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710B1 - 관이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710B1
KR100697710B1 KR1020060028834A KR20060028834A KR100697710B1 KR 100697710 B1 KR100697710 B1 KR 100697710B1 KR 1020060028834 A KR1020060028834 A KR 1020060028834A KR 20060028834 A KR20060028834 A KR 20060028834A KR 100697710 B1 KR100697710 B1 KR 10069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pipe joint
fixed
steel shee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식 filed Critical 김명식
Priority to KR102006002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48Genitals
    • A61F2007/005Genitals fema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prophylaxis
    • A61F2013/1509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prophylaxis as genital prophyl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관이음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성형되는 강판재의 단부를 안내부재 및 가압부재로 파지한 후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관이음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메인 실린더(12)에 의해 램(13)이 승하강하고,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14)이 형성되어진 프레스기(10)와, 상기 작업테이블(14)의 상측에 고정되고, 성형될 관이음의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강판재(P)를 외면의 형상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부재(20)와, 상기 성형부재(20)의 평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31a)가 형성된 제1판부재(31)를 상기 성형부재(2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판부재(31)가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 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32)을 포함하는 안내부재(30)와, 상기 램(13)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부재(20)와 평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어진 제2관통부(41a)가 형성된 제2판부재(41)를 상기 램(13)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가압부재(40)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30)의 제1판부재(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강판재(P)를 상기 램(13)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40)의 제2판부재(41)에서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0) 및 안내부재(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강판재(P)가 성형부재(20)의 외면의 형상에 따라 관이음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프레스기, 성형부재, 안내부재, 가압부재

Description

관이음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tube joint}
도 1은 종래에 따른 엘보우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전체전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정면도로서, 램이 하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정면도로서, 램이 하강하여 가압부와 안내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정면도로서, 성형부재에 의해 관이음이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의해 제조된 관이음 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의해 제조된 관이음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의 의해 제조된 관이음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스기 11: 프레임
12: 메인 실린더 13: 램
14: 작업테이블 14a: 관통공
20: 성형부재 30: 안내부재
31: 제1판부재 31a: 제1관통부
32: 완충부재 32a: 쿠션 실린더
32b: 지지봉 40: 가압부재
41: 제2판부재 41a: 제2관통부
42: 고정부재 43: 이격부재
P: 강판재
본 발명은 관이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이음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성형되는 강판재의 단부를 안내부재 및 가압부재로 파지한 후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관이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음에는 엘보(elbow), T형으로 접속하는 티, Y형으로 접속하는 90°Y,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크로스, U형으로 접속하는 귀환 벤드(return bend) 등이 있다.
상기 관이음 중 엘보우는 관(管) 속을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갑자기 바꾸는 장소에 사용하는 관이음으로서, 내경이 작은 소구경의 엘보우는 해당 구경의 파이프를 직접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내경이 대략 600 ~ 2000 m/m 정도인 대구경 엘보우의 경우에는 해당 구경의 파이프를 직접 가공하여 제작할 수 없었다.
따라서, 대구경의 엘보우는 강판재를 냉간가공하여 반원형의 엘보우부재를 대량생산하고, 상기 엘보우부재의 한쌍을 상호 용접함으로서, 엘보우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엘보의 제조장치의 일례에 대한 종래의 예로서는, 특허등록번호0376003호의 "엘보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엘보우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보우 제조장치는 기대(1)의 상부에 수직으로 승강되게 설치되는 상틀(1)의 하단에 착설되며, 하부의 성형면(3a)이 반원형의 엘보우형상으로 되는 상형(3)과, 상기 기대(1)의 바닥에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전후진하게 설치되며, 상부의 성형면(4a)(4a')이 서로 연결되면 상기 상형(3)의 성형면(3a)과 걸맞게 되는 반원형의 엘보우형상을 이루게 각각 4분의1 원형의 엘보우형상으로 되는 좌,우 하형(4)(4')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대(1)의 상부에는 상형(3)을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는 실린더(5)가 설치되며, 상기 기대(1)의 바닥에는 좌,우 하형(4)(4')들을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전,후진시켜 주는 수평실린더(6)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보우의 제조장치는 엘보우부재를 성형하게되는 데, 이는 성형면(4a)(4a')들의 각 상단측에 좌우길이가 상기 성형면을 합친 길이와 같게 되는 성형대상 강판재(7)의 양단측만 얹혀지는 정도로 되게 좌,우 하형(4)(4')들을 후진 이동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형(3)을 하강시켜 강판재(7)의 중간을 가압하면, 이 강판재는 하향 만곡되므로, 그 양측단이 성형면(4a)(4a')의 상단으로 부터 이탈되어 상부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 부터는 하강되는 상형(3)과 같은 속도로 좌,우 하형(4)(4')들을 동시에 전진시켜 준다.
이렇게 하여 상형(3)과 좌,우 하형(4)(4')들이 서로 합쳐지게 되면, 이들의 성형면에 의해 강판재(7)는 가압되어 반원형의 엘보우부재가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보의 성형장치는 성형되는 강판재의 양단부를 파지하는 수단이 없어 작업이 나쁘고, 성형과정에서 강판재의 단부에 주름이 발생하여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관이음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성형되는 강판재의 단부를 안내부재 및 가압부재로 파지한 후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관이음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에는 메인 실린더에 의해 램이 승하강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이 형성되어진 프레스기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되고, 성형될 관이음의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강판재를 외면의 형상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부재와, 상기 성형부재의 평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된 제1판부재를 상기 성형부재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판부재가 상기 성형부재 측으로 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램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부재와 평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어진 제2관통부가 형성된 제2판부재를 상기 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가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제1판부재의 상면에 안착되는 강판재를 상기 램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의 제2판부재에서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 및 안내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강판재가 성형부재의 외면의 형상에 따라 관이음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프레스기의 테이블 하측에 위치하는 쿠션 실린더와, 상기 테이블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일단은 상기 제1판부재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쿠션 실린더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이음 제조장치는 프레스기(10), 성형부재(20), 안내부재(30) 및 가압부재(4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기(10)는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메인 실린더(12)에 의해 램(13)이 승하강하고,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테이블(14)에는 복수의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테이블(14)의 하측에는 쿠션 실린더(3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부재(20)는 상기 작업테이블(14)의 상측에 고정되고, 성형될 관이음의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강판재(P)를 외면의 형상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성형부재(20)는 성형하고자 하는 이형관의 외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보우 형상,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상의 엘보우부재를 성형하는 것을 일예로 들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 또는 캡 등의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30)는 상기 성형부재(20)의 평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31a)가 형성된 제1판부재(31)를 상기 성형부재(2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판부재(31)가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 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32)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32)은 상기 프레스기(10)의 테이블 하측에 위치하는 쿠션 실린더(32a)와, 상기 작업테이블(14)에 형성된 관통공(14a)을 통해 일단은 상기 제1판부재(31)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쿠션 실린더(32a)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2b)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40)는 상기 램(13)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부재(20)와 평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어진 제2관통부(41a)가 형성된 제2판부재(41)를 상기 램(13)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판부재(41)는 상기 램(13)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2)와의 사이를 이격부재(43)로 일정간격 이격시키도록 하여 강판재(P)의 성형이 용이하게 하며, 성형된 강판재(P)의 배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이음 제조장치는 프레스기(10)의 작업테이블(14)에 성형부재(20)를 고정하고, 상기 성형부재(20)의 상측으로 제1관통공(14a)이 형성된 제1판부재(31)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테이블(14)에 형성된 관통공(14a)을 통해 지지봉(32b)의 일단을 제1판부재(31)의 하부에 고정하고, 타단은 쿠션 실린더(32a)의 상측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프레스기(10)의 램(13) 하면에는 가압부재(4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고정부재(42) 및 이격부재(43)에 의해 제2관통공(14a)이 형성된 제2판부재(41)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안내부재(30)의 상면에 관이음부재로 성형시킬 강판재(P)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기(10)를 작동하게 되며, 메인 실린더(12)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램(13)이 하강하며 램(13) 하면에 고정되어진 가압부재(40)도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4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안내부재(30)의 제1판부재(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강판재(P)를 상기 가압부재(40)의 제2판부재(41)에서 파지하게 되며, 계속 램(13)이 하강하게 되면 제1,2판부재(31)(41)에 의해 파지된 강판재(P)는 성형부재(20)의 외면의 형상에 따라 관이음으로 성형된다.
이는 상기 제1,2판부재(31)(41)의 형성된 제1,2관통공(31a)(41a)을 통해 강 판재(P)가 성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관이음 제조장치로 강판재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에 대응되는 다른 성형품을 결합한 후 용접 결합하게 되면 관이음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제조장치는 성형되는 강판재의 단부를 안내부재 및 가압부재로 파지한 후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되도록 함으로서, 관이음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

  1.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메인 실린더(12)에 의해 램(13)이 승하강하고,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는 작업테이블(14)이 형성되어진 프레스기(10)와,
    상기 작업테이블(14)의 상측에 고정되고, 성형될 관이음의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강판재(P)를 외면의 형상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성형부재(20)와,
    상기 성형부재(20)의 평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31a)가 형성된 제1판부재(31)를 상기 성형부재(2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판부재(31)가 상기 성형부재(20) 측으로 하강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32)을 포함하는 안내부재(30)와,
    상기 램(13)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성형부재(20)와 평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어진 제2관통부(41a)가 형성된 제2판부재(41)를 상기 램(13)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가압부재(40)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30)의 제1판부재(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강판재(P)를 상기 램(13)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40)의 제2판부재(41)에서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0) 및 안내부재(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강판재(P)가 성형부재(20)의 외면의 형상에 따라 관이음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32)은, 상기 프레스기(10)의 테이블 하측에 위치하는 쿠션 실린더(32a)와, 상기 작업테이블(14)에 형성된 관통공(14a)을 통해 일단은 상기 제1판부재(31)의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쿠션 실린더(32a)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봉(32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제조장치.
KR1020060028834A 2006-03-30 2006-03-30 관이음 제조장치 KR10069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834A KR100697710B1 (ko) 2006-03-30 2006-03-30 관이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834A KR100697710B1 (ko) 2006-03-30 2006-03-30 관이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710B1 true KR100697710B1 (ko) 2007-03-21

Family

ID=4156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834A KR100697710B1 (ko) 2006-03-30 2006-03-30 관이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7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432A (ko) * 1995-07-15 1997-02-19 이종현 스텐레스 파이프 접속용 엘보(Elbow)관의 제조방법
KR200423017Y1 (ko) * 2006-05-25 2006-08-02 삼양금속공업 주식회사 동합금 엘보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432A (ko) * 1995-07-15 1997-02-19 이종현 스텐레스 파이프 접속용 엘보(Elbow)관의 제조방법
KR200423017Y1 (ko) * 2006-05-25 2006-08-02 삼양금속공업 주식회사 동합금 엘보관 성형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997-543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0423017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99752U (zh) 一种暖气管打孔机
CN207386369U (zh) 一种铜管扩口整形装置
CN212285427U (zh) 一种防止异型管开裂的折弯装置
CN206580858U (zh) 一种防止管道热处理变形的支撑装置
CN204673172U (zh) 钢管束组立点焊设备
KR101403206B1 (ko) 소재 벤딩장치
KR100697710B1 (ko) 관이음 제조장치
JP5615738B2 (ja) チューブ曲げプレスにおいて板材から成るスリット入りチューブ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とチューブ曲げプレス
CN208067040U (zh) 一种金属管件穿芯冷弯装置
KR200423017Y1 (ko) 동합금 엘보관 성형장치
KR20120094621A (ko) 링크 밴딩 시스템
CN106583565B (zh) 一种液压耐张线夹半成品制作工装
CN210754666U (zh) 一种避免废料残留的汽车车门冲压模具
CN210754825U (zh) 一种用于西餐叉子加工的钢板压力机
CN206241557U (zh) 一种横梁组焊工装
CN206405286U (zh) 一种液压耐张线夹半成品制作工装
CN220144473U (zh) 一种圆钢管拉伸成异形钢套的工装
KR100420262B1 (ko)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CN215356186U (zh) 一种激光选区熔化成型薄壁零件的随形支撑变形机构
CN216182847U (zh) 一种塑料制品热板焊接机
KR101449625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부품 성형장치
CN210046579U (zh) 一种椅脚成型用防脱落的工装夹具
CN214719745U (zh) 一种操作便捷的钣金件拉伸车床
CN210966544U (zh) 一种直接成型钢管接头的冲模设备
CN210188168U (zh) 一种冲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4