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034B1 -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034B1
KR101490034B1 KR20130089673A KR20130089673A KR101490034B1 KR 101490034 B1 KR101490034 B1 KR 101490034B1 KR 20130089673 A KR20130089673 A KR 20130089673A KR 20130089673 A KR20130089673 A KR 20130089673A KR 101490034 B1 KR101490034 B1 KR 10149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display
policy
se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호
양장모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3008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CONTENTS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업체에는 고객들이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 TV(텔레비전), IPTV(Internet Protocol TV) 등을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도 식사하러 온 손님들이 식사 중 IPTV 방송을 볼 수 있도록 텔레비전과 셋탑박스를 설치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종래의 텔레비전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서 방송콘텐츠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업체 전용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텔레비전은 광고조차도 방송 신호에 포함된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해당 텔레비전이 설치된 업체에 특화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표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각 서비스 제공 업자 또는 상품 판매업자들은 통상적인 방송 콘텐츠가 표시되는 중 자신이 설정한 특정 시간에 자신이 설정한 특정 콘텐츠들이 텔레비전을 통해 표시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는 고객들이 공중파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방송 이외 해당 텔레비전을 설치한 업자들이 원하는 특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해당 텔레비전을 설치한 업자들의 마케팅과 관련된 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는 방안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를 구현한 장치가 제시된 바 없다.
공개특허 10??2006??001115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텔레비전 등 방송 표시 장치를 설치한 업체 전용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해당 방송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의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정책 설정 서버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정책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와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가 포함된 정책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책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정책 설정 데이터를 푸시 방식으로 또는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 매장 주인은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방송 프로그램이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신이 지정한 시간에 자신이 지정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방송 프로그램 대신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들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흐름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제1 콘텐츠 서버(300),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 정책 설정 서버(500),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콘텐츠 서버(300)는 제1 콘텐츠를 콘텐츠 전송 신호에 실어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콘텐츠 서버(300)와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 서버(300)는 지상파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국 방송 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고,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을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는 IPTV 방송 장치, 또는 케이블 방송을 전송하는 케이블 방송 장치 등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1 콘텐츠 서버(300)가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에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는 방송 시간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콘텐츠 전송 신호에 포함된 각종 정보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한편,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는 일종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미리 또는 실시간 다운로드 받아 해당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구비하고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요청받은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이다.
정책 설정 서버(5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도 있지만, 정책 설정 서버(500)로부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정책 설정 서버(500)가 웹 서버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정책 설정 서버(500)에 접속한 후 해당 정책 설정 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작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정책 설정 서버(500)는 콘텐츠 표시 제어 방치(100)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뿐만 아니라 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과 관련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서 제1 콘텐츠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그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1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가 스마트 TV인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그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일 예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에 제1 콘텐츠를 표시하지만,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가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인 경우 방송 표시 장치는 그 연결된 TV에 제1 콘텐츠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셋탑박스와 연결된 TV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TV에 설치되고, TV는 셋탑박스와 통신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서 제1 콘텐츠 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와 통신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탑박스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1의 방송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10), 판단부(120), 표시 제어부(130), 통신부(140),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방송 표시 장치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 또는 설정하거나 방송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이 포함된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리모콘 등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입력부(150)는 액세스 포인트에 유선으로 연결된 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앞서 설명한 각 서버 즉, 제1 콘텐츠 서버(300),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 정책 설정 서버(500)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전원 차단시에도 그 저장된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저장부(110)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이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 저장된 것일 수 있고, 앞서 언급한 정책 설정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설정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정책 설정 서버(500)에 등록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어야할 시간을 의미하는 정보이고,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 정보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가 종료되어야할 시간을 의미하는 정보이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는 표시될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 설정 콘텐츠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외부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그 수신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판단부(12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120)는 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판단부(120)는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 또는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 또는 방송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을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판단부(120)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서 9시 뉴스가 방송되는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방송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부터 5분(일종의 옵셋 값) 전인 시간을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거나 또는 콘텐츠 전송 신호로부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판단부(12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판단부(12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2 개인 경우 그 2 개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13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3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예를 들어 TV)에서 제1 콘텐츠보다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TV 상에 제1 콘텐츠는 전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그 대신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콘텐츠보다 TV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TV 화면의 상위 레이어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는 것은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는 제1 콘텐츠가 그 사용자 설정 콘텐츠에 의해 가려져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1 콘텐츠와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중첩되어 TV 상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 즉, 셋탑박스에서 콘텐츠들을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처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중첩되게 결합하는 것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를 추출하고, 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고, 이때 선택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는 복수 개일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요청하고, 그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판단부(120)의 판단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판단부(120)의 판단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된 경우에도, 표시 제어부(13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TV 화면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a)와 같이 소정의 매장에 설치된 TV(즉, 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IPTV 실시간 방송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장 점주가 설정한 시간에 그 매장 점주가 설정된 특정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도 3(b)와 같이 나타나고, 그 후 매장 점주가 기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리모콘의 이전키 입력 등이 있는 경우,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기 전에 표시되고 있던 IPTV 실시간 방송이 도 3(d)와 같이 다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는데(단계 S1),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는데(단계 S3), 그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 정보,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서 제1 콘텐츠를 추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5).
이 상태에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단계 S9),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한다(단계 S11).
이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는 표시 중단이 되도록 하고, 그 대신에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13).
이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한 경우(단계 S17),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중단하고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이전에 표시되었던 제1 콘텐츠가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19).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제어 과정의 다른 예이다.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저장한다(단계 S21).
현재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있다(단계 S23).
이 상태에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단계 S27),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한다(단계 S29). 이때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표시를 중단하고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단계 S31),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된 경우(단계 S33) 제1 콘텐츠가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3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의 제어 과정의 또 다른 예이다.
우선,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단계 S41)와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저장하고 있다(단계 S43). 여기서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와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은 소정의 서버 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갱신된 것일 수 있다.
현재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있다(단계 S45).
이때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콘텐츠 전송 신호로부터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47). 여기서 방송 시간 정보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마다 특정 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추출한 방송 시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을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으로 판단한다(단계 S49).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단계 S51)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한다(단계 S53).
또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처리함과 아울러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55).
이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한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된 경우(단계 S57) 제1 콘텐츠가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59).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제1 콘텐츠 서버 400 :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
500 : 정책 설정 서버 110 : 저장부
120 : 판단부 130 : 표시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 입력부

Claims (23)

  1. 외부의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 따라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을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전송 신호로부터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방송 시간 정보와 기 설정된 옵셋 값을 기초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의 사용자 설정 콘텐츠는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따라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된 이후,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 저장되거나 소정의 정책 설정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중 사용자로부터 이전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삭제
  13. 삭제
  14. 외부의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신호에 따라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1 콘텐츠보다 우선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전송 신호로부터 방송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방송 시간 정보와 기 설정된 옵셋 값을 기초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개시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저장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대상 정보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를 사용자 설정 콘텐츠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설정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종료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모두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 정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 저장되거나 소정의 정책 설정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설정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중 사용자로부터 이전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이전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콘텐츠의 표시 중단을 제어하고 후순위로 밀렸던 기존의 제1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KR20130089673A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9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673A KR101490034B1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673A KR101490034B1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034B1 true KR101490034B1 (ko) 2015-02-04

Family

ID=5259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9673A KR101490034B1 (ko) 2013-07-29 2013-07-29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0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799A (ko) * 2007-05-25 2008-11-28 황태호 Utv 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3336A (ko) * 2009-02-16 2010-08-25 황기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799A (ko) * 2007-05-25 2008-11-28 황태호 Utv 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3336A (ko) * 2009-02-16 2010-08-25 황기순 광고기능의 텔레비전 수상기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6116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apps to smart devices
JP2017204874A (ja) 画像受信装置
CN103338231A (zh) 一种智能终端对目标被控端进行控制的方法
US20150149619A1 (en) User state confirmation system, user state confirmation method,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computer program, and terminal computer program
US2016017393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CN103607626A (zh) 智能电视中的实时信息显示方法和装置
KR20140095854A (ko) 디스플레이장치, 컨텐츠 추천정보 수신방법, 서버 및 컨텐츠 추천방법
CN104111822A (zh) 应用程序更换字体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30049233A (ko) 미디어 컨텐츠와 연계된 보상서비스를 제공 및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209268A (zh) 一种基于网络电视的天气预报实现方法及网络电视
US9538235B2 (en) Stream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used for media content and home automation
KR101490034B1 (ko) 사용자 설정 콘텐츠 표시를 위한 콘텐츠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A2899115A1 (en) Adapter for use with display
JP6081952B2 (ja) 受信装置、レコメンドシステム及びレコメンド方法
CN110958476A (zh) 一种广告投放方法、显示设备及遥控器
EP2001150B1 (en) URL access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50091045A (ko) 디지털 서비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2341691B1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dget
AU2010100616A4 (en) Remote Content Download
CN104754414A (zh) 一种终端及其显示节目信息方法
JP5836406B2 (ja) Api提供サーバ及びapi提供システム
US201603450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user
US20160006793A1 (en) Osd subject file obtaining and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pdating system
JP6408325B2 (ja) 通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865822B1 (ko)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