는 엔드(END) 블록, 그리고 전송하는 데이터의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에러체크 (ERR) 블록, 실제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DATA) 블록을 포함하는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가 광고데이터라는 정보와, 그 광고데이터가 어떤 항목에 관한 광고데이터라는 정보를 헤더(HEADER), 또는 데이터(DATA) 블록 등, 그 방송데이터의 표준을 정하여, 적어도 광고데이터의 어느 한 부분에는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디지털 TV 수신기에 우선하여 보기를 원하는 관심분야의 광고 항목을 설정한다(S10)
그리고, 방송국에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채널의 디지털 방송데이터에 광고를 삽입한다(S20).
그 다음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하나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또는 두 개 이상의 채널의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부호화,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디지털 TV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역다중화, 복호화한다(S30).
디지털 TV 수신기는 상기 복호화된 디지털 방송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40).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에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S50),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의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을 계속 하고,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는, 상기 광고데이터의 헤더 등에 들어있는 광고데이터의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한 광고데이터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의 광고데이터인가를 판단한다(S60).
판단결과(S60) 수신된 광고데이터가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해당하는 광고일 경우에는, 그 광고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70).
그러나 판단결과(S60),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해당하는 광고가 아니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해당하는 광고의 수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광고의 수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에 해당하는 광고를 우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그 외에는 수신된 순서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0).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여러 광고 중 수신자가 원하는 특정 광고를 선택해서 볼 수는 있으나,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정규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 출력시점에 특수 목적을 가진 자체 제작된 광고를 삽입해서 디스플레이할 수는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규 방송 사이의 광고 방송시간에 기 설정된 별도의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규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복조하는 튜너 및 복조 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 형태의 특정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나 특정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조부는 잔류 측파대 방식의 복조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정 방송신호는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는 개인용 영상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스트림의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에 상기 특정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하고,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 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규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복조하는 튜너 및 복조부와, 외부 메모리부로부터의 특정 방송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나 상기 특정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플래쉬 메모리이거나 하드디스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특정 방송신호는 Y, Cb, Cr 또는 Y, Pb, Pr 또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여 본 발명은 방송신호가 복조되면,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의 출력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복조된 방송신호의 광고 프로그램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프로그램시간동안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는 잔류측파대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된 신호를 복조한 전송 스트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의 모니터링은 상기 전송 스트림 중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 정규 방송 프로 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에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 방송 프로그램 종료시간에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상기 정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는 상기 영상기기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정방송 신호는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규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 방송시간에 기 설정된 별도의 광고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튜너 및 잔류측파대(VSB) 복조부(10)와, 제어부(20), 디코더부(30), 디스플레이부(40), 메모리부(50) 및 스위칭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튜너 및 VSB 복조부(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TP1) 형태로 복조한다.
디코더부(30)는 전송 스트림(TP1)(TP2)을 R,G,B 영상신호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R,G,B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50)는 전송 스트림(TP2) 형태의 방송신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방송신호는 영상기기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저장한 별도의 광고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정규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 출력시점에 특수 목적을 가진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부(50)로는 플래쉬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DD) 등이 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튜너 및 VSB 복조부(10)에서 복조된 전송 스트림(TP1)과 메모리부(50)에 저장된 전송 스트림(TP2) 중 하나의 전송 스트림을 디코더부(30)로 스위칭한다.
제어부(20)는 튜너 및 VSB 복조부(10)에서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튜너 및 VSB 복조부(10)에서 복조된 광고 프로그램과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방송신호 중 하나의 신호가 디코더부(30)로 스위칭되도록 스위칭부(60)를 제어한다. 여기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은 전송 스트림(TP1) 정보 중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SPLICE COUNTDOW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전송 스트림(TP)을 디코딩하는 경우 광고 프로그램인지 정규 프로그램인지를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SPLICE COUNTDOW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판단하여 정규 프로그램이 끝나고 광고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시점에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광고 프로그램과 메모리부(50)에 저장된 방송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디코더부(30)로 스위칭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영상기기는 예를 들면 개인용 영상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 : 이하 PVR라 약칭 함)로 구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메모리부(50)는 하드디스크(HDD)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100)는, 튜너 및 VSB 복조부(10)와, 제어부(20), 디코더부(30), 디스플레이부(40), A/D 변환부(70)로 구성되며, 메모리부(20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100)는 기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티브이의 외부에 메모리부(200)가 연결된 것이다.
여기서 튜너 및 VSB 복조부(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TP) 형태로 복조한다.
디코더부(30)는 전송 스트림(TP)이나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R,G,B 영상신호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R,G,B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A/D 변환부(7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코더부(3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200)는 아날로그 방식(예를 들면, Y, Cb, Cr(Y, Pb, Pr) 또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의 방송 신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방송신호는 영상기기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저장한 별도의 광고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정규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 출력시점에 특수 목적을 가진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부(200)로는 플래쉬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DD)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버용 컴퓨터를 통해 영상기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튜너 및 VSB 복조부(10)에서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튜너 및 VSB 복조부(10)에서 복조된 광고 프로그램과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방송신호 중 하나의 신호가 디코더부(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은 전송 스트림(TP1) 정보 중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SPLICE COUNTDOW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제어부(20)는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자동으로 메모리부(200)의 방송신호로 오디오/비디오 스위칭되도록 하여 메모리부(200)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도록 하여 디코더부(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 1,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는 잔류 측파대 변조 방식으로 전송된 방송신호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잔류측파대 복조 방식을 수행하는 영상기기를 설명하였을 뿐 다른 변조 방식에 의해 전송된 경우에는 그에 적합한 복조 방식을 사용하여 복조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의 기본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TV 신호는 188 바이트(Bytes)의 전송 스트림(TP) 형태를 잔류측파대(VSB) 변조하여 전송되어 온다.
이와 같은 188 바이트 중 헤더(HEADER) 내에는 도 7에서와 같이 8비트(Bits)의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SPLICE COUNTDOWN) 비트가 있는데 방송국에서 정규 프로그램이 끝나고 광고가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전송 스트림의 바이트 수를 카운트(COUNT)하여 알려주며, 특히 도 7에서와 같이 값이 줄어들어 0이 되는 시점(splicing point)에 정규프로그램이 종료되고 광고방송이 시작된다. 광고방송이 끝나고 정규방송 프로그램이 되는 시점(splicing point)에도 마찬가지로 스프라이스 카운트 값이 줄어들다가 0이 되는 시점에 정규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이때 도 4에 따른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는 영상기기의 제어부에서는 튜너 및 VSB 복조부에서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TP 정보 중 스프라이스 카운트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0이 되는 시점에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TP1의 광고방송 을 중단하고, 자동으로 PVR등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TP2의 광고 프로그램으로 스위칭(Switching) 된다. 이때 메모리부에는 TP 형태로 광고 방송이 저장되어 있고,TP 형태로 출력된다.
또한 제어부는 튜너 및 VSB 복조부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광고가 끝나서 정규 방송으로 변경되는 시점에 원래의 정규 방송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서는 광고 삽입용 메모리부가 영상기기외부에 형성된 경우로서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부가 튜너 및 VSB 복조부에서의 TP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정규방송에서 광고방송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자동 A/V 스위칭하여 Y,Cb,Cr(Y,Pb,Pr) 이나 CVBS 형태로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방송국에서 전송되어져 오는 광고가 아닌 공항이나 매장같은 특수한 전시환경에서 자체 홍보용 혹은 광고용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시청자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특수 목적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영상기기의 전원이 온되어(S100), 방송신호가 복조되면(S110), 특정광고출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판단결과(S120) 특정광고 출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정규 방송 프로그램 및 정규 광고 프로그램을 출력한다(S180).
그러나 판단결과(S120) 특정광고 출력이 설정되어 있다면 전송 스트림의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130).
모니터링 결과 정규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프로그램이 시작되는가를 판단한다(S140).
판단결과(S140) 정규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 설정된 광고 프로그램을 출력한다(S150).
또한 정규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는가를 판단한다(S160).
판단결과(S160) 정규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 설정된 광고 프로그램 대신 정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한다(S17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는 공항이나, 매장 같은 특정공간에서 정규 방송의 광고시간에 미리 홍보용이나 광고용으로 제작되어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다른 광고 프로그램을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특정 공간의 특정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홍보 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규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복조하는 튜너 및 복조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 형태의 특정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나 특정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잔류 측파대 방식의 복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송신호는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개인용 영상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스트림의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에 상기 특정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하고,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정규 방송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복조하는 튜너 및 복조부와;
    외부 메모리부로부터의 특정 방송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나 상기 특정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정규 방송신호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에 상기 정규 방송신호와 특정 방송신호 중 하나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코더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는 플래쉬 메모리이거나 하드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부의 특정 방송신호는 Y, Cb, Cr 또는 Y, Pb, Pr 또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1. 방송신호가 복조되면,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의 출력이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복조된 방송신호의 광고 프로그램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프로그램시간동안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잔류측파대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된 신호를 복조한 전송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프로그램 시간의 모니터링은 상기 전송 스트림 중 스프라이스 카운트다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 정규 방송 프로그램 사이의 광고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에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정규 방송 프로그램 종료시간에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상기 정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특정방송 신호는 상기 영상기기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방송 신호는 호텔이나, 공항, 터미널, 매장, 관공서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자체 제작된 광고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0050024101A 2005-03-23 2005-03-23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69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01A KR100698209B1 (ko) 2005-03-23 2005-03-23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101A KR100698209B1 (ko) 2005-03-23 2005-03-23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163A KR20060102163A (ko) 2006-09-27
KR100698209B1 true KR100698209B1 (ko) 2007-03-22

Family

ID=3763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01A KR100698209B1 (ko) 2005-03-23 2005-03-23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62B1 (ko) * 2009-02-16 2010-12-17 황기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70B1 (ko) * 2006-12-13 2008-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방송 시스템에서의 임대 채널 이용방법
JP6989826B2 (ja) 2016-06-17 2022-01-12 株式会社イチカワ 頭蓋内圧推定方法及び頭蓋内圧推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31A (ko) * 2000-08-10 2002-02-20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0383821B1 (ko) * 2000-06-21 2003-05-16 당유상 가정용 광고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21B1 (ko) * 2000-06-21 2003-05-16 당유상 가정용 광고 제어 시스템
KR20020013031A (ko) * 2000-08-10 2002-02-20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0719880000
1003838210000
10200200130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62B1 (ko) * 2009-02-16 2010-12-17 황기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163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458B1 (ko) 대화식 비디오 프로그램 기억장치
KR101322085B1 (ko) 방송 시스템에서 저해상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973685A (en) Scheme for the distribution of multimedia follow-up information
KR20040000512A (ko) 제1 그룹 신호들로부터 제2 그룹 신호들로의 스위칭을위한 시스템
CA2400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ear video on demand
KR20020078585A (ko) 부가정보 송수신 방법
KR100698209B1 (ko)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668918B1 (ko) 디지털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JP2000278665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GB2356517A (en) A receiver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first and second video signals
KR100277937B1 (ko) 엠피 3 수신 가능한 디지털 티브이 송/수신 시스템
JP3594524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738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KR100267225B1 (ko) 디지털방송수신이가능한디지털기록/재생장치
KR19990032224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KR100267227B1 (ko)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JP4727009B2 (ja) 受信装置
KR20010029047A (ko)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서의 지도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97423B1 (ko) 동적인 부화면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JP3728214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156496Y1 (ko) 프로그램정보를 표시하는 tv수상기
JP2016096524A (ja) 電子機器及び信号処理方法
KR20100107194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