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227B1 -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227B1
KR100267227B1 KR1019970057478A KR19970057478A KR100267227B1 KR 100267227 B1 KR100267227 B1 KR 100267227B1 KR 1019970057478 A KR1019970057478 A KR 1019970057478A KR 19970057478 A KR19970057478 A KR 19970057478A KR 100267227 B1 KR100267227 B1 KR 10026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cording
programs
channe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645A (ko
Inventor
양태석
신용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2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한 채널에 여러 프로그램이 다중화된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번조 녹화를 선택하면 한 채널에 다중화된 다수의 프로그램중 원하는 2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그 중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은 비디오와 오디오 디코딩을 각각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은 영상과 음성 신호를 모두 디지탈로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의 시청 및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이번조 녹화 기능의 추가로 디지탈 VCR의 성능이 개선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apparatus for recording a/v data on a channel while watching a/v data on an other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한 채널에 여러 프로그램이 다중화된 디지탈 방송에서 서로 다른 두 프로그램의 녹화 및 시청을 동시에 수행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탈로 전송하는 디지탈 방송이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지상 방송을 통하여 한국,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상용화되고 있거나 상용화될 예정이다.
우리 나라를 비롯, 선진국들이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이러한 디지탈 방송의 이점은 현재 NTSC와 같은 아날로그 방송보다는 화질과 음질면에서 훨씬 뛰어나다는 것이다. 이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파에 실어 다시 화면에 띄우는 과정, 즉 변조나 복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디지탈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잡신호가 끼어들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MPEG 2 방식을 채용한 SD(Standard Definition)급 디지탈 방송은 기본 규격이 기존 아날로그 방송과 비슷하지만 모든 신호가 디지탈로 처리돼 화질과 음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한 채널에 여러 프로그램이 다중되는 다채널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서는 6㎒ 대역폭에 한 개의 프로그램 밖에 송출할 수 없으나 디지탈 방송에서는 동일한 대역폭에 4개 정도의 프로그램을 내보낼 수 있다. 디지탈 방송이 이처럼 한 채널에 여러 프로그램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영상과 음성을 고밀도로 압축하고 복원시킬 수 있는 MPEG2 기술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디지탈 방송에 따라 하나의 방송 채널은 최대 4개에서 10개의 프로그램까지 다중화할 수 있게 됐고 이에 따라 고정된 주파수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여기서, HD급 디지탈 방송은 SD급보다는 화질과 음질이 우수하지만 그만큼 전송할 데이터 량이 많아지므로 현재는 한 채널에 한 프로그램만이 할당된다.
그리고, 이러한 SD/HD급 디지탈 방송의 표준은 대체로 세가지 흐름을 타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이 각각 나름대로 방송방식 및 규격을 마련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규격인 차세대 TV 방송 위원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 ; ATSC)방식은 단일 반송파의 8-VSB(Vestigial Side Bands) 전송방식을, 비디오 압축에는 SDTV/HDTV 겸용형 MPEG 2 규격을, 그리고 오디오 압축에는 돌비 AC-3 규격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디지탈 위성방송이 DVB-S(Satellite)를 표준으로 한 데 반해 디지탈 지상파 방송 규격은 상기된 미국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가전업계에서는 디지탈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탈로 기록/재생하는 디지탈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 VCR)의 개발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데, 이 기기들은 모두 디지탈 방송이나 인터넷 등으로부터 영상을 받아들일 때 한번 아날로그화 한 영상을 다시 디지탈로 전환해 녹화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단지 타임 쉬프트나 데이터 저장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즉, 상기 디지탈 VCR에는 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이번조 녹화 기능이 없으므로 이를 원하는 유저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SD급 디지탈 방송인 경우 한 채널에 다중화된 여러 프로그램 중 한 프로그램은 시청하고 동시에 다른 프로그램은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SD 검출부 12 : 제어부
13 : 선택부 14 :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15 : 디코딩부 16 : 디스플레이부
17 : 디지탈 VCR(DVC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의 특징은, 이번조 녹화를 선택하면 한 채널에 다중화된 다수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2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그 중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은 비디오와 오디오 디코딩을 각각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은 영상과 음성 신호를 모두 디지탈로 기록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디지탈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SD급인지 HD급인지를 검출하는 SD 검출부(11), 이번조 녹화 등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부(13), 상기 SD 검출부(11)의 검출 결과와 선택부(13)의 선택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이번조 녹화이면 한 채널에 다중화된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14), 상기 선택된 두 개의 프로그램중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테이프에 디지탈로 기록하는 디지탈 VCR(15), 및 상기 두 개의 프로그램중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딩을 각각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7)로 출력하는 디코딩부(1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디지탈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VSB복조가 수행되어 한 채널의 데이터가 SD 검출부(11)와 트랜스포트 디코더(14)로 출력된다. 상기 SD 검출부(11)는 수신된 디지탈 방송이 SD급인지 HD급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제어부(12)로 출력한다. 왜냐하면, 유저가 이번조 녹화를 선택해도 디지탈 방송이 한 채널에 한 프로그램만 할당된 HD급이면 이번조 녹화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SD 검출부(11)에서 SD급으로 판별되고 선택부(13)를 통해 이번조 녹화 기능이 선택되면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14)가 한 채널에 다중화된 여러 프로그램중에서 원하는 즉, 유저가 선택한 두 개의 프로그램을 디멀티플렉싱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14)는 SD급이면서 이번조 녹화이면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다중화된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두 개의 프로그램(P1,P2)을 디멀티플렉싱한 후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P1)은 디지탈 VCR(15)로,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P2)은 디코딩부(16)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14)는 수신된 디지탈 방송이 HD급이거나 이번조 녹화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채널 데이터에 다중화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한 개의 프로그램만을 디멀티플렉싱한 후 녹화를 원하면 디지탈 VCR(15)로, 시청을 원하면 디코딩부(16)로 출력하고, 녹화와 시청을 동시에 원하면 디지탈 VCR(15)과 디코딩부(16)로 선택된 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출력한다.
만일, 수신되는 디지탈 방송이 엠펙(MPEG) 2를 채용한 압축 방식이라면 상기 디코딩부(16)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HD급이면 엠펙 2-메인 프로파일@하이레벨(MPEG 2-MP@HL) 디코딩을 수행한다. 또는, SD급이면 엠펙 2-심플 프로파일@미들레벨(MPEG 2-SP@ML)이나 메인 프로파일@로우레벨(MPEG 2-MP@LL) 디코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돌비사의 AC-3 방식을 이용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AC-3 방식은 미국의 HDTV인 ATV의 오디오 방식에 채용되었으며, 돌비사가 갖는 돌비 서라운드를 디지탈 압축하는데 알맞은 5.1 채널용 압축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상기 디코딩부(16)는 디지탈 방송 신호의 전송 방식과 압축 방법, 그리고 채택되는 표준에 따라 디코딩되는 방법이 다르다.
상기 디지탈 VCR(15)은 입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패리티 코드, 미리 정의된 동기신호/ID를 부가한 후 테이프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디지탈 VCR(15)은 자기 테이프에 싣는 영상과 음성 신호를 모두 디지탈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동을 그대로 기록했다가 재생하는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VCR과 달리 여러번 녹화하고 재생해도 화질에는 변함이 없다. 또 디지탈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호환해 쓸 수 있고 디지탈 방식으로 된 고선명 TV(HDTV)와 연결하면 고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 장치에 의하면, SD급 디지탈 방송이면서 이번조 녹화가 선택되면 한 채널에 다중화된 여러 프로그램 중 원하는 2개의 프로그램을 디멀티플렉싱하고 그 중 시청을 원하는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녹화를 원하는 프로그램은 디지탈 VCR을 통해 녹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의 시청 및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이번조 녹화 기능의 추가로 디지탈 VCR의 성능이 개선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한 채널에 다중화된 프로그램 중 동시에 시청과 기록을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하여주고 이번조 모드가 선택되면 이번조 모드 및 복수의 선택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및 제어부와,
    상기 선택 및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어, 한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탈 방송 신호로부터 복수의 선택 프로그램을 디멀티플렉싱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록용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싱부와,
    상기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싱부로부터 기록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지탈로 기록하는 디지탈 기록/재생부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부로부터 시청용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시청용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출력시키는 디코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가 수신되면 SD급인지 HD급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선택 및 제어부를 출력하는 SD 검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및 제어부는 동시 시청과 기록을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번조 모드와 복수의 선택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번조 모드와 복수의 선택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 프로그램과 시청용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TV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방송의 이번조 녹화장치.
KR1019970057478A 1997-10-31 1997-10-31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KR10026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78A KR100267227B1 (ko) 1997-10-31 1997-10-31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78A KR100267227B1 (ko) 1997-10-31 1997-10-31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45A KR19990035645A (ko) 1999-05-15
KR100267227B1 true KR100267227B1 (ko) 2000-10-16

Family

ID=1952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78A KR100267227B1 (ko) 1997-10-31 1997-10-31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91B1 (ko) * 1999-11-11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임 시프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762A (ko) * 1995-12-13 1997-07-31 배순훈 다기능 디지탈 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762A (ko) * 1995-12-13 1997-07-31 배순훈 다기능 디지탈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645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250B1 (ko) 디지탈오디오/비디오(a/v)시스템
US200200560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s well as broadcasting system and broadcasting method
EP1675394B1 (en) Personal video recorder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signal in the system
US7409142B2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supplying medium
JPH09205638A (ja) データ送信方式および受信装置
KR100267227B1 (ko) 디지탈방송의이번조녹화장치
KR100698209B1 (ko)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267225B1 (ko) 디지털방송수신이가능한디지털기록/재생장치
JPH10313443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536679B1 (ko) 디지털 튜너 내장형 브이씨알의 녹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74907B1 (ko) 다기능 디지탈 수신장치
JP2005269664A (ja) 録画システム
KR100324741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영상획득/재생방법
US20070098372A1 (en) Digital television recorder for recording multiple sets of audio tracks and method thereof
KR20100047729A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3259538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KR100697423B1 (ko) 동적인 부화면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US20120294375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0155757B1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기록장치
JP317742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06676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1024533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テレビ装置
KR19990086623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녹화 방법
JP200830129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
JP2001197387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