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62B1 -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62B1
KR101001862B1 KR1020090012477A KR20090012477A KR101001862B1 KR 101001862 B1 KR101001862 B1 KR 101001862B1 KR 1020090012477 A KR1020090012477 A KR 1020090012477A KR 20090012477 A KR20090012477 A KR 20090012477A KR 101001862 B1 KR101001862 B1 KR 10100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ime
exposure time
broadcast
screen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336A (ko
Inventor
황기순
Original Assignee
황기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순 filed Critical 황기순
Priority to KR102009001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사용자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각각 방송화면과 광고화면을 번갈아가며 디스플레이하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방송신호입력부와, MPEG보드와,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메모리카드로부터 광고동영상 파일을 읽는 메모리카드리더기와, 사용자로부터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설정되는 광고시간설정부와, 상기 광고시간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MPEG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광고시간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메모리카드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광고동영상을 상기 MPEG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광고기능제어부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광고, 메모리카드

Description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an advertising television set and a method therof}
이 발명은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각각 방송화면과 광고화면을 번갈아가며 디스플레이하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 터미널, 기차역, 병원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출발시간이나 진료 차례를 기다린다. 이 대기중인 사람들이 지루하지 않게 기다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공공장소의 대합실에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이 공공장소에 설치된 텔레비전 수상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한 다양한 광고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광고기술로는, 별도의 광고채널을 통해 계속해서 광고방송을 노출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기술은 사람들을 지속적으 로 광고를 노출시키므로 사람들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타 채널로 변경할 경우에는 광고방송이 전혀 노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광고기술로는 텔레비전 화면의 하단에 줄 단위의 광고문구를 일정한 속도로 노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줄광고는 각 지방의 유선방송사가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유선방송케이블로 송출하는 과정에서, 공중파방송화면과 기제작된 줄광고화면을 겹쳐서 유선방송화면을 재구성한 후 송출하는 기술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줄광고는 한정된 개수 및 크기의 글자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것이고, 텔레비전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에 화면 하단에 줄광고를 노출함으로써 광고효과가 높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두 광고기술들에서, 텔레비전 수상기는 텔레비전 수상기 자체에 광고기능을 내장한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공중파방송 또는 유선방송을 단순히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만을 할 뿐이다.
즉, 공중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텔레비전 신호 중 광고채널이 튜닝되면 그 광고채널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줄광고를 포함한 채널이 튜닝되면 그 중광고를 포함한 텔레비전 화면을 단순히 디스플레이할 뿐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에 방송화면과 광고화면을 번갈아가며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방송신호입력부와, MPEG보드와, 디스플레이패널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메모리카드로부터 광고동영상 파일을 읽는 메모리카드리더기와, 사용자로부터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설정되는 광고시간설정부와, 상기 광고시간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MPEG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광고시간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메모리카드리더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광고동영상을 상기 MPEG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광고기능제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은, 방송신호 입력부와, 메모리카드리더기와, 광고기능제어부와, 디스플레이패널과,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와, 광고시간업키와, 광고시간다운키를 구비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기능제어부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인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메모리카드리더기로 입력되는 광고동영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동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0)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가 아니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일시정지된 상기 광고동영상을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 후 일시정지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동영상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떠한 공중파방송 내지 유선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이더라도 해당 공중파방송 내지 유선방송이 디스플레이되는 중간중간에 광고화면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텔레비전 시청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면서 광고화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효과가 증대되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방송신호입력부(11)와, 메모리카드리더기(12)와, 광고기능제어부(13)와, 광고시간설정부(14)와, MPEG보드(15)와, LCD패널(16)로 이루어진다.
방송신호입력부(11)는 안테나를 통해 공중파방송을 수신하거나 유선케이블을 통해 유선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메모리카드리더기(12)는 광고동영상이 저장된 메모리카드(M)로부터 광고동영상을 순차적으로 읽어온다. 광고동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 메모리카드(M)에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광고기능제어부(13)는 방송신호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가 LCD패널(16)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방송신호를 블록킹한 후 메모리카드리더기(12)로부터 입력되는 광고동영상이 LCD패널(16)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광고기능제어부(13)는 광고시간설정부(14)에서 설정되는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저장하고,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LCD패널(16)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광고동영상신호를 선택하여 LCD패널(16)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제작 초기에, 방송화면노출시간은 제한없음으로 설정되고 광고화면노출시간은 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기능제어부(13)는 광고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방송신호가 연속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광고기능제어부(13)는 광고화면노출시간이 0보다 큰 시간값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메모리카드리더기(12)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동영상이 없으면 방송신호를 블록킹하지 않고 광고화면노출시간에도 지속적으로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광고기능제어부(13)는 방송신호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광고동영상은 그 플레이가 일시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방송화면노출시간이 종료되고 광고화면노출시간이 되면 일시정지되었던 순간부터 이어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광고기능제어부(13)는 사용자가 광고시간설정부(14)를 조작하여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하나의 광고동영상 상영시간보다 짧으면 이를 경고할 수 있으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하나의 광고동영상 상영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도록 강제할 수 있다.
또한, 광고기능제어부(13)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광고화면노출시간이 하나의 광고동영상 상영시간으로 가변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자동상태로 설정하고 방송화면노출시간을 특정값으로 설정하면, 광고기능제어부(13)는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하나의 광고동영상 파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광고동영상 파일이 종료되면 다시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광고시간설정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시간업키(21)와, 방송시간다운키(22), 광고시간업키(23), 및 광고시간다운키(2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방송시간업키(21)와 방송시간다운키(22)를 동시에 누르면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설정모드가 된다. 이 시간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방송시간업키(21)를 누를 때마다 방송화면노출시간은 특정한 시간단위(1분 단위)로 증가하고, 방송시간다운키(22)를 누를 때마다 방송화면노출시간은 특정한 시간단위(1분 단위)로 감소한다. 한편, 이 시간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광고시간업키(23)를 누르면 광고화면노출시간은 특정한 시간단위(1분 단위)로 증가하고, 광고시간다운키(24)를 누르면 광고화면노출시간은 특정시간단위(1분 단위)로 감소한다.
이 광고시간설정부(14)는 초기화키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시간설정모드에서 특정한 두 키(예컨대,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를 한번 더 동시에 누르면 초기화가 되도록 설정한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저장된다.
또한, 광고시간설정부(14)는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자동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자동설정키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시간설정모드에서 광고시간업키(23)와 광고시간다운키(24)를 동시에 누르면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일정시간동안 광고시간설정부의 키들을 조작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설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MPEG보드(15)는 광고기능제어부(13)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 또는 광고동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LCD패널(16)에 전달하고, LCD패널(16)은 방송신호 또는 광고동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기능제어부(13)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면(S301), 광고기능제어부(13)는 시간설정모드로 진입한다(S302).
사용자로부터 방송시간업키가 입력되면(S303), 광고기능제어부(13)는 현재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에서 특정시간단위(1분 단위)만큼 증가시키고 새롭게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S304). 방송시간노출시간이 초기상태(제한없음)인 경우, 현재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을 0분으로 설정하고, 단위시간만큼 증가시킨다.
사용자로부터 방송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S305), 광고기능제어부(13)는 현재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에서 특정시간단위(1분 단위)만큼 감소시키고 새롭게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S306). 현재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이 0분인 상태에서 방송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로부터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면(S307), 광고기능제어부(13)는 방송화면노출시간을 초기상태(제한없음)로 설정하고 화면에 표 시한다(S308). 광고시간설정부가 초기화키를 포함한 경우, 단계 S307에서 사용자로부터 초기화키가 입력되면, 단계 S308에서 광고기능제어부가 현재 방송화면노출시간을 초기상태로 설정한다.
사용자로부터 광고시간업키가 입력되면(S309), 광고기능제어부(13)는 현재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에서 특정시간단위(1분 단위)만큼 증가시키고 새롭게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S310).
사용자로부터 광고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S311), 광고기능제어부(13)는 현재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에서 특정시간단위(1분 단위)만큼 감소시키고 새롭게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새롭게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메모리카드리더기(12)에 저장된 임의의 한 광고동영상의 상영시간보다 짧으면 경고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기능제어부(13)는 현재 설정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0분인 상태에서 광고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로부터 광고시간업키와 광고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면(S313), 광고기능제어부(13)는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자동상태로 설정한다(S314). 광고시간설정부가 자동설정키를 포함한 경우, 단계 S313에서 사용자로부터 자동설정키가 입력되면, 단계 S314에서 광고기능제어부는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자동상태로 설정한다.
다음, 사용자가 입력하는 광고시간설정부의 키입력에 따라 단계 S303 내지 단계 S314를 반복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광고시간설정부의 키입력이 없으면(S315), 설정된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저장한다(S316).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기능제어부(13)가 방송화면과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광고기능제어부(13)는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인지한다(S401). 메모리카드리더기(12)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동영상 파일이 존재하면(S402),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0)인지를 체크한다(S403). 단계 S402에서 광고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S403에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0)이면, 광고기능제어부(13)는 방송신호를 연속하여 LCD패널 화면에 표시한다(S404).
한편, 단계 S403에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가 아니면,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405).
단계 S405에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특정한 숫자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방송신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이전 광고화면노출시간 종료시 일시정지되었던 광고동영상을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이어서 재생하여 표시한 후 일시정지시키는 과정을 번갈아 수행한다(S406).
단계 S405에서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방송신호를 표시한 후 광고동영상 파일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S407).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른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광고시간설정부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기능제어부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기능제어부(13)가 방송화면과 광고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 : 방송신호입력부 12 : 메모리카드리더기
13 : 광고기능제어부 14 : 광고시간설정부
15 : MPEG보드 16 : LCD패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방송신호입력부와, 메모리카드리더기와, 광고기능제어부와, 디스플레이패널과,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와, 광고시간업키와, 광고시간다운키를 구비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기능제어부가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인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메모리카드리더기로 입력되는 광고동영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동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0)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가 아니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는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동안 일시정지된 상기 광고동영상을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 후 일시정지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동안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동영상 하나를 표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동영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제로이면, 상기 방송신호를 연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과 광고화면노출시간을 설정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단계는, 상기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어 시간설정모드에 진입하는 제1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방송시간업키가 입력되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이 증가되는 제2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방송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이 감소되는 제3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광고시간업키가 입력되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증가되는 제4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광고시간다운키가 입력되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감소되는 제5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광고시간업키와 광고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광고화면노출시간이 자동상태로 설정되는 제6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후 상기 방송시간업키와 방송시간다운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방송화면노출시간이 초기화되는 제7소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동방법.
KR1020090012477A 2009-02-16 2009-02-16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KR10100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77A KR101001862B1 (ko) 2009-02-16 2009-02-16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77A KR101001862B1 (ko) 2009-02-16 2009-02-16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36A KR20100093336A (ko) 2010-08-25
KR101001862B1 true KR101001862B1 (ko) 2010-12-17

Family

ID=4275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77A KR101001862B1 (ko) 2009-02-16 2009-02-16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34B1 (ko) * 2013-07-29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09B1 (ko) * 2005-03-23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09B1 (ko) * 2005-03-23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기기 및 그를 이용한 광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36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22801B (zh) 紧急告警消息数据结构、处理方法以及广播接收机
US20070288954A1 (en) Wallpap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channel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RU2006130785A (ru) Мультимед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682706A (zh) 视频接收器
KR10075786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809923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表における画像情報表示方法
KR101001862B1 (ko)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US20050076391A1 (en) Picture display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senting commercial message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JP2003046983A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40004390A (ko) 픽셀 데이터 버퍼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0213344A (ja) 受信装置
JPH1120570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JP4905525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208033B2 (ja) 受信装置
JP503305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2010161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70027224A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상품광고용 스킨 제공 방법 및상품광고용 스킨 제공 시스템
US2012010571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next program of broadcasting channel using the same
JP4558087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654306B2 (ja) 受信装置
CN201278563Y (zh) 一种显示终端及数字电视系统
KR101058195B1 (ko) Tpeg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50120974A (ko) 다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0328734Y1 (ko) 그래픽 채널 선택 맵을 갖는 디지털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